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61008Y1 - 모터의 코일 와인딩기용 메인지그 교체구조 - Google Patents

모터의 코일 와인딩기용 메인지그 교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008Y1
KR200261008Y1 KR2020010032549U KR20010032549U KR200261008Y1 KR 200261008 Y1 KR200261008 Y1 KR 200261008Y1 KR 2020010032549 U KR2020010032549 U KR 2020010032549U KR 20010032549 U KR20010032549 U KR 20010032549U KR 200261008 Y1 KR200261008 Y1 KR 2002610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jig
main jig
main
p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기엽
Original Assignee
배기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기엽 filed Critical 배기엽
Priority to KR2020010032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0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0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00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터에 사용되는 아마추어를 조립하는 시스템에서 코아와 샤프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코일을 권선하는 와인딩기에 사용되는 메인지그에 관한 것으로, 와인딩기의 메인지그를 용이하게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그 구성으로는 와인딩기(1)의 플라이어 유닛(2)을 구성함에 있어서, 메인지그(10)가 설치되는 지그홀더(20)의 선단에 설치요부(21)를 구성하고 그 내부 중앙에 지지핀(22)을 구성한 후, 지지핀(22)을 중심으로 지렛대 작용을 하는 레버(30)를 구성하며, 레버(30)는 선단부에 걸림부(31)를 구성하고 지지핀(22)과 레버(30)의 다른 쪽에는 누름요부(32)를 구성한 후, 지그홀더(20)에는 스프링(23)에 의해 탄성을 받는 작용핀(24)을 설치함으로써 누름요부(32)에 밀착되면서 레버(30)를 밀도록 하며, 메인지그(10)의 후면에는 상기 레버(30)가 작동할 수 있는 작동공간(11)을 구비한 후 중심이 되는 위치의 작동공간(11)에는 걸림핀(12)을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메인지그(10)를 결합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구성이 매우 간단하게 되고 메인지그를 교체할 경우에는 분리와 결합이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터의 코일 와인딩기용 메인지그 교체구조{Changing structur for main jig}
본 고안은 모터에 사용되는 아마추어를 자동으로 조립하는 과정 중에서 코아와 샤프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코아에 코일을 권선하는 와인딩기에 사용되는 메인지그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코일이 코아에 권선되는 과정에서 코아를 감싸주면서 코일이 제자리에 정확히 와인딩되도록 가이드하는 메인지그를 코아의 규격에 따라 지그를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에 메인지그를 용이하게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모터를 제조함에 있어서 아마추어를 조립하는 공정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통상 코아에 샤프트를 압입하는 인서트공정, 샤프트가 삽입된 코아에 고주파로 열을 가하는 탈취공정, 절연용 파우더를 융착하는 코팅공정, 코팅된 아마추어의 샤프트에 정류자를 압입하는 인서트공정, 샤프트의 끝단에 스러스트 플러그를 압입하는 공정, 아마추어에 코일을 자동으로 권선하는 와인딩공정, 와인딩한 정류자의 후크를 일정형상으로 가압 및 용접하는 휴징공정, 정류자의 외경을 절삭하는 터닝공정, 절삭 후 칩을 제거하는 브러싱공정, 아마추어의 언발란싱을 수정하는 발란싱공정, 그리고 테스트 및 제품을 이송 또는 적재하는 공정 등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상기의 공정중에서 와인딩을 하는 공정에 사용되는 와인딩기의 지그에 관한 것으로, 모타의 종류나 규격에 따라서 코아의 규격 또한 여러가지이므로 권선할 코아에 따라 지그를 교체하여 주어야 하는 것이다.
종래 와인딩기의 메인지그는 나사결합 등의 수단으로 결합되어 있어서 교체를 하기 위한 분리결합 구조가 매우 복잡하다 할 수 있고 분리결합을 하는 동작도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고장이 잦은 것은 물론이고, 교체작업에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그에 따른 시간과 인력의 낭비가 큰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에 의거 안출한 것으로, 메인지그의 교체를 위한 분리결합 구조를 매우 간단히 하여 그에 따른 제조비용을 절감하면서 고장율도 줄이며, 아울러 신속한 교체작업을 가능케 하여 생산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와인딩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인딩기의 플라이어 유닛부분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작용상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와인딩기 2: 플라이어 유닛
10: 메인지그 11: 작동공간
12: 걸림핀 13: 조절판
14: 조절용나사 20: 지그홀더
21: 설치요부 22: 지지핀
23: 스프링 24: 작용핀
30: 레버 31: 걸림부
32: 누름요부
본 고안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성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와인딩기(1)의 구성을 볼 수 있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가 되는 플라이어 유닛(2)부분의 단면도이다.
살펴보면, 와인딩기(1)의 플라이어 유닛(2)을 구성함에 있어서, 메인지그(10)가 설치되는 지그홀더(20)의 선단에 레버(30)를 설치할 수 있는 설치요부(21)를 구성하고 설치요부(21)의 중앙에 지지핀(22)을 구성한 후, 상기 지지핀(22)에 레버(30)를 설치하여 레버(30)가 지지핀(22)을 중심으로 지렛대 작용을 하도록 구성하였다.
레버(30)는 선단부에 걸림부(31)를 구성하고 지지핀(22)과 레버(30)의 다른 쪽 끝단 사이에는 누름요부(32)를 구성한 후, 누름요부(32)에 해당하는지그홀더(20)에는 스프링(23)에 의해 돌출되려는 탄성을 받는 작용핀(24)을 설치함으로써 작용핀(24)의 상단이 누름요부(32)에 밀착되면서 레버(30)를 밀도록 구성하였다.
메인지그(10)의 후면에는 상기 레버(30)가 작동할 수 있는 작동공간(11)을 구비한 후 중심이 되는 위치의 작동공간(11)에는 걸림핀(12)을 설치하여 레버(30)의 힘으로 걸림핀(12)을 지그홀더(20) 쪽으로 밀도록 구성한 것이다.
메인지그(10)의 상단에는 조절판(13)을 결합하는데, 지그홀더(20)쪽으로 돌출되는 조절판(13)의 일측에는 조절용나사(14)를 설치하여 메인지그(10)가 지그홀더(20)에 결합될 때 정확한 위치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면중 미 설명된 부호 40은 권선용 플라이어 휠, 50은 아마추어, 51은 코아, 52는 샤프트, 60은 서보모터, 70은 코일,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권선작업을 진행할 때는 스프링(23)에 지지되는 작용핀(24)이 레버(30)를 밀게되므로 레버(30) 끝단의 걸림부(31)가 걸림핀(12)을 걸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메인지그(10)는 지그홀더(20)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메인지그(10)의 교체를 위하여 분리를 하여야 할 때는, 우선 레버(30)를 눌러주면 되는데, 레버(30)를 누르면 레버(30)가 지지핀(22)을 중심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로써 레버(30)의 끝단이 걸림핀(12)을 누르던 힘이 없어지므로 메인지그(10)는 자유로운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메인지그(10)를 제거할 수 있게 되며, 물론 이때 레버(30)는작용핀(24)에 의해 복귀하려는 힘을 갖게되므로 레버(30)를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레버(30)는 복귀하게 된다.
다른 메인지그(10)를 결합할 때는 레버(30)를 누른 상태에서 메인지그(10)를 지그홀더(20) 쪽으로 밀착시킨 후 레버(30)를 놓게되면 다시 처음과 같이 레버(30)의 걸림부(31)가 걸림핀(12)을 걸면서 힘을 가하여 주므로 고정이 되는 것이다.
레버(30)의 누름요부(32)가 걸림핀(12)을 완전히 감싸지 않으므로 고정력이 부족하다고 판단할 수도 있으나, 상부의 조절판(13)과 조절용나사(14)가 메인지그(10)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태이므로 레버(30)가 45도 아래방향으로 걸림핀(12)을 밀어주기만 하여도 메인지그(10)는 움직이지 못하므로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메인지그(10)를 결합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구성이 매우 간단하므로 제조에 따르는 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으면서 구성의 간단화에 따른 고장이 적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메인지그를 교체할 경우에는 분리와 결합이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므로 신속한 교체가 가능한 것으로, 아마추어의 생산에 따르는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줄이고 생산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라 할 수 있다.

Claims (2)

  1. 와인딩기(1)의 플라이어 유닛(2)을 구성함에 있어서,
    메인지그(10)가 설치되는 지그홀더(20)의 선단에 레버(30)를 설치할 수 있는 설치요부(21)를 구성하고 설치요부(21)의 중앙에 지지핀(22)을 구성한 후, 상기 지지핀(22)을 중심으로 지렛대 작용을 하는 레버(30)를 구성하며,
    레버(30)는 선단부에 걸림부(31)를 구성하고 지지핀(22)과 레버(30)의 다른 쪽 끝단 사이에는 누름요부(32)를 구성한 후, 누름요부(32)에 해당하는 지그홀더(20)에는 스프링(23)에 의해 돌출되려는 탄성을 받는 작용핀(24)을 설치함으로써 작용핀(24)의 상단이 누름요부(32)에 밀착되면서 레버(30)를 밀도록 하며,
    메인지그(10)의 후면에는 상기 레버(30)가 작동할 수 있는 작동공간(11)을 구비한 후 중심이 되는 위치의 작동공간(11)에는 걸림핀(12)을 설치하여 레버(30)의 힘으로 걸림핀(12)을 지그홀더(20) 쪽으로 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코일 와인딩기용 메인지그 교체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메인지그(10)의 상단에는 조절판(13)을 결합하고 지그홀더(20)쪽으로 돌출되는 조절판(13)의 일측에는 조절용나사(14)를 설치하여 메인지그(10)가 지그홀더(20)에 결합될 때 정확한 위치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코일 와인딩기용 메인지그 교체구조.
KR2020010032549U 2001-10-24 2001-10-24 모터의 코일 와인딩기용 메인지그 교체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2002610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549U KR200261008Y1 (ko) 2001-10-24 2001-10-24 모터의 코일 와인딩기용 메인지그 교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549U KR200261008Y1 (ko) 2001-10-24 2001-10-24 모터의 코일 와인딩기용 메인지그 교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008Y1 true KR200261008Y1 (ko) 2002-01-17

Family

ID=73070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549U Expired - Fee Related KR200261008Y1 (ko) 2001-10-24 2001-10-24 모터의 코일 와인딩기용 메인지그 교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0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76327A (ko) 전기 기계용 브러시 홀더 조립체
US4152614A (en) Miniature electric motor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otors for the same
US9905984B2 (en) Windscreen wiper motor and carbon holder plate for a windscreen wiper motor
US4250613A (en) Method of assembling a commutator brush system
US5704812A (en) Car plug
KR200261008Y1 (ko) 모터의 코일 와인딩기용 메인지그 교체구조
JP2000116072A (ja) ブラシホルダの取付構造
MX2008014328A (es) Rotor conmutador de una maquina electrica y procedimiento para manufacturarlo.
US20060230607A1 (en) Device for gripping and transferring a ring of electrical conductors which is used to produce a winding and a winding-productuion system employing one such device
JP2009118606A (ja) ブラシばね組付け方法及び装置
JP2002237360A (ja) 機器接続部にケーブルを接続するための装置
JP4102236B2 (ja) 電機子の線材切断方法及び線材切断装置
JP5002667B2 (ja) 電動モータおよび電動モータの製造方法
US5052952A (en) Fuse ejector, ejection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y of fuse ejection systems
CN220619801U (zh) 套筒安装组件
JP2502638Y2 (ja) 界磁コイルの接続構造
JP2009148123A (ja) 回転電機
JP2004173435A (ja) モータハウジング及びモータの組立方法
US8803400B2 (en) Electric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ic motor
JP2002315276A (ja) 回転電機用ロータの製造方法
KR101996452B1 (ko) 압입프레스 및 압입방법
KR200166027Y1 (ko) 시동전동기 회전자 코일 고정링
KR200194155Y1 (ko) 에어콘용 모터의 조립구조
CN109639059B (zh) 一种起动电机
JPH07154948A (ja) 整流子電動機およびそ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102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1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102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23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2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6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1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