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920Y1 - Mp3 플레이어가 장착된 인형 - Google Patents
Mp3 플레이어가 장착된 인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0920Y1 KR200270920Y1 KR2020010040291U KR20010040291U KR200270920Y1 KR 200270920 Y1 KR200270920 Y1 KR 200270920Y1 KR 2020010040291 U KR2020010040291 U KR 2020010040291U KR 20010040291 U KR20010040291 U KR 20010040291U KR 200270920 Y1 KR200270920 Y1 KR 20027092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ll
- player
- shape
- substrate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MP3 플레이어가 장착된 인형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특징적 구성은 소정의 인형 형상을 이루고, 각 입출력단자와 복수의 키조작부가 내부에 구비된 단자블록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게 연결 배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삽입됨에 따라 상기 단자블록에 대응 접속되게 조립되는 MP3기판과; 상기 개구부를 포함한 상기 몸체의 소정 위치에 조립되는 상기 MP3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장착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형태의 친숙한 인형 형상을 선택하여 MP3 플레이어와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또 그 재생에 따른 인형의 동작이 있게 됨에 따라 심미감과 호기심 및 재생되는 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되는 등의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MP3 플레이어가 장착된 인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세트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등의 소형의 음향기기는 기록/기억 및 수신되는 음향신호를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재생하는 장치로서, 단순히 사용자에 대한 청각에 의존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이들 소형 음향기기는 사용자가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충분히 소형화를 이루고 있어 그 외관의 형상과 각종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키 등은 단조로운 형상과 배치 관계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들 소형 음향기기는 단순히 그 외관과 일체로 제작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와 흥미에 대한 변화의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형태의 친숙한 인형 형상에 MP3 플레이어를 선택적으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재생에 따른 인형의 동작이 있도록 하여 심미감과 호기심 및 재생되는 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MP3 플레이어가 장착된 인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형의 외관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형의 내부 구성에 따른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형의 동작표현부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인형의 각부 구성과 조립 장착되는 MP3기판의 구동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인형 12: 몸체
14a, 14b,: 조작키 16: 입력단자
18: 출력단자 20: 키조작부
22: 단자블록 24: MP3기판
26: 가이드 28: 가이드돌기
30: 배터리장착부 32: 동작표현부
34: 표면부 36: 지지블록
38: 압전소자 40: 콘트롤러
42: 메모리부 44: 발광다이오드
46: 뚜껑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MP3 플레이어가 장착된 인형의 특정적 구성은, 소정의 인형 형상을 이루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각 입출력단자와 복수 조작키를 갖는 키조작부를 상기 몸체 내부의 소정 위치에 집속 연결토록 구비되는 단자블록과;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삽입됨에 따라 상기 단자블록에 대응 접속되게 조립되는 MP3기판과; 상기 개구부를 포함한 상기 몸체의 소정 위치에 조립되는 상기 MP3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장착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 부위 중 인형의 특징적인 부위는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한 형상으로 상기 MP3기판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특정 부위의 동작이 있게 되는 동작표현부를 더 구비토록 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동작표현부는 소정 부위가 선택적으로 변화 가능하도록 지지블록으로부터 지지되고, 상기 지지블록으로부터 지지되어 그 변화가 요구되는 부위에 대하여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신축 구동함으로써 연결되는 부위의 신축 형상 변화를 유도하는 압전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개구부에는 내외측에 대하여 실링토록 커버하는 뚜껑이 더 구비되고, 상기 뚜껑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조립되는 상기 MP3기판과 일체로 결합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 플레이어가 장착된 인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형의 외관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형의 내부 구성에 따른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형의 동작표현부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4는 인형의 각부 구성과 조립 장착되는 MP3기판의 구동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MP3 플레이어가 장착된 인형(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들어 재생이 요구되는 노래의 가수 얼굴형상을 가지는 몸체(12)를 이루고 있으며, 이 몸체(12)의 각 부위 예를들어 손,발,눈,코,입,배꼽,가슴부분,무릅,다리 등에는 각종 조작키(14a, 14b, …) 또는 입출력단자(16, 18) 등이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된다.
이들 배치 관계는 각 인형(10)의 형상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서,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형의 어느 일측 귀를 통해 음향신호 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한 입력단자(16)를 구비토록 하고, 또 상대측 귀 부위에는 사용에 대향하여 이어폰을 꽂을 수 있는 출력단자(18)를 구비토록 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플레이 조작키, 선곡키, 빨리감기키, 되감기키 등의 조작키(14a, 14b,…)를 갖는 키조작부는 인형 몸체(12)의 특징적 부위 또는 인형 몸체(12)에 구비되는 액세서리 형식의 것에 그 특징에 맞추어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입출력단자(16, 18)와 복수의 조작키(14a, 14b, …)로 이루어진 키조작부(20)는 몸체(12) 내부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단자블록(22)의 각 단자에 대응 연결된다.
한편, 단자블록(22)에 대향하는 몸체(12)의 일측 부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를 통하여 음향신호를 기록/기억하여 재생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MP3기판(24)이 가이드(26)와 가이드돌기(28)에 안내 삽입되어 상술한 단자블록(22)에 대응 접속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MP3기판(24)이 삽입되는 개구부 부위 또는 몸체(12)의 소정 부위에는 상술한 MP3기판(2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장착부(30)가 형성되며, 이 배터리장착부(30)는 MP3기판(24)의 조립시 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MP3기판(24)에 일체로 구비된 구성으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구성으로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몸체(12) 부위 중 인형에 대한 특징적 부위는 선택적으로 분리 결합되는 구성으로 더 구비되며, 이 부위는 인형(10)의 외측으로부터 MP3기판(24)에 의해 재생되는 내용이 사용자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동작이 있게 되는 동작표현부(32)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동작표현부(32)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은 사람 형상의 인형(10)에 대하여 특징적인 부위의 하나인 얼굴 부위를 일 예로 제시한 것으로서, 동작 표현은 사람의 눈 부위와 입 부위에 대별되게 하였다.
이러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동작표현부(32)의 전체적인 표면부(34)은 어느 일측으로부터 물리적인 힘이 가해짐에 대응하여 그 형상의 신축이 있는 재질의 것으로 제작되며, 이것은 예를들어 우레탄 등의 합성수지 재질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 표면부(34)의 내측면 상에는 인형의 몸체(12)에 통상의 방법으로 지지되어 표면부(34)의 특정 부위의 변형이 없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블록(36)이 접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고, 이 지지블록(36)으로부터 지지되지 않는 부위는 지지블록(36)에 고정되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신축 구동하는 압전소자(38)의 일측 단부와 통상의 방법으로 연장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즉, MP3기판(24)에 의한 플레이 시 재생되는 음향의 고저 또는 특정 구간의 내용에 대한 전기적 신호가 상술한 압전소자(38)에 대응하여 인가될 경우 압전소자(38)와 연결된 부위는 신장력 또는 수축력을 받게 되고, 이 신장 또는 수축되는 힘에 의해 그 연결 부위의 표면부(34)는 어느 일 방향으로 찌그러진 형상을 이루거나 상대적으로 팽창되는 관계를 이루게 되며, 또 압전소자(38)의 구동이 원래의 상태로 회복될 경우 표면부(34)는 상대적으로 탄성 변형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표면부(34)의 신축 변형은 그 외측에서 인형(10)의 눈 부위 또는 입 부위의 윤각선 등의 형상이 변화가 있게 된다. 따라서, MP3기판(24)에 의해 재생되는 내용과 함께 상술한 동작표현부(32)의 표면부(34) 형상은 다양한 형상, 예컨데 웃는형상, 우는형상, 찡그리는 형상 등으로 변화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동작 관계 구성에 의하면, 도 1 내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입력단자(16)를 통해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MP3기판(24)에 구비된 콘트롤러(40)는 그 데이터를 구비된 메모리부(42)에 저장토록 하게 되고, 이어 사용자가 키조작부(20)의 각 조작키(14a, 14b, …)를 조작하게 되면, 콘트롤러(40)는 메모리부(42)에 저장된 내용을 출력단자(18)에 접속되는 이어폰을 통해 출력토록 하게 된다. 이때 출력되는 내용(음악데이터) 중에서 음의 고저, 음색의 특이한 부분의 내용의 출력이 있게 되면 콘트롤러(40)는 그 신호를 판단하여 이미 프로그램화된 상태로 상술한 압전소자(38)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동작표현부(32)의 표면부(34) 형성 변화를 제어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술한 동작표현부(32)에 사용자에 대한 시각적 표현을 더욱 가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구성으로서 점멸 가능한 발광다이오드(44)가 더 연결될 수 있으며, 이들 발광다이오드(44)는 인형(10)에 구비된 액세서리 등의 구성을 통해 표현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개구부에는 MP3기판(24)의 탑재에 대한 내외측에 대하여 실링을 목적으로 커버하는 뚜껑(46)이 더 구비되고, 이 뚜껑(46)은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조립되는 MP3기판(24)과 일체로 결합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MP3기판(24)와 별도로 인형의 몸체(12)에 탑재될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인형(10) 몸체(12)에 탑재되는 MP3기판(24)은 인형(10)의 하측 부위를 통해 삽입되는 구성으로 표현되었으나 이것은 도면과 상술한 설명에 국한되지 않으며, 인형의 상부 또는 측부 및 배면 부위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각종 조작키(14a, 14b, …)의 배치 또한 인형의 형상중 신체 각부를 통해 조작토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들 각 조작키(14a, 14b, …)는 MP3기판(24)에 대응하는 단자블록(22)에 연결되어 구성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각종 조작키(14a, 14b,.....)는 출력단자(18)에 삽입되는 통상의 이어폰에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형태의 친숙한 인형 형상을 선택하여 MP3 플레이어와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또 그 재생에 따른 인형의 동작이 있게 됨에 따라 심미감과 호기심 및 재생되는 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되는 등의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7)
- 소정의 인형 형상을 이루는 몸체와;상기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고,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단자와 재생되는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상기 몸체 내부의 소정 위치에 집속 연결토록 구비되는 단자블록과;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삽입됨에 따라 상기 단자블록에 대응 접속되게 조립되는 MP3기판과;상기 개구부를 포함한 상기 몸체의 소정 위치에 조립되는 상기 MP3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장착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MP3 플레이어가 장착된 인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몸체 부위 중 인형의 특징적인 부위는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한 형상으로 상기 MP3기판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특정 부위의 동작이 있게 되는 동작표현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MP3 플레이어가 장착된 인형.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동작표현부는 소정 부위가 선택적으로 변화 가능하도록 지지블록으로부터 지지되고, 상기 지지블록으로부터 지지되어 그 변화가 요구되는 부위에 대하여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신축 구동함으로써 연결되는 부위의 신축 형상 변화를 유도하는 압전소자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MP3 플레이어가 장착된 인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개구부에는 내외측에 대하여 실링토록 커버하는 뚜껑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MP3 플레이어가 장착된 인형.
- 제 1 항 또는 4 항에 있어서,상기 뚜껑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조립되는 상기 MP3기판과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MP3 플레이어가 장착된 인형.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단자블록은 각종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눈,코,입,손,발,배꼽,무릅,다리 등에 설치되는 복수의 조작키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MP3 플레이어가 장착된 인형.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몸체는 가수의 얼굴형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MP3 플레이어가 장착된 인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40291U KR200270920Y1 (ko) | 2001-12-27 | 2001-12-27 | Mp3 플레이어가 장착된 인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40291U KR200270920Y1 (ko) | 2001-12-27 | 2001-12-27 | Mp3 플레이어가 장착된 인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0920Y1 true KR200270920Y1 (ko) | 2002-04-06 |
Family
ID=7311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40291U KR200270920Y1 (ko) | 2001-12-27 | 2001-12-27 | Mp3 플레이어가 장착된 인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0920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5389B1 (ko) | 2006-11-01 | 2008-03-20 | 박재준 | Mp3 모듈이 내장된 회로 및 상기 회로를 이용한 수공예mp3 제조방법 |
KR100972855B1 (ko) * | 2009-11-30 | 2010-07-29 | 주식회사 잉카 | 엠피쓰리 플레이어 겸용 다기능 캐릭터 인형 |
-
2001
- 2001-12-27 KR KR2020010040291U patent/KR20027092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5389B1 (ko) | 2006-11-01 | 2008-03-20 | 박재준 | Mp3 모듈이 내장된 회로 및 상기 회로를 이용한 수공예mp3 제조방법 |
KR100972855B1 (ko) * | 2009-11-30 | 2010-07-29 | 주식회사 잉카 | 엠피쓰리 플레이어 겸용 다기능 캐릭터 인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16885A (en) | Deformable sound-generating electronic toy | |
EP1022039B1 (en) | Variable performance toys | |
US6641454B2 (en) | Interactive talking dolls | |
US6106358A (en) | Biblical scripture doll | |
US6461217B1 (en) | Talking doll having extendible appendages | |
US6297438B1 (en) | Toy musical device | |
KR200270920Y1 (ko) | Mp3 플레이어가 장착된 인형 | |
KR101940447B1 (ko) | 멀티 미디어 플레이어 겸용 다기능 캐릭터 인형 | |
KR100972855B1 (ko) | 엠피쓰리 플레이어 겸용 다기능 캐릭터 인형 | |
KR200173481Y1 (ko) | 소리의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한 인형 | |
KR200268598Y1 (ko) | 표정에 따라 다양한 소리를 발생하는 인형 | |
KR102556110B1 (ko) | 음원 컨텐츠 재생 장치 | |
JP2001162055A (ja) | 音声再生人形玩具 | |
KR200274535Y1 (ko) | 말하는 자동차완구 | |
KR200262658Y1 (ko) | 이어폰을 갖는 음성 발생용 책 | |
KR0135929Y1 (ko) | 장난감 바이올린 | |
JP3076098U (ja) | 発声機能を備えた人形玩具 | |
JP3099686U (ja) | 動物玩具 | |
JP2002035439A (ja) | ぬいぐるみ玩具 | |
JP3107398U (ja) | 学習用玩具 | |
JPH0310355B2 (ko) | ||
JP3140142U (ja) | サウンド絵本 | |
KR20020034570A (ko) | 물체감지 동작완구 | |
KR100346041B1 (ko) |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 공예품 | |
KR200218507Y1 (ko) | 휴대폰착신을 알리는 동작완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1227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2032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1228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