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78497Y1 -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케이블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케이블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497Y1
KR200278497Y1 KR2020020008923U KR20020008923U KR200278497Y1 KR 200278497 Y1 KR200278497 Y1 KR 200278497Y1 KR 2020020008923 U KR2020020008923 U KR 2020020008923U KR 20020008923 U KR20020008923 U KR 20020008923U KR 200278497 Y1 KR200278497 Y1 KR 2002784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using
ground
connector assembly
groun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8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4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4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49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케이블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내부에 케이블을 정위치 및 고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직으로 관통된 제1접지공과 제2접지공이 형성되는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케이블과 연결된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상부와 하부를 덮는 한편, 제1접지공과 제2접지공을 통해 접지단자와 접속하여 접지시키는 접지 셸 및 하우징의 상하측면에 설치된 접지 셸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접지 셸을 하우징에 고정설치하는 고정부로 이루어진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케이블의 단부에 몰딩되어 케이블을 하우징 내부에 정위치 및 고정시키는 케이블 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르면,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내부에 케이블을 정위치 및 고정하여 외부의 충격시 케이블을 고정시켜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케이블 고정구조{Cable fixing structure of high speed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assembly}
본 고안은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내부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정위치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케이블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교환기와 같은 장비는 최초에 음성신호만을 중계하였으나 최근에는 텍스트 및 이미지 정보를 포함한 2진 데이터도 중계할 수 있도록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다수의 가입자들의 음성 및 데이타를 중계하기 위해 많은 PBA(Printed Board Assembly; 이하 간단히 'PBA'라 한다)을 포함하는 다수의 회로블록들로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장비들은 정보가 대형화됨에 따라 데이타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고 가능한 많은 가입자들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하며, 초고속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능력이 요청되고 있다.
이 결과, 상기한 장비들 내의 회로 블록들과 PBA들간에 전송되는 신호는 일정한 주파수 예를 들어 240MHz 이상의 대역까지 점유하게 되고, 장비는 점유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 크기가 축소되고 있다.
또한, 전술한 장비에서 회로블록들 및 PBA 들은 전송케이블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전송케이블은 케이블 어셈블리에 의해 회로블록 또는 PBA와 접속 또는 분리된다. 즉, 케이블 어셈블리는 전송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되어 전송케이블이 장비의 회로블록 또는 PBA에 쉽게 접속되거나 그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한다. 이러한 케이블 어셈블리는 대형 전송장비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최소화되어야 하며 아울러 회로블록 및 PBA에서 처리되는 240MHz 이상의 고주파 신호를 왜곡없이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크기의 제한에 따라 2mm의 피치(pitch)를 가지는 언쉬일드형(Unshield Type) 케이블 어셈블리와, 고주파 신호가 왜곡없이 전송되도록 하는 쉬일드형 어셈블리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들 케이블 어셈블리들은 1차 사출에 의해 형성된 부품에 케이블이 연결된 접점들을 삽입한 다음 다시 2차 사출을 진행함에 의해 제작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불량율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케이블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이 특허출원번호 제97-46091호에 의해 개시되었으나, 케이블을 수납함으로서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한 접속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내부에 케이블을 정위치 및 고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케이블을 하우징 내부에 고정함으로서 외부의 충격시 케이블을 고정시켜 접속불량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와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
도 2 은 도 1 의 케이블 홀더가 하부 몸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에 고정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 는 도 3 의 "A-A"선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 는 도 3 의 측단면도
도 6 은 도 3 의 "B-B"선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블 어셈블리 12 : 케이블
100 : 케이블 홀더 102 : 케이블 홀더 돌기
110 : 접속단자 200 : 상부 몸체
210 : 하우징 상판 212 : 케이블 홀더 돌기 삽입공
214 : 제1접지공 216 : 케이블 결합부재
300 : 하부 몸체 301 : 하우징 하판
310 : 측벽 312 : 격벽
316 : 접속단자 수납부 318 : 제2접지공
330 : 케이블 홀더 수납부 340 : 날개부
350 : 적층용 돌출부 352 : 제1고정용 돌출부
354 : 제2고정용 돌출부 400 : 접지 셸
410 : 접지 셸 상판 412 : 제1접지편
414 : 제1날개편 420 : 접지 셸 하판
424 : 제2접지편 500 : 고정부
510 : 고정부 삽입공 520 : 부착면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직으로 관통된 제1접지공과 제2접지공이 형성되는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케이블과 연결된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상측면과 하측면을 덮는 한편, 제1접지공과 제2접지공을 통해 접지단자와 접속하여 접지시키는 접지 셸 및 하우징의 상하측면에 설치된 접지 셸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접지 셸을 하우징에 고정설치하는 고정부로 이루어진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케이블의 단부에 몰딩되어 케이블을 하우징 내부에 정위치 및 고정시키는 케이블 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케이블 홀더의 상ㆍ하측면에 상하방으로 각각 돌출한 케이블 홀더 돌기 및 하우징의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에 각각 수직 관통되어 그 내부공간으로 케이블 홀더 돌기가 삽입되는 케이블 홀더 돌기 삽입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은 도 1 의 케이블 홀더가 하부 몸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 의 "A-A"선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 는 도 3 의 측단면도 및 도 6 은 도 3 의 "B-B"선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는 크게 케이블(12)을 정위치 및 고정시키는 케이블 홀더(100), 일측이 케이블 홀더(100)에서 돌출한 케이블(12)의 리드선(12a)과 연결되는 한편, 타측이 외부 통신기기의 대향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단자(110), 상부 몸체(200)와 하부 몸체(300)를 구비하여 그 내부 공간에 케이블 홀더(100)와 접속단자(110)를 안착시키는 하우징(200,300), 하우징(200,300)의 상ㆍ하측면을 각각 덮고 접속단자(110)의 접지단자(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시키는 접지 셸(400) 및 하우징(200,300)에 설치된 접지 셸(400)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접지 셸(400)이 설치된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적층 및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케이블 홀더(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12)과 그 리드선(12a)을 정위치 및 고정시켜 하우징(200,300)내부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피복을 벗긴 케이블(12)의 단부에 몰딩되어 형성된다.
케이블 홀더(10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는 하우징(200,300)의 상부 몸체(200)와 하부 몸체(300)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각각 상ㆍ하측방향으로 돌출한 케이블 홀더 돌기(102)가 상측면과 하측면에 바람직하게는 두 개씩 형성된다. 이러한 케이블 홀더 돌기(102)는 후술한 하우징 상판(210)과 하우징 하판(301)에 수직으로 관통성형되는 케이블 홀더 돌기 삽입공(212)에 각각 삽입된다.
케이블 홀더(100)에서 돌출한 각 리드선(12a)은 접속단자(110)의 일측단부와 일대일로 스폿 용접되어 각각의 접속단자(110)에 접속되는 한편, 접속단자(110)의 타측으로는 외부 통신기기의 대향 커넥터가 접속된다.
이러한 케이블 홀더(100)를 통해 본 고안에 따른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내부에 케이블(10)이 유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어 외부의 충격에도 접속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하우징(200)은 상기한 케이블 홀더(100)와 접속단자(110)를 그 내부 공간에안착하는 것으로서, 크게 상부 몸체(200)와 하부 몸체(300)로 이루어져 초음파 융착을 통해 종래의 케이블 고정 방식을 보완하였다.
먼저, 상부 몸체(200)는 판형으로 형성된 하우징 상판(210), 하우징 상판(210)의 중심부에서 수직으로 관통되는 제1접지공(214), 하우징 상판(210)의 후방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전술한 케이블 홀더 돌기(102)가 삽입하여 억지끼움이 이루어지는 케이블 홀더 돌기 삽입공(212), 상판(210)의 후방측 단부에 형성되어 케이블 어셈블리(10)가 하우징(200)에 바람직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케이블 어셈블리(10)의 외형에 관계하여 형성되는 케이블 안착홈(도시되지 않음)과 하부 몸체(301)의 하우징 결합홈(304)에 삽입되어 억지끼움이 이루어지는 하우징 결합돌기(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는 하우징 결합부재(216)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우징 결합부재(216)의 양측부는 각각 측방으로 돌출하고 그 측방부분의 단부엔 하향으로 돌출한 결합보조돌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결합보조돌기(도시되지 않음)는 하우징 하판(301)의 후방측에서 양측방으로 돌출한 부분에 형성되는 결합보조돌기결합공(306)에 내삽되어 억지끼움이 이루어진다.
한편, 하부 몸체(300)는 하우징 하판(301), 하우징 결합홈(304), 측벽(310), 격벽(312), 접속단자 수납부(316), 제2접지공(318), 케이블 홀더 수납부(332), 케이블 홀더 돌기 삽입공(212) 및 접속홀(320)로 이루어진다.
하우징 하판(301)은 판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후방은 상향으로 다소 돌출하여 상기한 하우징 결합부재(216)와 맞닿는 데, 하우징 결합부재(216)와 맞닿는 부분엔 하향으로 함몰되어 상기한 하우징 결합부재(216)의 하우징 결합돌기가 내삽되어 억지끼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우징 결합홈(304)이 바람직하게는 3개가 형성된다.
케이블 안착홈(302)는 전술한 하우징 결합홈(304)의 사이에 케이블 어셈블리(10)가 바람직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케이블 어셈블리(10)의 외형에 관계하여 라운드 형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하우징 결합부재(216)에 형성된 케이블 안착홈(도시되지 않음)과 하우징 하판(301)에 형성된 케이블 안착홈(308)이 하우징(200,300) 결합과 동시에 케이블 어셈블리(10)를 안착하게 된다.
하우징 하판(301) 후방에서 양측방으로 돌출한 부분엔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보조돌기 결합공(306)이 형성되고, 이 결합보조돌기 결합공(306)에 하우징 상판(210)의 결합보조돌기가 삽입되므로, 상부 몸체(200)와 하부 몸체(300)의 결합이 더욱 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측벽(310)은 하우징 하판(301)의 양측부에 수직상향으로 돌출성형되어 하우징의 측면을 형성한다.
격벽(312)은 이러한 하우징 하판(301)의 양측부에 형성된 측벽(310)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4개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격벽(312)의 길이는 측벽(310)에 비해 짧게 형성한다.
각 격벽(312)은 상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향으로 돌출한 격벽결합돌기(314)가 형성되고, 이러한 격벽결합돌기(314)는 상부 몸체(200)의 하우징 상판(210) 하부에 형성된 격벽결합홈(도시되지 않음)에 내삽된다. 이러한 격벽결합홈과 격벽결합돌기(314)의 결합은 전술한 하우징 결합돌기와 하우징 결합홈(304)의 결합, 결합보조돌기와 결합보조홈(306)과 함께 상부 몸체(200)와 하부 몸체(300)로 이루어진 하우징(200,300)의 결합이 더욱 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접속단자 수납부(316)는 2개의 측벽(310)과 4개의 격벽(312)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5개의 공간으로서, 그 내부에 접속단자(110)를 수납한다.
제2접지공(318)은 접속단자(110) 중에 접지단자(110)가 위치하는 접속단자 수납부(316)의 하부면에서 수직으로 관통된 것이며, 제2접지공(318)의 상부엔 전술한 하우징 상판(210)의 제1접지공(214)이 위치한다.
따라서, 하우징(200,300) 결합시 제1접지공(214)과 접지단자(110) 및 제2접지공(318)은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접지 셸(400)의 제1접지편(412)과 제2접지편(426)이 접지단자(110)와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하우징 하판(301)의 전방측 단부엔 수직 상향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수평으로 관통된 접속홀(320)이 형성되고, 격벽(312)의 전방측 단부가 접속홀(320)의 벽과 연결되어 일체로 사출성형된다. 접속홀(320)은 그 내부공간을 통해 외부의 통신기기의 대향 커넥터와 접속하도록 하는 것이다.
하우징 하판(301)의 후방 즉, 격벽(312)의 후방에 케이블 홀더(100)를 수납시킬 수 있도록 케이블 홀더(100)의 외측형태에 관계하여 케이블 홀더 수납부(330)가 형성된다.
케이블 홀더 수납부(330)에는 케이블 홀더(100)의 하측면에 형성된 케이블 홀더 돌기(102)가 내삽되도록 케이블 홀더 돌기 삽입공(2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케이블 홀더 돌기(102)와 케이블 홀더 돌기 삽입공(212)의 결합은 케이블 홀더(100)가 케이블 홀더 수납부(354)에 바람직하게 수납되도록 가이드하고, 또한 하우징(200,300)과 케이블 홀더(100)를 고정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전술한 케이블 홀더(100)는 상ㆍ하측면에 형성된 케이블 홀더 돌기(102)가 케이블 홀더 돌기 삽입공(212)에 내삽되면서 케이블 홀더 수납부(354)에 바람직하게 수납된다.
한편, 측벽(310)의 외측엔 양측방으로 돌출한 날개부(340)가 형성되는 데, 날개부(340)와 전술한 하우징 하판(301)의 후방에서 양측방으로 형성되는 부분 사이에 고정부(500)가 위치한다.
접지 셸(400)은 접지 셸 상판(410), 접지 셸 하판(420) 및 연결편(430)으로 크게 이루어진다.
접지 셸 상판(410)은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부 몸체(200)의 상측면을 덮는 한편, 접지단자(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를 이루는 것으로서, 중심부 바람직하게는 제1접지공(214) 상부에 하측으로 돌출성형되어 접지단자(11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접지편을 구비한다.
또한, 접지 셸 상판(410)는 양측부가 하향으로 절곡성형되어 있는 데, 절곡성형된 부분의 전방측에는 수평한 부분과 절개되어 탄성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대향 커넥터 접속편(416)이 형성된다. 대향 커넥터 접속편(416)은 본 고안에 따른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가 외부 통신기기의 대향 커넥터와 접속할 경우 탄성력을 작용하여 그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한다.
접지 셸 하판(420)은 상기한 접지 셸 상판(420)과 같이 판형으로 형성되어 역시 접지단자(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를 이루는 것으로서, 그 중심부 바람직하게는 제2접지공(318)하부에 상향으로 돌출성형되어 상기한 접지단자(11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접지시키는 제2접지편을 구비한다.
즉, 이러한 접지와 관련된 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제1접지편(412)은 접지 셸(400)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한 하우징 상판(210)에 형성된 제1접지공(214)을 통해 하우징(200,300) 내부의 접지단자(110) 상측면과 접속되고, 제2접지편(426)은 하우징 하판(301)에 형성된 제2접지공(318)을 통해 하우징(200,300) 내부의 접지단자(110) 하측면에 접속된다. 따라서, 제1접지편(412)과 접지단자(110) 및 제2접지편(426)이 각각 삼중으로 접속되어 삼중으로 스폿 용접된다.
연결편(430)은 전술한 접지 셸 상판(410)과 접지 셸 하판(420)을 그 전방측단부에서 연결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4 개가 형성된다. 각 연결편(430)은 전술한 하우징(200,300) 하부의 접속홀(320)을 형성하는 벽의 면적과 유사하도록 형성되어 각 접속홀(320) 사이에 위치하며, 각 연결편(4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외부 통신기기의 대향 커넥터가 접속홀(320)을 통해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적층수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적층수단은 크게 적층용 돌출부(350), 제1고정용 돌출부(212), 제2고정용 돌출부(354), 제1날개편(414)과 제2날개편(422) 및 고정부(500)로 이루어진다.
적층용 돌출부(350)는 하우징 하판(301)에 있어 후방의 양측방으로 돌출한 부분과 날개부(340) 사이에서 측벽(310)으로부터 양측방향으로 돌출한 것이며, 제1고정용 돌출부(354)는 적층용 돌출부(350)의 양측에서 측벽(310)으로부터 돌출한 것이다. 제1고정용 돌출부(3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ㅓ"자 형태를 취하고 있다.
제2고정용 돌출부(354)는 전술한 날개부(340)와 하우징 하판(301) 후방의 양측으로 돌출한 부분 사이에 이들과 접촉되어 돌출한 것이다.
제1날개편(414)은 상기한 접지 셸(400)의 접지 셸 상판(410)의 양측방에서 바람직하게는 "ㄴ"자 형태로 절곡성형된 것으로서, 접지 셸(400) 설치시에 하우징 하판의 측벽(310)과 적층용 돌출부(350)의 상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제1날개편(414)의 양측엔 하향으로 각각 돌출한 제1끼움돌기(418)가 형성되는 데, 이러한 제1끼움돌기(418)는 전술한 "ㅓ"자 형태로 형성된 제2고정용 돌출부(212)와 측벽(310) 사이에 삽입되어 억지끼움이 이루어진다.
제2날개편(422)은 상기한 접지 셸(400)의 접지 셸 하판(420)의 양측방에서 바람직하게는 "ㄱ"자 형태로 절곡성형된 것으로서, 접지 셸(400) 설치시에 하우징 하판(301)의 측벽(310)과 적층용 돌출부(350)의 하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제2날개편(422)의 양측엔 상향으로 각각 돌출한 제2끼움돌기(424)가 형성되는 데, 이러한 제2끼움돌기(424)는 전술한 제2고정용 돌출부(354)와 측벽(3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억지끼움이 이루어진다.
고정부(500)는 접지 셸(400)이 설치된 하우징(200,300)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이들을 적층시키는 것으로서, 상기한 하우징 하판(301)에 형성된 날개부(340)와 하우징 하판(301) 후방의 양측방으로 돌출한 부분 사이에 설치된다.
고정부(500)는 상기한 적층용 돌출부(350)와 제1고정용 돌출부(352)을 삽입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관통된 고정부 삽입공(510)을 구비한다. 또한, 고정부(500)는 양측부에 제2고정용 돌출부(354)가 안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돌출부 안착홈(512)이 형성된다.
한편, 고정부(500)의 상하측면은 일부분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부착면(520)이 형성되는 데, 이러한 부착면(520)을 통해 여러 개의 고정부(500)가 서로 상하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예를 들어 절단기(cutter)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부(500)의 설치구조를 살펴보면, 날개부(340)와 하우징 하판(301) 후방의 양측방향으로 돌출한 부분 사이에 끼워지면서 제1고정용 돌출부(352)와 적층용 돌출부(350) 및 적층용 돌출부(350)의 상하측면에 위치하고있는 접지 셸(400)의 제1날개편(414)과 제2날개편(422)을 적층용 삽입공(510)에 내삽하고, 또한 고정부(500)의 양측부에 형성된 돌출부 안착홈(512)을 통해 제2고정용 돌출부(354)를 안착시킨다.
한편, 고정부(500)는 부착면(520)을 통해 서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접지 셸(400)이 설치된 하우징(200,300)을 필요한 만큼 가적층한 후, 이에 따른 고정부(500)를 하우징(200,300)의 양측부에 설치함으로서,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다.
게다가, 각 고정부(500)는 절단기 등을 통해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그 수를 달리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르면,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내부에 케이블을 정위치 및 고정하여 외부의 충격시 케이블을 고정시켜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직으로 관통된 제1접지공과 제2접지공이 형성되는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케이블과 연결된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면과 하측면을 덮는 한편, 상기 제1접지공과 제2접지공을 통해 접지단자와 접속하여 접지시키는 접지 셸 및 상기 하우징의 상하측면에 설치된 접지 셸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접지 셸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설치하는 고정부로 이루어진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몰딩되어 상기 케이블을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정위치 및 고정시키는 케이블 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케이블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홀더의 상ㆍ하측면에 상하방으로 각각 돌출한 케이블 홀더 돌기;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에 각각 수직 관통되어 그 내부공간으로 상기 케이블 홀더 돌기가 삽입되는 케이블 홀더 돌기 삽입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케이블 고정구조.
KR2020020008923U 2002-03-26 2002-03-26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케이블 고정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2002784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923U KR200278497Y1 (ko) 2002-03-26 2002-03-26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케이블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923U KR200278497Y1 (ko) 2002-03-26 2002-03-26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케이블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497Y1 true KR200278497Y1 (ko) 2002-06-20

Family

ID=73074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923U Expired - Fee Related KR200278497Y1 (ko) 2002-03-26 2002-03-26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케이블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4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6006A (ko) * 2020-01-27 2021-08-04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20230016416A (ko) 2021-07-26 2023-02-02 우성정보 주식회사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6006A (ko) * 2020-01-27 2021-08-04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2471869B1 (ko) 2020-01-27 2022-11-29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20230016416A (ko) 2021-07-26 2023-02-02 우성정보 주식회사 케이블 커넥터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5901B1 (ko)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적층구조
KR100434230B1 (ko)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US4963098A (en) Blind mate shielded input/output connector assembly
US9929502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able connector having same
US1207439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top function
CN100353615C (zh) 电连接器的锁定装置
US6752658B2 (en) Low crosstalk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for terminating cable to circuit board
CN101911391A (zh) 连接器
US20230137227A1 (en) Plug connector assembly, receptacle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data transmission speed
US20240055794A1 (en) Connector and assembly method
CN112952425A (zh) 电连接器组合
CA2551490A1 (en) Enhanced jack with plug engaging printed circuit board
TW202127078A (zh) 電纜連接器以及板連接器
EP0330497A1 (en) Blind mate shielded input/output connector assembly
KR200278497Y1 (ko)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케이블 고정구조
JP2002033161A (ja) 基板用シールド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2018163891A (ja) 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
WO2023286578A1 (ja) 基板用コネクタおよび機器
KR200278066Y1 (ko)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JP7125279B2 (ja) コネクタ
CN110021839B (zh) 插座连接器组件
US20200313361A1 (en) Connector
US20240055787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CN218997179U (zh) 高速连接器
JP7713162B2 (ja) 基板用コネクタおよび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32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53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3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0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2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4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