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64142Y1 - 냉온수기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냉온수기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142Y1
KR200264142Y1 KR2020010034021U KR20010034021U KR200264142Y1 KR 200264142 Y1 KR200264142 Y1 KR 200264142Y1 KR 2020010034021 U KR2020010034021 U KR 2020010034021U KR 20010034021 U KR20010034021 U KR 20010034021U KR 200264142 Y1 KR200264142 Y1 KR 2002641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hot water
wall
ho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길
Original Assignee
박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길 filed Critical 박명길
Priority to KR2020010034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1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1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142Y1/ko

Link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 및 세면대 벽면에 냉온수기를 용이하게 설치시공 할 수 있도록 한 냉온수기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송관과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되는 한쌍의 니플을 형성하며, 상기 니플이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 고정플레이트를 벽면에 설치고정하여 냉온수가 이송되는 각각의 냉수 및 온수 이송관이 규격화된 냉온수 조절기에 형성된 한쌍의 체결구 간의 간격과 일치하여 정확하게 냉온수 조절기가 벽면에 설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벽면에 내설되는 이송관과 이를 연결하는 니플이 원터식으로 체결되므로서 시공이 간편하며 이에 따른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한 냉온수기 설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온수기 설치장치{An establish installation of hot and cool machine}
본 고안은 싱크대 및 세면대 벽면에 냉온수기를 용이하게 설치시공 할 수 있도록 한 냉온수기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일러나 온수기로 부터 연장 형성되며 벽면으로 내설된 파이프관과 벽면 외부로 상기 파이프관과 결합되는 냉온수기 조절기를 연결하는 연결구로 원터치식 니플(nipple)을 이용하여 간편하며 정확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인해 시공에 따른 노동력과 시공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도록한 냉온수기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주택이나 건축물의 화장실이나 부엌의 싱크내나 세면대 벽면으로는 냉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온수 조절기를 설치하여 보일러 및 수도관으로 부터 공급되는 온수 및 냉수를 상기 냉온수 조절기를 통해 공급되는 냉온수간에 적정의 흐름양을 제어하여 적정온도의 온수를 배출토록 하므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적정온도의 물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냉온수 조절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도관으로 부터 공급되는 냉수를 이송하는 냉수 이송관과 연결되는 냉수체결구와 보일러와 같은 난방기구로 부터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이송관과 연결되는 온수체결구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각각의 이송관과 냉온수 조절기의 한쌍의 체결구는 니플(nipple)과 같은 연결관를 통하여 각각 체결된다. 여기서 부재번호 10은 니플을, 20은 냉온수 조절기, 21,21'는 체결구, 30,30'는 냉온수 이송관을 각각 가리킨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일러 및 수도관으로 부터 공급되는 온수 및 냉수는 보일러 및 수도관으로 부터 관체결되어 연장형성된 한쌍의 이송관을 통해 공급되어 지되 이러한 파이프관은 벽면의 외관을 해치지 않게 하기 위해 벽면으로 내설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같이 벽면으로 내설되어지는 이송관은 냉온수 조절기를 착설할 위치에서 니플과 체결된 상태로 시멘트 시공을 통하여 벽면으로 고정내설되되, 상기 니플의 일측이 파이프관과 결합된 상태로 벽면으로 내설되며 타측은 벽면 외부로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벽면외부로 돌출된 한쌍의 니플 타측에 냉온수 조절기에 형성된 한쌍의 냉온수 체결구을 각각 체결하므로서 벽면으로 냉온수 조절기를 부착 고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이와 체결된 파이프관을 통해 냉온수를 공급 받을 수 있도록 시공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벽면으로 일측이 내설 고정된 한쌍의 니플에 냉온수 조절기를 체결함에 있어서, 만약 벽면으로 돌출된 한쌍의 니플과 냉온수 조절기의 냉수, 온수 체결구 간에 간격이 일치하지 않으면 냉온수 조절기와 한쌍의 니플간의 체결이 수월하지 못해 시공에 상당한 애로사항이 있었으며, 상기 간격에 따른 오차가 더욱 클 경우에는 벽면을 다시 뜯어내어 냉온수 조절기에 형성된 각각의 냉온수 체결구간의 간격에 맞게 이송관과 연결된 한쌍의 니플의 간격을 재조정하여 다시 이를 시멘트 시공해야 하므로서,이에 따라 냉온수 조절기 시공에 따른 소요비용이 증가되며, 또한 상기와 같은 시공으로 인해 인력소모는 물론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벽면에 내설되는 이송관과 체결되는 니플을 체결함에 있어서는 별도의 보조공구를 이용하여 체결해야 했으며, 이에 따른 상당한 인력이 소모되어야만 하는 불편함을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냉온수 조절기의 시공에 따른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송관과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되는 한쌍의 니플을 형성하며, 상기 니플이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 고정플레이트를 벽면에 설치고정하여 냉온수가 이송되는 각각의 냉수 및 온수 이송관이 규격화된 냉온수 조절기에 형성된 한쌍의 체결구 간의 간격과 일치하여 정확하게 냉온수 조절기가 벽면에 설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벽면에 내설되는 이송관과 이를 연결하는 니플이 원터식으로 체결되므로서 시공이 간편하며 이에 따른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한 냉온수기 설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냉온수기 설치장치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관형태로서 중앙으로는 육각너트편이 돌출형성된 육각너트가 일체 형성되며, 상기 육각너트를 중심으로 좌우양측의 관 직경이 서로 다른 대직경부와 소직경부가 형성되며, 상기 대직경부의 내부면으로는 냉온수 조절기의 냉온수체결구가 내삽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소직경부의 외주면 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원터치식체결구가 나사 체결된 한쌍의 니플과, 장방형의 판체로서 상기 니플의 육각너트가 관통하여 삽입 체결되는 육각 너트 형상의 한쌍의 삽입공이 천공되며 판체의 각 모서리 부위로 다수개의 고정공이 천공된 고정 플레이트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설치장치를 제공하므로서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냉온수 조절기의 벽면시공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 설치장치의 설치시공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 설치장치의 시공에 따른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결합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설명>
31:걸림돌조 40: 니플 41: 육각너트
42: 원터치식 체결구 43: 대직경부 44: 소직경부
410: 육각너트편 420: 체결홈 421: 결합홈
422: 0링안치홈 430: 0링
이에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 설치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은 본 고안의 냉온수기 설치장치의 설치시공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냉온수기 설치장치의 시공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결합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이다. 앞서 종래 도 1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부재를 가리킨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냉온수기 설치장치는 벽면으로 내설된 한쌍의 이송관(30,30')과 냉온수 조절기(20)에 형성된 한쌍의 체결구(21,21')를 각각 연결하는 한쌍의 니플(nipple)(40)이 형성되며, 상기 니플(40)을 벽면에 지지고정할 수 있는 고정플레이트(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니플(40)은 관형태로서 중앙으로 육각너트(41)가 형성되어 이러한 육각너트(41)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내경을 지관체가 형성되며, 상기와 같이 서로다른 내경 중 일측 즉, 대직경부(43)로는 냉온수 조절기(20)의 냉온수체결구(21,21')가 내삽체결되도록 내주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며, 타측의 소직경부(44) 외주면으로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러한 외주면 나사산으로 원터치식 체결구(42)가 나사 체결되어 나사산을 통해 좌우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세하게 상기 니플(40)의 중앙에 형성된 육각너트(41) 외주면 중앙으로는 상기 육각너트(40)에 비해 적어도 큰 직경을 지닌 육각너트편(410)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너트(40)를 중심으로 소직경부(44)의 외주면에 체결된 원터치식체결구(42)는 중앙이 천공되며 내주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술한 니플 소직경부(44)의 외주면 나사산과 체결된다.
또한, 상기 원터치식 체결구(42)는 냉수 및 온수이송관(30,30')이 체결되는 체결홈(420)이 형성되어지되, 이송관(30,30')과 원터치식 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홈(420)의 외주면으로 걸림홈(42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420)의 내주면으로는 고무박킹(이하 0링이라 칭함)안치홈(422)이 형성되어 0링(430)이 끼움 결합된다.
한편, 상술한 고정 플레이트(50)는 장방형의 판체로서 상기 니플의 육각너트가 관통하여 고정 체결되는 육각 너트 형상의 한쌍의 설치공(51)이 천공되며 판체의 각 모서리 부위로 다수개의 고정공(52)이 천공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냉온수기 설치장치에 따른 설치시공 및 그에따른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냉온수 설치장치는 도 2에서와 같이 고정플레이트(50)의 일정간격 이격된 설치공(51)으로 한쌍의 니플(40)이 끼움결합된 상태로 벽면에 시공되며, 상기 니플(40)의 일측에 형성된 원터치식 체결구(42)로 벽면을 통해 유입된 이송관(30,30')이 끼움 결합되는 것이다.
더욱상세하게 냉온수 조절기(20)가 설치되는 위치까지 벽면을 통해 연장 형성되며 일단부로 외향형 걸림돌조(31)가 형성된 한쌍의 이송관(30,30')을 니플(40)의 일측에 형성된 원터치식 체결구(42)의 체결홈으로 가볍게 밀어넣어(도 4참조) 원터치 식으로 간편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것인데, 이때 상기 걸림돌조(31)가 형성된 이송관(30,30')의 일단은 탄성변형 되면서 관의 내향으로 다소 밀려나면서 체결홈(420)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체결홈(420)으로 삽입된 이송관(30,30') 걸림돌조(31)가 체결홈(4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홈(421)에서 다시 탄성복귀되어 끼움결합된다.
한편, 끼움 결합된 이송관(30,30')과 원터치식 체결구(42)간에 유체 흐름에 따른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홈(420)의 내주면으로 0링(430)이 끼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원터치식 체결구(42)로 이송관(30)이 결합된 상태로 벽면시공을 하게 되는 것인데, 이때 니플(40)의 타측 즉 대직경부(43)가 벽면의 외부로 돌출되게끔 벽면에 시멘트 시공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시멘트 시공을 마친 후 벽면 외부로 돌축된 한쌍의 니플(30) 타측 대직경부(43)로 냉온수 조절기(20)의 체결구 즉, 냉수체결구(21)와 온수체결구(21')가 각각 관삽체결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한쌍의 니플(40)은 규격화된 냉온수 조절기(20)의 냉온수 체결구(21,21')와 동일 거리만큼 고정플레이트(50)에 이격되어 끼움결합 되므로서 시공에 따른 정확성을 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체결에 따라 니플(40)이 회전되거나 흔들려 정확하지 못한 결합이 이루어 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술한 니플(40)에 형성된 육각너트(41)가 고정플레이트(50)의 육각형상의 설치공(51)에 치합 되므로서 상기 와 같은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치합시 육각너트(41)에 돌출형성된 육각너트편(410)은 니플(40)이 고정플레이트(50) 전면에서 부착 고정될수 있도록 하며, 고정플레이트(50)와 용접에 의해 열융착시킴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벽면에 부착고정되며 한쌍의 니플(40)이 삽입 고정된 고정 플레이트(50)는 벽면으로 부착 고정력을 증대 시키기 위해 고정플레이트(50)의 각 모서리에 천공된 고정공(52)을 통해 못과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함이 바람직 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의 냉온수기 설치장치는 이송관과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되는 한쌍의 니플이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 고정플레이트를 벽면에 설치고정하여 냉온수가 이송되는 각각의 냉수 및 온수 이송관이 규격화된 냉온수 조절기에 형성된 한쌍의 체결구 간의 간격과 일치하여 용이하게 냉온수 조절기가 벽면에 설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벽면에 내설되는 이송관과 이를 연결하는 니플이 원터식으로 체결되도록 하여 시공이 간편하며 이에 따른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관형태로서 중앙으로는 육각너트편(410)이 돌출형성된 육각너트(41)가 일체형성되며,상기 육각너트(41)를 중심으로 좌우양측의 관 직경이 서로 다른 대직경부(43)와 소직경부(44)가 형성되고, 상기 대직경부(43)의 내주면으로는 냉온수 조절기(20)의 냉온수체결구(21,21')가 내삽체결되도록 나사산을 형성하고 소직경부(44)의 외주면 으로 역시 나사산이 형성되어 원터치식 체결구(42)가 체결된 한쌍의 니플(40)과,
    장방형의 판체로서 상기 니플(40)의 육각너트(41)가 관통하여 고정 체결되는 육각 너트 형상의 한쌍의 설치공(51)이 천공되며 판체의 각 모서리 부위로 다수개의 고정공(52)이 천공된 고정 플레이트(50)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설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니플(40)에 형성된 원터치식 체결구(42)는 외부 이송관(30,30')이 체결되는 체결홈(420)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420)의 외주면으로는 걸합홈(421)이 형성되고 내주면으로는 0링 안치홈(422)이 형성되어 상기 안치홈으로 0링(430)이 끼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설치장치.
KR2020010034021U 2001-11-06 2001-11-06 냉온수기 설치장치 KR2002641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021U KR200264142Y1 (ko) 2001-11-06 2001-11-06 냉온수기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021U KR200264142Y1 (ko) 2001-11-06 2001-11-06 냉온수기 설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142Y1 true KR200264142Y1 (ko) 2002-02-19

Family

ID=73111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021U KR200264142Y1 (ko) 2001-11-06 2001-11-06 냉온수기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1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93584B1 (en) Distribution header for potable water and hot water space heating
KR20100019511A (ko) 워터 매니폴드 시스템 및 방법
US6044911A (en) Parallel-fed nonstagnant integrated water distribution network for domestic water and fire sprinkler application
RU2549991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узел установки крана
KR100779516B1 (ko) 난방수 유량조절밸브
RU2626930C2 (ru) Система для подключения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й арматуры к встроенному в стену трубопроводу
KR200264142Y1 (ko) 냉온수기 설치장치
US5595212A (en) Wall mount inlet stop system
JP4664758B2 (ja) 裏配管具の取付構造
US20180106020A1 (en) Mounting Device for a Fitting Panel
EP2681494A1 (en) An adapter device for connecting a radiator element to a plumbing system
KR100777643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연결시스템
KR100779702B1 (ko) 길이 조정가능한 배관 연결장치
US20220186478A1 (en) Sanitary fitting comprising a plug unit
US20220186473A1 (en) Fluid distribution unit for sanitary changeover fittings
EP1132528B1 (en) Parallel-fed nonstagnant integrated water distribution network for domestic water and fire sprinkler application
CN205423930U (zh) 一种淋浴龙头
EA014482B1 (ru) Установочно-монтажный модуль
KR102704719B1 (ko) 수전 설치구 및 이를 이용한 수전 설치구조
CN220268557U (zh) 一种置物架龙头
JPH094766A (ja) 継手支持固定具
KR102641447B1 (ko) 결합 편의성을 개선한 수전
GB2368888A (en) A method of installing a fluid-using appliance on a wall
JPS6339510Y2 (ko)
KR20120000619U (ko) 이중 배출구가 구비된 수도꼭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110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1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110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