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53645Y1 - 조경용 휀스 - Google Patents

조경용 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645Y1
KR200253645Y1 KR2019990003165U KR19990003165U KR200253645Y1 KR 200253645 Y1 KR200253645 Y1 KR 200253645Y1 KR 2019990003165 U KR2019990003165 U KR 2019990003165U KR 19990003165 U KR19990003165 U KR 19990003165U KR 200253645 Y1 KR200253645 Y1 KR 2002536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vertical
assembly
horizontal
assembly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649U (ko
Inventor
이태헌
Original Assignee
이태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헌 filed Critical 이태헌
Priority to KR20199900031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645Y1/ko
Publication of KR200000176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6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6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64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Fenc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경용 휀스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제작단가가 저렴하면서도 조형미와 휀스기능이 우수한 조경용 휀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조경용 휀스에 있어서, 상기 휀스는 상면 일단측에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는 수직조립공과, 일측면 일단측에 상기 수직조립공과 직각되게 수평으로 관통형성되는 수평조립공을 갖는 다수개의 조립구와; 상기 조립구의 수평조립공에 상호 평행하게 끼움조립되는 다수개의 수평지지대와; 상기 조립구의 수직조립공에 상호 평행하게 끼움조립되는 다수개의 수직지지대와; 다수개의 결합공을 갖고 바닥면에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판상의 받침판을 하단부에 일체로 갖고 상기 수직지지대가 조립될 조립구의 소정위치의 수직조립공에 수직지지대와 평행하게 조립되어 휀스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경용 휀스 {A fence for landscape architecture}
본 고안은 조경용 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용접작업 없이 현장에서 손쉽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조형미 및 휀스기능이 우수한 구조를 갖도록 한 조경용 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조경용 휀스는 소정의 문양 또는 구조를 갖는 단일블록을 주물 또는 용접에 의해 제작하고, 각각의 블록을 용접 등의 작업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시켜 설치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경용 휀스는 각각의 블록을 주물 또는 용접에 의해 제작하기 때문에 블록제작작업이 어렵고, 제작단가도 높을 뿐만 아니라 무게가 무거워 이송 및 설치작업에 많은 장비, 인원 및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제작단가가 저렴하면서도 조형미와 휀스기능이 우수한 조경용 휀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조경용 휀스에 있어서, 상기 휀스는 상면 일단측에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는 수직조립공과, 일측면 일단측에 상기 수직조립공과 직각되게 수평으로 관통형성되는 수평조립공을 갖는 다수개의 조립구와; 상기 조립구의 수평조립공에 상호 평행하게 끼움조립되는 다수개의 수평지지대와; 상기 조립구의 수직조립공에 상호 평행하게 끼움조립되는 다수개의 수직지지대와; 다수개의 결합공을 갖고 바닥면에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판상의 받침판을 하단부에 일체로 갖고 상기 수직지지대가 조립될 조립구의 소정위치의 수직조립공에 수직지지대와 평행하게 조립되어 휀스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휀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경용 휀스를 도시하는 설치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경용 휀스의 조립구와 수평 및 수직지지대의 조립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경용 휀스의 지지대의 조립 및 설치상태를 도시하는 설치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경용 휀스의 조립구와 수평 및 수직지지대의 조립구조를 도시하는 조립상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경용 휀스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경용 휀스를 도시하는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경용 휀스의 조립구와 수평 및 수직지지대의 조립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경용 휀스의 지지대의 조립 및 설치상태를 도시하는 설치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경용 휀스의 조립구와 수평 및 수직지지대의 조립구조를 도시하는 조립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조경용 휀스(10)는 다수개의 조립구(11)와, 다수개의 수평 및 수직지지대(12)(13)와, 다수개의 지지대(15)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조립구(11)는 합성수지 성형물로서 수직조립공(11a)과 수평지지공(11b)을 갖는다.
상기 수직조립공(11a)은 상기 조립구(11)의 상면 일단측에 소정크기를 갖고 수직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수평조립공(11b)은 조립구(11)의 측면 일단측에 소정크기를 갖고 수직조립공(11a)과 직각되는 수평으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수직지지대(12) 또는 지지대(15)와 수평지지대(13)를 상호 조립시킨다.
상기 다수개의 수직지지대(12)는 소정길이를 갖는 파이프로서 상기 조립구(11)의 수직조립공(11a)에 각각 끼움조립되고, 상기 다수개의 수평지지대(13)는 소정길이를 갖는 파이프로서 조립구(11)의 수평조립공(11b)에 각각 조립됨으로서 상기 수직지지대(11a)는 수평지지대(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져서 평행하게 조립되고, 상기 수평지지대(13)는 상기 수직지지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져서 평행하게 조립된다. 즉, 상기 수직지지대(12)와 수평지지대(13)는 조립구(11)에 의해 상호교차되게 조립되며, 조립구(11)의 양단면에는 나사 또는 니벳 등과 같은 결합수단(16)에 의해 니멧팅되어 조립구(11)와 수직 및 수평지지대(12)(13)가 고정조립된다.
상기 다수개의 지지대(15)는 소정길이를 갖는 파이프로서 하단부에 소정크기를 갖는 받침판(14)를 각각 일체로 갖고, 상기 수직지지대(12)가 조립될 조립구(11)의 소정의 수직조립공(11a)에 수직지지대(12)와 평행하게 조립되어 상기 휀스(1)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대(15)의 받침판(14)은 소정크기를 갖는 판상으로서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결합공(14a)를 갖고, 앙카볼트와 같은 결합수단(21)에 의해 바닥면(20)에 고정설치된다.
첨부도면중 미설명부호 22는 마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조경용 휀스(10)는 별도의 블록을 제작하지 않고 저가의 다량생산이 가능한 조립구(11)와 단순작업에 의해 제작될 수 있는 수직 및 수평지지대(12)(14)와 지지대(15)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이송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설치시 최소의 인원만으로도 설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제작단가는 물론 설치비용을 크게 절감하고, 공기를 단축시킴은 물론 우수한 조형미 및 휀스기능을 갖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별도의 용접작업 없이 현장에서 손쉽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조형미 및 휀스기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제작단가 및 설치비용이 크게 절감되고, 공기를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잇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조경용 휀스에 있어서, 상기 휀스(10)는 상면 일단측에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는 수직조립공(11a)과, 일측면 일단측에 상기 수직조립공(11a)과 직각되게 수평으로 관통형성되는 수평조립공(11b)을 갖는 다수개의 조립구(11)와; 상기 조립구(11)의 수평조립공(11b)에 상호 평행하게 끼움조립되는 다수개의 수평지지대(12)와; 상기 조립구(11)의 수직조립공(11a)에 상호 평행하게 끼움조립되는 다수개의 수직지지대(13)와; 다수개의 결합공(14a)을 갖고 바닥면(20)에 결합수단(21)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판상의 받침판(14)을 하단부에 일체로 갖고 상기 수직지지대(13)가 조립될 조립구(11)의 소정위치의 수직조립공(11a)에 수직지지대(13)와 평행하게 조립되어 휀스(10)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대(1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휀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구(11)는 수평 및 수직지지대(12)(13)와 조립된 후 양단면에 각각 나사 또는 니벳 등의 결합수단(16)에 의해 수평 및 수직지지대(12)(13)와 고정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휀스.
KR2019990003165U 1999-03-02 1999-03-02 조경용 휀스 Expired - Fee Related KR2002536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165U KR200253645Y1 (ko) 1999-03-02 1999-03-02 조경용 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165U KR200253645Y1 (ko) 1999-03-02 1999-03-02 조경용 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649U KR20000017649U (ko) 2000-10-05
KR200253645Y1 true KR200253645Y1 (ko) 2001-11-23

Family

ID=54759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165U Expired - Fee Related KR200253645Y1 (ko) 1999-03-02 1999-03-02 조경용 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6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649U (ko)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0517B2 (en) Pole mounting system having unique base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AU2002315471A1 (en) Pole mounting system having unique-base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KR200253645Y1 (ko) 조경용 휀스
CN213539319U (zh) 集装箱箱体侧柱连接装置
CN212465682U (zh) 一种挂板安装结构
KR100702615B1 (ko) 강제 거푸집
KR19990013079U (ko) 메쉬 휀스용 기둥
JP3020097B1 (ja) デッキ付パーゴラ
KR0168620B1 (ko) 주형틀
KR200186040Y1 (ko) 조립식 가로수 보호판
CN222044512U (zh) 一种装配式建筑的连接结构
CN222976232U (zh) 一种便于组装的建筑钢结构桁架
CN110939925A (zh) 一种管件及包含该管件的灯杆
KR200329513Y1 (ko) 매설용 앵커볼트 고정구
KR200386274Y1 (ko) 펜스
CN213686015U (zh) 一种用于舞台的摆件放置架
CN218894286U (zh) 装配式建筑用立柱
JPH10121791A (ja) メッシュフェンス
CN215253869U (zh) 一种装配式吊顶装置及装饰吊顶
CN218970451U (zh) 顶棚及房屋
KR100221962B1 (ko) 비닐하우스용 복합기둥
JPH0351473Y2 (ko)
JP4717660B2 (ja) 格子面状体システム
KR200397257Y1 (ko) 기둥거푸집
JPH053760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30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0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1103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30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09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