[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90892Y1 - 스피커장치 - Google Patents

스피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892Y1
KR200290892Y1 KR2020020019131U KR20020019131U KR200290892Y1 KR 200290892 Y1 KR200290892 Y1 KR 200290892Y1 KR 2020020019131 U KR2020020019131 U KR 2020020019131U KR 20020019131 U KR20020019131 U KR 20020019131U KR 200290892 Y1 KR200290892 Y1 KR 2002908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enclosure
bass
sound
reprodu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1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호남
Original Assignee
최호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호남 filed Critical 최호남
Priority to KR20200200191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8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89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음재생용 스피커가 내설되는 인클로저를 구형상으로 설계하면서 그 내부에는 스피커의 후방으로 방사되는 음의 경로를 연장시켜 보강 간섭에 의해 저음의 재생효율을 극대화시킴과 더불어 외관의 심미감을 향상시키도록 된 스피커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음 재생용 스피커와 고음 재생용 스피커가 내설되는 인클로저는 포함하는 스피커장치에서, 상기 인클로저는 상기 저음재생용 스피커가 내설되는 인클로저와 상기 고음재생용 스피커가 내설되는 인클로저로 형성되고, 상기 저음 재생용 스피커가 내설되는 인클로저의 내부 후방에는 그 저음 재생용 스피커의 후방으로 방사되는 음의 경로를 연장시키기 위한 격막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음재생용 스피커가 내설되는 인클로저에는 상기 고음재생용 스피커가 내설되는 인클로저가 연결네크부를 통해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저음재생용 스피커가 내설되는 인클로저의 내벽에는 흡음재가 더 설치된다.

Description

스피커장치{SPEAKER SYSTEM}
본 고안은 스피커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형(求刑)의 인클로저를 채용하면서 그 내부에는 후면음파에 대한 보강간섭구조를 갖추어 저음을 포함한 전체적인 음질의 향상에 유리하도록 설계된 스피커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기적인 오디오신호의 실제적인 재현을 위한 스피커장치는 예컨대 영상가요시스템이라든지 멀티미디어시스템 또는 전용적인 오디오재생시스템에 필수적으로 갖추어지게 된다.
그러한 스피커장치는 오디오신호의 전대역을 충실하게 재현하기 위해 일정한 내용적으로 설계된 인클로저를 필요로 하게 되는 바, 그 인클로저는 스피커 유니트의 후방을 완전히 밀폐시켜 전면음과 후면음의 위상차에 의한 상쇄간섭을 제거하는 기본적인 구조의 밀폐형과, 스피커의 후방에서 나오는 반대 위상의 소리를 적절하게 이용하여 덕트 또는 음출공을 통해 저음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해서 저음의 보강이 가능한 위상반전형, 내부에 미로를 형성하여 스피커의 전방에서 출력되는 음파와 그 후방에서 출력되는 반대 위상의 음파에 대한 위상을 정합시켜 저음을 보강해주는 TML형 등이 대표적이다.
도 1은 밀폐형 인클로저를 채용한 스피커장치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예컨대 장방형의 인클로저(10)의 내부에는 스피커(20)가 설치되는 바, 그 스피커(20)에서는 전면으로 방사되는 음과 후면으로 방사되는 음이 180도의 위상차를 갖게 되므로 서로 상쇄되어 저음재생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클로저(10)에서는 후면을 완전히 밀폐시켜 저음유니트의 후방으로 방사되는 음을 소거시켜 버리는 방식을 채용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밀폐형 인클로저(10)에서는 음질적으로 가장 안정된 형태이지만, 그 인클로저(10)는 밀폐된 상태이기 때문에 효율이 열화될 뿐만 아니라 그 내부 용적과 저음이 비례하기 그 내부 용적(크기)이 작은 경우에는 저음이 효율적으로 재생되지 않게 된다.
또, 상기한 밀폐형 인클로저(10)의 내부에는 저음 재생용 스피커를 포함하여 고음 재생을 위한 스피커도 설치되는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에 각 스피커에서 재생되는 저음과 고음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도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밀폐형 인클로저는 구형상(求刑)으로 설계하면서 그 내부에는 후방 방사 음의 경로를 연장시키기 위한 미로를 형성하여 전방 방사 음과 후방 방사 음의 보강간섭에 의한 저음의 효율적인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고 고음의 재생을 위한 스피커가 별도의 공간에 설치되는 스피커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저음 재생용 스피커와 고음 재생용 스피커가 내설되는 인클로저는 포함하는 스피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는 상기 저음재생용 스피커가 내설되는 인클로저와 상기 고음재생용 스피커가 내설되는 인클로저로 형성되고, 상기 저음 재생용 스피커가 내설되는 인클로저의 내부 후방에는 그 저음 재생용 스피커의 후방으로 방사되는음의 경로를 연장시키기 위한 격막이 설치된 스피커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저음재생용 스피커가 내설되는 인클로저에는 상기 고음재생용 스피커가 내설되는 인클로저가 연결네크부를 통해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음재생용 스피커가 내설되는 인클로저의 내벽에는 흡음재가 더 설치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피커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피커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피커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스피커장치, 32: 제 1인클로저,
34: 제 2인클로저, 38,42: 외곽프레임,
40,44: 네트부재, 46: 고정부재결합부,
52: 격막, 60: 스피커장치,
62: 제 1인클로저, 66a,66b: 제 2 및 제 3인클로저,
78: 격막.
이하,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를 나타낸 외관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30으로 표시된 스피커장치는 예컨대 저음스피커가 내설되는 구형상의 제 1인클로저(32)와, 그 제 1인클로저(32)에 대해 내부적으로 신호라인의 연결을 위해 연결네크(36)를 통해 연통되면서 내부에는 예컨대 고음스피커가 설치되는 타원형상의 제 2인클로저(34)로 이루어지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인클로저(32)는 그 전면 외곽에 예컨대 스크류결합되는 링형상의 외곽프레임(38)이 부착되고, 그 외곽프레임(38)의 중앙에는 저음스피커의 보호를 위한 네트부재(40)가 설치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제 2인클로저(34)의 전면 외곽에도 링형상의 외곽프레임(42)이 부가됨과 더불어 그 외곽프레임(42)의 중앙에도 고음스피커의 보호를 위한 네트부재(44)가 설치된다.
또, 상기 제 1인클로저(32)의 상측에는 해당하는 스피커장치(30)를 필요한 경우 예컨대 천정 또는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도시 생략)가 결합되는 고정부재결합부(46)가 제공된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구형상의 제 1인클로저(32)의 내부도 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인클로저(32)의 내부에서 상기 네트부재(40)의 후방에는 저음재생용 스피커(48)가 설치되며, 상기 제 2인클로저(34)의 내부에서 상기 네트부재(44)의 후방에는 고음재생용 스피커(50)가 설치된다.
또, 상기 외곽프레임(38,42)은 상기 대응하는 제 1 및 제 2인클로저(32,34)의 전면 외곽에 예컨대 스크류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제 1인클로저(32)의 내부에서 후방에는 상기 저음재생용 스피커(48)의 후면으로 방사되는 음의 경로를 연장시키기 위한 미로를 형성하는 격막(52)이 그 후면에 대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저음재생용 스피커(46)의 후면으로 방사되는 음의 위상이 반전되어 그 전방으로 방사되는 음과의 보강간섭이 일어나게 되어 저음의 충실한 재생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결합부(46)에는 내부 중공형의 보강부재(54)를 결합하고 그 내부를 통해 신호라인이 연결된다.
따라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스피커장치(30)에서는 상기 제 1인클로저(32)를 구형상으로 설계하고 그 내부에는 후면 방사음에 대한 격막(52)이 설치됨에 따라 음의 상호 보강간섭에 의해 저음의 충실한 재생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그 외관에 대해서도 다양한 디자인의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그 스피커장치(60)에도 구형상의 제 1인클로저(62)가 포함되고, 그 제 1인클로저(62)의 하부 양측에는 연결네크(64)를 통해 연통되는 제 2 및 제 3인클로저(66a,66b)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인클로저(62,66a,66b)의 전면 외곽에는 외곽프레임(68,70a,70b)가 대응적으로 부착되고, 각 외곽프레임(68,70a,70b)의 중앙에는 스피커보호용 네트부재(72,74a,74b)가 제공된다.
또, 상기 제 1인클로저(62)의 저면에는 저음 방출을 위한 덕트(76)가 형성된다.
상기 제 1인클로저(62)의 내부에서 상기 네트부재(72)의 후방에는 저음재생용 스피커(76)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및 제 3인클로저(66a,66b)의 내부에서도 상기 네트부재(74a,74b)의 후방에는 고음재생용 스피커(도시는 생략)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인클로저(62)의 내부 후방에는 상기 저음재생용 스피커(76)의 후방으로 방사되는 음의 경로를 연장하기 위한 미러를 형성하는 격막(78)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제 2실시예에서도 상기 제 1인클로저(62)를 구형상으로 설계하고 그 내부에는 후면 방사음에 대한 격막(78)이 설치됨에 따라 음의 상호 보강간섭에 의해 저음의 충실한 재생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그 외관에 대해서도 다양한 디자인의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제 1인클로저(62)의 하부 양측에는 고음재생용 스피커가 내장되는 제 2 및 제 3인클로저(70a,70b)가 형성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심미감을 향상시키면서 음의 상호 간섭에 의한 악영향이 배제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고안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제 1실시예의 제 1인클로저(32)와 상기 제 2실시예의 제 1인클로저(62)의 내부에는 흡음재를 내설하여 산란 음을 제거하도록 하면 더욱 음질의 향상이 달성되게 된다.
또, 상기한 제 1 및 제 2실시예에 포함되는 인클로저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구형상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장치에 의하면 밀폐형 인클로저를 구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스피커의 후방으로 방사되는 음의 경로를 연장시키기 위한 미로를 형성함으로써 인클로저의 외관 심미감에 대한 다양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저음의 보강 간섭에 의한 음질의 향상이 달성되게 된다.
또, 저음재생용 스피커가 내장되는 인클로저에 대해 고음재생용 스피커가 내설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인클로저가 제공됨에 따라 저음과 고음의 상호 간섭의 악영향이 배제되면서 외관의 심미감에 대한 향상도 달성된다.

Claims (3)

  1. 저음 재생용 스피커와 고음 재생용 스피커가 내설되는 인클로저는 포함하는 스피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는 상기 저음재생용 스피커가 내설되는 인클로저와 상기 고음재생용 스피커가 내설되는 인클로저로 형성되고,
    상기 저음 재생용 스피커가 내설되는 인클로저의 내부 후방에는 그 저음 재생용 스피커의 후방으로 방사되는 음의 경로를 연장시키기 위한 격막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음재생용 스피커가 내설되는 인클로저에는 상기 고음재생용 스피커가 내설되는 인클로저가 연결네크부를 통해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음재생용 스피커가 내설되는 인클로저의 내벽에는 흡음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장치.
KR2020020019131U 2002-06-25 2002-06-25 스피커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2908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131U KR200290892Y1 (ko) 2002-06-25 2002-06-25 스피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131U KR200290892Y1 (ko) 2002-06-25 2002-06-25 스피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892Y1 true KR200290892Y1 (ko) 2002-10-04

Family

ID=73084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131U Expired - Fee Related KR200290892Y1 (ko) 2002-06-25 2002-06-25 스피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8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46083A (en) Loud speaker
JP3449571B2 (ja) テレビジョンセットのスピーカシステム
JP4691287B2 (ja) 遊技機
GB2312589A (en) TV speaker system with amplifying horn
US5446793A (en) Method of improving the quality of sound reproduction and apparatus for carrying at least one loudspeaker emitting in three directions
JP3929808B2 (ja) 放音装置
JPH1169474A (ja) 薄型テレビ用スピーカ装置
CN112788492B (zh) 显示装置及扬声器组件
KR200290892Y1 (ko) 스피커장치
JPH11219180A (ja) 電子鍵盤楽器のスピーカ装置
JPH0322796A (ja) スピーカのキャビネット構造
JPH07177443A (ja) テレビジョンセットのスピーカシステム
JPH0621738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用スピーカ
KR100732167B1 (ko) 스피커 어셈블리 및 영상기기
JPH0724874Y2 (ja) スピーカ
JP2003079835A (ja) 遊技機用スピーカシステム
JP2005033513A (ja) スピーカ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
JP3816016B2 (ja) バスレフ型スピーカー装置
JP2003079834A (ja) 遊技機用スピーカシステム
JP3082130B2 (ja) 音響機器
JP2003088618A (ja) 遊技機用スピーカシステム
KR930003297Y1 (ko) 3웨이 스피커 캐비넽
JP2004282309A (ja) スピーカ装置
KR200140956Y1 (ko) 케비네트의 진동제거구조를 구비한 스피커
JPH02158800A (ja) 電子楽器のスピーカ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62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9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6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