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82361Y1 - 가스소각을 위한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소각을 위한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361Y1
KR200282361Y1 KR2020020011837U KR20020011837U KR200282361Y1 KR 200282361 Y1 KR200282361 Y1 KR 200282361Y1 KR 2020020011837 U KR2020020011837 U KR 2020020011837U KR 20020011837 U KR20020011837 U KR 20020011837U KR 200282361 Y1 KR200282361 Y1 KR 2002823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gas discharge
combustion
discharge pipe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철
홍학표
조도훈
강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너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너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너텍코리아
Priority to KR2020020011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3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36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연소장치에 있어서 상단에 가스배출수단을 구비하는 가스배출관(100)과, 상기 가스배출관(100)의 상단에 얹혀 형성되어지며 중앙에 통공(210)을 구비하고 상기 가스배출관(100)의 상단에 얹혀지도록 하기위한 걸림턱(240)과 상기 걸림턱(240)의 안쪽에 형성되며 경사면(230)을 구비하는 내삽부(220)가 형성되어진 연소구(200)로 구성된 가스소각을 위한 연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가스배출관의 상단에 형성한 가스배출공과 저면에 환형의 요홈을 구비하는 연소구에 의해 가스가 이중으로 연소되도록 하므로써 완전연소를 유도할 수 있도로 하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가스소각을 위한 연소장치{A burner for destruction by fire of gas}
본 고안은 가스소각을 위한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스보일러 또는 가스를 연료로 장치, 유독가스 및 메탄가스 소각기등에 사용하되 가스의 완전연소를 유도하고 불꽃이 쉬 꺼지지 않도록 하는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소장치는 종래 유해가스를 소각하거나 가스를 연료로 하여 열원을 얻는 장치에 있어서 가스가 직접 타는 부분을 일컷는 것으로, 가스는 기체상 연료 특성, 즉 강한 압력으로 신속하게 분출되는 특징때문에 불완전연소의 우려가 높은 단점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연소장치의 상부, 즉 연소구를 금속망체로 덧씌워 가스의 분출속도를 줄여 완전연소를 유도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소규모의 가스연소장치에는 사용할 수 있으나, 대규모의 가스소각장치나 연소장치에는 사용이 곤란한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가스가 이중으로 연소되도록 하여 완전연소를 유도하고, 또한 공기(산소)의 유입 및 혼합을 용이하게 하므로써 연소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대규모의 가스소각장치나 대형의 가스연소장치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연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 본 고안 제 일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결합된 사시도.
도 3 -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 - 본 고안의 연소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단면도.
도 5 -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6 - 본 고안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가스소각을 위한 연소장치(이하 연소장치라 한다)
100: 가스배출관 110: 요부(凹部)
120: 철부(凸部) 130: 가스배출공
200: 연소구 210: 통공
220: 내삽부(內揷部) 230: 경사면(傾斜面)
240: 걸림턱 250: 요홈
A: 불꽃 B: 가스소각장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보이기 위해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본 고안 가스연소장치(1)는 크게 상단에 가스배출수단을 구비하는 가스배출관(100)과, 상기 가스배출관(100)의 상단에 얹혀 형성되어지며 중앙에 통공(210)을 구비하는 연소구(200)으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연소구(200)는 상기 가스배출관(100)의 상단에 얹혀지도록 하기위한 걸림턱(240)과, 상기 걸림턱(240)의 안쪽에 형성되며 경사면(230)을 구비하는 내삽부(220)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가스배출수단은 가스배출관(100)의 상단에 요부(110)와 철부(120)가 반복되도록 형성하므로써 가스배출관(100)의 상단에 연소구(200)가 얹혀지게 되면 요부(110)에 의해 일종의 가스배출공을 형성하게 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가스배출관(100)의 상단부에 직접 가스배출공(130)을 다수개 천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가스배출수단은 본 고안에 있어서 가스의 이중(二重)연소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즉 가스유입관(100)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가 통공(210)과 함께 가스배출수단 통해서도 배출되어지므로 결국 함께 연소되면서 가스의 이중연소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연소구(200)의 저면(底面)에는 환형(環形)의 요홈(250)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요부(110)를 통해 배출된 가스가 요홈(250)을 거치면서 와류(渦流)를 형성하게 하고 이로인해 자연스럽게 공기, 즉 산소와 섞여지게 하므로써 가스의 연소를 촉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요홈(250)은 걸림턱(240)의 바깥쪽으로 형성되어져야 하고, 걸림턱(240)으로부터 약간 이격되도록 형성하여야 한다. 물론 상기 요홈(250)의 직경은 가스배출관(100)의 직경보다 더 커야함은 당연하다.
상기 연소구(200)에 있어서 내삽부(220)는 상기 연소구(200)가 가스배출관(100)에 얹혀진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고, 경사면(230)은 가스배출관(100)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를 모아서 통공(210)으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가스의 밀도를 높여줘 연소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가스배출관의 상단에 형성한 가스배출공과 저면에 환형의 요홈을 구비하는 연소구에 의해 가스가 이중으로 연소되도록 하므로써 완전연소를 유도할 수 있도로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4)

  1. 가스연소장치에 있어서, 상단에 가스배출수단을 구비하는 가스배출관(100)과, 상기 가스배출관(100)의 상단에 얹혀 형성되어지며 중앙에 통공(210)을 구비하고 상기 가스배출관(100)의 상단에 얹혀지도록 하기위한 걸림턱(240)과 상기 걸림턱(240)의 안쪽에 형성되며 경사면(230)을 구비하는 내삽부(220)가 형성되어진 연소구(20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각을 위한 연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수단은 가스배출관(100)의 상단에 요부(110)와 철부(120)가 반복되도록 하므로써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각을 위한 연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수단은 가스배출관(100)의 상단부에 직접 천공한 다수개의 가스배출공(130)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각을 위한 연소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구(200)의 저면에 환형의 요홈(250)이 형성되도록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각을 위한 연소장치.
KR2020020011837U 2002-04-18 2002-04-18 가스소각을 위한 연소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2823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837U KR200282361Y1 (ko) 2002-04-18 2002-04-18 가스소각을 위한 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837U KR200282361Y1 (ko) 2002-04-18 2002-04-18 가스소각을 위한 연소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350A Division KR100500384B1 (ko) 2002-04-18 2002-04-18 가스소각을 위한 연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361Y1 true KR200282361Y1 (ko) 2002-07-23

Family

ID=73121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837U Expired - Fee Related KR200282361Y1 (ko) 2002-04-18 2002-04-18 가스소각을 위한 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36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036971A1 (es) Aparato quemador compacto con bajo contenido de gas nox y metodo para descargar una mezcla de gas combustible en un horno
DE60201562D1 (de) Fackel mit ultra-stabilem Pilotbrenner und Verfahren
AR033676A1 (es) Aparato de bajo nox y metodos para quemar combustibles liquidos y gaseosos
PT846917E (pt) Processo e dispositivo para a producao e utilizacao de gas a partir de residuos
KR930022004A (ko) 폐기물의 건류가스화 소각처리장치
KR200282361Y1 (ko) 가스소각을 위한 연소장치
US20240410577A1 (en) Flare Stack Diffuser Tip
KR100500384B1 (ko) 가스소각을 위한 연소장치
KR100910025B1 (ko) 연소탑의 유해가스 연소용 파일롯 버너
US20050031500A1 (en) Semiconductor waste gas processing device with flame path
JP2005090920A (ja) 水性ガス焼却炉
KR100539728B1 (ko) 폐타이어 건류 소각 장치
JPH07229610A (ja) 廃棄物の燃焼処理装置及びその燃焼処理方法
DE60009580T2 (de) Brenner für einen tragbaren Kocher
KR101176914B1 (ko) 완전연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
JP6899170B2 (ja) 乾溜ガス化焼却処理装置およびその設計方法
KR20040032262A (ko) 공정 폐가스 연소용 가스버너
JP2005273999A (ja) 流動床焼却炉
KR200210408Y1 (ko) 예혼합가스 버너
KR200226183Y1 (ko) 폐기물 소각기에서 발생하는 연기 연소장치
JP2002243112A (ja) 燃焼装置とその運用方法
KR20240139220A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유해가스 정화장치
JPH11270813A (ja) 高温燃焼装置を設けた焼却装置
JPH08105607A (ja) 固体燃料燃焼装置
JPH08145314A (ja) 希薄燃焼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418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02062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7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41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