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69409Y1 - 양액재배화분기 - Google Patents

양액재배화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409Y1
KR200269409Y1 KR2019980019180U KR19980019180U KR200269409Y1 KR 200269409 Y1 KR200269409 Y1 KR 200269409Y1 KR 2019980019180 U KR2019980019180 U KR 2019980019180U KR 19980019180 U KR19980019180 U KR 19980019180U KR 200269409 Y1 KR200269409 Y1 KR 200269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ucket
pot
supply pip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3928U (ko
Inventor
최백현
Original Assignee
최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백현 filed Critical 최백현
Priority to KR20199800191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409Y1/ko
Publication of KR199900039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9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409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액 재배 화분기에 관한 것으로 화분 케이스 내 상층부에 주저장 물통이 내장되고 주저장 물통에서 바로 밑으로 급수관이 있고, 이 급수관 밑에 보조 물통이 있으며 보조 물통은 화분내 물통형 받침대를 통하여 식물의 뿌리에 수분과 영양액을 공급하는 기구이다. 또한 보조 물통과 물통형 받침대 사이에 수량 조절기가 부착되어 수량 조절을 하고, 급수관은 육안으로 쉽게 영양액을 화분케이스 밖에서도 볼 수 있도록 하면서 화분 케이스 자체에 부착시켜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수분과 영양액을 효과적으로 공급하는 기구임.
적은 양의 물이라도 안정적으로 식물의 뿌리에 공급하여 식물의 생장을 돕는 것은 물론 물이 화분케이스 밑으로 새어 나오지 않으며 화분케이스 내의 흙이 마르지 않고 또 기존의 화분케이스에서의 물을 주었을 때 화분케이스 내 흙이 단단하게 굳어져 식물의 뿌리의 생장을 저해하는 요인을 없애고 식물의 뿌리 밑에서 수분이 올라오므로 고급 화초 재배용으로 적합한 기구임.

Description

양액 재배 화분기
본 고안은 화분케이스 내에 물통형 받침대를 부착시키고 화분케이스 상부의 주저장 물통에서 적당량을 급수관을 통해 식물의 뿌리에 영양액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식물의 생장 발육을 돕고, 영양액의 공급에도 도움이 되며 특히, 상층부에서 식물에 물을 주었을 때 화분케이스 내 흙이 단단해 지는 점을 해소하고, 물이 화분케이스 밑으로 절대 새지 않아 물과 영양액의 소모도 줄이며 화초를 재배하는데 불편함이나, 특히 실내에서 카페트 위나 탁자 위, 전기 전자제품이있는 공간에서는 화초를 재배하기가 까다로운 종전의 단점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양액 재배 화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의 뿌리에 직접 수분과 영양을 공급하도록 물통형 받침대를 화분케이스 내에 장착하여 식물의 생장 발육은 물론, 수분이나 영양액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물이 화분케이스 밑으로 새지 않아 가정이나 영업장내에서의 화초 재배나 예식장이나 호텔 로비 등 카페트나 오디오, TV, 집무용 책상등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재배 할 수 있으며 실내 공기 정화에도 필요한 것이다.
본래 화분의 기능은 식물의 생장 조건과는 상관없이 가정이나 실내에서, 화초를 재배하고 이동이 편리하면서도 적당한 시간과 노력으로 관상수나 특이 식물을 재배하는 기능을 했으나 기존 화분의 단점을 보완해야 화초 재배의 장점을 살리고 쾌적한 환경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화분은 영양액을 공급하기도 어려울 뿐더러 화분케이스 밑으로 새어 나오는 등 적절한 공급과 조절에 난점이 있고 물이 새어 넘치는 등 번거로움이 많은 불편함이 많은 상태였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분케이스 내 상층부에 주저장 물통을 장착하여 수분과 영양액을 저장시킬 수 있는 도너츠형 물통과, 상층부 주저장 물통에서 아래 보조 물통으로 연결되는 급수관과, 급수관에 상층부 주저장 물통에서부터 화초 뿌리에 공급되는 수량을 조절하는 수량 조절기가 설치되는데,상기 주저장 물통에서부터 물통형 받침대에 이르기까지 설치된 급수관은 부드러운 재질로서 급수관을 조이는 정도에 따라 급수량이 조절되고, 물통형 받침대에서 식물의 뿌리사이로 수분을 공급하는 급수관 역시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라 수분이나 영양액의 중단이 필요한 경우 1차로 수량 조절기를 이용하며 2차로, 화분 아래 망이 부착된 받침대 마개 내의 물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양액 재배 화분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양액 재배 화분기에 화초를 심은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화분케이스 2:주저장 물통 3,7:급수관
4:보조 물통 5:수량조절기 6:물통형 받침대
8:주저장 물통의 마개 9:망이 부착된 받침대 마개
10:로울러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양액 재배 화분기 구성의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양액 재배 화분기의 도면으로서, 먼저 상부가 개방된 버킷 형상의 화분케이스(1)가 구성되는데, 상기 화분케이스(1) 상단부에는 영양액을 저장해주도록 된 도너츠형 주저장 물통(2)-(물론 화초를 심은 후 조립이 가능해야 함)이 물통의 마개(8)를 상부면에 구비하면서 설치되고, 상기 주저장 물통(2) 일측 하부에는 영양액 흐름을 안내하는 급수관(3)이 후단부를 결합하며 화분케이스(1)바닥면까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급수관(3)은 플렉시블하면서도 동일한 굵기로 이루어지며 화분케이스(1) 상단부에서부터 바닥면에 이르기까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3)에는 주저장 물통(2)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양액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보내어 주는 보조 물통(4)과, 상기 보조 물통(4)을 통과하여 이동해 온 영양액이 화분케이스(1) 하부로 적정양 보내어 질 수 있도록 조정하는 수량조절기(5)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보조 물통(4)은 급수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량조절기(5)에는 급수관(3) 외주를 가압하여 통로 면적을 조정하는 로울러(10)가 결합된다.
계속하여 상기 급수관(3) 끝단부에는 이동하여 온 영양액을 분배하여 주는 물통형 받침대(6)가 화분케이스(1) 바닥면에 위치하면서 결합되고, 상기 물통형 받침대(6)에는 다수개의 급수관(7)이 윗 방향으로 위치하며 설치된다.
이때 상기 급수관(7)은 주저장 물통과 연결된 급수관(3)과 동일한 굵기로 이루어지나, 내부로 흙이 유입되지 않도록 굵기가 점차적으로 상부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태를 한다.
그리고 상기 물통형 받침대(6)하부에는 화분케이스(1) 바닥면에 위치하는 망이 부착된 받침대마개(9)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양액 재배 화분기의 작용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화분케이스(1) 내부에 기존 방식대로, 화초를 뿌리 쪽에 가까운 급수관(7)이 꺾이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심은 후 상기 주저장 물통(2)에 영양액을 공급하게 되면, 상기 영양액은 급수관(3)을 따라 보조 물통(4)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보조 물통(4)에 모인 영양액은 다시 아래로 이동하여 수량조절기(5)를 통과하면서, 흐름양이 적정양 조정되어 화분케이스(1) 바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영양액 흐름양을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로울러(10)를 이동시키면,상기 로울러(10)는 정도를 달리하면서 급수관(3) 외주면을 가압하여 통로면적을 조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관(3) 통로면적이 좁아지게 되면 영양액 흐름 양은 감소하게 되고, 상기와는 달리 통로면적이 넓어지게 되면 영양액 흐름은 증가하게 된다.
계속하여 급수관(3)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여 물통형받침대(6)에 도달한 영양액은, 다시 급수관(7)을 따라 전술한바와는 반대로 상 방향으로 이동하여 화초측으로 영양분이 공급된다.
이때 상기 급수관(7)으로 영양액이 공급될 수 있는 것은, 상기 주저장 물통(2)보다는 높이가 낮은 위치에 있는 관계로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액 재배 화분기에 의하면 영양액을 저장하는 주저장 물통과 식물의 뿌리에 효과적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물통형 받침대를, 급수관으로 연결하면서 투명 소형 보조 물통과 수량조절기를 통하여, 식물의 생장에 적정한 수분과 영양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물의 소모가 적고 공급할 횟수도 줄어들며 특히 적정한 양의 물이 일정하게 공급되어 화분케이스 밑으로 새지않아 가정내 거실이나 실내업소, 카페트가 있는 예식장이나 호텔, 오디오나 전기 제품이 있는 곳이라도 사용상 안전하고, 물이 새어나와 카페트나 복도를 적시는 난점도 해결되며 어느 장소에서도 화초를 재배할 수 있으며 항상 싱싱한 생장을 통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만드는데 부족함이 없고, 실내에서의 알맞은 공기정화를 위해서도 매우 유용하며 외적인 미관상으로도 전혀 손색이 없다.

Claims (1)

  1. 화분케이스와,
    상기 화분케이스 상부에 설치되는 주저장 물통과,
    상기 주저장 물통에 후단부가 결합되면서 화분케이스 바닥면까지 위치하여 설치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에 설치되는 보조 물통과,
    상기 급수관에 설치되는 수량조절기와,
    상기 급수관 선단부에 연결되면서 화분케이스 바닥에 설치되는 물통형받침대와,
    상기 물통형받침대 하부에 위치하면서 화분케이스 바닥에 설치되는 망이부착된 받침대 마개와,
    상기 물통형받침대 상부에 수직 설치되는 급수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영양액 재배 화분기.
KR2019980019180U 1998-10-08 1998-10-08 양액재배화분기 KR200269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180U KR200269409Y1 (ko) 1998-10-08 1998-10-08 양액재배화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180U KR200269409Y1 (ko) 1998-10-08 1998-10-08 양액재배화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928U KR19990003928U (ko) 1999-01-25
KR200269409Y1 true KR200269409Y1 (ko) 2002-09-05

Family

ID=6970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180U KR200269409Y1 (ko) 1998-10-08 1998-10-08 양액재배화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4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203B1 (ko) * 2002-10-14 2005-07-05 주식회사 셀그린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
WO2015046642A1 (ko) * 2013-09-26 2015-04-02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경사면 및 옥상녹화에 이용가능한 녹화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652B1 (ko) * 2012-07-12 2013-10-23 이영섭 균근균 배양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203B1 (ko) * 2002-10-14 2005-07-05 주식회사 셀그린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
WO2015046642A1 (ko) * 2013-09-26 2015-04-02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경사면 및 옥상녹화에 이용가능한 녹화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928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9751B1 (en) Plant cultivating apparatus using subirrigation
KR101892977B1 (ko) 수증기를 이용한 화분
KR20120022455A (ko)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
CN100426948C (zh) 花盆自动供水装置及具有该装置的花盆
CN2476937Y (zh) 环保节水蓄水花盆
KR200269409Y1 (ko) 양액재배화분기
CN2234692Y (zh) 自动吸水式植物栽培盆
CN215648400U (zh) 一种植物栽培系统和植物栽培装置
CN212413972U (zh) 一种果树盆栽施肥装置
KR200329599Y1 (ko) 점적관수 화분
CN211982807U (zh) 一种植物种植装置
CN211064322U (zh) 一种山核桃育苗用控根装置
CN108651267A (zh) 一种多功能光照种植单元
CN104584913A (zh) 一种自动蓄水通气花盆
KR20020032504A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100363810B1 (ko) 복수 심지 및 복수 양액채널을 이용한 화분내 양액공급방법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200179704Y1 (ko) 식물재배기의 자동수분공급장치
CN2257990Y (zh) 新型花盆
RU202644U9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ива горшечных растений
CN221488479U (zh) 一种具有控水透气功能的多肉植物育苗盘
CN2212883Y (zh) 自供水园艺容器
CN214801431U (zh) 盆栽供水装置
KR20020025754A (ko) 화분의 자동수분공급장치
CN211267855U (zh) 一种幼苗灌溉培育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100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100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Laying-Open of Early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1023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103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106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3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203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