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79516B1 - 난방수 유량조절밸브 - Google Patents

난방수 유량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9516B1
KR100779516B1 KR1020070087059A KR20070087059A KR100779516B1 KR 100779516 B1 KR100779516 B1 KR 100779516B1 KR 1020070087059 A KR1020070087059 A KR 1020070087059A KR 20070087059 A KR20070087059 A KR 20070087059A KR 100779516 B1 KR100779516 B1 KR 100779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ipe fitting
screw
fasten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종만
Original Assignee
양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08085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7951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양종만 filed Critical 양종만
Priority to KR1020070087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516B1/ko
Priority to RU2008135217/06A priority patent/RU2008135217A/ru
Priority to CN2008101714605A priority patent/CN101418869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F24H9/1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for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ck Valves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수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배급수부(M)의 체결부(미도시)에 나사결합되는 제1나사부(11) 및 그 제1나사부(11)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2나사부(12)를 가지는 관형상의 급수부체결부(10); 일측에 형성되어 난방배관(H)이 결합되는 배관끼움부(21) 및 그 배관끼움부(21)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3나사부(22)를 가지며, 타측이 제2나사부(12)의 단부와 밀착되는 관형상의 바디(20); 바디(20)의 일측단에 이탈되지 않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나사부(12)와 나사결합되어 급수부체결부(10)를 바디(20)와 결합시키는 제1조인트(30); 배관끼움부(21)에 끼어진 상기 난방배관(H)의 외주에 끼어지는 조임링(40); 제3나사부(22)에 나사결합되어 조임링(40)을 조임으로써 난방배관(H)을 배관끼움부(2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제2조인트(50); 제2나사부(12)와 바디(20) 사이에 설치되어 기밀을 가능하게 하는 오링(60); 바디(20) 내부에서 급수부체결부(10) 측에 위치되는 형상기억스프링(70); 바디(20) 내부에서 배관끼움부(21) 측에 위치되는 탄성스프링(80); 형상기억스프링(70)과 탄성스프링(8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측부에서 보았을 때 단부가 둥근 모자형상을 가지며 배관끼움부(21)의 출구(21a)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볼밸브(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난방수 유량조절밸브{A heat water control valve}
본 발명은 수온에 따라 난방수의 유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난방수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한국의 난방구조는, 여러 개의 방바닥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코일 형태의 다수의 난방배관과,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난방수를 난방배관들로 분배하는 분배급수부와, 다수의 난방배관을 순환한 난방수를 보일러로 환수하는 환수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분배급수부에 각각 연결되는 난방배관에는 밸브가 설치되어, 각각의 난방배관을 순환하는 난방수의 양을 조절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난방수는 분배급수부 -> 각각의 난방배관 -> 환수부를 거쳐 보일러로 순환된다.
그런데 상기한 구조에 있어서, 각각의 방의 바닥에 내장되는 난방배관의 길이나, 보일러와 난방배관 사이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특정 온도로 세팅한 상태에서 보일러를 가동하였을 때 각각의 방마다 난방이 되는 정도가 달랐다. 즉, 난방배관의 길이가 긴 큰 방과 난방배관의 길이가 짧은 작은 방의 경우, 각각의 난방배관을 경유하는 난방수의 경유시간이나 순환량이 다르기 때문에, 큰방은 난방이 잘 되지 않았고 반대로 작은 방은 난방이 너무 잘 되었다. 더 나아가 보일러와 가까운 방의 경우 먼 방의 경우보다 난방이 더 잘 되는 등 난방이 균일하게 되지 않는 다 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난방배관의 길이가 길거나 짧은 것과 상관없이, 그리고 보일러로부터의 거리에 상관없이, 고른 난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난방수 유량조절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난방배관에 그대로 적용하더라도 고른 난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바닥 시공의 부담을 제거할 수 있는 난방수 유량조절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난방수 유량조절밸브는,
분배급수부(M)의 체결부(미도시)에 나사결합되는 제1나사부(11) 및 그 제1나사부(11)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2나사부(12)를 가지는 관형상의 급수부체결부(10); 일측에 형성되어 난방배관(H)이 결합되는 배관끼움부(21) 및 그 배관끼움부(21)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3나사부(22)를 가지며, 타측이 상기 제2나사부(12)의 단부와 밀착되는 관형상의 바디(20); 상기 바디(20)의 일측단에 이탈되지 않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나사부(12)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급수부체결부(10)를 바디(20)와 결합시키는 제1조인트(30); 상기 배관끼움부(21)에 끼어진 상기 난방배관(H)의 외주에 끼어지는 조임링(40); 상기 제3나사부(22)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조임링(40)을 조임으로써 상기 난방배관(H)을 상기 배관끼움부(2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제2조인트(50); 상기 제2나사부(12)와 바디(20) 사이에 설치되어 기밀을 가능하게 하는 오링(60); 상기 바디(20) 내부에서 급수부체결부(10) 측에 위치되는 형상기억스프링(70); 상기 바디(20) 내부에서 상기 배관끼움부(21) 측에 위치되는 탄성스프링(80); 상기 형상기억스프링(70)과 탄성스프링(8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측부에서 보았을 때 단부가 둥근 모자형상을 가지며 상기 배관끼움부(21)의 출구(21a)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볼밸브(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수 유량조절밸브에 따르면, 난방수의 온도에 따라서 난방배관으로 순환되는 난방수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난방배관의 길이가 길거나 짧은 것과 상관없이, 그리고 보일러로부터의 거리에 상관없이 고른 난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기존의 분배급수부와 연결되는 난방배관에 그대로 적용함으로써 고른 난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바닥 시공과 같은 부담을 제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방바닥마다 고른 난방이 가능하므로, 결국 에너지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난방수 유량조절밸브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수 유량조절밸브(100)는, 보일러의 난방수를 분배하는 분배급수부(M)에 설치되는 다수의 난방배관(H) 각각에 설치되어, 그 난방배관(H)을 순환하는 난방수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즉, 유량조절밸브(100)는 다수개의 난방배관에 각각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나의 난방배관(H)에 설치된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수 유량조절밸브와 분배급수부 및 난방배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난방수 유량조절밸브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2의 난방수 유량조절밸브의 조립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유량조절밸브의 부분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수 유량조절밸브(100)는, 분배급수부(M)의 체결부(미도시)에 나사결합되는 제1나사부(11) 및 그 제1나사부(11)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2나사부(12)를 가지는 관형상의 급수부체결부(10)와; 일측에 형성되어 난방배관(H)이 결합되는 배관끼움부(21) 및 그 배관끼움부(21)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3나사부(22)를 가지며, 타측이 제2나사부(12)의 단부와 밀착되는 관형상의 바디(20)와; 바디(20)의 일측단에 이탈되지 않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나사부(12)와 나사결합되어 급수부체결부(10)를 바디(20)와 결합시키는 제1조인트(30)와; 배관끼움부(21)에 끼어진 난방배관(H)의 외주에 끼어지는 조임링(40)과; 제3나사부(22)에 나사결합되어 조임링(40)을 조임으로써 난방배관(H)을 배관끼움부(21)로 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제2조인트(50)와; 제2나사부(12)와 바디(20) 사이에 설치되어 기밀을 가능하게 하는 오링(60)과; 바디(20) 내부에서 급수부체결부(10) 측에 위치되는 형상기억스프링(70)과; 바디(20) 내부에서 배관끼움부(21) 측에 위치되는 탄성스프링(80)과; 형성기억스프링(70)과 탄성스프링(8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측부에서 보았을 때 단부가 둥근 모자형상을 가지며 배관끼움부(21)의 출구(21a)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볼밸브(90);를 포함한다.
급수부체결부(10)는 제1조인트(30)에 의하여 바디(20)에 결합되며, 이러한 급수부체결부(10)가 보일러에 설치되어 난방수를 분배하는 분배급수부(M)의 체결부에 나사결합됨으로써 본원의 유량조절밸브(100)가 분배급수부(M)에 결합되게 한다.
바디(20)의 중간측에는, 본원의 유량조절밸브를 분배급수부(M)에 결합시킬 때, 그 바디(20)를 고정하거나 회전시키기 위하여 렌치(미도시)가 끼어지는 다각형 형상, 본 실시예에서는 6각형 형상의 렌치고정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배관끼움부(21)의 표면에는, 끼어지는 난방배관(H)이 그 배관끼움부(2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 난방배관(H)이 끼어지는 방향으로 다수의 경사면을 가지는 미늘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바디(20)의 타측단 외주면에는, 제1조인트(30)가 바디(2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홈(23)이 형성되고 그 홈(23)에는 이탈방지링(24)이 고정된다. 이러한 이탈방지링(24)은 후술할 제1조인트(30)의 내주돌부환(34)에 걸어지고, 이에 따라 제1조인트(30)는 바디(2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제1조인트(30)의 내주면에는 상기한 제2나사부(12)에 나사결합되는 제1조인 트나사부(32)가 형성되고, 일단에는 상기한 이탈방지링(24)이 걸어지는 내주돌부환(3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조인트(30) 역시 바디(20)에서 설명된 바 있는 렌치고정부(25)와 유사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조임링(40)은, 절단된 링으로 되어 있으며, 제2조인트(50)가 제3나사부(22)에 결합될 때 조여지면서 배관끼움부(21)에 끼어진 난방배관(H)을 조이게 된다.
제2조인트(50)의 내주면에는 제3나사부(22)에 나사결합되는 제2조인트나사부(52)가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상기한 조임링(40)이 걸어지는 내주돌부환(5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조인트(50)에도, 바디(20)에서 설명된 바 있는 렌치고정부(25)와 유사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형상기억스프링(70)은, 바디(20)로 유입되는 난방수의 온도에 따라서 늘어나거나 줄어듦으로써, 볼밸브(90)를 배관끼움부(21)의 출구(21a)측에 밀착시키거나 분리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형상기억스프링(70)은 45 ~ 47℃의 온도범위에서 신장이 가능한 것을 채용하고 있는데, 이 온도범위보다 높은 난방수가 유입되면 형상기억스프링(70)은 늘어나고, 낮으면 형상기억스프링(70)은 줄어든다.
탄성스프링(80)은 볼밸브(90)를 배관끼움부의 출구(21a)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킨다.
볼밸브(90)는, 상기한 형상기억스프링(70)과 탄성스프링(80)이 걸치어지는 걸침부(91)와, 걸침부(91)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배관체결부(20)의 출구(21a)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돌부(92)와, 돌부(92)에 형성되어 난방수가 흐르게 하는 다수의 구멍, 본 실시예에서는 4 개의 구멍(93)을 포함한다. 이때 구멍의 크기를 크게 할 경우에, 이물질이 볼밸브(90)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자가 발생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유입되는 난방수는 돌부(92) 내부에서 순환된 후 구멍(93)으로 빠져나가므로, 이 과정에서 난방수의 유속을 떨어뜨린다. 이에 따라 난방수가 급격히 흐르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난방수의 흐름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바디(20) 내부로 뜨거운 난방수(45 ~ 47℃ 이상)가 흐르게 되면 형상기억스프링(70)은 늘어나면서 볼밸브(90)의 돌부(92)를 배관끼움부의 출구(21a)에 밀착시켜 난방수가 난방배관(H)으로 잘 흐르지 못하게 한다. 그리고 난방수의 온도가 낮을 경우(45 ~ 47℃ 이하) 형상기억스프링(70)은 줄어들게 되는데, 이때 탄성스프링(80)이 볼밸브(90)의 돌부(92)를 배관끼움부의 출구(21a)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밀게 되어 배관끼움부의 출구(21a)에서 분리시키고 이에 따라 난방수가 구멍(93)을 통하여 난방배관(H)으로 잘 흐르게 한다. 즉, 난방수의 온도에 따라서 난방배관으로 순환되는 난방수의 양은 자동으로 조절되고, 이에 따라 난방배관(H)의 길이가 길거나 짧은 것과 상관없이, 그리고 보일러로부터의 거리에 상관없이 고른 난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방바닥마다 고른 난방이 가능하므로, 결국 에너지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원의 유량조절밸브는 기존의 분배급수부와 연결되는 난방배관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음으로써, 바닥 시공과 같은 부담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수 유량조절밸브와 분배급수부 및 난방배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난방수 유량조절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난방수 유량조절밸브의 조립사시도,
도 4는 도 3의 유량조절밸브의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급수부체결부 11 ... 제1나사부
12 ... 제2나사부 20 ... 바디
21 ... 배관끼움부 21a ... 출구
21b ... 미늘부 22 ... 제3나사부
23 ... 홈 24 ... 이탈방지링
25 ... 렌치고정부 30 ... 제1조인트
32 ... 제1조인트나사부 34 ... 내주돌부환
40 ... 조임링 50 ... 제2조인트
54 ... 내주돌부환 60 ... 오링
70 ... 형상기억스프링 80 ... 탄성스프링
90 ... 볼밸브 91 ... 걸침부
92 ... 돌부 93 ... 구멍

Claims (3)

  1. 배급수부(M)의 체결부(미도시)에 나사결합되는 제1나사부(11) 및 그 제1나사부(11)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2나사부(12)를 가지는 관형상의 급수부체결부(10);
    일측에 형성되어 난방배관(H)이 결합되는 배관끼움부(21) 및 그 배관끼움부(21)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3나사부(22)를 가지며, 타측이 상기 제2나사부(12)의 단부와 밀착되는 관형상의 바디(20);
    상기 바디(20)의 일측단에 이탈되지 않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나사부(12)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급수부체결부(10)를 바디(20)와 결합시키는 제1조인트(30);
    상기 배관끼움부(21)에 끼어진 상기 난방배관(H)의 외주에 끼어지는 조임링(40);
    상기 제3나사부(22)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조임링(40)을 조임으로써 상기 난방배관(H)을 상기 배관끼움부(2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제2조인트(50);
    상기 제2나사부(12)와 바디(20) 사이에 설치되어 기밀을 가능하게 하는 오링(60);
    상기 바디(20) 내부에서 급수부체결부(10) 측에 위치되는 형상기억스프링(70);
    상기 바디(20) 내부에서 상기 배관끼움부(21) 측에 위치되는 탄성스프링(80);
    상기 형상기억스프링(70)과 탄성스프링(8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측부에서 보았을 때 단부가 둥근 모자형상을 가지며 상기 배관끼움부(21)의 출구(21a)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볼밸브(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수 유량조절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끼움부(21)의 표면에는, 상기 난방배관(H)이 끼어지는 방향으로 다수의 경사면을 가지는 미늘부(21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수 유량조절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밸브(90)는, 상기 형상기억스프링(70)과 탄성스프링(80)이 걸치어지는 걸침부(91)와, 상기 걸침부(91)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관체결부(20)의 출구(21a)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돌부(92)와, 상기 돌부(92)에 형성되어 난방수가 흐르게 하는 다수의 구멍(9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수 유량조절밸브.
KR1020070087059A 2007-08-29 2007-08-29 난방수 유량조절밸브 KR100779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059A KR100779516B1 (ko) 2007-08-29 2007-08-29 난방수 유량조절밸브
RU2008135217/06A RU2008135217A (ru) 2007-08-29 2008-08-28 Клапан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асхода сетевой воды
CN2008101714605A CN101418869B (zh) 2007-08-29 2008-08-29 供暖水流速控制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059A KR100779516B1 (ko) 2007-08-29 2007-08-29 난방수 유량조절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9516B1 true KR100779516B1 (ko) 2007-11-27

Family

ID=39080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059A KR100779516B1 (ko) 2007-08-29 2007-08-29 난방수 유량조절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779516B1 (ko)
CN (1) CN101418869B (ko)
RU (1) RU200813521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954B1 (ko) 2009-08-26 2009-12-21 김준호 난방수 환수자동차단밸브
KR100958353B1 (ko) 2009-10-20 2010-05-17 김칠영 온수 온도 조절밸브
KR101094940B1 (ko) 2011-07-06 2011-12-15 주식회사 새롬테크에너지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자동 유량제어 밸브
KR101366342B1 (ko) 2012-11-29 2014-03-03 월드지플러스판매 주식회사 난방수 유량조절밸브
KR102140584B1 (ko) * 2019-04-02 2020-08-03 (주)엘케이시스템즈 능동형 베이퍼 챔버 보일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5043A (zh) * 2015-08-12 2015-12-09 无锡乐华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圆盘式流速控制阀的调速方法
CN110462547B (zh) * 2017-02-23 2023-05-30 福马有限公司 流量调节器
CN220102107U (zh) * 2023-05-11 2023-11-28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排水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3180B1 (en) 2001-03-15 2002-09-03 Predator Systems Inc. Hydraulic line adjustable velocity fuse with damping
KR20050069411A (ko) * 2003-12-31 2005-07-05 한진호 온수 분배기용 자동온도조절밸브
KR20060128358A (ko) * 2005-06-10 2006-12-14 홍성돈 유량조절밸브
KR20060131345A (ko) * 2005-06-16 2006-12-20 신화정공 주식회사 헤더 및 밸브 일체형 난방용 온수 분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3180B1 (en) 2001-03-15 2002-09-03 Predator Systems Inc. Hydraulic line adjustable velocity fuse with damping
KR20050069411A (ko) * 2003-12-31 2005-07-05 한진호 온수 분배기용 자동온도조절밸브
KR20060128358A (ko) * 2005-06-10 2006-12-14 홍성돈 유량조절밸브
KR20060131345A (ko) * 2005-06-16 2006-12-20 신화정공 주식회사 헤더 및 밸브 일체형 난방용 온수 분배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954B1 (ko) 2009-08-26 2009-12-21 김준호 난방수 환수자동차단밸브
KR100958353B1 (ko) 2009-10-20 2010-05-17 김칠영 온수 온도 조절밸브
KR101094940B1 (ko) 2011-07-06 2011-12-15 주식회사 새롬테크에너지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자동 유량제어 밸브
KR101366342B1 (ko) 2012-11-29 2014-03-03 월드지플러스판매 주식회사 난방수 유량조절밸브
KR102140584B1 (ko) * 2019-04-02 2020-08-03 (주)엘케이시스템즈 능동형 베이퍼 챔버 보일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18869B (zh) 2010-11-03
CN101418869A (zh) 2009-04-29
RU2008135217A (ru)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9516B1 (ko) 난방수 유량조절밸브
US5868439A (en) Distribution header for potable water and hot water space heating
CN203614960U (zh) 水管接头
KR100915166B1 (ko) 단위 조립형 구별 분리형 온수분배기
US20220214077A1 (en) Water heater inlet fitting, flow sensor, shut off valve and diffuser
CN104565630B (zh) 节水接头
GB2084295A (en) Radiator Valve Device
KR100974004B1 (ko) 유체 분배기
KR100752542B1 (ko) 파이프와 대상물의 연결구조
KR101081429B1 (ko) 냉온수배관의 연결구조
KR200461358Y1 (ko) 온수분배기의 결합구조
ZA200708742B (en) Safety Valve
US7353840B1 (en) Split nut for outlet box installation
KR100958353B1 (ko) 온수 온도 조절밸브
KR100701756B1 (ko) 난방온수 분배 시스템 및 난방온수 분배 방법
US20230160645A1 (en) Radiator valve
JPH11148588A (ja) 給水管分岐用の回転式ヘッダ
KR100953701B1 (ko)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
KR20210041916A (ko) 난방온수분배기용 유량조절밸브
RU2277208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арматура для радиатора и способ ее установки на радиатор
KR200406996Y1 (ko) 수전용 멀티 분배구
KR20110134046A (ko) 멀티 밸브
KR200344915Y1 (ko) 보일러용 온수 및 가스 분배기
KR200181413Y1 (ko) 난방용 온수분배장치
SE2151363A1 (en) Coupling element, coupling element system and heating or coo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PJ0206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Patent event code: PJ02062R01D

Patent event date: 2010112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61E01I

Patent event date: 20071120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Decision date: 20110601

Request date: 20101122

Appeal identifier: 2010100002908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121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071120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01214

Decision date: 20110601

Appeal identifier: 201010000308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1122

Effective date: 20110601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1214

Effective date: 20110601

PJ1301 Trial decisio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01214

Decision date: 20110601

Appeal identifier: 2010100003088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11060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code: PJ13011S02D

Patent event date: 2011060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 date: 20101122

Decision date: 20110601

Appeal identifier: 201010000290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PJ2001 Appeal

Patent event date: 2011060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code: PJ20011S05I

Patent event date: 2011060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code: PJ20011S02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120110

Appeal identifier: 2011200006994

Request date: 201107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PJ1201 Withdrawal of trial

Patent event code: PJ12011R01D

Patent event date: 20120109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 2010100003088

Request date: 20101214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110601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PJ1202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PJ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120113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Decision date: 20120110

Request date: 20110714

Appeal identifier: 2011200006994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