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68150Y1 - Chair for keeping good posture without spinal deformity such as scoliosis - Google Patents

Chair for keeping good posture without spinal deformity such as scolios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150Y1
KR200268150Y1 KR2020010038476U KR20010038476U KR200268150Y1 KR 200268150 Y1 KR200268150 Y1 KR 200268150Y1 KR 2020010038476 U KR2020010038476 U KR 2020010038476U KR 20010038476 U KR20010038476 U KR 20010038476U KR 200268150 Y1 KR200268150 Y1 KR 200268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plate
swing
fixed
scoli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47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승모
Original Assignee
유승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모 filed Critical 유승모
Priority to KR20200100384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15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150Y1/en

Link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지주 상부에 결합된 고정좌대판상에 등받이와 아암레스트가 고정되고, 별도의 요동수단을 매개로 상기 고정좌대판상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고정좌대판상에서 요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요동좌대판이 구비되며, 상기 요동좌대판상에 착석시 사용자의 몸통을 전후좌우에서 당겨 지지해주는 다수의 긴장벨트가 구비된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고정좌대판 및 요동좌대판은 그 중앙부에 입설된 볼조인트축을 중심으로 상기 요동좌대판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고, 상기 요동수단은 상기 볼조인트축을 중심으로 별도의 구동모우터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가변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상의 가장자리부 일측에 돌출 고정되어 상기 요동좌대판의 일측 저면을 받쳐주는 회전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척추가 좌우로 만곡되는 측만증 등과 같이 비정상적인 변형에 의해 요통 등을 수반하는 경우에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척추의 이상 만곡 정도를 압박에 의해 바른 자세로 교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대를 전동식으로 요동시킬 수 있으므로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for orthodontic scoliosis, the configuration of the backrest and the armrest is fixed on the fixed seat plat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and is spaced apart on the fixed seat plate via a separate rocking means to the fixed seat In the chair for the scoliosis correction is provided with a swing seat plate coupled to the plate to be able to swing, a plurality of tension belts to support the user's torso in front, left and right when seated on the swing seat plate, the fixed seat plate and The swing seat plate is hinged so that the swing seat plate can move freely about a ball joint shaft placed in the center thereof, and the swing means is variably rotated in a forward / reverse direction by a separate driving motor about the ball joint axis. Rotating plate and one side bottom surface of the swing seat plate protruding fixed to one side of the edge portion on the rotating pl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upporting ball, the back of the spine is curtailed by pressing the abnormal degree of curvature of the spine by using continuously in daily life when accompanied by low back pain due to abnormal deformation, such as scoliosis, etc. Not only can be corrected in the correct posture, because the seat can be electrically swing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yone can use easily and simply.

Description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Chair for keeping good posture without spinal deformity such as scoliosis}Chair for scoliosis correction {Chair for keeping good posture without spinal deformity such as scoliosis}

본 고안은 척추 측만증(側彎症)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척추가 좌우로 만곡되는 측만증 등과 같이 척추의 비정상적인 변형에 의해 요통 등을 수반하는 경우에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척추의 이상 만곡 정도를 여러 방향에서 벨트로 압박해 줌으로써 자세를 교정할 수 있고, 각종 통증을 완화 또는 제거할 수 있으며, 좌대를 전동식으로 요동시킬 수 있게 하여 사용이 더욱 간편하도록 개선된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for orthodontic scoliosis, in particular when the back pain is accompanied by abnormal deformation of the spine, such as scoliosis, such as scoliosis of the left and right curvature of the spine continuously used in everyday life By adjusting the degree of curvature with the belt in various directions, the posture can be corrected, the pain can be alleviated or removed, and the seat can be electrically swung to improve the scoliosis orthodontic chair. It is about.

인체에 있어서 척추는 위쪽으로 머리를 받치고 아래쪽은 골반과 연결되어 체중을 하지로 전달하며, 33개의 척추골과 그 사이의 섬유연골성 추간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두개골로부터 골반골까지 강한 인대와 근육으로 강화되어 신체를 지지하고 평형을 유지하며, 척주관내의 척수를 보호하고 각 척추 신경근이 분기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서, 인체의 자세를 유지시켜주고 그 속에 있는 중요한 신경을 보호하며 충격을 흡수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In the human body, the spine supports the head upwards and the lower part connects with the pelvis to transfer weight to the lower extremities, consisting of 33 vertebrae and fibrocartilage intervertebral discs between them, reinforced with strong ligaments and muscles from the skull to the pelvis. It supports the body, maintains equilibrium, protects the spinal cord in the spinal canal, and branches each spinal nerve root, maintaining the posture of the human body, protecting important nerves in it, and absorbing shocks. Do this.

통상적으로 성인의 경우, 척주(脊柱 ; Vertebral column)는 그 길이가 70∼75cm인데 경추부터 천골 직전까지의 길이가 약 60cm이며, 이중 1/4이 추간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측면에서 볼 때 경추와 요추 부위에서는 각각 전만을, 흉추 및 천골 부위에서는 각각 후만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근육, 인대, 신경 및 혈관 등은 척추골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배열된다.Typically in adults, the vertebral column is 70-75 cm in length, about 60 cm from the cervical spine to just before the sacrum, of which 1/4 is composed of intervertebral discs. At the site, only the front, respectively, at the thoracic and sacral areas, respectively, only after. The muscles, ligaments, nerves, and blood vessels are arranged symmetrically about the vertebrae.

즉, 척추골은 33개가 형성되어 상부로부터 경추 7개, 흉추 12개, 요추 5개, 천추 5개 및 미추 4개로 구성되며, 성인의 경우에는 천추와 미추가 융합되어 천골과 미골을 형성한다. 환추, 축추와 천골을 제외한 전형적인 척추골은 부위에 따라 크기와 모양이 다르나 공통적인 구조를 갖는다. 앞쪽에는 추체가 있고 뒤쪽에는 척추경과 추궁판으로 구성된 척추궁(Vertebral arch) 및 근육 부착과 관절 연결을 위한 돌기로 이루어져 있다. 추체는 하중을 지탱하는 부분으로 상, 하 변연부의 치밀골은 다른 부위보다 두껍고 둥근 모양이며 인접한 추체와는 추간판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척추궁은 추공(椎孔 ; Vertebral foramen)의 벽면을 형성하여 척수를 감싸 보호하며, 좌, 우의 척추경, 추궁판과 각각 2개의 상, 하 관절 돌기, 양측의 횡돌기, 극돌기 등 7개의 돌기로 이루어져 있다. 각 척추골의 추공이 모여 척주관(脊柱管 ; Spinal canal)이 되며 척주관의 전후 직경은 환추에서 약 3cm이고 그 이하 부위에서는 15∼18mm이며, 횡직경은 경추부와 요추부에서는 20∼25mm 정도이나 흉추부에서는 15∼18mm로 가장 작다. 척추경은 전주(前柱 ; Anterior column)와 후주(後柱 ; Posterior column)를 연결하는 관상의 골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위치와 각도에 차이가 있다.That is, 33 vertebrae are formed from the cervical spine, the thoracic spine, 12 thoracic, lumbar spine, five, sacral and five lumbar spine, in the case of adults, the sacral and cilia are fused to form sacrum and coccyx. Typical vertebrae, except for vertebrae, vertebrae, and sacrum, vary in size and shape depending on the site, but have a common structure. There is a vertebrae in the front and a vertebral arch consisting of the pedicle and the plaque and a protrusion for muscle attachment and joint connection. The vertebral body bears the load, and the upper and lower marginal densities are thicker and rounder than other parts and separated from the adjacent vertebrae by the intervertebral discs. The vertebral arch forms the wall of the vertebral foramen, which surrounds and protects the spinal cord.It is composed of seven projections, including the left and right pedicles, the vertebral disc, and two upper and lower articular projections, and two traverses and two spinous processes. consist of. The vertebral vertebrae of each vertebrae gather together to form a spinal canal. The anteroposterior diameter of the vertebral canal is about 3 cm at the vertebrae, 15-18 mm at the lower part, and the transverse diameter is 20-25 mm at the cervical and lumbar spines. The smallest is 15-18mm. The pedicle is a coronal bone structure that connects the anterior column and posterior column and differs in position and angle.

이러한 척추 구조를 갖는 인체에 외부 자극이 가해지면 우선적으로 경추 및 요추의 전만곡도와 흉추의 후만곡도에 변화가 온다. 이는 신체의 각 부분이 받는 무게중심의 변화를 초래하게 되고 신체의 자세까지 변화를 야기해 결국에는 척추 근육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된다. 앞에서 말한 외부의 자극이란 청소년들의 바르지 못한 공부자세, 만성피로, 각종 스포츠 활동으로 인한 부상, 자동차 사고 및 영양의 불균형 등이 있다.When an external stimulus is applied to a human body having such a vertebral structure, changes in the total curvature of the cervical spine and lumbar spine and the posterior curvature of the thoracic spine come first. This results in a change in the center of gravity that each part of the body receives, and in turn changes the body's posture, resulting in an imbalance in the spinal muscles. External stimuli mentioned above include adolescents' incorrect study posture, chronic fatigue, injuries from various sports activities, car accidents and nutritional imbalances.

특히, 각종 스포츠 활동으로 인한 부상은 운동 시작 전후에 충분한 준비운동을 실시하지 않고 급하게 본 운동으로 들어가 무리한 동작이 연속됨으로 인해 상해를 입는 경우가 대부분이다.In particular, injuries due to various sports activities are often injured due to the rapid movement into the main exercise without performing sufficient warm-up exercises before and after the start of the exercise.

이를 장기간 동안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합병증이나 욕창 등이 발생하여 건강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If left unattended for a long time, various complications or pressure sores occur and not only deteriorate health but also cause a lot of problems in daily life.

심한 척추 변형의 예로서는 측만증과 전만증 및 후만증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양쪽 어깨 높이와 견갑골이 비대칭을 이뤄 좌우로 만곡된 형상을 나타내게 되는 경우를 측만증이라 한다.Examples of severe spinal deformity include scoliosis, lordosis and embarrassment, and especially scoliosis is a case in which both shoulder heights and scapula are asymmetrical to show a curved shape from side to side.

측만증에 대한 척추의 형상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척추(1)의 좌우방향 만곡도를 측만각(a)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는 만곡이 시작되는 상부 끝 척추 부위의 상단과 하부 끝 척추 부위의 하단의 각 연장선상에 내향되는 법선을 작도하여 교차된 각도로서 척추 변형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spine for scoliosis is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 As shown in the figure, the left and right curvatures of the vertebrae 1 may be represented as a side angle (a), which is inward on each extension line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end vertebral region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end vertebral region at which the curvature begins. A normal can be constructed to determine the extent of spinal deformity as the crossed angle.

현재까지도 의학계에서는 척추 측만증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찾으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브레이스(5) 등의 교정보조기구의 사용과 함께 운동 요법, 견인 요업, 전기자극 등을 병행하여 치료하는 정도에 머물고 있다.Until now, the medical community has been trying to find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scoliosis, but with the use of teaching aids such as brace (5) as shown in Figure 2 exercise therapy, traction ceramics, electrical stimulation, etc. It is staying at the same level of treatment.

일반적인 교정보조기구는 목과 골반 등에 착용할 수 있는 링 및 골반지지대(7)가 구비되고, 이들을 강체의 브레이스(1)로 연결하여 인체의 중심선상에서 상호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브레이스(5)에 대략 직교하도록 고정되어 만곡된 몸통 부위를 중심쪽으로 압박하는 패드(6)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척추의 길이방향으로도 견인하여 신장될 수 있게 척추(1)를 당겨주는 머리고정 벨트(8)를 착용하기도 한다.General teaching aids are provided with a ring and pelvic support (7) that can be worn on the neck, pelvis, etc., by connecting them to a rigid brace (1) to be mutually supported on the centerline of the human body, the brace (5) The pad 6 is fixed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body and presses the curved torso portion toward the center. At this time, the head fixing belt 8 may be worn to pull the spine 1 so that it can be stretched and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pine.

또한, 척추의 종방향 견인 후에 석고로 캐스팅하여 고정시키기도 하는데 이에 대한 횡 작용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개량된 석고 고정틀(Cast frame)이나 죔쇠 석고(Turnbuckle cast), 정위 석고(Localizer cast)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In addition, after longitudinal traction of the spine, it is cast and fixed by plaster, and improved plaster cast, turnbuckle cast, and localizer cast are used to more effectively exert transverse forces. Sometimes.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교정보조기구를 착용하는 경우에는 측만증 환자가 일상의 활동을 하는데 너무나 많은 불편함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wearing the teaching aids as described above, there was a problem that too many inconveniences come to the scoliosis patients to perform daily activitie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의 출원인은 2000년 8월 3일자 특허출원 및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2117호에서 새로운 개념의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를 제안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a new concept scoliosis correction chair in patent application 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2117 dated August 3, 2000.

도 3 및 도 5는 본 고안 출원인에 의해 선 제안된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은 그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적용된 측방 긴장벨트(70)의 착용상태 및 좌대(10)의 내부구조를 단면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3의 실시예에 적용된 전, 후방 긴장벨트(60)(50)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3 and 5 show the structure of a chair for scoliosis correction previously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igure 4 is a side tension belt 70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Figure 3 Front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earing state and the seat 10, Figure 5 shows a side view showing the wearing state of the front, rear tension belt 60, 50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FIG. .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 제안의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는, 지지용의 하판(11) 및 상기 하판(11)상에 이격 배치되어 착석시 상기 하판(11)상에서 요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판(15)으로 이루어진 좌대(10)와, 상기 좌대(10)의 일측에 소정 각도로 입설되고 그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안내홈(21)이 형성된 등받이(20)와, 상기 등받이(20)와 일측이 연접하여 상기 좌대(10)의 양측에 고정되고 그 외측면상에 슬라이딩 가능한 안내홈(41)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아암레스트(40)와, 상기 등받이(20) 및 아암레스트(40)의 안내홈(21)(41)을 따라 이동 및 고정 가능하도록 결합된 다수의 버클(53)과, 상기 다수의 버클(53)에 양단이 착탈 고정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긴장벨트가 구비된 구성을 이루고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coliosis correction chair of the line proposal is arranged on the lower plate 11 for support and the lower plate 11 spaced apart to be coupled on the lower plate 11 when seated so as to be swingable. A seat 10 consisting of 15, a backrest 20 formed with a guide groove 21 slidable along a circumference thereof, which is plac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one side of the seat 10, and the backrest 20 and one side The pair of armrests 40 and the backrest 20 and the armrests 40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fixed to both sides of the pedestal 10 and slidable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re respectively formed. The configura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ckle (53) coupled to be movable and fixed along the grooves (21) (41), and a plurality of tension belts that both ends are detachable and fixed to the plurality of buckle (53). It is coming true.

상기 좌대(10)는 그 상판(15)의 저면 중심 부위가 윤활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상기 윤활 지지점으로부터 상판(15)의 가장자리부가 탄력적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15) 및 하판(11)의 사이에 요동부(30)가 구비되어 있다.The seat 10 is supported so th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15 can lubricate, and the upper plate 15 and the lower plate 11 so that the edge portion of the upper plate 15 can be elastically swinged from the lubrication support point. Between the swinging portion 30 is provided.

상기 요동부(30)는 상기 상판(15) 및 하판(11)의 마주보는 대향면 중심 부위에 내측으로 만곡 형성된 볼시트(17)(13) 내에 안착되어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지지하는 베어링볼(31)과, 상기 상판(15) 및 하판(11)의 마주보는 대향면 네 모서리 부위에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스프링시트(16)(12) 내에 각각 안착되어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 지지하는 다수의 완충스프링(32)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swinging part 30 is seated in the ball seats 17 and 13 formed inwardly curved at the center portions of the opposing surfaces facing the upper plate 15 and the lower plate 1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 31) and a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springs, which are respectively seated in spring sheets 16 and 12 recessed inwardly at four corner portions of opposite surfaces of the upper plate 15 and the lower plate 11, and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t consists of 32.

또한, 상기 긴장벨트는 상기 등받이(20)의 양측 안내홈(21) 내에 각각 설치된 버클(53)간에 체결되어 착용자의 흉부를 등받이(20) 쪽으로 가압 밀착시켜주는 후방 긴장벨트(50)와, 상기 양쪽 아암레스트(40)의 전면 하단부에 각각 고정된 버클(53)간에 체결되어 착용자의 둔부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전방 긴장벨트(60) 및 상기 아암레스트(40)의 양측 안내홈(41) 내에 각각 설치된 버클(53)간에 대향되도록 체결되어 착용자의 흉부 또는 요부를 각각 측방 외측으로 당겨주는 다수의 측방 긴장벨트(70)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tension belt is fastened between the buckle 53 installed in each of the guide grooves 21 on both sides of the backrest 20, the rear tension belt 50 for pressing and closely contacting the wearer's chest toward the backrest 20, and the In the front tension belt 60 and the both side guide grooves 41 of the armrest 40 are fastened between the buckle 53 respectively fixed to the front lower end of both armrests 40 to push forward the buttocks of the wearer. It is fastened so as to face between the buckle 53 is installe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de tension belts 70 for pulling the chest or recess of the wearer to the side outward.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선 제안의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둔부를 좌대(10)의 등받이(20) 인접부까지 최대한 밀착시켜 앉은 상태에서 등 부위를 상기 등받이(20)에 기대어 정 자세를 취한다. 그 다음에는 전, 후방 및 측방 긴장벨트(50)(60)(70)를 적절한 긴장 상태로 조여서 체결하면 된다. 이때, 상기 후방 긴장벨트(50)는 착용자의 전면 흉부를 후방으로 압박하고, 상기 전방 긴장벨트(60)는 착용자의 배면 둔부를 전방으로 압박하여 척추(1)의 전, 후 만곡도를 이상적으로 유지하게 하도록 긴장시켜주며, 상기 측방 긴장벨트(70)는 양쪽의 아암레스트(40)로부터 착용자의 측만된 부위에 각각 체결하여 그 부위를 인체의 중심쪽을 향해 지속적으로 압박함으로써 척추의 비정상적인 변형을 교정시켜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e case of using the scoliosis correction chair of the line proposed to form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buttocks sit as close as possible to the back of the seat 20 of the seat 10 as close as possible The back part is leaning against the backrest 20 and takes a forward position. Then, tighten the front, rear and side tension belts 50, 60, 70 to an appropriate tension. In this case, the rear tension belt 50 presses the front chest of the wearer to the rear, and the front tension belt 60 presses the rear hip of the wearer to the front to ideally maintain the front and rear curvature of the spine 1. The side tension belt 70 is fastened to each side of the wearer from the armrests 40 on both sides to correct the abnormal deformation of the spine by continuously pressing the area toward the center of the human body. You will be able to.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 출원인에 의해 선 제안된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는 전, 후 및 측방의 각 긴장벨트에 의한 척추의 압박 교정원리와, 요동부에 의한 척추운동 원리에 대한 기본적인 구조를 제시하고 있을 뿐, 이를 편리하게 수행하기 위한 보다 진보된 구조를 제공하고 있지는 못하였다. 즉, 상기의 구조는 사용자가 몸을 직접 움직여서 수동 조작하여야 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다소의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hair for correcting scoliosis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proposes the basic structure of the principle of correction of spinal compression by the tension belts of the front, rear and side and the principle of spinal movement by the oscillation part. It does not provide a more advanced structure to do this conveniently. That is, in the above structure, the user may manually operate by directly moving the body, and thus may feel some inconvenience.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척추가 좌우로 만곡되는 측만증 등과 같이 비정상적인 변형에 의해 요통 등을 수반하는 경우에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척추의 이상 만곡 정도를 압박에 의해 바른 자세로 교정할 수 있으며, 각종 통증을 완화 또는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of which is to use the continuous back in everyday life when the back pain is accompanied by abnormal deformation, such as scoliosis of the left and right curved spine abnormalities of the spine The degree of curvature can be corrected in the correct posture by the compression, and to provide a scoliosis correction chair that can alleviate or eliminate various pain.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측만증 환자 등이 일상의 생활을 하는데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oliosis correction chair that can minimize the discomfort felt in the daily life of patients with scoliosis.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좌대를 전동식으로 요동시킬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누구나 쉽고 더욱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ir for scoliosis correction that can be used more easily and more simply by providing a means for swinging the seat by electric.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는, 지주의 승강구동축 상부에 결합된 고정좌대판상에 등받이와 아암레스트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좌대판상에 이격 배치되어 착석시 그 사이에 개재된 요동수단을 매개로 상기 고정좌대판상에서 요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착석용 요동좌대판이 구비되며, 상기 요동좌대판상에 착석시 사용자의 몸통을 전후좌우에서 당겨 지지해줄 수 있도록 상기 등받이 및 아암레스트 프레임에 고정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긴장벨트가 구비된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고정좌대판 및 요동좌대판의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좌대판을 관통하여 상향 입설된 볼조인트축을 중심으로 상기 요동좌대판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고, 상기 요동수단은 상기 볼조인트축을 중심으로 별도의 구동모우터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가변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상의 가장자리부 일측에 돌출 고정되어 상기 요동좌대판의 일측 저면을 받쳐주는 회전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Scoliosis orthodontic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ackrest and the armrest is fixed on the fixed seat plat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driving shaft of the support, and is spaced apart on the fixed seat plate when seated A seating rocking seat is provided which is coupled to the rocking seat on the fixed seat plate via a rocking mean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backrest and the arm to support the user's torso in front, back, left and right when seated on the rocking seat board. A scoliosis orthodontic chair having a plurality of adjustable tension belts fixed to a rest frame, wherein the center of the fixed seat plate and the rocking seat plate is centered on a ball joint shaft which is placed upright through the fixed seat plate. The swing seat plate is hinged to move freely, the swing means is the ball tank A rotating plate that is variably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y a separate drive motor about a shaft, and a rotating ball protrudingly fixed to one side of an edge portion of the rotating plate to support a bottom surface of the swing seat plate. do.

여기서, 상기 승강구동축은 상기 볼조인트축과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구동축 및 볼조인트축은 상기 고정좌대판의 상, 하면에 각각 적층되어 보울트로써 일체로 체결되는 복수의 좌대판 조인트멤버 및 승강구동축 조인트멤버에 의해 상호 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elevating drive shaft is disposed on the same line as the ball joint shaft, the elevating drive shaft and the ball joint shaft are lamina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xed seat plate, respectively, a plurality of seat plate joint members and the hatch that is integrally fastened by bolts It is preferable that the mutual rotation is freely connected by the coaxial joint member.

또한, 상기 구동모우터는 그 구동축이 상기 회전판의 저면쪽을 향하도록 상기 고정좌대판을 관통하여 상향 고정되고, 상기 구동축의 상단부에는 구동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은 상기 볼조인트축이 관통되는 보스부의 외주에 종동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간에 체결되는 타이밍벨트에 의해 상기 볼조인트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판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rive motor is fixed upward through the fixed seat plate so that the drive shaft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ry plate, the drive gear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drive shaft, the rotary plate is the boss through which the ball joint shaft A driven gear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negative portion, and is preferably configured such that the rotating plate rotate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bout the ball joint shaft by a timing belt fastened between the drive gear and the driven gear.

또한, 상기 회전판의 보스부와 상기 고정좌대판상의 좌대판 조인트멤버간에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간섭되지 않도록 베어링을 개재하여 지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ss part of the rotating plate and the seat plate joint member on the fixed seat plate be supported through a bearing so as not to interfere when the rotating plate is rotated.

또한, 상기 요동좌대판의 저면쪽에는 상기 볼조인트축의 볼을 수용하여 이를 상기 요동좌대판에 힌지 결합시켜주는 한쌍의 상, 하부 볼조인트캡이 보울트로써 상호 체결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upper and lower ball joint caps for receiving a ball of the ball joint shaft and hinged to the rocking seat plate at the bottom side of the swing seat plate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bolts.

또한, 상기 회전판 상면의 볼조인트축 주연에는 스프링시트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시트와 상기 요동좌대판 저면의 하부 볼조인트캡간에는 상기 요동좌대판의 요동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해주는 완충스프링이 개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spring seat is provided at the periphery of the ball joint shaf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and a buffer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wing seat plate to smoothly swing between the spring seat and the lower ball joint cap of the bottom of the swing seat plate. It is preferable to interpose.

또한, 상기 고정좌대판과 요동좌대판의 네 모서리에는 상기 회전볼에 의한 요동좌대판의 요동시 상기 고정좌대판과 요동좌대판이 서로 당겨질 수 있게 하여 그 거동을 안정시킬 수 있도록 된 완충스프링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four corners of the fixed seat plate and the swing seat plate is coupled to the shock absorbing spring to allow the fixed seat plate and the swing seat plate to be pulled to each other when the swing seat plate is rocked by the rotating ball. Is preferred.

또한, 상기 아암레스트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요동좌대판의 회전속도와, 동작시간 및 회전방향 등을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요동좌대판을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가 부착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controller for electrically controlling the rocking seatboard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armrest frame so that the rotational speed, the operation time,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cking seatboard can be changed to a desired state. Do.

도 1은 일반적인 척추 측만증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general scoliosis state.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기구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Figure 2 is an illustration showing an example of a scoliosis corr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고안 출원인에 의해 선 제안된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의 개략적인 사시도.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coliosis correction chair previously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ors.

도 4는 도 3의 선 제안 실시예에 적용된 측방 긴장벨트의 착용상태 및 좌대의 내부구조를 단면 도시한 정면도.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eat and the wearing state of the side tension belt applied to the line proposed embodiment of FIG.

도 5는 도 3의 선 제안 실시예에 적용된 전, 후방 긴장벨트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wearing state of the front, rear tension belt applied to the line proposed embodiment of FIG.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의 주요부를 도시한 것으로, 좌대를 요동시키기 위한 내부 결합구조를 단면 도시한 정면도.Figure 6 shows the main part of the scoliosis correction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view showing an internal coupling structure for swinging the base.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를 전기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제어기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troller configuration for electrically manipulating the scoliosis correction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M ; 요동수단 a ; 측만각M; Rocking means a; Side angle

1 ; 척추 2 ; 지주One ; Spine 2; landlord

2a ; 승강구동축 2b ; 의자높이조절레버2a; Elevating drive shaft 2b; Chair height adjustment lever

3 ; 지지각 4 ; 캐스터3; Support angle 4; Caster

5 ; 브레이스 6 ; 패드5; Brace 6; pad

7 ; 골반지지대 8 ; 머리고정 벨트7; Pelvic support 8; Head fastening belt

10 ; 좌대 11 ; 하판10; Base 11; Bottom plate

12, 16, 124 ; 스프링시트 13, 17 ; 볼시트12, 16, 124; Spring seats 13 and 17; Ball seat

14 ; 고정판 15 ; 상판14; Fixing plate 15; Tops

18 ; 쿠션재 19 ; 커버18; Cushion material 19; cover

20 ; 등받이 21, 41 ; 안내홈20; Backrest 21, 41; Home

22, 42 ; 확장홈 30 ; 요동부22, 42; Expansion groove 30; Rocking

31 ; 베어링볼 32, 101, 123 ; 완충스프링31; Bearing balls 32, 101, 123; Shock Spring

40, 150 ; 아암레스트 50 ; 후방 긴장벨트40, 150; Armrest 50; Rear tension belt

51 ; 걸쇠 52 ; 길이조절 클립51; Clasp 52; Adjustable clip

53 ; 버클 54 ; 연결밴드53; Buckle 54; Connection band

55 ; 슬라이딩멤버 56 ; 나비나사55; Sliding member 56; Thumbscrews

60 ; 전방 긴장벨트 70 ; 측방 긴장벨트60; Front tension belt 70; Side tension belt

100 ; 고정좌대판 102a, 102b ; 좌대판 조인트멤버100; Fixed seat plates 102a, 102b; Seat board joint member

103a, 103b ; 승강구동축 조인트멤버 104, 127 ; 보울트103a, 103b; Lifting drive shaft joint members 104, 127; Bolt

105 ; 볼조인트축 106 ; 볼조인트축 체결구105; Ball joint shaft 106; Ball Joint Shaft Fasteners

107 ; 베어링 110 ; 요동좌대107; Bearing 110; Rocking seat

111 ; 요동좌대판 120 ; 회전판111; Rocking seat plate 120; Tumbler

121 ; 보스부 122 ; 종동기어121; Boss portion 122; Driven gear

125 ; 상부 볼조인트캡 126 ; 하부 볼조인트캡125; Upper ball joint cap 126; Lower Ball Joint Cap

130 ; 구동모우터 131 ; 구동축130; Drive motor 131; driving axle

132 ; 구동기어 133 ; 타이밍벨트132; Drive gear 133; Timing belt

140 ; 회전볼 141 ; 고정캡140; Rotating ball 141; Fixed cap

151 ; 아암레스트 프레임 160 ; 제어기151; Armrest frame 160; Controller

161 ; 전원버튼 162 ; 회전속도조절노브161; Power button 162; Rotation Speed Control Knob

163 ; 디스플레이패널 164 ; 시간설정버튼163; Display panel 164; Time setting button

165 ; 구동방향전환버튼165; Drive Direction Butt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를 첨부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coliosis correction 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주요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를 도시한 것으로, 도 6은 좌대(110)를 요동시키기 위한 내부 결합구조를 단면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를 전기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제어기(160)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6 to 7 show a scoliosis correction 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ner coupling structure for rocking the seat 110,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160 for electrically manipulating the scoliosis correction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상기 도면과, 본 고안의 선 제안 실시예로 나타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는 통상적인 회전 의자의 구조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요동좌대(110)와 등받이(20)가 구비되고, 상기 요동좌대(110)의 저면부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주(2)와, 다수의 지지각(3) 및 캐스터(4)가 결합된 구성을 이루고 있다.As shown in Figure 3 and Figure 5 to the line propos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liosis correction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wing seat 110 and as shown in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rotating chair The backrest 20 is provided, and a support 2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wing seat 110 and a plurality of support angles 3 and the casters 4 are combined.

먼저,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전, 후방 및 좌우 측방 긴장벨트(60)(50)(70)에 대한 구성 및 결합구조는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기존의 등받이(20)와 아암레스트(40) 등에 형성된 안내홈(21)(41)과 버클(53) 및 그 체결구조를 단순화하여, 본 고안의 파이프형 아암레스트 프레임(151)에 상기 각 긴장벨트(60)(50)(70)를 감아서 고정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전, 후방 및 좌우 측방 긴장벨트(60)(50)(70)에 대한 근본적인 기술 사상에서 벗어나는 것이라고 볼 수 없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and coupling structure for the front, rear and left and right side tension belts 60, 50, 70 in the above configuration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the guide grooves 21 and 41 and the buckle 53 and the fastening structure formed in the existing backrest 20 and the armrest 40 and the like are simplified, and the pipe-type armrest frame 15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ch tension belt 60, 50, 70 may be fixed by winding. This is not to be seen as a departure from the fundamental technical idea of the front, rear and left and right side tension belts 60, 50, 70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주요 구성은 상기 요동좌대(110)를 어떠한 요동수단(M)으로서 거동시키며, 또한 어떠한 구성에 의해 전동식으로 작동시키느냐하는 기술적 사상을 그 요지로 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Therefore,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garded as the gist of the technical idea of how to move the swing seat 110 as a certain swing means (M), and also by which configuration to operate electrically. .

즉,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2)의 승강구동축(2a) 상부에 결합된 고정좌대판(100)상에 등받이(20)와 아암레스트(150)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좌대판(100)상에 이격 배치되어 착석시 그 사이에 개재된 요동수단(M)을 매개로 상기 고정좌대판(100)상에서 요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착석용 요동좌대판(111)이 구비되며, 상기 요동좌대판(111)상에 착석시 사용자의 몸통을 전후좌우에서 당겨 지지해줄 수 있도록 상기 등받이(20) 및 아암레스트 프레임(151)에 고정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긴장벨트(미도시)가 구비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정좌대판(100) 및 요동좌대판(111)의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좌대판(100)을 관통하여 상향 입설된 볼조인트축(105)을 중심으로 상기 요동좌대판(111)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고, 상기 요동수단(M)은 상기 볼조인트축(105)을 중심으로 별도의 구동모우터(130)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가변 회전하는 회전판(120)과, 상기 회전판(120)상의 가장자리부 일측에 돌출 고정되어 상기 요동좌대판(111)의 일측 저면을 받쳐주는 회전볼(14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룬다.That is, the scoliosis correction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backrest 20 and the armrest on the fixed seat plate 100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driving shaft (2a) of the support (2) ( 150 is fixed, the seating oscillation seat is spaced apart on the fixed seat plate 100 is coupled to be rocked on the fixed seat plate 100 via the rocking means (M) interposed therebetween when seated The plate 111 is provided, and the length is adjustable to be fixed to the backrest 20 and the armrest frame 151 so that the user's torso can be pulled from front, rear, left and right when seated on the swing seat plate 111. In the configuration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ension belts (not shown), the ball joint shaft 105 vertically penetrating through the fixed seat plate 100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fixed seat plate 100 and the swing seat plate 111 Hin to allow the swing seat 111 to move freely Is coupled, the rocking means (M) is a rotary plate (120) for variable rotation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by a separate drive motor 130 about the ball joint shaft 105, and the edge on the rotating plate 120 Protrudingly fixed to one side portion to form a configuration including a rotating ball 140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one side of the swing seat plate (111).

상기 승강구동축(2a)은 상기 볼조인트축(105)과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구동축(2a) 및 볼조인트축(105)은 상기 고정좌대판(100)의 상, 하면에 각각 적층되어 보울트(104)로써 일체로 체결되는 복수의 좌대판 조인트멤버(102a)(102b) 및 승강구동축 조인트멤버(103a)(103b)에 의해 상호 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된다.The lifting driving shaft 2a is disposed on the same line as the ball joint shaft 105, and the lifting driving shaft 2a and the ball joint shaft 105 are stack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xed seat plate 100, respectively. A plurality of seat plate joint members 102a and 102b and lifting drive shaft joint members 103a and 103b which are integrally fastened by the bolt 10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freely rotate.

이때, 상기 승강구동축(2a)의 상부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의자높이조절레버(2b)와 연결되어 상기 의자높이조절레버(2b)의 조작에 의해 유압 등의 작용으로 본 고안의 의자 전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는 통상의 의자 높이를 조절하는 구조와 다르지 않다.At this time, the upper part of the elevating drive shaft (2a) is connected to the chair height adjustment lever (2b)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height of the entire chair of the subject innovation by the action of hydraulic pressure, etc. by the operation of the chair height adjustment lever (2b) It is to be adjusted, which is not different from the structur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normal chair.

그리고, 상기 볼조인트축(105)의 하단부는 상기 좌대판 조인트멤버(102b)의 걸림턱(도면 부호 미도시)에 걸려 체결되는 볼조인트축 체결구(106)에 의해 상기 볼조인트축(105)이 고정된 구조를 이룬다.The lower end of the ball joint shaft 105 is connected to the ball joint shaft 105 by a ball joint shaft fastener 106 which is fastened to a locking jaw (not shown) of the seat plate joint member 102b. This is a fixed structure.

또한, 상기 구동모우터(130)는 그 구동축(131)이 상기 회전판(120)의 저면쪽을 향하도록 상기 고정좌대판(100)을 관통하여 상향 고정되고, 상기 구동축(131)의 상단부에는 구동기어(132)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120)은 상기 볼조인트축(105)이 관통되는 보스부(121)의 외주에 종동기어(122)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132)와 종동기어(122)간에 체결되는 타이밍벨트(133)에 의해 상기 볼조인트축(105)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판(120)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the drive motor 130 is fixed upward through the fixed seat plate 100 so that the drive shaft 131 is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120, the drive on the upper end of the drive shaft 131 Gear 132 is installed, the rotating plate 120 is a driven gear 122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ss portion 121 through which the ball joint shaft 105 penetrates the drive gear 132 and driven gear ( The rotating plate 120 is rotated about the ball joint shaft 105 by the timing belt 133 fastened between the two sides.

그리고, 상기 회전판(120)의 보스부(121)와 상기 고정좌대판(100)상의 좌대판 조인트멤버(102a)(102b)간에는 상기 회전판(120)의 회전시 간섭되지 않도록 베어링(107)을 개재하여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 bearing 107 is interposed between the boss portion 121 of the rotating plate 120 and the left plate joint members 102a and 102b on the fixed seat plate 100 so as not to interfere when the rotating plate 120 is rotated. To be supported.

한편, 상기 요동좌대판(111)의 저면쪽에는 상기 볼조인트축(105)의 볼을 수용하여 이를 상기 요동좌대판(111)에 힌지 결합시켜주는 한쌍의 상, 하부 볼조인트캡(125)(126)이 보울트(127)로써 상호 체결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a pair of upper and lower ball joint cap 125, which receives the ball of the ball joint shaft 105 on the bottom side of the swing seat plate 111 and hinges it to the swing seat plate 111 ( 126 is fastened to each other with bolts 127.

또한, 상기 회전판(120) 상면의 볼조인트축(105) 주연에는 스프링시트(124)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시트(124)와 상기 요동좌대판(111) 저면의 하부 볼조인트캡(126)간에는 상기 요동좌대판(111)의 요동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해주는 완충스프링(123)이 개재되어 있다.In addition, a spring seat 124 is provided at the periphery of the ball joint shaft 105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120, and between the spring seat 124 and the lower ball joint cap 126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wing seat plate 111. A buffer spring 123 is elastically supported to smoothly swing the swing seat plate 111.

또한, 상기 고정좌대판(100)과 요동좌대판(111)의 네 모서리에는 상기 회전볼(140)에 의한 요동좌대판(111)의 요동시 상기 고정좌대판(100)과 요동좌대판(111)이 서로 당겨질 수 있게 하여 그 거동을 안정시킬 수 있도록 된 완충스프링(101)이 결합된다.In addition, at the four corners of the fixed seat plate 100 and the swing seat plate 111, the fixed seat plate 100 and the swing seat plate 111 when the swing seat plate 111 is swung by the rotating ball 140. Shock absorbers 101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pulled together to stabilize their behavior.

상기 회전볼(140)은 고정캡(141)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회전판(120)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The rotating ball 140 is fastened to the rotating plate 120 in a rotatable state by the fixing cap 141.

한편, 상기 아암레스트 프레임(151)의 일측에는 상기 요동좌대판(111)의 회전속도와, 동작시간 및 회전방향 등을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요동좌대판(111)을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160)가 부착될 수도 있다. 도 7은 그 제어기(160) 구성의 일례로서, 상기 구동모우터(13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버튼(161), 상기 구동모우터(13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속도조절노브(162), 상기 구동모우터(130)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정·역방향 구동용의 구동방향전환버튼(165), 상기 요동좌대(110)를 원하는 시간만큼 작동시키기 위한 시간설정버튼(164) 및 그 시간의 경과정도를 육안으로 인식하기 위한 설정시간 표시용의 디스플레이패널(163)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armrest frame 15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ng seat plate 111 so that the user can change the rotational speed, the operating time and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swing seat plate 111 to a desired state A controller 160 for controlling may be attached. 7 illustrates an example of the controller 160, a power button 161 for applying power to the drive motor 130, and a rotation speed adjusting knob for adjusting a rotation speed of the drive motor 130. 162, a driving direction switching button 165 for forward and reverse driving for switch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ing motor 130, and a time setting button 164 for operating the swing seat 110 for a desired time. ) And a display panel 163 for displaying the set time for visually recognizing the elapsed time of the time.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요동좌대(110)에 앉아 사용자의 몸통에 각 긴장벨트(50)(60)(70)를 원하는 정도의 긴장상태로 체결한 후, 간편하게 제어기(160)의 버튼을 조작하기만 하면 되므로 매우 편리하다.Accordingly, the user sits on the swing seat 110 and fastens each tension belt 50, 60, 70 to the user's torso in a desired tension state, and then simply operates a button of the controller 160. This is very convenient.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는 착석 자세에서 장시간 업무를 수행할 때 지속적으로 착용한다면 상당한 척추 교정 효과를 볼 수 있다.Scoliosis orthodontic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e a significant chiropractic effect if worn continuously during long hours of work in a sitting posi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에 의하면, 척추가 좌우로 만곡되는 측만증 등과 같이 비정상적인 변형에 의해 요통 등을 수반하는 경우에 위치 및 길이 조절이 간편한 다수의 긴장벨트를 사용하여 압박이 필요한 인체의 각 부위에 긴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전후 좌우 방향에서 각각 견인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른 자세로 착석할 수 있고,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활동상의 불편함이 거의 없으며, 각종 통증을 완화 또는 제거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hair for scoliosis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ck pain is accompanied by abnormal deformation, such as scoliosis that the spine is curved left and right, using a plurality of tension belts easy to adjust the position and length This can be seated in the right posture by allowing each part of the human body to be pull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as to maintain a tension state, and can be used continuously in daily life, so there is almost no discomfort in activity, and various pains It has an excellent effect that can be alleviated or eliminate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는 좌대를 전동식으로 요동시킬 수 있으므로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In addition, scoliosis correction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anyone can use easily and simply because the seat can be electrically swinging.

Claims (8)

지주의 승강구동축 상부에 결합된 고정좌대판상에 등받이와 아암레스트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좌대판상에 이격 배치되어 착석시 그 사이에 개재된 요동수단을 매개로 상기 고정좌대판상에서 요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착석용 요동좌대판이 구비되며, 상기 요동좌대판상에 착석시 사용자의 몸통을 전후좌우에서 당겨 지지해줄 수 있도록 상기 등받이 및 아암레스트 프레임에 고정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긴장벨트가 구비된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에 있어서,The backrest and the armrest are fixed on the fixed seat plat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driving shaft of the support, and are spaced apart on the fixed seat plate to be coupled on the fixed seat plate so as to be able to swing on the fixed seat plate through the rocking means interposed therebetween. A seating oscillation seat plate is provided, and the scoliosis correc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ension belts fixed to the backrest and the armrest frame to support the user's torso in front, left and right when seated on the swing seat plate In the chair, 상기 고정좌대판 및 요동좌대판의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좌대판을 관통하여 상향 입설된 볼조인트축을 중심으로 상기 요동좌대판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고,A central portion of the fixed seat plate and the swing seat plate is hinged so that the swing seat plate can move freely about the ball joint shaft placed up through the fixed seat plate. 상기 요동수단은 상기 볼조인트축을 중심으로 별도의 구동모우터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가변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상의 가장자리부 일측에 돌출 고정되어 상기 요동좌대판의 일측 저면을 받쳐주는 회전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The swinging means may include a rotating plate that is variably rotated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by a separate drive motor about the ball joint shaft, and a rotating ball that protrudes and is fixed to one side of an edge portion of the rotating plate to support a bottom surface of one side of the swing seat plate. Scoliosis orthodontic chair, characterized in that ma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승강구동축은 상기 볼조인트축과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구동축 및 볼조인트축은 상기 고정좌대판의 상, 하면에 각각 적층되어 보울트로써 일체로 체결되는 복수의 좌대판 조인트멤버 및 승강구동축 조인트멤버에 의해 상호 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The elevating drive shaft is disposed on the same line as the ball joint shaft, the elevating drive shaft and the ball joint shaft are lamina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xed seat plate, respectively, a plurality of seat plate joint members and the elevating drive shaft joint which is integrally fastened by bolts. Scoliosis correction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mutual rotation is connected freely by the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모우터는 그 구동축이 상기 회전판의 저면쪽을 향하도록 상기 고정좌대판을 관통하여 상향 고정되고, 상기 구동축의 상단부에는 구동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은 상기 볼조인트축이 관통되는 보스부의 외주에 종동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간에 체결되는 타이밍벨트에 의해 상기 볼조인트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판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The drive motor is fixed upward through the fixed seat plate so that the drive shaft is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the drive gear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drive shaft, the rotating plate is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ss portion through which the ball joint shaft And a driven gear formed at the driving gear and the driven gear and a timing belt fastened between the driving gear and the driven gear so that the rotating plate can rotat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bout the ball joint axi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회전판과 상기 고정좌대판 간에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간섭되지 않도록 베어링을 개재하여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The chair for scoliosis cor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ed between the rotating plate and the fixed seat plate via a bearing so as not to interfere when the rotating plate rotat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요동좌대판의 저면쪽에는 상기 볼조인트축의 볼을 수용하여 이를 상기 요동좌대판에 힌지 결합시켜주는 한쌍의 상, 하부 볼조인트캡이 보울트로써 상호 체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A pair of upper and lower ball joint caps for receiving a ball of the ball joint shaft and hinged to the rocking seat plate at a bottom surface of the swing seat plate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a bolt. .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회전판 상면의 볼조인트축 주연에는 스프링시트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시트와 상기 요동좌대판 저면의 하부 볼조인트캡간에는 상기 요동좌대판의 요동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해주는 완충스프링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A spring seat is provided at the periphery of the ball joint shaf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and a buffer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wing seat plate to smoothly swing between the spring seat and the lower ball joint cap of the bottom of the swing seat plate is interposed therebetween. Scoliosis orthodontic chair,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좌대판과 요동좌대판의 네 모서리에는 상기 회전볼에 의한 요동좌대판의 요동시 상기 고정좌대판과 요동좌대판이 서로 당겨질 수 있게 하여 그 거동을 안정시킬 수 있도록 된 완충스프링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The four corners of the fixed seat plate and the rocking seat plate are coupled to a buffer spring which allows the fixed seat plate and the rocking seat plate to be pulled to each other when the rocking seat plate is rocked by the rotating ball. Scoliosis orthodontic chair characterized i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아암레스트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요동좌대판의 회전속도와, 동작시간 및 회전방향 등을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요동좌대판을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One side of the armrest frame is equipped with a controller for electrically controlling the swing seat plate to change the rotational speed, the operating time and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swing seat plate to a desired state Scoliosis correction chair.
KR2020010038476U 2001-12-13 2001-12-13 Chair for keeping good posture without spinal deformity such as scoliosis KR20026815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476U KR200268150Y1 (en) 2001-12-13 2001-12-13 Chair for keeping good posture without spinal deformity such as scolio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476U KR200268150Y1 (en) 2001-12-13 2001-12-13 Chair for keeping good posture without spinal deformity such as scoliosi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150Y1 true KR200268150Y1 (en) 2002-03-15

Family

ID=73114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476U KR200268150Y1 (en) 2001-12-13 2001-12-13 Chair for keeping good posture without spinal deformity such as scoliosi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150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832B1 (en) * 2002-12-06 2005-06-28 유길상 Spinal curvature corrector's fixture
KR100814791B1 (en) 2006-09-22 2008-03-19 안재홍 Chiropractic device
KR20230009550A (en) * 2021-07-09 2023-01-17 이인옥 Safety workbench installation ladder for railroad industr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832B1 (en) * 2002-12-06 2005-06-28 유길상 Spinal curvature corrector's fixture
KR100814791B1 (en) 2006-09-22 2008-03-19 안재홍 Chiropractic device
KR20230009550A (en) * 2021-07-09 2023-01-17 이인옥 Safety workbench installation ladder for railroad industry
KR102542724B1 (en) 2021-07-09 2023-06-12 이인옥 Safety workbench installation ladder for railroad indust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7702A (en) Adjustable patient corrective support apparatus
JP2004508891A (en) Chair for correcting vertebral misalignment and method for correcting vertebral misalignment with the chair
KR20090102595A (en) Improved spinal manipulation apparatus
US20170027800A1 (en) Spinal Therapy Apparatus
JPS63503287A (en) Recumbent or seated elements
CN109259914A (en) A kind of spinal surgery apparatus for correcting
KR100420965B1 (en) A chair for rectifing the spine
CN118900650A (en) Posture correction and lumbar traction functional chair
KR101214848B1 (en) Chair for the posture correction
KR20090055662A (en) Chiropractic device by weight traction method
KR200268150Y1 (en) Chair for keeping good posture without spinal deformity such as scoliosis
KR100749454B1 (en) Spinal and Neck Disc Correction Device
KR100367074B1 (en) Chair for keeping good posture without spinal deformity such as scoliosis
KR101102892B1 (en) Spinal and skeletal anchorage
ES2310594T3 (en) EXERCISE AND SUBJECT DEVICE.
JP3229852B2 (en) Device for treatment or prevention of back pain
CN209966688U (en) Scoliosis correction device
KR101102894B1 (en) Spine and skeletal fixation chair
JP2000210318A (en) Instrument for treating low back pain
CN114469676A (en) Spinal column auxiliary treatment device for spinal column surgery
KR200216071Y1 (en) Chair for keeping good posture without spinal deformity such as scoliosis
KR200270422Y1 (en) A chair for rectifing the spine
WO1989010732A1 (en) Apparatus for curing lumbago with air bag
KR200270421Y1 (en) A chair for rectifing the spine
CN114522061B (en) Therapeutic instrument for vertebra corr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121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3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12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0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5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2092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