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47264Y1 - 막대사탕 무인판매기 - Google Patents

막대사탕 무인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264Y1
KR200247264Y1 KR2020010018893U KR20010018893U KR200247264Y1 KR 200247264 Y1 KR200247264 Y1 KR 200247264Y1 KR 2020010018893 U KR2020010018893 U KR 2020010018893U KR 20010018893 U KR20010018893 U KR 20010018893U KR 200247264 Y1 KR200247264 Y1 KR 2002472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y
lollipop
lollipops
drop
vending mach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정원
Original Assignee
고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정원 filed Critical 고정원
Priority to KR2020010018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2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2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26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막대사탕 무인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막대가 일체로 형성된 막대사탕을 특수하게 제작한 무인판매기를 이용하여 한번에 한개씩 걸리지 않게 낙하시켜 제공할 수 있게 하되, 막대사탕이 기계내부적인 요인에 의해 한꺼번에 두개가 떨어지는 등 불규칙적인 낙하현상을 무인판매기 몸체 내부에 설치한 사탕낙하방지장치의 작동으로 미연에 완벽하게 방지하여 막대사탕이 한번에 한개씩 정확하게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인 손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함은 물론, 판매기몸체를 흔들거나 충격을 가하는 경우에도 막대사탕이 공짜로 인출되는 경우가 없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공짜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막대사탕이 내부에 걸리게 되는 경우가 전혀 없어서 판매기자체가 고장이 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전혀 없으므로 안심하고 필요한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사탕낙하방지장치에 부가된 기능에 의해 막대사탕의 낙하시 낙하되는 막대사탕의 상측을 순간적을 타격하여 주어 막대사탕이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낙하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막대사탕 무인판매기{A stick candy vending machine}
본 고안은 막대사탕 무인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막대가 일체로 형성된 막대사탕을 특수하게 제작한 무인판매기를 이용하여 한번에 한개씩 걸리지 않게 낙하시켜 제공할 수 있게 하되, 막대사탕이 기계내부적인 요인에 의해 한꺼번에 두개가 떨어지는 등 불규칙적인 낙하현상을 무인판매기 몸체 내부에 설치한 사탕낙하방지장치의 작동으로 미연에 완벽하게 방지하여 막대사탕이 한번에 한개씩 정확하게 인출되도록 물론 상기 사탕낙하방지장치에 부가된 기능에 의해 막대사탕의 낙하시 낙하되는 막대사탕의 상측을 순간적을 타격하여 주어 막대사탕이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낙하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배나 음료수 등과 같은 각종 식료품이나 기호품 중 특히, 일회용품을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판매하도록 구성한 무인판매기는 널리 상용화되어 백화점, 수퍼마켓, 편의점, 문구점 등과 같은 다양한 장소에 구매자 취향에 따라 다양한 제품들을 설치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들 무인판매기들 중에는 막대사탕을 무인판매하는 무인판매기는 안출된 것이 전혀 없었는데, 그 이유로는 막대사탕의 경우 막대가 일체로 형성 되어 있어 공급 및 토출이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최근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막대사탕을 무인판매할 수 있는 판매기가 안출되었는데 본인의 선출원고안인 실용신안등록 제2001-6550호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본인의 선출원 고안은 첨부도면 도1a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하부몸체(100)에 형성된 코인기(110)에 동전(500)을 넣은 다음 우측으로 돌리면 코인기(110) 레버(111)의 회전축(112)에 축결합된 기어(113)가 회전함과 동시에 이와 이빨결합된 회전판(120)이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판(120) 중심에 결합된 사각관체(130)가 회전되면서 역시 사각관체(130)에 결합되고 내부에 막대사탕(400)이 일정한 형태로 정렬된 막대사탕정렬구(220)가 회전되어, 사탕낙하공(140)과 일치하는 위치상측에 형성된 사탕분리대(213)내측으로 삽입된 막대사탕(400)중 맨처음의 막대사탕(400)이 사탕낙하공(140)으로 낙하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사탕낙하공(140)으로 낙하된 막대사탕(400)이 구멍(172a)의 위치가 각각 다르게 형성된 다수의 경사판(172)에 순차적으로 떨어져 각각의 구멍(172a)을 통해 낙하되어 제품인출구(170)에 최종적으로 안착되어 사용자가 막대사탕(400)을 인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본인의 또다른 선출원 고안인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2001-6551호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본인의 선출원 고안들은 물론이고 그 밖의 여타한 고안들도 모두 상기 막대사탕정렬구(220)를 회전시켜 막대사탕(400)을 사탕낙하공(140)으로 떨어뜨릴수 있도록 정렬구안착부(211)에 형성되어 막대사탕(400)을 유도하는 낙하유도구(212)이 막대사탕보다 훨씬 크게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막대사탕의 인출시한꺼번에 두개 정도가 동시에 인출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경제적인 손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악용하여 사탕을 공짜로 인출할 목적으로 판매기몸체를 흔들거나 충격을 가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문제는 이러한 충격으로 판매기자체가 고장이 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허다하다는 점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 막대사탕이 일정한 형태로 정렬된 막대사탕정렬구가 회전되어, 사탕낙하공과 일치하는 위치상측에 형성되어 막대사탕정렬구에 정렬된 다수의 막대사탕중 맨처음의 막대사탕을 막대사탕보다 훨씬 크게 형성된 낙하유도구를 통해 사탕낙하공으로 낙하되도록 구성한 사탕분리대에 사탕낙하방지장치를 설치하여서, 동전을 투입하여 막대사탕의 인출시 사탕낙하방지장치에 의해 막대사탕이 한꺼번에 두개가 떨어지는 불규칙적인 낙하현상을 미연에 완벽하게 방지하여 막대사탕이 한번에 한개씩 정확하게 인출되도록 함은 물론 상기 사탕낙하방지장치에 부가된 기능에 의해 막대사탕의 낙하시 낙하되는 막대사탕의 상측을 순간적을 타격하여 주어 막대사탕이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낙하되도록 하여 주도록 하여 줌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1a,도1b는 본인의 선출원 고안의 전체 구성도로서,
도1a는 일부 분리 사시도.
도1b는 조립상태 단면도.
도2는 사용상태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요부구성상태도.
도4a,도4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도로서,
도4a는 막대사탕이 인출되지 않는 초기상태도.
도4b는 막대사탕이 인출되는 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의 동전인출구의 다른 구성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하부몸체 110:코인기
112:회전축 113:기어
120:회전판 140:사탕낙하공
170:제품인출구 172:경사판
210:받침판 213:사탕분리대
220:막대사탕정렬구 221:사탕삽입공
222:밀대 400:막대사탕
600:사탕낙하방지장치 610:핀몸체
611:제어판 612: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본인의 선출원 고안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6550호와 제2001-6551호중에서 제2001-6550호와 연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1a 내지 도2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하부몸체(100)에 형성된 코인기(110)에 동전(500)을 넣은 다음 우측으로 돌리면 코인기(110) 레버(111)의 회전축(112)에 축결합된 기어(113)가 회전함과 동시에 이와 이빨결합된 회전판(120)이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판(120) 중심에 결합된 사각관체(130)가 회전되면서 역시 사각관체(130)에 결합되고 내부에 막대사탕(400)이 일정한 형태로 정렬된 막대사탕정렬구(220)가 회전되어, 사탕낙하공(140)과 일치하는 위치상측에 형성된 사탕분리대(213)내측으로 삽입된 막대사탕(400)중 맨처음의 막대사탕(400)이 낙하유도구(212)를 통해 사탕낙하공(140)으로 낙하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사탕낙하공(140)으로 낙하된 막대사탕(400)이 구멍(172a)의 위치가 각각 다르게 형성된 다수의 경사판(172)에 순차적으로 떨어져 각각의 구멍(172a)을 통해 낙하되어 제품인출구(170)에 최종적으로 안착되어 사용자가 막대사탕(400)을 인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막대사탕 무인판매기에 있어서,
첨부도면 도3 내지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막대사탕(400)이 일정한 형태로 정렬된 막대사탕정렬구(220)가 회전되어, 사탕낙하공(140)과 일치하는 위치상측에 형성되어 막대사탕정렬구(220)에 정렬된 다수의 막대사탕(400)중 맨처음의 막대사탕(400)을 막대사탕(400)보다 훨씬 크게 형성된 낙하유도구(212)을 통해 사탕낙하공(140)으로 낙하되도록 구성한 사탕분리대(213)에 사탕낙하방지장치(600)를 설치하여서, 동전을 투입하여 막대사탕(400)의 인출시 사탕낙하방지장치(600)에 의해 막대사탕(400)이 한꺼번에 두개가 떨어지는 불규칙적인 낙하현상을 미연에 완벽하게 방지하여 막대사탕(400)이 한번에 한개씩 정확하게 인출되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사탕분리대(213)에 설치되는 사탕낙하방지장치(600)는, 핀몸체(610) 중간이 사탕분리대 벽면(213a)에 회전가능하도록 핀결합된 상태에서 외측면으로 돌출되는 후단은 스프링(612)에 결합되며, 내측면으로 돌출되는 선단에는 제어판(611)을 형성하여, 상기 핀몸체(610) 선단에 형성된 제어판(611)이 막대사탕(400)의 인출시 회전하는 막대사탕정렬구(220) 하단의 사탕삽입공(221) 사이사이에 형성된 밀대(222)에 의해 밀려서 상향회전되면서 밀대(222)가 지나치면 밀대(222)에 의해 맨처음의 막대사탕(400)이 슈팅되어 낙하유도구(212)으로 낙하됨과 동시에 상향회전되었던 제어판(611)이 핀몸체(610) 후단에 결합되어 늘어났던 스프링(61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하향복귀하면서 다음번의 밀대(222)를 타격하여 제동시켜줌으로써 다음번의 막대사탕(400)이 낙하유도구(212)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주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 일실시예에 의해 결코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막대사탕을 인출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에도 설치구성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 및 작동상태를 역시 본인의 선출원고안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6550호와 연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도4a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탕낙하방지장치(600)를 구성하는 핀몸체(610)의 선단에 형성된 제어판(611)이 막대사탕정렬구(220)의 하단에 형성되어 사탕을 슈팅하는 밀대(222)의 회전방향 전방면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어 막대사탕정렬구(220)의 회전이 단속됨으로써 막대사탕이 낙하유도구(212)로 떨어지지않도록 된 초기상태에서 동전(500)을 코인기(110)에 넣은 다음 우측으로 돌린다.
그러면 코인기(110)의 회전축(112)에 축결합된 기어(113)가 회전함과 동시에 이와 이빨결합된 회전판(120)이 회전된다.
이와같이 회전판(120)이 회전되면 상기 회전판(120) 중심에 결합된 사각관체(130)가 회전되면서 사각관체(130)에 결합되고 내부에 막대사탕(400)이 일정한 형태로 정렬된 막대사탕정렬구(220)가 회전한다.
그러면, 사탕낙하공(140)과 일치하는 위치상측에 형성된 사탕분리대(213)내측으로 삽입된 막대사탕(400)중 맨처음의 막대사탕(400)이 막대사탕정렬구(220) 하단의 사탕삽입공(221) 사이사이에 형성된 밀대(222)에 밀려 전진한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상기 사탕분리대(213)에 사탕낙하방지장치(600)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첨부도면 도4b에 도시된 바와같이 밀대(222)가 제어판(611)을 강제로 밀어서 제어판(611)의 하측단이 상향회전되는데 밀대(222)가 완전히 지나치면 밀대(222)에 전진하는 맨처음의 막대사탕(400)이 슈팅되어 낙하유도구(212)로 낙하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향회전되었던 제어판(611)이 핀몸체(610) 후단에 결합되어 늘어났던 스프링(61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하향복귀하면서 낙하하는 막대사탕(400)을 하측으로 순간적으로 타격하여 막대사탕(400)이 더욱 용이하게 낙하유도구(212)로 낙하된다.
그리고, 하향복귀하는 제어판은 첨부도면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음번의 밀대(222)가 필요이상으로 더 많이 회전되지 않도록 제동시켜줌으로써 다음번의 막대사탕(400)이 낙하유도구(212)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막대사탕 무인판매기를 사용하게 되면, 동전을 투입하여 막대사탕(400)의 인출시 사탕낙하방지장치(600)에 의해 막대사탕(400)이 한꺼번에 두개가 떨어지는 불규칙적인 낙하현상을 미연에 완벽하게 방지하여 막대사탕(400)이 한번에 한개씩 정확하게 인출된다.
또한, 막대사탕(400)의 인출후에 막대사탕(400)을 공짜로 인출할 목적으로 판매기몸체를 흔들거나 충격을 가하더라도 사탕낙하방지장치(600)를 구성하는 제어판(611)이 막대사탕정렬구(220)의 하단에 형성된 다음번의 밀대(222)에 접촉되어 막대사탕(400)이 움직이는 것을 제지하여 주어 다음번의 막대사탕(400)이 낙하유도구(212)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막대사탕의 인출시, 막대사탕이 막대사탕보다 훨씬 크게 형성된 낙하유도구를 통해 사탕낙하공으로 낙하되도록 구성한 사탕분리대에 사탕낙하방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막대사탕의 인출시 사탕낙하방지장치에 의해 막대사탕이 한꺼번에 두개가 떨어지는 불규칙적인 낙하현상이 미연에 완벽하게 방지되어 한번에 한개씩만 정확하게 인출된다.
또한, 상기 사탕낙하방지장치에 부가된 기능에 의해 막대사탕의 낙하시 낙하되는 막대사탕의 상측을 순간적을 타격하여 주어 막대사탕이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낙하된다.
그리고, 막대사탕을 공짜로 인출할 목적으로 판매기몸체를 흔들거나 충격을 가하더라도 사탕낙하방지장치를 구성하는 제어판이 막대사탕정렬구의 하단에 형성된 다음번의 밀대에 접촉되어 막대사탕이 움직이는 것을 제지하여 주어 다음번의 막대사탕이 낙하유도구로 낙하되는 것이 완벽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막대사탕 무인판매기를 설치하게 되면 막대사탕의 인출시 한꺼번에 두개 정도가 동시에 인출되는 경우가 전혀 없게 되어 경제적인 손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전혀 없음은 물론 판매기몸체를 흔들거나 충격을 가하는 경우에도 막대사탕이 공짜로 인출되는 경우가 전혀없어서 공짜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막대사탕이 내부에 걸리게 되는 경우가 전혀 없어서 판매기자체가 고장이 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전혀 없으므로 안심하고 필요한 장소에 설치사용할 수 있는 등 막대사탕 무인판매기의 동작이 완벽하여 실사용에 있어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획기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상기 하부몸체(100)에 형성된 코인기(110)에 동전(500)을 넣은 다음 우측으로 돌리면 코인기(110) 레버(111)의 회전축(112)에 축결합된 기어(113)가 회전함과 동시에 이와 이빨결합된 회전판(120)이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판(120) 중심에 결합된 사각관체(130)가 회전되면서 역시 사각관체(130)에 결합되고 내부에 막대사탕(400)이 일정한 형태로 정렬된 막대사탕정렬구(220)가 회전되어, 사탕낙하공(140)과 일치하는 위치상측에 형성된 사탕분리대(213)내측으로 삽입된 막대사탕(400)중 맨처음의 막대사탕(400)이 사탕낙하공(140)으로 낙하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사탕낙하공(140)으로 낙하된 막대사탕(400)이 구멍(172a)의 위치가 각각 다르게 형성된 다수의 경사판(172)에 순차적으로 떨어져 각각의 구멍(172a)을 통해 낙하되어 제품인출구(170)에 최종적으로 안착되어 사용자가 막대사탕(400)을 인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막대사탕 무인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막대사탕(400)이 일정한 형태로 정렬된 막대사탕정렬구(220)가 회전되어, 사탕낙하공(140)과 일치하는 위치상측에 형성되어 막대사탕정렬구(220)에 정렬된 다수의 막대사탕(400)중 맨처음의 막대사탕(400)을 막대사탕(400)보다 훨씬 크게 형성된 낙하유도구(212)를 통해 사탕낙하공(140)으로 낙하되도록 구성한 사탕분리대(213)에 막대사탕(400)의 인출시 막대사탕(400)이 한번에 한개씩만 정확하게 인출되도록 사탕낙하방지장치(600)를 설치하되,
    상기 사탕분리대(213)에 설치되는 사탕낙하방지장치(600)는, 상기 사탕분리대(213) 벽면(213a)에 회전가능하도록 핀결합되는 핀몸체(610)선단에는 사탕분리대(213)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제어판(611)을 형성하고 핀몸체(610)후단은 판매기몸체와 스프링(612)으로 연결설치하여서, 막대사탕(400)을 인출할시 회전되는 막대사탕정렬구(220) 하단의 사탕삽입공(221) 사이사이에 형성된 밀대(222)가 전진함에 따라 이와 접촉되는 제어판(611)이 밀려서 상향회전되면서 밀대(222)가 맨처음의 막대사탕(400)을 슈팅하여 낙하유도구(212)으로 낙하시킴과 동시에 밀대(222)의 단속에서 벗어난 제어판(611)이 스프링(61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하향복귀하면서 막대사탕(400)을 타격하여 낙하유도구(212)로 신속히 낙하되도록 하고 그 다음번의 밀대(222)를 제동시켜주어 다음번의 막대사탕(400)이 낙하유도구(212)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주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사탕 무인판매기.
KR2020010018893U 2001-06-23 2001-06-23 막대사탕 무인판매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2472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893U KR200247264Y1 (ko) 2001-06-23 2001-06-23 막대사탕 무인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893U KR200247264Y1 (ko) 2001-06-23 2001-06-23 막대사탕 무인판매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264Y1 true KR200247264Y1 (ko) 2001-10-31

Family

ID=7310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893U Expired - Fee Related KR200247264Y1 (ko) 2001-06-23 2001-06-23 막대사탕 무인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2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907142U (zh) 转盘装置以及扭蛋机
US4240536A (en) Amusement device
JP3441548B2 (ja) 自動販売機における硬貨選別装置
US3797828A (en) Launcher and targets having overload mechanism
KR200247264Y1 (ko) 막대사탕 무인판매기
US7144318B2 (en) Carrying disk device of coin dispenser
US10741014B2 (en) Adjustable prize chute
DE4305125C2 (de) Als oszillierender Kugelwerfer ausgebildeter Spielbestandteil
KR101278607B1 (ko) 물품 뽑기 게임기
US6062370A (en) Coin counter assembly for push-pull coin mechanism for vending and arcade machines and appliances
CN106157435A (zh) 出币机的推币装置
US20120298687A1 (en) Coin-Operated gumball machine
GB2072633A (en) Dispensing machine
JPH0517109Y2 (ko)
US6279903B1 (en) Amusement game
JP3235511B2 (ja) ゲーム装置
JP3981372B2 (ja) 回転盤式硬貨送出装置
JPH0421568Y2 (ko)
JPH0832275B2 (ja) パチンコ機の変動入賞装置
GB2214909A (en) Conveying apparatus for e.g. amusement machine
JP2003248858A (ja) 景品等の球状物品の給送装置
CA2330432C (en) Coin counting device
US8794419B1 (en) Data generating device for push pull coin mechanism for vending and arcade machines and appliances
KR200228433Y1 (ko) 펀칭 게임기
KR200170508Y1 (ko) 게임기가 부설된 자동판매기의 볼과자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62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9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62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22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0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6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8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