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51298Y1 - 식수대 장치 - Google Patents

식수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298Y1
KR200251298Y1 KR2020010023665U KR20010023665U KR200251298Y1 KR 200251298 Y1 KR200251298 Y1 KR 200251298Y1 KR 2020010023665 U KR2020010023665 U KR 2020010023665U KR 20010023665 U KR20010023665 U KR 20010023665U KR 200251298 Y1 KR200251298 Y1 KR 2002512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drinking
valve
dr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원
Original Assignee
이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원 filed Critical 이주원
Priority to KR2020010023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2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2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29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러 사람이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식수대에 있어서, 식수를 이용하기 위한 수도꼭지의 하부 배수부에 배수되는 물을 집수할 수 있도록 하는 집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도꼭지에 연결되는 급수부에는 과도한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식수대의 배수를 원활하게 하며, 물의 낭비를 방지하도록 한 식수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식수대(1)의 상부에 지지벽(2)을 형성하고 이 지지벽(2)에는 여러 개의 급수용 밸브(3)를 설치하며 이의 하방에 배수부(4)를 형성한 식수대에 있어서, 상기 급수용 밸브(3)에 연결되는 상수도관(5)에는 솔레노이드 밸브(6)를 설치하여 상기 급수용 밸브(3)로의 급수를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 상수도관(5)에는 바이패스관(7)과 바이패스 밸브(8)를 설치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6)는 제어수단(9)의 릴레이(10)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배수부(4)는 그 내주벽 전체에 경사부(11)를 형성하여 배수되는 물이 배수공(12)으로 집수되면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배수부(4)의 상면에는 다수 개의 통공(14)이 형성된 망체(13)를 길게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식수대 장치 {DRINKING WATER APPARATUS}
본 고안은 여러 사람이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식수대에 있어서, 식수를 이용하기 위한 수도꼭지의 하부 배수부에 배수되는 물을 집수할 수 있도록 하는 집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도꼭지에 연결되는 급수부에는 과도한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식수대의 배수를 원활하게 하며, 물의 낭비를 방지하도록 한 식수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나 학교 및 공원 등의 공공장소에는 많은 사람이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식수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식수대에는 여러 개의 수도꼭지와 같은 급수용 밸브를 설치하고 있었고, 상기 식수대에는 상기 급수용 밸브를 통하여 배출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하여 배수시설을 구비하고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종래의 식수대는 식수대의 일측 상부에 지지벽을 설치하고 이 지지벽에는 여러 개의 급수용 밸브를 설치하며, 이 급수용 밸브에는 외부의 상수도관을 연결시키도록 하고, 상기 급수용 밸브의 하방에는 배수부를 구비하며, 이 배수부에는 상기 각 급수용 밸브로부터 떨어지는 물이 비산되지 않도록 각각의 비산방지망체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식수대는 상수도관에 연결된 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급수용 밸브를 작동시켜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급수용 밸브를 개방시킨 상태로 방치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물의 낭비를 초래하는 폐단이 있었고, 상기 급수용 밸브에서 나온 물이 배수부의 비산방지용 망체에 의하여 비산되지 않도록 하고 있었으나, 상기 비산방지용 망체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낙하되는 물의 비산을 확실하게 방지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으며, 상기 배수부의 구성도 단순히 상기 급수용 밸브에서 유출된 물을 가두어 둔 상태에서 배수공을 통하여 배수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물의 배수가 신속하고 원활하게 되지 못하였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배수부에 물이 고이는 현상이 발생되고 물이 고임에 따라 미생물이나 각종 세균이 번식하게 되어 비위생적인 식수대가 되는 점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여러 사람이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식수대에 있어서, 식수를 이용하기 위한 수도꼭지의 하부 배수부에 배수되는 물을 집수할 수 있도록 하는 집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도꼭지에 연결되는 급수부에는 과도한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식수대의 배수를 원활하게 하며, 물의 낭비를 방지하도록 한 식수대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인 바, 이를 이하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식수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측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급수를 위한 상수도관의 구성을 나타내는 급수회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급수라인을 나타내는 급수회로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의 제어수단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식수대
2 : 지지벽
3 : 급수용 밸브
4 : 배수부
5 : 상수도관
6 : 솔레노이드 밸브
7 : 바이패스관
8 : 바이패스 밸브
9 : 제어수단
10 : 릴레이
11 : 경사부
12 : 배수공
13 : 망체
14 : 통공
식수대(1)의 상부에 지지벽(2)을 형성하고 이 지지벽(2)에는 여러 개의 급수용 밸브(3)를 설치하며 이의 하방에 배수부(4)를 형성한 식수대에 있어서, 상기 급수용 밸브(3)에 연결되는 상수도관(5)에는 솔레노이드 밸브(6)를 설치하여 상기 급수용 밸브(3)로의 급수를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 상수도관(5)에는 바이패스관(7)과 바이패스 밸브(8)를 설치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6)는 제어수단(9)의 릴레이(10)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한다.
상기 배수부(4)는 그 내주벽 전체에 경사부(11)를 형성하여 배수되는 물이 배수공(12)으로 집수되면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배수부(4)의 상면에는 다수 개의 통공(14)이 형성된 망체(13)를 길게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식수대(1)의 상부 지지벽(2)에 여러 개의 급수용 밸브(3)를 설치하고, 이의 하방에는 다수 개의 통공(14)이 길게 형성된 망체(13)를 배수부(4)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상수도관(5)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6)를 제어수단(9)의 릴레이(10)를 통하여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상수도관(5)을 통하여 물이 상기 급수용 밸브(3)로 공급되며, 상기 급수용 밸브(3)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배수부(4)의 망체(13)에 형성된 통공(14)을 통하여 배수부(4)로 배수되며, 이 배수부(4)의 내주벽 전체가 경사부(11)에 의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배수되는 물은 배수공(12)으로 집진되면서 원활하게 배수된다.
상기와 같이 식수대에 설치된 상기 급수용 밸브(3)를 통하여 급수작용을 함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관(5)과 솔레노이드 밸브(6)를 통하여 급수되는 물은 상기 급수용 밸브(3)를 틀어 놓은 상태에서 이를 방치할 경우, 상기 제어수단(9)을 식수대에서 원격된 위치에서 제어하여 물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6)를 콘트롤하는 제어수단(9)에 타이머를 구비할 경우에는 상기 급수용 밸브(3)로의 물 공급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6)의 제어에 따라 급수용 밸브(3)로 물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급수용 밸브(3)를 비상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상수도관(5)에 설치된 바이패스관(7)의 바이패스 밸브(8)를 수동으로 작동시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물의 낭비를 줄이면서 물의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상기 망체(13)를 상기 배수부(4)의 상부에 길게 설치허면서 이의 전체면에 다수 개의 통공(14)을 형성하도록 하므로써 상기 망체(13)로 낙하되는 물의 비산상태에 관계없이 원활하게 배수시키면서 비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기 식수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식수대에 설치되는 급수용 밸브(3)에 제어수단(9)에 의하여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6)를 설치하여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급수용 밸브(3)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수부(4)에는 경사부(11)를 통하여 배수되는 물이 배수공(12)으로 원활하게 집수되어 배수되도록 하면서 상기 배수부(4)에 전체적으로 통공(14)이 형성된 망체(13)를 설치하도록 하므로써 식수대 전체에서의 물 비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상수도관(5)에는 바이패스 밸브(8)가 설치된 바이패스관(7)을 설치하므로써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6)를 제어하거나 이의 고장이 발생될 경우에도 상기 급수용 밸브(3)로의 비상급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점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3)

  1. 식수대(1)의 상부에 지지벽(2)을 형성하고 이 지지벽(2)에는 여러 개의 급수용 밸브(3)를 설치하며 이의 하방에 배수부(4)를 형성한 식수대에 있어서, 상기 급수용 밸브(3)에 연결되는 상수도관(5)에는 솔레노이드 밸브(6)를 설치하여 상기 급수용 밸브(3)로의 급수를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6)는 제어수단(9)의 릴레이(10)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하며, 상기 배수부(4)는 그 내주벽 전체에 경사부(11)를 형성하여 배수되는 물이 배수공(12)으로 집수되면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배수부(4)의 상면에는 다수 개의 통공(14)이 형성된 망체(13)를 길게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6)를 제어하는 제어수단(9)에는 타이머를 구비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6)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관(5)에는 바이패스관(7)과 바이패스 밸브(8)를 설치하여 비상급수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대 장치.
KR2020010023665U 2001-08-03 2001-08-03 식수대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2512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665U KR200251298Y1 (ko) 2001-08-03 2001-08-03 식수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665U KR200251298Y1 (ko) 2001-08-03 2001-08-03 식수대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035A Division KR100420738B1 (ko) 2001-08-03 2001-08-03 식수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298Y1 true KR200251298Y1 (ko) 2001-11-22

Family

ID=73068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665U Expired - Fee Related KR200251298Y1 (ko) 2001-08-03 2001-08-03 식수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2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68235B (zh) 废水出口
Jeppesen Domestic greywater re-use: Australia's challenge for the future
KR100624186B1 (ko) 오물배출장치를 구비하는 소변기
US5113801A (en) Self-cleaning cat litter box
KR200251298Y1 (ko) 식수대 장치
KR100420738B1 (ko) 식수대 장치
WO2008110057A1 (fr) Système de chasse de wc économisant l&#39;eau
KR100552492B1 (ko) 오수받이 조립체
KR200273523Y1 (ko) 건축물에서 부력을 이용한 유해가스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US11172790B2 (en) Portable body waste collection and sanitation system
KR200265933Y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20120034869A (ko) 친환경 세면수 재활용 양변기 시스템
US11690484B2 (en) Portable washbasin system
KR200239577Y1 (ko) 하수관용 역류방지구
KR200349088Y1 (ko) 정수기 부착용 분수형 급수대
KR100701786B1 (ko) 개폐가 용이한 공동주택용 배수전
KR200395208Y1 (ko)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
KR200361698Y1 (ko) 분수형 급수대 노즐시스템
JP3136267U (ja) ドライトラップ付きサニタリー排水桝
KR200294978Y1 (ko) 정수와 절수 기능을 겸비한 실내용 급수대
GB2374379A (en) Domestic water tank
AU2003262218A1 (en) Water usage efficiency means and systems
KR200395244Y1 (ko) 오수받이 조립체
KR0125273Y1 (ko) 건축물 바닥용 드레인
KR20200137882A (ko) 배수구 거름망 자동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803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0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8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729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1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31219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