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22455A -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2455A
KR20120022455A KR1020100086060A KR20100086060A KR20120022455A KR 20120022455 A KR20120022455 A KR 20120022455A KR 1020100086060 A KR1020100086060 A KR 1020100086060A KR 20100086060 A KR20100086060 A KR 20100086060A KR 20120022455 A KR20120022455 A KR 20120022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intake pipe
water level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수
Original Assignee
김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수 filed Critical 김덕수
Priority to KR1020100086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2455A/ko
Publication of KR20120022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 of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반에 물을 항시 자동공급하여 수반의 수위를 조절함에 따라 재배가 용이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줄임과 동시에 전력공급 없이도 수위조절을 자동화하여 재배비용의 최소화를 제공하도록, 내부에 저장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과; 상기 물공급원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부가 개방되어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수반과; 상기 물공급원 및 수반의 사이에 위치한 후 수직으로 연결하고,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물공급 유무에 따라 상기 수반에 수용된 물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수위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위조절수단은 상기 수반에 수용된 물이 기준치보다 저수위일 때 상기 수반으로 물공급이 가능하도록 상기 물공급원에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파이프와, 상기 흡기파이프의 한쪽에 간격을 두고 수평을 이루며 위치하고 상기 물공급원의 물을 상기 수반으로 공급하는 급수파이프를 포함하는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Automatic Water-Level Controller For a Basin}
본 발명은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이나 온실농작물을 재배하는데 사용되는 수반에 물을 항시 자동공급하여 수반의 수위를 조절함에 따라 재배가 용이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줄임과 동시에 전력공급 없이도 수위조절을 자동화하여 재배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한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화로 경제활동이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생활수준은 급격히 향상되었지만, 이렇게 빠른 속도로 변해가는 산업화에 따른 도시화로 현대인의 정서가 급속도로 메말라가면서 우울증 등의 각종 정신적인 병명이 늘어나 사회적으로 큰 악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러한, 산업화 및 도시화로 인한 현실적인 이유로 이제는 메말라 가는 정서를 회복하면서도 주위환경을 보다 친환경적으로 가꾸기 위한 것에 삶의 주요 관심도가 맞춰지게 되었고, 이는 꽃이나 화초 등을 가까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장소(집, 직장, 음식점, 공공기관 등)에 놓아 주변환경 및 분위기를 밝게 할 뿐만 아니라 꽃의 아름다움을 보는 사람들의 마음을 순화하여 스트레스 완화 및 탄소의 동화작용 등에 의해 산소를 생성시켜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서, 꽃이나 화초 등을 화분에 심어서 가꾸거나 일정량의 물이 담긴 수반을 이용하여 재배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수반은 주로 물을 담아 꽃을 꽂거나 수석 따위를 올려놓고 괴석 따위를 넣어 두는 그릇으로서 대리석, 화강암 등의 석제로 만들어지거나 청동제 및 철제 등으로 만들어지고, 원형, 각형, 화병형 등의 형태를 이루되 바닥면이 편평하면서도 운두가 낮게 형성된 그릇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일정량의 물을 담아 꽃이나 화초 등에 수분을 제공하는 수반과 관련하여 한국실용신안공고 제20-1983-0001910호에는 삼각방향으로 지지각을 받침판 상에 입설하여 그 중앙측으로부터 각기 돌기와 요홈 및 경사만곡면을 형성하여 수반의 환돌기를 요홈에 요입되게 얹어놓게 된 것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수반을 좌우로 돌릴 때 이탈되지 않고 수평으로 회동하게 되어 수반을 간단히 회동시켜 위치할 수 있고 꼭 높은 곳에 얹어놓지 않아도 보기 좋게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반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74575호에는 실내 조경 또는 분경용 수반에 있어서, 대상 분재의 형태에 부합되도록 절단된 베이스판과, 단면이 'ㄱ'자 형태로 성형된 연질의 각재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측면을 따라 접착되는 단부 커버와, 상기 베이스판과 단부 커버의 경계부에 실리콘접착에 의해 입설되는 테두리 측벽부와, 상기 결합된 베이스판과 단부 커버 및 테두리 측벽부 표면에 방수 페인트에 안료를 첨가하여 도포한 표면 도장층으로 구성되어 임의의 크기로 제작할 수 있음에 따라 그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제작이 가능하고, 무게가 가벼우며, 다양한 형태의 실내 조경 또는 분경용 수반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조경 또는 분경용 수반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지된 종래의 수반은 물을 어느 수위만큼 담아 놓으면 일정기간 동안에는 꽃이나 화초에 충분한 수분이 공급될 수 있지만, 수반에 담기는 물의 양은 극히 한정되어 있고, 꽃이나 화초는 수분이 공급되지 않으면 쉽게 죽어버림에 따라 물이 마르지 않도록 보충하는 등의 관심 및 관리를 필요로 하게 된다. 하지만, 하루하루가 바쁘게 지나가는 일상에서 반복적으로 물을 보충해 주는 일은 결코 쉽지 않으며, 이는 꽃이나 화초의 양이 많을수록 소비되는 물의 양이 커짐으로 관리를 조금이라도 소홀하게 되면 꽃이나 화초가 마르게 되는 등의 물이 보충되어야할 시간을 맞추기가 어려워 관리를 포기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장소에서 화분을 가꾸거나 온실농작물을 재배하는데 사용되는 수반에 지속적으로 물을 자동공급함에 따라 수반에 담긴 물의 수위를 항시 일정하게 유지하므로 관리의 편의성을 도모함과 아울러 바쁜 일상에서도 꽃이나 화초를 가꾸거나 농작물을 재배하는 것을 많은 일반인에게 널리 보편화시킬 수 있는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수위를 조절하는 수반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줄이고, 전력공급에 따른 동력을 요하지 않고도 수반의 수위조절을 자동화함으로 꽃이나 화초를 가꾸거나 농작물을 재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는 내부에 저장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과; 상기 물공급원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부가 개방되어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수반과; 상기 물공급원 및 수반의 사이에 위치한 후 수직으로 연결하고,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물공급 유무에 따라 상기 수반에 수용된 물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수위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위조절수단은 상기 수반에 수용된 물이 기준치보다 저수위일 때 상기 수반으로 물공급이 가능하도록 상기 물공급원에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파이프와, 상기 흡기파이프의 한쪽에 간격을 두고 수평을 이루며 위치하고 상기 물공급원의 물을 상기 수반으로 공급하는 급수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반에는 물이 수용된 내부공간에 일측단이 위치하고 반대편은 농작물이 심어진 재배분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수분공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분공급부재는 액체의 흡수성 및 이동성이 뛰어난 모세관재료로 형성한다.
상기 흡기파이프 상에 설치되고 상기 물공급원에 공기의 공급 여부를 제어가능하도록 한 흡기밸브와,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수반으로 이동하는 물의 공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급수파이프 상에 형성되는 급수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위조절수단은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하측으로 길게 연장형성하되 상기 흡기파이프는 상기 급수파이프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흡기파이프는 상기 수반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한쪽 끝단이 상기 수반에 수용할 물의 최저수위와 동일수평선상을 이루도록 설정하여 형성된다.
상기 수위조절수단에는 상기 흡기파이프의 한쪽 끝단에 위치하고 상기 수반에 수용된 물의 최저수위량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수위셋팅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위셋팅부는 상기 흡기파이프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이루며 상기 흡기파이프에 삽입 위치한 후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단턱이 형성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상하로 이동하면서 조절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흡기파이프의 하측 한쪽 면상의 통공에 결합 위치하고 조이거나 푸는 조작으로 상기 수반의 최저수위량을 조절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상기 흡기파이프가 상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물공급원의 내부 상측 공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흡기파이프의 동일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반의 한쪽에 설치하고 상기 수반에 수용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승강하면서 상기 흡기파이프의 한쪽을 개폐시켜 상기 수반의 수위를 조절하는 제어밸브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밸브부는 상기 수반의 한쪽에 형성되고 상하로 수직관통된 가이드공을 구비하여 지지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수위에 따라 상하로 수직왕복이동하고 상기 흡기파이프의 일측단에 접촉 유무에 따라 상기 물공급원으로의 공기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수반에 수용된 물의 수면으로 띄워져 위치하는 부구와, 상기 부구의 중심에서 상측으로 수직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상하로 방향성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향할수록 중앙부분으로 기울어진 측면을 이루어 상측 선단이 상기 흡기파이프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밸브머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에 의하면, 수반의 수위를 항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물을 자동공급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화분을 가꾸거나 온실농작물을 재배하는데 관리의 편의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누구나 쉽게 가꾸거나 재배할 수 있는 동기부여로 일반인에게 널리 보편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는, 수반의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치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최소화하고, 전력공급에 의한 별도의 동력장치가 없이도 공기를 이용한 자연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수반의 수위조절을 자동화함에 따라 꽃이나 화초를 가꾸거나 농작물을 재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수위셋팅부를 나타내는 단면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과; 상기 물공급원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부가 개방되어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수반과; 상기 물공급원 및 수반의 사이에 위치한 후 수직으로 연결하고,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물공급 유무에 따라 상기 수반에 수용된 물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수위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위조절수단은 상기 수반에 수용된 물이 기준치보다 저수위일 때 상기 수반으로 물공급이 가능하도록 상기 물공급원에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파이프와, 상기 흡기파이프의 한쪽에 간격을 두고 수평을 이루며 위치하고 상기 물공급원의 물을 상기 수반으로 공급하는 급수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반에는 물이 수용된 내부공간에 일측단이 위치하고 반대편은 농작물이 심어진 재배분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도록 복수로 형성되는 수분공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분공급부재는 액체의 흡수성 및 이동성이 뛰어난 모세관재료로 형성되는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위조절수단은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하측으로 길게 연장형성하되 상기 흡기파이프는 상기 급수파이프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흡기파이프는 상기 수반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한쪽 끝단이 상기 수반에 수용할 물의 최저수위와 동일수평선상을 이루도록 설정하여 형성되는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위조절수단에는 상기 흡기파이프의 한쪽 끝단에 위치하고 상기 수반에 수용된 물의 최저수위량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수위셋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위셋팅부는 상기 흡기파이프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이루며 상기 흡기파이프에 삽입 위치한 후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단턱이 형성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상하로 이동하면서 조절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흡기파이프의 하측 한쪽 면상의 통공에 결합 위치하고 조이거나 푸는 조작으로 상기 수반의 최저수위량을 조절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상기 흡기파이프가 상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물공급원의 내부 상측 공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흡기파이프의 동일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반의 한쪽에 설치하고 상기 수반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따라 상하로 승강하면서 상기 흡기파이프의 한쪽을 개폐시켜 상기 수반의 수위를 조절하는 제어밸브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밸브부는 상기 수반의 한쪽에 형성되고 상하로 수직관통된 가이드공을 구비하여 지지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수위에 따라 상하로 수직왕복이동하고 상기 흡기파이프의 일측단에 접촉 유무에 따라 상기 물공급원으로의 공기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수반에 수용된 물의 수면으로 띄워져 위치하는 부구와, 상기 부구의 중심에서 상측으로 수직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상하로 방향성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향할수록 중앙부분으로 기울어진 측면을 이루어 상측 선단이 상기 흡기파이프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밸브머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보통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고, 도면에서 나타내는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공급원(10)과, 수반(20)과, 수위조절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물공급원(10)은 상기 수반에 연결되어 식재된 화분(꽃, 화초, 소형 나무 등이 심어진 화분)이나 농작물(채소, 과일, 관목, 교목 등)에 공급하기 위한 물을 내부에 저장하는 것으로서, 물탱크 및 물통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물공급원(10)은 내부에 물을 수용한 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되 사방이 폐쇄된 형태를 이루고, 하측면 중앙에는 뚜껑(15)이 연결 결합한다. 즉, 상기 물공급원(10)은 상기 뚜껑(15)이 결합한 상태에서는 사방이 폐쇄되고, 상기 뚜껑(15)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물공급원(10)의 하측 부분이 개방되므로, 상기 물공급원(10)을 거꾸로 세운 후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물공급원(10)에 연결 결합하는 뚜껑에는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무패킹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공급원(10)의 하단에는 상기 수위조절수단(30)에 연결 결합하여 서로 연통하도록 흡기공(11) 및 급수공(13)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물공급원(10)은 분리 및 결합하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상단에 손잡이(도면에 미도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물공급원(10)은 외관상 저장된 물의 양을 식별할 수 있도록 별도의 수위표시부(도면에 미도시)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물공급원(10)을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여 외관상 확인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며, 더 나아가, 상기 물공급원(10)에 저장된 수위 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도면에 미도시)를 내부에 장착한 후 외부로 수위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물공급원(10)에는 한쪽으로 수도관이나 지하수관 등을 연결하여 수월하게 물보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물공급원(10)은 직육면체로서의 상자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원형이나 타원형 등의 다양한 단면형상을 갖는 상자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물공급원(10)에는 재배하는 품종에 따라 적합한 영양분을 첨가하도록 공급되는 물에 영양첨가제를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물공급원(10)은 물탱크 및 물통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중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상기 수위조절수단(30)을 따라 상기 수반(20) 쪽으로 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반(2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반(20)은 상기 물공급원(10)의 하측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 즉, 상기 수반(20)은 상기 물공급원(10)의 물이 상기 수위조절수단(30)을 통해 공급되는데, 길게 연장되는 형태를 이루는 상기 수위조절수단(30)의 길이에 상응하는 거리로 위치한다.
상기 수반(20)은 하부가 평탄한 면을 이루고 그 둘레에서 일정한 높이로 상향 연장되어 측면을 이루며 상부는 개방된 구조를 이루는 그릇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물공급원(10)으로부터 상기 수위조절수단(30)을 따라 이동된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수반(20)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의 그릇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사각형이나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갖는 그릇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반(20)은 장소나 재배품종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적용하되 화분 등을 상기 수반(20)의 바깥쪽에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화분 등을 상기 수반(20)의 안쪽 내부공간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내(거실, 사무실 등)에서 하나의 화분에 적용할 상기 수반(20)의 경우에는 상기 수반(20)의 내부공간에 화분을 수용하여 상기 물공급원(10)으로부터 이동된 물을 직접적으로 공급받도록 하고, 실외 혹은 넓은 실내(발코니 등)에서 여러 화분에 적용할 상기 수반(20)의 경우는 상기 수반(20)의 외부에 화분을 위치한 후 상기 수반(20)에 수용된 물을 공급받는 형태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재배할 화분 등이 상기 수반(20)의 바깥쪽에 위치할 경우에는 화분에 수분이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분공급부재(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분공급부재(25)는 상기 수반(20)의 한쪽에 위치하여 화분의 재배분에 연결된다. 즉, 상기 수분공급부재(25)는 상기 수반(20)의 물이 수용된 내부공간에 일측단이 위치하고 반대편은 농작물이 심어진 화분의 재배분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분공급부재(25)는 상기 수반(20)에 수용된 물로 수분을 공급할 화분의 수량에 맞춰 복수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분공급부재(25)는 상기 수반(20)에 수용된 물을 화분에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액체의 흡수성 및 이동성이 뛰어난 모세관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수분공급부재(25)는 모세관재료와 함께 천, 솜, 부직포 등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위조절수단(30)은 상기 물공급원(10) 및 수반(20)의 사이에 위치한 후 수직으로 연결하고, 상기 물공급원(10)으로부터 물공급 유무에 따라 상기 수반(20)에 수용된 물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수위조절수단(30)은 상기 물공급원(10)에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파이프(31)와, 상기 물공급원(10)으로부터 상기 수반(20)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파이프(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흡기파이프(31) 및 급수파이프(33)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기파이프(31)는 상기 수반(20)의 흡기공(11)에 연결되며 상기 급수파이프(33)는 상기 수반(20)의 급수공(13)에 연결된다.
상기 흡기파이프(31)는 상기 수반(20)에 수용된 물이 화분 등에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남은 물의 양이 기준치보다 저수위일 때 상기 수반(20)에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물공급원(10)에 공기를 공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수반(20)에 담긴 충분한 양의 물은 시간이 지나면서 화분 등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수반(20)의 수위는 점점 낮아지면서 상기 흡기파이프(31)의 한쪽이 공기 중에 노출되면 자연적으로 외부의 공기가 상기 흡기파이프(31)에 투입되어 상기 물공급원(10)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급수파이프(33)는 상기 흡기파이프(31)의 한쪽에 간격을 두고 수평을 이루며 위치하고 상기 물공급원(10)의 물을 상기 수반(20)으로 공급한다. 즉, 상기 급수파이프(33)는 상기 흡기파이프(31)를 통해 공기가 상기 물공급원(10)에 유입되면, 상기 물공급원(10)에 저장된 물은 중력에 의해 밀려 상기 수반(20)으로 물을 공급하게 되는데, 상기 급수파이프(33)가 상기 물공급원(10)과 상기 수반(20)의 사이에서 물이 이동될 수 있는 통로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흡기파이프(31) 및 급수파이프(33) 상에는 흡기밸브(32)와 급수밸브(3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흡기밸브(32)는 상기 흡기파이프(31)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급수밸브(34)는 상기 급수파이프(33)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물공급원(10)에 물을 보충하고자 분리시킬 때, 먼저 상기 흡기밸브(32) 및 급수밸브(34)를 닫아 상기 흡기파이프(31)와 급수파이프(33)를 폐쇄상태로 제어하므로 상기 물공급원(10)에 공기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수반(20)으로는 물이 공급되지 못하도록 방지하며, 상기 물공급원(10)에 물을 보충하여 연결 결합한 후에는 흡기밸브(32) 및 급수밸브(34)를 열어 개방상태로 제어하므로 상기 수위조절수단(30)을 통해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수위조절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수위조절수단(30)의 흡기파이프(31) 및 급수파이프(33)는 상기 물공급원(10)으로부터 하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하되 상기 흡기파이프(31)는 상기 급수파이프(33)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 흡기파이프(31)의 한쪽 끝단 즉, 상기 수반(20)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가장 끝부분이 상기 수반(20)에 수용할 물의 최저수위와 동일수평선상을 이루도록 설정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위조절수단(30)에는 상기 흡기파이프(31)의 한쪽 끝단에 위치하고 상기 수반(20)에 수용된 물의 최저수위량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수위셋팅부(5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위셋팅부(5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부재(51)와 고정부재(56)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부재(51)는 상기 흡기파이프(31)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이루며 상기 흡기파이프(31)의 하단부에 끼워져 삽입 위치한 후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승강부재(51)의 하단에는 단턱(52)이 형성된다. 즉, 상기 단턱(52)을 형성하게 되면, 작업자로부터 최저수위의 조절시 손으로 파지함이 가능하여 셋팅조작이 수월하고, 상기 단턱(52)이 상기 흡기파이프(31)의 하단에 맞닿아 멈춤으로 상기 승강부재(51)가 상기 흡기파이프(31)로 더 이상 슬라이드 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56)는 상기 승강부재(51)를 상하로 이동하면서 조절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흡기파이프(31)의 하측 한쪽 면상의 통공에 결합 위치하고 조이거나 푸는 조작으로 인해 한쪽 끝단이 상기 승강부재(51)에 맞닿아 접촉하면서 고정함에 따라 상기 수반(20)의 최저수위량을 조절한다.
상기 고정부재(56)는 상기 승강부재(51)의 통공에 나사 결합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핀 형태를 이루어 좌우로 이동시킴으로 결합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되 핀 형태를 이룰 경우에는 상기 승강부재(51)에 상기 고정부재(56)가 맞닿는 위치마다 홈이나 관통홀을 형성하여 결속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기파이프(31)의 하단 내부표면 및 상기 승강부재(51)의 상단 외부표면상에는 각각 미세한 크기의 걸림턱(53)(58)을 구비하여 상기 승강부재(51)가 상기 흡기파이프(31)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위셋팅부(50)를 구성하게 되면, 수반 내에 수용되는 물로부터 최저수위량을 일정범위 내에서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물을 공급할 화분 등의 수량에 따라 탄력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반(20)에 최저수위보다 많은 양의 물이 수용된 상태에서는 물공급원(10)과 수반(20) 간의 압력이 평형을 이루어 물공급이 전혀 없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화분 등에 지속적인 수분공급이 이루어지면서 수반(20)의 수위는 점점 낮아지게 되고, 결국 물의 양이 최저수위 이하까지 떨어져 흡기파이프(31)의 한쪽이 공기 중에 노출됨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흡기파이프(31)를 통해 물공급원(10)에 유입되므로 물공급원(10) 내의 압력이 커져 저장된 물을 급수파이프(33) 쪽으로 밀어 수반(20)에 물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런 반복적인 작용으로 수반(20)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를 항시 균등하게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에 의하면, 수반의 수위를 항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물을 자동공급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화분을 가꾸거나 온실농작물을 재배하는데 관리의 편의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누구나 쉽게 가꾸거나 재배할 수 있는 동기부여로 일반인에게 널리 보편화시킬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수반의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치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최소화하고, 전력공급에 의한 별도의 동력장치가 없이도 공기를 이용한 자연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수반의 수위조절을 자동화함에 따라 꽃이나 화초를 가꾸거나 농작물을 재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물공급원(10)에 연결되는 상기 흡기파이프(31)가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물공급원(10)의 내부 상측 공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흡기파이프(31)가 위치한 상기 수반(20)의 한쪽에 설치되는 제어밸브부(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밸브부(40)는 상기 수반(20)의 한쪽에서 상기 흡기파이프(31)와 동일수직선상에 위치한다. 즉, 상기 제어밸브부(40)는 상기 수반(20)에 수용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승강하면서 상측 동일수직선상에 위치한 상기 흡기파이프(31)의 한쪽을 개폐시켜 상기 수반(20)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어밸브부(40)는 상기 수반(20)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재(41)와,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밸브부재(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재(41)는 상기 수반(20)의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밸브부재(46)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되, 상하로 수직관통된 가이드공(42)을 구비하여 상기 밸브부재(46)를 상하 수직방향으로만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밸브부재(46)는 상기 가이드부재(41)의 가이드공(42)에 삽입되어 수위에 따라 상하로 수직왕복이동하고 상기 흡기파이프(31)의 일측단에 접촉 유무에 따라 상기 물공급원(10)으로의 공기 공급을 제어한다.
상기 밸브부재(46)는 물에 직접적으로 맞닿는 부구(47)와, 상하방향성을 안내하는 로드(48)와, 상단에서 상기 흡기파이프(31)에 접하는 밸브머리(4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부구(47)는 상기 수반(20)에 수용된 물의 수면에 띄워져 위치한다. 즉, 상기 부구(47)는 무게가 가볍고 물을 흡수하지 않는 재질(예를 들면, 스티로폼, 우레탄, 합성수지 등)로 형성되어 항시 물에 떠있도록 한다.
상기 로드(48)는 상기 부구(47)의 중심에서 상측으로 수직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로드(48)는 상기 부구(47)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부재(41)의 가이드공(42)에 삽입되고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전반적인 방향성을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밸브머리(49)는 상기 로드(48)의 상단에 위치하고 원뿔형상으로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밸브머리(49)는 상기 로드(48)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향할수록 중앙부분으로 점점 기울어지는 측면을 이루어 상측 선단이 상기 흡기파이프(31)와 접촉하면서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상기 밸브머리(49)는 상기 흡기파이프(31)를 폐쇄시 완전히 밀착됨이 가능하도록 탄성력이 뛰어난 재질(예를 들면, 고무 등)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밸브머리(49)의 상면을 덮도록 별도의 패킹(도면에 미도시)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물공급원 11 : 흡기공 13 : 급수공
15 : 뚜껑 20 : 수반 25 : 수분공급부재
30 : 수위조절수단 31 : 흡기파이프 32 : 흡기밸브
33 : 급수파이프 34 : 급수밸브 40 : 제어밸브부
41 : 가이드부재 42 : 가이드공 46 : 밸브부재
47 : 부구 48 : 로드 49 : 밸브머리
50 : 수위셋팅부 51 : 승강부재 52 : 단턱
53,58 : 걸림턱 56 : 고정부재

Claims (10)

  1. 내부에 저장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과;
    상기 물공급원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부가 개방되어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수반과;
    상기 물공급원 및 수반의 사이에 위치한 후 수직으로 연결하고,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물공급 유무에 따라 상기 수반에 수용된 물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수위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위조절수단은 상기 수반에 수용된 물이 기준치보다 저수위일 때 상기 수반으로 물공급이 가능하도록 상기 물공급원에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파이프와, 상기 흡기파이프의 한쪽에 간격을 두고 수평을 이루며 위치하고 상기 물공급원의 물을 상기 수반으로 공급하는 급수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반에는, 물이 수용된 내부공간에 일측단이 위치하고 반대편은 농작물이 심어진 재배분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수분공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부재는, 액체의 흡수성 및 이동성이 뛰어난 모세관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기파이프 상에 설치되고 상기 물공급원에 공기의 공급 여부를 제어가능하도록 한 흡기밸브와,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수반으로 이동하는 물의 공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급수파이프 상에 형성되는 급수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수단은,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하측으로 길게 연장형성하되 상기 흡기파이프는 상기 급수파이프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흡기파이프는 상기 수반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한쪽 끝단이 상기 수반에 수용할 물의 최저수위와 동일수평선상을 이루도록 설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수단에는, 상기 흡기파이프의 한쪽 끝단에 위치하고 상기 수반에 수용된 물의 최저수위량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수위셋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위셋팅부는, 상기 흡기파이프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이루며 상기 흡기파이프에 삽입 위치한 후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단턱이 형성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상하로 이동하면서 조절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흡기파이프의 하측 한쪽 면상의 통공에 결합 위치하고 조이거나 푸는 조작으로 상기 수반의 최저수위량을 조절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상기 흡기파이프가 상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물공급원의 내부 상측 공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흡기파이프의 동일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반의 한쪽에 설치하고 상기 수반에 수용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승강하면서 상기 흡기파이프의 한쪽을 개폐시켜 상기 수반의 수위를 조절하는 제어밸브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밸브부는, 상기 수반의 한쪽에 형성되고 상하로 수직관통된 가이드공을 구비하여 지지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수위에 따라 상하로 수직왕복이동하고 상기 흡기파이프의 일측단에 접촉 유무에 따라 상기 물공급원으로의 공기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수반에 수용된 물의 수면으로 띄워져 위치하는 부구와, 상기 부구의 중심에서 상측으로 수직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상하로 방향성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향할수록 중앙부분으로 기울어진 측면을 이루어 상측 선단이 상기 흡기파이프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밸브머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
KR1020100086060A 2010-09-02 2010-09-02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 KR201200224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060A KR20120022455A (ko) 2010-09-02 2010-09-02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060A KR20120022455A (ko) 2010-09-02 2010-09-02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455A true KR20120022455A (ko) 2012-03-12

Family

ID=46130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060A KR20120022455A (ko) 2010-09-02 2010-09-02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2455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5125A (zh) * 2013-06-28 2013-11-13 无锡同心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自动浇花花盆
CN104521724A (zh) * 2015-01-22 2015-04-22 张承泽 无土栽培自动供水装置
CN104604652A (zh) * 2015-01-23 2015-05-13 北京农业智能装备技术研究中心 一种自记作物蒸发蒸腾量的负水头供液系统及方法
CN104996277A (zh) * 2015-07-14 2015-10-28 余启佳 一种紫薇盆景自动定时定量灌溉装置
CN104996276A (zh) * 2015-07-14 2015-10-28 余启佳 一种南天竹盆景自动定时定量灌溉装置
CN104996278A (zh) * 2015-07-14 2015-10-28 余启佳 一种榕树盆景自动定时定量灌溉装置
CN104996274A (zh) * 2015-07-14 2015-10-28 余启佳 一种火棘盆景自动定时定量灌溉装置
CN105028147A (zh) * 2015-07-23 2015-11-11 杨国威 一种自动浇花器
CN105052693A (zh) * 2015-07-14 2015-11-18 余启佳 一种栀子盆景自动定时定量灌溉装置
KR20180046623A (ko) * 2016-10-28 2018-05-09 김국경 개량된 급수구조를 갖는 다단식 식물 재배장치
KR102109776B1 (ko) * 2019-07-22 2020-05-12 주식회사 클릭전자정보시스템 물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5125A (zh) * 2013-06-28 2013-11-13 无锡同心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自动浇花花盆
CN104521724A (zh) * 2015-01-22 2015-04-22 张承泽 无土栽培自动供水装置
CN104604652A (zh) * 2015-01-23 2015-05-13 北京农业智能装备技术研究中心 一种自记作物蒸发蒸腾量的负水头供液系统及方法
CN104996277A (zh) * 2015-07-14 2015-10-28 余启佳 一种紫薇盆景自动定时定量灌溉装置
CN104996276A (zh) * 2015-07-14 2015-10-28 余启佳 一种南天竹盆景自动定时定量灌溉装置
CN104996278A (zh) * 2015-07-14 2015-10-28 余启佳 一种榕树盆景自动定时定量灌溉装置
CN104996274A (zh) * 2015-07-14 2015-10-28 余启佳 一种火棘盆景自动定时定量灌溉装置
CN105052693A (zh) * 2015-07-14 2015-11-18 余启佳 一种栀子盆景自动定时定量灌溉装置
CN105028147A (zh) * 2015-07-23 2015-11-11 杨国威 一种自动浇花器
KR20180046623A (ko) * 2016-10-28 2018-05-09 김국경 개량된 급수구조를 갖는 다단식 식물 재배장치
KR102109776B1 (ko) * 2019-07-22 2020-05-12 주식회사 클릭전자정보시스템 물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2455A (ko)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
KR20190085453A (ko) 인삼재배용 수경재배 화분
JP2010017153A (ja) 植物栽培装置
CN105393830A (zh) 一种植物养护装置及使用方法
CN203467290U (zh) 智能调节的植物栽种装置
KR101334723B1 (ko) 식생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CN203523410U (zh) 具备自吸水功能的植物种植盆
JP2010068735A (ja) 自動給水プランター
CN2401020Y (zh) 自动供水的鱼缸式花盆
KR20200086550A (ko) 화분걸이
CN202168368U (zh) 一种兰花花盆的结构
KR101280123B1 (ko)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
CN203087153U (zh) 一种定植杯
KR200469973Y1 (ko) 이중 화분
CN205378585U (zh) 一种植物养护装置
CN201174904Y (zh) 一种具有水位调整功能的用于种植花、树的盘器
KR101231973B1 (ko) 실내 재배기
CN204335438U (zh) 栽种装置
CN201025796Y (zh) 一种智能管理花盆
CN209594370U (zh) 一种植物栽培系统与植物栽培布水装置
CN209676927U (zh) 一种自动补水花盆和一种带水位指示的蓄水花盆
CN211064322U (zh) 一种山核桃育苗用控根装置
CN201919447U (zh) 喇叭形室内植物水培装置
CN207201446U (zh) 一种花盆
CN2555622Y (zh) 一种清水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4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