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454B1 - Spinal and Neck Disc Correction Device - Google Patents
Spinal and Neck Disc Correc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9454B1 KR100749454B1 KR1020060087538A KR20060087538A KR100749454B1 KR 100749454 B1 KR100749454 B1 KR 100749454B1 KR 1020060087538 A KR1020060087538 A KR 1020060087538A KR 20060087538 A KR20060087538 A KR 20060087538A KR 100749454 B1 KR100749454 B1 KR 1007494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device
- housing
- head
- spine
- sp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2—Traction tab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5—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contoured to fit the us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Nur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 및 목디스크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고 척추 및 목의 자세를 교정하여 요통이나, 디스크 등을 스스로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척추 및 목디스크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inal and neck disc orthodontic device, and to a spine and neck disc orthodontic device that can directly treat or prevent low back pain or discs by correcting the posture of the spine and neck with little time and cost,
인체의 골반과 허리 및 머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가 라운드진 형상이고 하부면이 지면에 고정되도록 평평한 형태를 이루는 측면이 대략 반구형 형태를 이루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 중심축에 척추의 추골을 고정하는 내측홈이 형성되며 윗쪽으로 볼록한 라운드진 일자형태의 척추라인 고정장치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위쪽에 설치되며 머리를 고정하고 목과 머리사이의 길이를 조절하는 바가지 형태의 머리 고정장치와, 상기 머리 고정장치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척추라인 고정장치를 따라서 이동하는 일자형 막대 형태의 목 지지장치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중간에 설치되며 허리의 양측에 밀착되는 라운드진 패널형태로서 척추를 고정하는 척추 고정장치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아래쪽에 설치되는 라운드진 패널 형상으로 엉덩이부분을 밀착하여 골반부위를 고정하는 골반 고정장치를 결합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The upper side is rounded to fix the pelvis, the waist and the head of the human body, and has a housing having a substantially hemispherical side surface having a flat shape so that the lower surface is fixed to the ground, and the upper central axis of the housing An inner groove is formed to fix the vertebrae and a convex upwardly shaped round spine line device is installed,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and a gourd head fixation device which fixes the head and adjusts the length between the neck and the head. A neck support device in the form of a straight rod is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head fixing device and moves along the spine line fixing device, and the spine is fixed in the form of a round panel installed at the upper middle of the housing and close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waist. A spinal fixation device, and a rounded panel shape installed below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uttocks combining pelvic holding device for fixing the pelvis to the yirueojim is characterize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장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장치 평면도.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inter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4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하우징100: housing
200: 척추라인 고정장치200: spinal line fixing device
300: 머리 고정장치300: head fixture
400: 척추 고정장치400: spinal fixture
500: 골반 고정장치
600: 목 지지장치500: pelvic fixation device
600: neck support device
본 발명은 척추 및 목디스크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고 척추 및 목의 자세를 교정하여 요통이나, 디스크 등을 스스로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척추 및 목디스크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inal and neck disc orthodontic device, and to a spine and neck disc orthodontic device that can directly treat or prevent low back pain or discs by correcting the posture of the spine and neck with little time and cost.
이미 척추의 변형으로 인하여 변위된 골격을 정상화 시켜 골반의 변위(비틀림)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한 척추 교정기로, 인체에 있어서 척추는 가장 중요한 지지축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 척추가 완만한 'S'자 형태로 유지될 수 있게 자세를 잡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하지만 책걸상에 앉아서, 혹은 운전 등을 할 때와 같이 다양한 일상생활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이상적인 자세를 의식적으로 유지한다는 것은 사실 어려운 일이다. The spine brace is designed to correct the displacement (torsion) of the pelvis by normalizing the skeleton that has already been displaced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spine. The spine is the most important support axis in the human body. Ideally, position yourself so that you stay in shape. However, it is actually difficult to consciously maintain such ideal posture in various everyday life situations, such as sitting on a bookshelf or driving.
따라서 무거운 것을 잘못 들거나, 생활하는 자세에 문제가 있어서 어깨가 한쪽으로 처지거나 장시간 허리를 구부린 상태로 업무를 보는 등의 원인에 의해 인체의 근육이나 뼈, 관절들이 정상 위치에서 벗어나 어긋나게 되면 뼈를 둘러싸고 있는 혈관이나 인대, 근육, 신경 등이 정상적으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어 통증을 일으키게 되고, 허리에는 추간판이 한쪽으로 밀려 나오면서 디스크(추간판 탈출증)등의 척추질환을 유발하게 되는데, 현대문명의 고도화로 인하여 다양한 직종 가운데, 동일한 자세로 장시간 일을 하거나, 또는 학업, 오락 등을 하는 관계로 이러한 질병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만 가고 있다. Therefore, if a person's muscles, bones, or joints are out of the normal position due to a heavy lifting or a problem with their posture, their shoulders are bent to one side or their work is being bent for a long time, they surround the bones. The blood vessels, ligaments, muscles, nerves, etc. do not function normally, causing pain, and the intervertebral disc is pushed to one side and causes spinal diseases such as disc (intervertebral disc herniation). There are a growing number of people who are complaining about these diseases because of long-term work in the same posture, or because of their studies and entertainment.
척추는 24개의 추골로 구성되어 있고, 뇌척수신경이 척추를 통과하며 개개의 추골사이에는 추골연골로 연결되어 있어 활동하기 편리하게 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추골과 추골사이의 추간공을 통하여 뇌척수신경이 나와 각 조직이나 기관에 연결되어 신경에너지를 전달하고 통제하고 관리한다. The spine is composed of 24 vertebrae, the cerebrospinal nerves pass through the vertebrae, and between the vertebrae are connected to the vertebral cartilage, making it easy to work. In addition, the cerebrospinal nerve comes out through the intervertebral cavity between the vertebrae and the vertebrae and is connected to each tissue or organ to transmit, control and manage nerve energy.
척추는 여러 가지 구조물들이 모여 상체의 체중을 버티는 인체의 대들보 역 할을 한다. 또 구부렸다 펴는 운동으로 상하지와 더불어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관절 역활을 하며, 중추신경인 척수와 말초신경의 신경근의 통로 역할은 물론, 생존을 위해 우리 몸에 꼭 필요한 무기질인 칼슘의 저장고 역할도 한다. The spine acts as a girder for the human body, where various structures gather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upper body. In addition to flexing and stretching the upper and lower limbs and various tasks to play a role, as well as the central nervous system of the spinal cord and peripheral nerves as a pathway, as well as a reservoir of calcium, which is essential for our body to survive.
정상적으로 척추는 옆에서 보았을 때 완만한 S자 모양으로 굴곡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신체의 운동역학적인 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척추의 구성은 위로부터 7개의 경추, 12개의 흉추, 5개의 요추, 그리고 엉덩이 부위의 천추 및 미추로 이루어져 있다.Normally, the spine is curved in a gentle S-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which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kinematics of the body. The spine consists of seven cervical vertebrae, 12 thoracic vertebrae, 5 lumbar vertebrae, and sacrum and lumbar vertebrae from hip area.
전 국민의 80%가 허리디스크나 요통을 경험하게 된다고 학계에서 보고 다. 이런 질병을 예방하는 것은 어려서부터 자세를 바르게 갖는 교육을 시키고 습관화 하도록 해야 한다.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습관은 항상 허리를 똑바로 세우고 어깨와 가슴을 펴는 연습을 한다. 사람의 몸은 일반적으로 좌우가 균형을 이루고 있다.Academics report that 80% of all Koreans have a lower back or lower back pain. Preventing these diseases should be educated and habituated from an early age. The habit of maintaining a good posture is to always practice keeping your back straight and stretching your shoulders and chest. The human body is generally balanced left and right.
그러나 바르지 못한 자세로 장시간 서 있거나 앉아 있거나 누워 있으면 불안전한 자세로 인하여 통증을 느끼게 된다. 그러한 습관으로 말미암아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골반이 틀어지고, 양다리의 길이가 달라져 불균형한 체형으로 변화된다. 여성들은 습관적으로 다리를 꼬고 앉는 경우가 많다. 이런 자세 또한 허리가 굵어지고 좌우 골반이 비뚤어지게 하며 점차적으로 척추를 비틀리게 만든다. However, if you are standing, sitting or lying down for a long time in an incorrect position, you may feel pain due to an unsafe position. By such a habit, the pelvis is distorted without knowing oneself, and the length of both legs is changed, resulting in an unbalanced body shape. Women habitually cross their legs. This posture also makes the waist thicker, skews the left and right pelvis, and gradually twists the spine.
휘어진 척추는 다리에 무리를 주고 하체비만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생식기 질환이나 방광, 장의 기능을 약화시켜 질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잠자는 자세가 중요한데 항상 한쪽으로만 누워 잔다거나, 앉은 자세가 바르지 못하거나 하면 골반이 틀어지고 척추가 변위된다. 일상생활을 하는 데 있어 다리에 무 리를 주고 피곤함을 가중시킨다. 척추는 인체의 중심기둥이다.The curved spine can strain the legs and cause only lower body weight. In addition, genital diseases, bladder, bowel function weakens the disease can also cause. Sleeping position is important, but if you lie down on one side and sleep, or the sitting position is not correct, the pelvis is distorted and the spine is displaced. In everyday life, it gives more weight to the legs and increases tiredness. The spine is the central pillar of the human body.
모든 근육, 장기, 내분비기관 까지 뇌척수신경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한군데라도 고장나면 온몸이 망가질 수 있으므로 소중하게 잘 보호해야 하는 부위이다. 척추가 중요한 이유는 요통을 비롯한 다양한 통증과 함께 다른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척추 뼈가 굽을 경우 장기가 압박을 받으며, 척추신경에 장애를 주면 오장육부에 이상이 올 수 있다.Because the cerebrospinal nerve is connected to all muscles, organs, and endocrine organs, if one of them breaks down, the whole body can be damaged, so it is important to protect it. The spine is important because it can cause a variety of pains, including back pain, as well as other causes. When the vertebral bones are bent, organs are compressed, and when the spinal nerves are impaired, abnormalities may occur in the five intestines.
그러나 이러한 디스크와 같은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물리치료, 교정치료, 수술 등으로 치료를 하지만, 재발할 소지는 그대로 있는 것이다. 즉, 변위된 원인을 제거하지 않기 때문에 재발하는 문제가 생긴 것이다.However, as a method of treating diseases such as disks, physical therapy, orthodontic treatment, and surgery are treated, but the possibility of recurrence is intact. That is, the problem recurs because the cause of displacement is not remov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집에서 간단히 척추 및 목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 또한 신체의 크기에 따라서 자유롭게 길이를 조절토록 하여 남녀노소가 폭넓게 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device that can easily correct the posture of the spine and neck at home, and also to freely adjust the length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ody device for a wide range of sexes The purpose is to make it availab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은 인체의 골반과 허리 및 머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가 라운드진 형상이고 하부면이 지면에 고정되도록 평평한 형태를 이루는 측면이 대략 반구형 형태를 이루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 중심축에 척추의 추골을 고정하는 내측홈이 형성되며 윗쪽으로 볼록한 라운드진 일자형태의 척추라인 고정장치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위쪽에 설치되며 머리를 고정하고 목과 머리사이의 길이를 조절하는 바가지 형태의 머리 고정장치와, 상기 머리 고정장치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척추라인 고정장치를 따라서 이동하는 일자형 막대 형태의 목 지지장치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중간에 설치되며 허리의 양측에 밀착되는 라운드진 패널형태로서 척추를 고정하는 척추 고정장치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아래쪽에 설치되는 라운드진 패널 형상으로 엉덩이부분을 밀착하여 골반부위를 고정하는 골반 고정장치를 결합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using having a rounded shape at the top so as to fix the pelvis, the waist, and the head of the human body, and a flat surface having a flat shape such that the lower surface is fixed to the ground, and having a housing having a substantially hemispherical shape. An inner groove for fixing the vertebrae of the vertebra is formed at the upper convex round spine line fixing device,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and the head of the gourd shape for fixing the head and adjusting the length between the neck and the head. A fastening device, a straight rod-shaped neck support device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head fixing device and moving along the spine line fixing device, and a rounded panel form installed in the upper middle of the housing and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waist. Spinal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spine, and rounded panel type installed on the upper lower part of the housing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the pelvic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pelvis by closely contacting the hips.
또한, 상기 척추라인 고정장치는 하부에 마름모 형태의 재키와 연결되고, 상기 재키에는 볼스크류와 손잡이가 결합되어 있어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마름모 형태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척추라인 고정장치를 상부로 들어 올리거나 하부로 내리는 유동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spinal line fix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rhombus-shaped jackie, the jackie is coupled to the ball screw and the handle is rotated by the handle to expand or fold the rhombus shape to lift the spine line fixing device to the top or It further comprises a flow structure falling to the bottom.
또한, 상기 머리 고정장치는 하우징의 상부면에서 수평하게 거리조절이 가능토록, 하부에 가이드 장치를 설치하고, 가이드 장치에 너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너트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볼 스크류 및, 볼 스크류 끝단에 연결되는 손잡이를 구비하여, 상기 손잡이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이드 장치를 이동하여 머리 고정장치를 유동하는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head fixing device so that the distance can be adjusted horizont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guide device is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a nut part is formed in the guide device, the ball screw and the ball screw end slidingly coupled to the nut part, With a handle connected to th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ructure for flowing the head fixing device to move the guide device by rotating the handl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또한, 상기 척추 고정장치는, 하단부에 제 1 가이드 장치를 결합하고 상단부에 제 2 가이드 장치를 결합하며, 상기 제 1 가이드 장치와 제 2 가이드 장치는 각각 볼 스크류 및 손잡이를 결합하여, 상기 손잡이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 1 가이드 장치 및 제 2 가이드 장치를 이동하여 척추고정장치를 유 동하는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spinal fixing device is coupled to the first guide device to the lower end and the second guide device to the upper end, the first guide device and the second guide device is coupled to the ball screw and the handle, respectively, the hand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ructure for moving the spinal fixing device by moving the first guide device and the second guide device by rotating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또한, 상기 골반 고정장치는, 하부로 가이드 장치가 연결되고 가이드 장치는 볼 스크류 및 손잡이를 결합하여 상기 볼 스크류를 손잡이로 회전시켜 골반 고정장치를 전후진 시키는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pelvic fixing device, the guide device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ructure for combining the ball screw and the handle to rotate the ball screw with the handle to advance the pelvic fixing device back and forth.
또한, 상기 볼 스크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사선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ball screw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eads are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about the central axis.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장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장치 평면도.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inter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로서,4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크게 인체의 골반과 허리 및 머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가 라운드진 형상이고 하부면이 지면에 고정되도록 평평한 형태를 이루는 측면이 대략 반구형 호형태를 이루는 하우징(100)을 구비하고,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 중심축에 척추의 추골을 고정하는 척추라인 고정장치(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 위쪽에 머리를 고정하고 목과 머리사이의 길이를 조절하는 머리 고정 구조물을 갖는 머리 고정장치(300)와, 척추를 하우징(100)의 중간지점에 고정하고 허리가 중앙으로 밀착되도록 압박하는 라운드진 패널을 구비한 척추 고정장치(400)와, 골반부위를 하우징의 아랫쪽에 고정하고 엉덩이가 중앙부분으로 밀착되도록 압박하는 패널을 구비한 골반 고정장치(500)를 결합하여 이루어진다.Spinal
참고로 위치선정은 도 4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따라서 머리 고정장치(300)는 하우징(100)의 상부 위쪽에, 그리고 척추 고정장치(400)는 하우징(100)의 상부 중간지점에, 그리고 골반 고정장치(500)는 하우징(100)의 상부 아랫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낸다.For reference, the positioning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so that the
상기 척추라인 고정장치(200)는 하우징(100)의 상부 중심축상에 설치되며, 측면이 라운드진 상태이며 내측에 추골 지지홈(210)이 형성된 길이가 긴 일자형 바(bar) 형태이며, 하우징(100)의 라운드진 형태와 동일한 각도로 라운드져 있고, 내측의 추골 지지홈(210)은 약 2 - 4cm 정도로 척추의 추골의 너비에 상응하며 척추의 추골을 내측의 홈(21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부쪽으로 들어올려 정렬되도록 함으로서 척추의 추골이 바른자세로 정렬되도록 한다.The spine
또한, 상기 척추라인 고정장치(200)는 상하부로 유동시킬 수 있는 작동구조를 부가 설치하고 있는바, 척추라인 고정장치(200)의 하부에는 마름모 형태의 재키(220)와 연결되고, 상기 재키(220)에는 볼스크류(230)와 연결링크(250) 및 손잡이(240)가 결합되어 있어 손잡이(240)를 회전시키면 연결링크(250) 및 볼스크류(230)가 회전되어 마름모 형태의 재키(220)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척추라인 고정장치(200)를 상부로 들어 올리거나 하부로 내리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pinal
상기 머리 고정장치(300)는 하우징(100)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며 머리를 감쌓안은 바가지 형태이고, 그 하부면은 가이드 장치(310)와 연결되고, 가이드 장치(310)에 볼 스크류(320) 및 손잡이(330)가 연결되어 손잡이(33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머리 고정장치(300)를 수평하게 상하로 유동시키는 구조이다.The
그리고, 머리 고정장치(300)의 하단에는 목 지지장치(600)이 힌지 결합된 상태로 부가 설치되어 있어서 머리 고정장치(300)의 유동에 상응하여 유동하며 사용자가 머리를 머리 고정장치에 고정시 목 지지장치(600)이 목 부분을 지지하여 편안하게 누울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상기 척추 고정장치(400)는 하우징(100)의 중간부에 양측에 설치되어 척추가 위치하는 허리를 양쪽에서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라운드진 패널 형태이며, 척추가 하우징(100)의 중간부분에 완전 밀착되도록 허리를 양쪽에서 압박하는 구조이다.The
또한, 하부로 가이드 장치(410)가 연결되고 가이드 장치(410)는 너트부(420)를 통하여 볼 스크류(430)에 의해서 양단이 결합되며, 볼 스크류 일단(430)에 설치 된 손잡이(44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이드 장치(410)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사용자의 허리에 맞게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척추 고정장치(400)에는 2개의 가이드 장치가 장착되는바, 인체의 허리에 굴곡이 있으므로 상기 2개의 가이드 장치를 적절히 조절하여 척추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패널이 인체의 허리에 완전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Two guide devices are mounted on the
제 1 가이드 장치(410)는 척추 고정장치(400)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제 2 가이드 장치(410a)는 척추 고정장치(400)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각각 가이드 홈(10)을 따라서 유동하면서 사용자의 허리에 맞도록 척추고정장치의 각도를 조절토록 한다.The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 장치(410)와 제 2 가이드 장치(420)에는 볼 스크류(430) 및 손잡이(440)가 결합되어 있어 허리의 밀착강도를 조절한다.The
상기 골반 고정장치(500)는 하우징(100)의 하단부 양측에 설치되어 골반이 위치하는 엉덩이를 양쪽에서 밀착시켜주는 라운드진 형태이며, 하부로 가이드 장치(510)가 연결되고 가이드 장치(510)는 너트부(520)를 통해 볼 스크류(530)가 끼움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볼 스크류(530)를 손잡이(540)로 회전시켜 골반 고정장치(500)를 전후진 시킨다.The
상기 척추 고정장치(400) 및 골반 고정장치(500)에 사용되는 볼 스크류(430, 530)의 나사선 방향은 좌우측이 정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바, 이는 볼 스크류(430, 530) 외주연에 결합되는 너트부(420, 520)가 손잡이(440, 540)를 회전시키면 볼 스크류(430, 530)의 가운데 일지점을 기준으로 동시에 전진 및 후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threaded direction of the ball screws 430 and 530 used in the
즉, 손잡이(440, 5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 스크류(430, 530)의 가운데 지점을 중심으로 동일한 피치로 전진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볼 스크류의 가운데 지점을 중심으로 동일한 피치로 후진한다.That is, when the
따라서, 사용자를 하우징의 상부면에 눕히고 척추 고정장치(400) 및 골반 고정장치(500의 손잡이(440, 540)를 회전하게 되면 하우징(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동일한 피치만큼 고정장치가 위치하게 되어 신체를 하우징(100)의 중심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인체는 척추라인 고정장치(200)에 정확하게 안착이 되어 자세교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user li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rotates the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척추 및 목 디스크 교정장치는 하부가 지면에 밀착되고 상부가 볼록하게 라운드진 하우징(100)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100)에는 척추라인 고정장치(200)와, 머리 고정장치(300)와, 척추 고정장치(400)와 골반 고정장치(500)가 설치되며, 아울러 척추라인 고정장치(200)의 가이드장치(210)와, 머리 고정장치의 가이드 장치(310)와, 척추 고정장치 가이드 장치(410)와, 골반 고정장치 가이드 장치(51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Spinal and neck disc orthodont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또한, 상기 머리 고정장치(300)의 가이드장치(310)의 조정 손잡이(330)는 하우징(100)의 상부쪽이 설치되어 있고, 척추라인 고정장치(200)의 가이드 장치(210)와, 척추 고정장치(400)의 가이드 장치(410)와 골반 고정장치(500)의 가이드 장치(510)의 조정 손잡이(330, 440, 540)는 하우징(100)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먼저, 사용자가 하우징(100)의 상부면에 눕게 되면 허리를 편안하게 누윈 상태에서 척추라인 고정장치(200)에 척추를 정렬시키고 머리 고정장치(300)를 유동시켜 편안하게 머리를 고정시키도록 한다. 키가 큰 경우에는 손잡이(330)로 볼 스크류(32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머리 고정장치가 위로 더 올라가도록 조정하고, 키가 작은 경우에는 볼 스크류(3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머리 고정장치(300)가 아래로 더 내려가도록 조정하여 사용자가 편안하게 머리를 지지한 상태에서 누을 수 있도록 한다.First, when the user is ly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이때 목 지지장치(600)가 머리 고정장치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머리 고정장치(300)에 머리를 지지시킬때 목도 자연스럽게 고정된다.At this time, since the
이후, 상기 척추 고정장치(400)에 연결된 제 1 가이드장치(410)와 제 2 가이드 장치(410a)를 각각 유동시켜 사용자의 허리 양측에서 죄어주도록 하며, 이때 제 1 가이드 장치(410)의 조정 손잡이(440)와 제 2 가이드 장치(410a)의 조정 손잡이(440a)를 적절히 조절하여 볼 스크류(430, 430a)의 회동을 제한함으로서 사용자의 허리를 정확하게 지지토록 한다.Subsequently, the
또한, 본 발명의 척추 고정장치(400)의 볼 스크류(430, 430a)는 중심점을 중심으로 나사산의 방향이 다르게 설치되어 있어 동일한 피치로 움직이기 때문에 척추가 옆으로 비틀어진 경우에도 하우징(100)의 정중앙으로 사용자의 척추를 고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ball screw (430, 430a) of the
이후, 상기 골반 고정장치(500)에 연결된 가이드 장치(510)의 조정 손잡이(540)를 회전시켜 사용자의 엉덩이 양측을 죄어주도록 하며, 이때 척추 고정장 치(400)의 볼 스크류(430, 430a)와 동일하게 중심점을 중심으로 양측의 나사선의 방향이 다르게 설치되어 있어 동일한 피치로 움직이므로 엉덩이를 하우징의 정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다.Thereafter, by rotating the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하우징(100)의 정중앙에 위치하게 되면 척추라인 고정장치(200)의 조정 손잡이(240)를 움직여 볼 스크류(230)를 작동시킴으로서 재키(220)가 상승 또는 하강하므로 사용자의 척추의 추골이 척추라인 고정장치(200)의 추골 지지홈(210)에 완벽하게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Lastly, when the user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즉, 척추라인 고정장치(200)의 손잡이(240)를 회전시키도록 하며, 재키(220)가 상하로 유동되어 사용자의 척추라인이 척추라인 고정장치(200)에 올바르게 정렬된다.That is, the
결국, 본 발명은 간단한 교정장치를 이용하여 목 디스크 및 허리 디스크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고, 아직 디스크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미연에 디스크를 예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alleviate the neck disk and waist disk by using a simple orthodontic device, even if the disk does not occur yet can prevent the disk in advan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집에서 간단히 척추 및 목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 또한 신체의 크기에 따라서 자유롭게 길이를 조절토록 하여 남녀노소가 폭넓게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that can easily correct the posture of the spine and neck at home, and also provides an effect that a wide range of devices can be used by men and women of all ages by freely adjusting the length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ody. .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 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mentioned above, other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7538A KR100749454B1 (en) | 2006-09-11 | 2006-09-11 | Spinal and Neck Disc Correc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7538A KR100749454B1 (en) | 2006-09-11 | 2006-09-11 | Spinal and Neck Disc Correction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49454B1 true KR100749454B1 (en) | 2007-08-14 |
Family
ID=38602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87538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9454B1 (en) | 2006-09-11 | 2006-09-11 | Spinal and Neck Disc Correction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49454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5198B1 (en) | 2011-03-17 | 2013-02-20 | 김성우 | The apparatus for stretching of discus type |
KR101625974B1 (en) | 2014-10-22 | 2016-05-31 | 한성규 | Sleeping supporting apparatus |
KR20160093231A (en) | 2015-01-29 | 2016-08-08 | (주)엠케이산업 | The backbone correction apparatus using a 3D scanner and 3D printer |
CN110200778A (en) * | 2019-06-27 | 2019-09-06 | 河南省中医院(河南中医药大学第二附属医院) | spinal radian adjusting device |
CN118203465A (en) * | 2024-04-25 | 2024-06-18 | 科至达(北京)信息技术有限公司 | A fixation device for cervical vertebrae used in orthopedics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23525U (en) | 1979-07-30 | 1981-03-03 | ||
KR200263428Y1 (en) | 2001-10-25 | 2002-02-04 | 김명수 | Spine correction apparatus |
KR200305903Y1 (en) | 2002-12-06 | 2003-03-03 | 유길상 | Spinal curvature corrector |
KR200314470Y1 (en) | 2003-03-03 | 2003-05-28 | 정철웅 | Backbone Correct Instrument. |
KR20040072242A (en) * | 2003-02-10 | 2004-08-18 | (주)글로벌엔지니어링 | Device for correction vertebra having massage and calefactive cure ability, and method for control functioning of the same |
-
2006
- 2006-09-11 KR KR1020060087538A patent/KR10074945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23525U (en) | 1979-07-30 | 1981-03-03 | ||
KR200263428Y1 (en) | 2001-10-25 | 2002-02-04 | 김명수 | Spine correction apparatus |
KR200305903Y1 (en) | 2002-12-06 | 2003-03-03 | 유길상 | Spinal curvature corrector |
KR20040072242A (en) * | 2003-02-10 | 2004-08-18 | (주)글로벌엔지니어링 | Device for correction vertebra having massage and calefactive cure ability, and method for control functioning of the same |
KR200314470Y1 (en) | 2003-03-03 | 2003-05-28 | 정철웅 | Backbone Correct Instrument.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5198B1 (en) | 2011-03-17 | 2013-02-20 | 김성우 | The apparatus for stretching of discus type |
KR101625974B1 (en) | 2014-10-22 | 2016-05-31 | 한성규 | Sleeping supporting apparatus |
KR20160093231A (en) | 2015-01-29 | 2016-08-08 | (주)엠케이산업 | The backbone correction apparatus using a 3D scanner and 3D printer |
CN110200778A (en) * | 2019-06-27 | 2019-09-06 | 河南省中医院(河南中医药大学第二附属医院) | spinal radian adjusting device |
CN110200778B (en) * | 2019-06-27 | 2021-02-12 | 河南省中医院(河南中医药大学第二附属医院) | Spinal radian adjusting device |
CN118203465A (en) * | 2024-04-25 | 2024-06-18 | 科至达(北京)信息技术有限公司 | A fixation device for cervical vertebrae used in orthopedic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139124B2 (en) | Restraint, relocation, towing, exercise equipment | |
KR20090102595A (en) | Improved spinal manipulation apparatus | |
KR20080006337A (en) | Orthodontic bed | |
JP2005516709A (en) | Stool device | |
CN106264827B (en) | A kind of human body unfolds pulling equipment | |
US20170027800A1 (en) | Spinal Therapy Apparatus | |
KR100749454B1 (en) | Spinal and Neck Disc Correction Device | |
CN109259914A (en) | A kind of spinal surgery apparatus for correcting | |
CN210843673U (en) | Spinal surgery orthotic devices | |
CN2827141Y (en) | Chair with comfortable back | |
KR101849884B1 (en) | Appratus for correcting backbone | |
KR200428734Y1 (en) | Orthodontic bed | |
US11911332B2 (en) | Passive spine elongation device | |
JPH09117464A (en) | Lumbago therapeutic device | |
CN206543220U (en) | A kind of human body unfolds pulling equipment | |
JP3229852B2 (en) | Device for treatment or prevention of back pain | |
KR20140013748A (en) | Spinal adjustment system using chain lift | |
CN114522061B (en) | Therapeutic instrument for vertebra correction | |
TWI843680B (en) | Ankle frame automatic buckle device | |
KR200220097Y1 (en) | Chair | |
JPH0292353A (en) | Rib correction apparatus | |
KR200268150Y1 (en) | Chair for keeping good posture without spinal deformity such as scoliosis | |
KR102763085B1 (en) | Multifunctional cervical support device | |
KR102577401B1 (en) | Rehabilitation equipment for spine and knee | |
KR102737906B1 (en) | Goldfish exercis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9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8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7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7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1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1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4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3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2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