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68201Y1 - 연속 김구이용 분류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김구이용 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201Y1
KR200268201Y1 KR2020010039798U KR20010039798U KR200268201Y1 KR 200268201 Y1 KR200268201 Y1 KR 200268201Y1 KR 2020010039798 U KR2020010039798 U KR 2020010039798U KR 20010039798 U KR20010039798 U KR 20010039798U KR 200268201 Y1 KR200268201 Y1 KR 2002682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ver
axis roller
guide plate
conveyor chain
continuou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7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탁
Original Assignee
강신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탁 filed Critical 강신탁
Priority to KR20200100397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2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2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20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속된 장축롤러(12) 및 단축롤러(14)를 병렬로 배치하여 김을 양측으로 분류하는 도입기(10); 상기 분류된 김을 적층하여 수용하도록 도입기(10)의 하류측에서 단축롤러(14)에 연하여 설치되는 안내판(15); 및 상기 적층된 김을 일정 단위로 수집하여 이송하도록 안내판(15)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각 단위체마다 한 쌍의 김받이봉(26a)을 구비하는 컨베이어 체인(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대형 식품매장 등에서 많은 작업자를 투입하지 않아도 즉석에서 구운 김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계수하여 판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속 김구이용 분류장치 {Sorting apparatus for continuous-roasting laver patches}
본 고안은 김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 식품매장 등에서 많은 작업자를 투입하지 않아도 즉석에서 구운 김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계수하여 판매할 수 있는 연속 김구이용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김은 전후면에 기름을 바른 후 적절하게 소금을 뿌리고 적절한 열에 의해 구워야 그 맛과 빛깔이 유지된다. 그러나 바쁜 생활속에서 김을 일일이 적절한 온도의 열에 적당한 시간에 굽는다는 일이 상당히 번거로워 구워서 포장된 김이나 즉석에서 구운 김을 구매하는 추세가 증가되고 있다. 실제로 대형 식품매장에 가면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라도 많은 양의 김을 균일한 품질로 구워서 판매하는 광경을 쉽게 목격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김구이용 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부호 L은 김을 나타내고, 부호 1은 김을 이송하는 도입기를 나타내고, 부호 7은 포장을 위한 배출기를 나타낸다. 도입기(1)와 배출기(7) 사이에는 부호 3의 회전축과 부호 5의 김받이봉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도입기(1)에서 카운팅되는 김이 대기중인 김받이봉(5)에 설정된 수량으로 적층되면 회전축(3)이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다음의 김받이봉(5)이 도입기(1) 측으로 정렬되도록 한다.
그러나 설정된 매수로 적층된 김을 일시적으로 수용하여 배출기(7) 측으로 보내는 김받이봉(5)이 동일한 회전축(3) 상에 형성될 수 있는 수량은 불과 6∼8개에 지나지 않으므로 일정 수량으로 적층된 김이 배출기(7)로 투입되는 시간이 짧다. 따라서 항상 적정한 수의 작업자가 대기 상태로 있어야 하고 작업중 잠깐이라도 다른 일을 할 수 없다는 폐단이 있다.
또한, 도입기(1)에서 김받이봉(5)으로 적층되는 과정에서 김이 일차적으로 흐트러지고, 적층된 김이 회전축(3)의 회전운동에 따라 비교적 큰 각도 단위로 회전하므로 각속도가 커서 다시 한번 흐트러지게 된다. 이에 따라 배출기(7)에 위치한 작업자는 김을 포장하기 전에 정돈하는 부가적인 작업까지 감당해야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작업자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폐단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대형 식품매장 등에서 많은 작업자를 투입하지 않아도 즉석에서 구운 김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계수하여 판매할 수 있는 연속 김구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김구이용 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류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류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류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도입기 12: 장축롤러
14: 단축롤러 15: 안내판
16: 벨트 18, 28: 구동기
22, 24: 체인휠 26: 컨베이어 체인
30: 컨트롤러 40: 작업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청구항 1에 기재되는 고안은 연속된 장축롤러(12) 및 단축롤러(14)를 병렬로 배치하여 김을 양측으로 분류하는 도입기(10); 상기 분류된 김을 적층하여 수용하도록 도입기(10)의 하류측에서 단축롤러(14)에 연하여 설치되는 안내판(15); 및 상기 적층된 김을 일정 단위로 수집하여 이송하도록 안내판(15)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각 단위체마다 한 쌍의 김받이봉(26a)을 구비하는 컨베이어 체인(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한 1에 기재되는 고안에 따르면 상기 안내판(15)은 컨베이어 체인(26)의 김받이봉(26a)이 통과하도록 절개홈(15a)을 구비한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되는 고안에 따르면 상기 컨베이어 체인(26)은 양단의 체인휠(22) 상에 거치되고, 중간의 아이들휠(24)에 의해 장력이 조절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류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류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연속된 장축롤러(12) 및 단축롤러(14)를 병렬로 배치한 도입기(10)에 의해 김을 양측으로 분류한다. 일렬의 장축롤러(12) 및 단축롤러(14)는 타열의 장축롤러(12) 및 단축롤러(14)와 동일한 구성을 지닌다. 각렬의 장축롤러(12)는 서로 인접하나 단축롤러(14)는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장축롤러(12)와 단축롤러(14)는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회전축 방향이 서서히 변동되도록 배치하여 상호 연결 부분에서 김이 무리없이 분류되도록 한다.
장축롤러(12)와 단축롤러(14)는 도입기(10) 내부에 설치되는 동일한 벨트(16)와 구동기(18)를 이용하여 구동시킨다. 도 2의 컨트롤러(30)에서 이러한 구동기(18)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축롤러(12)와 단축롤러(14)를 병렬로 배치하는 구조는 좁은 공간을 이용하여 김의 판매량을 늘이는 용도로 적합하다. 컨트롤러(30)를 이용하여 어느 일측만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분류된 김을 적층하여 수용하도록 도입기(10)의 하류측에서 단축롤러(14)에 연하여 안내판(15)이 설치된다. 단축롤러(14)의 하류단에는 통상의 계수장치(도시 생략)가 설치된다. 계수장치는 광센서와 같은 비접촉식이 유리하다. 안내판(15)은 단축롤러(14)와 폭을 유사하게 유지하고 도입기(10)의 상면보다 약간 더 경사지게 설치한다. 이에 따라 단축롤러(14)의 하류단을 통과하며 계수되는 김이 안내판(15)에 적층되면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데, 안내판(15)의 양측으로 턱(도시 생략)을 형성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안내판(15)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은 후술하는 도 4를 참조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적층된 김을 일정 단위로 수집하여 이송하도록 안내판(15)의 하류측에 컨베이어 체인(26)이 설치된다. 컨베이어 체인(26)은 각 단위체마다 한 쌍의 김받이봉(26a)을 구비한다. 컨베이어 체인(26)은 복수의 단위체 체인이 벨트 상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며, 각 단위체 체인에는 적어도 2개의 김받이봉(26a)이 수직 상태로 구비된다. 김받이봉(26a)은 금속 그리고/또는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금속제는 내구성을 향상하는데 유리하고 합성수지나 고무는 김의 미끄럼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이때, 본 고안의 컨베이어 체인(26)은 양단의 체인휠(22) 상에 거치되고, 중간의 아이들휠(24)에 의해 장력이 조절된다. 일측의 체인휠(22)은 피동 상태로 두고 타측의 체인휠(22)은 구동기(28)에 연결하여 구동 상태로 둔다. 아이들휠(24)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여 필요에 따라 외부에서 아이들휠(24)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컨베이어 체인(26)이 설치되는 부분에는 그와 비슷한 길이에 걸쳐 작업대(40)를 설치하여 포장 작업이 원활하도록 한다. 일측의 컨베이어 체인(26)만 가동시키는 것을 고려하여 작업대(40)는 접고 펴는 방식으로 부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류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안내판(15)은 컨베이어 체인(26)의 김받이봉(26a)이 통과하도록 절개홈(15a)을 구비한다. 컨베이어 체인(26)에서 일측 단위체에 고정된 김받이봉(26a)은 안내판(15)을 통과하기 전에 절개홈(15a)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한 상태로 대기한다. 김이 안내판(15)에 설정된 수량으로 적층되면 체인휠(22)이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면서 적층된 김이 상향 이동되는 동시에 다음의 김받이봉(26a)이 안내판(15)의 절개홈(15a)에서 대기한다. 김이 김받이봉(26a)에 직접 적층되지 않고 안내판(15)과 김받이봉(26a)에 동시에 적층되므로 흐트러짐 없이 정렬된다.
또한, 김이 적층되는 부분에서 체인휠(22)이 위치함에 따라 종래의 회전축(3)에 비하여 곡률 반경을 크게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김이 상향 이동되어도 각속도가 크지 않아 흐트러지는 현상을 계속하여 방지할 수 있다.
작동에 있어서, 컨트롤러(30)에서 김의 포장 수량을 입력하고 도입기(10)의 상류측에서 김을 구워 장축롤러(12)로 내려보낸다. 이어서 장축롤러(12)에 안착된 김은 단축롤러(14)를 거쳐 계수되면서 안내판(15)에 적층되고, 계수된 신호는 컨트롤러(30)에서 연산·저장된다. 이어서 설정된 포장 수량으로 적층이 완료된 것을 판단한 컨트롤러(30)는 구동기(28)에 출력하여 체인휠(22)이 일정 각도로 회전된 후 정지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포장 수량으로 적층된 김은 컨베이어 체인(26)의 상면으로 가지런하게 배열되는 김받이봉(26a)에 의해 분류된 상태로 단속적으로 하류로 이송된다. 작업대(40)에서 있던 작업자가 잠시 자리를 비워도 김이 컨베이어 체인(26)의 최하류에 도달하는데는 시간이 걸리므로 다시 복귀하여 김을 포장 및판매할 수 있다.
한편, 도시에는 생략되나 컨베이어 체인(26)을 단속적으로 구동하기 위해 구동측 체인휠(22)에 클러치브레이크를 설치할 수도 있다. 만일 클러치브레이크의 작동 소음이 문제로 되는 현장에서는 공지의 간헐 운동기구를 체인휠(22)에 설치하면 구동기(28)를 정지시키지 않아도 단속적인 이송이 구현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은 대형 식품매장 등에서 많은 작업자를 투입하지 않아도 즉석에서 구운 김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계수하여 판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연속된 장축롤러(12) 및 단축롤러(14)를 병렬로 배치하여 김을 양측으로 분류하는 도입기(10);
    상기 분류된 김을 적층하여 수용하도록 도입기(10)의 하류측에서 단축롤러(14)에 연하여 설치되는 안내판(15); 및
    상기 적층된 김을 일정 단위로 수집하여 이송하도록 안내판(15)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각 단위체마다 한 쌍의 김받이봉(26a)을 구비하는 컨베이어 체인(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김구이용 분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15)은 컨베이어 체인(26)의 김받이봉(26a)이 통과하도록 절개홈(15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김구이용 분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체인(26)은 양단의 체인휠(22) 상에 거치되고, 중간의 아이들휠(24)에 의해 장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김구이용 분류장치.
KR2020010039798U 2001-12-22 2001-12-22 연속 김구이용 분류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2682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798U KR200268201Y1 (ko) 2001-12-22 2001-12-22 연속 김구이용 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798U KR200268201Y1 (ko) 2001-12-22 2001-12-22 연속 김구이용 분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201Y1 true KR200268201Y1 (ko) 2002-03-15

Family

ID=73071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798U Expired - Fee Related KR200268201Y1 (ko) 2001-12-22 2001-12-22 연속 김구이용 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2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82532B1 (en) A device for separating continuously fed products into groups
MXPA04001506A (es) Aparato y metodo para apilar hojas descargadas de un montaje de rueda de estrella.
US6106219A (en) Stack forming and conveying apparatus
GB2130160A (en) Packaging apparatus for stick confections
KR200268201Y1 (ko) 연속 김구이용 분류장치
JP4877969B2 (ja) 用紙後処理装置
JP2012197139A (ja) 仕分け機構及び仕分け装置
US4573848A (en) Arrangement for dispensing sheets from a store thereof, for example bank notes
CN108177812B (zh) 自动收纸打包一体机
JPS62215465A (ja) シ−ト仕分け装置
US5433582A (en) Device for discharging papers
CN208444352U (zh) 一种硬币清分卷包一体机
JPH07206132A (ja) 搬送装置
US4046259A (en) Stacking method
JP4883611B2 (ja) 方向転換装置
JP4216954B2 (ja) 方向転換装置
JP5213247B2 (ja) ローラコンベヤ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物品仕分装置
US3421758A (en) Split-stream collating apparatus
JPH08127417A (ja) 物品高速仕分け装置
US6439830B2 (en) Opening guard mechanism for printed product stacking device
CN208460090U (zh) 堆码机构及采用该机构的硬币清分卷包一体机
CA2960681A1 (en) Stick placer assembly
CN109118639A (zh) 一种硬币清分卷包一体机及其控制方法
JP2763953B2 (ja) シート分類装置
JPH066134Y2 (ja) 印刷物集積束作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122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3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122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2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614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30828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30830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4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