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28433Y1 - 펀칭 게임기 - Google Patents

펀칭 게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433Y1
KR200228433Y1 KR2020000037303U KR20000037303U KR200228433Y1 KR 200228433 Y1 KR200228433 Y1 KR 200228433Y1 KR 2020000037303 U KR2020000037303 U KR 2020000037303U KR 20000037303 U KR20000037303 U KR 20000037303U KR 200228433 Y1 KR200228433 Y1 KR 2002284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ing
fixed
game machine
stop
p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7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인기
Original Assignee
장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인기 filed Critical 장인기
Priority to KR2020000037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4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4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43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펀칭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 게임기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바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2)과, 상기 회전축(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원통체(3)와, 상기 양쪽 원통체(3)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펀칭요소(4)가 결합되는 한 쌍의 절곡된 펀칭레버(5)와, 상기 양쪽 펀칭레버(5)를 타격에 반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6)과, 상기 양쪽 펀칭레버(5)를 교대로 돌출시키기 위한 레버구동수단(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게임기에서 펀칭요소가 자동적으로 교대로 튀어 나오고, 게임자가 양쪽 손을 이용하여 펀칭요소를 교대로 타격하면서 게임을 할 수 있으므로 종래 하나의 펀칭요소를 타격하는 게임에 비하여 게임의 호기심과 즐거움이 배가된다.

Description

펀칭 게임기{PUNCHING GAME MACHINE}
본 고안은 펀칭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게임기 본체의 전방으로 한 쌍의 펀칭요소가 돌출되게 하고, 양쪽 펀칭요소를 한 쌍의 펀칭레버에 의해 교대로 자동 돌출되도록 하여 게임자가 두 손을 이용하여 타격할 수 있도록 한 펀칭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펀치 게임기는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된 하나의 펀치요소를 예를 들어 게임자가 주먹으로 치면 펀칭요소가 타격력에 의해 뒤로 회동하고, 타격 점수가 디스플레이되면서 일정 점수 이상이 되면 축하곡이 울리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종래의 펀치 게임기는 하나의 펀칭요소를 한 손만을 이용하여 타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게임이 단조롭고 이에 따라 게임의 즐거움과 흥취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게임기 본체의 전방으로 한 쌍의 펀칭요소가 돌출되게 하고, 양쪽 펀칭요소를 한 쌍의 펀칭레버에 의해 교대로 자동 돌출되도록 하여 게임자가 두 손을 이용하여 타격할 수 있게 되는 펀칭 게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펀치 게임기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전체 종단면도.
도 2는 부분 절결 정면도.
도 3은 횡단면도.
도 4는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a : 바닥판
2 : 회전축 3 : 원통체
4 : 펀칭요소 5 : 펀칭레버
6 : 지지수단 7 : 레버구동수단
8 : 정지수단 9 : 베어링
10 : 회전구동수단 11 : 베벨기어
12 : 래치트기어 13 : 중간 베벨기어
14 : 착탈수단 15 : 지지판
16 : 정지간 17 : 고정부재
18 : 스프링 19 : 고정부
20 : 솔레노이드 21 : 플런저
22 : 원형 마찰판 23 : 모터
24 : 마찰차 25 : 연결부재
26 : 레일 27 : 슬라이더
28 : 솔레노이드 29 : 플런저
30 : 연결간 31 : 고정부
32 : 스프링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펀칭 게임기는 게임기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원통체와, 상기 양쪽 원통체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펀칭요소가 결합되는 한 쌍의 절곡된 펀칭레버와, 상기 양쪽 펀칭레버를 타격에 반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과, 상기 양쪽 펀칭레버를 교대로 돌출시키기 위한 레버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구동수단은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수단과, 상기 양쪽 원통체의 내측단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베벨기어와, 양쪽 원통체의 외측단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래치트기어와, 양쪽 베벨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연결/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간 베벨기어와, 양쪽 래치트기어를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수단과, 중간 베벨기어를 연결/분리시키기 위한 착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펀치 게임기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에는 전체 종단면도, 도 2에는 부분 절결 정면도, 도 3에는 횡단면도가 각각 도시되고, 도 4에는 도 1의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애는 도 3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펀치 게임기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바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2)과, 상기 회전축(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원통체(3)와, 상기 양쪽 원통체(3)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펀칭요소(4)가 결합되는 한 쌍의 절곡된 펀칭레버(5)와, 상기 양쪽 펀칭레버(5)를 타격에 반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6)과, 상기 양쪽 펀칭레버(5)를 교대로 돌출시키기 위한 레버구동수단(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2)은 본체(1)의 바닥부에 베어링(9)을 양단부에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레버구동수단(7)은 회전축(2)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수단(10)과, 상기 양쪽 원통체(3)의 내측단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베벨기어(11)와, 양쪽 원통체(3)의 외측단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래치트기어(12)와, 양쪽 베벨기어(11)에 연결/분리되어 양쪽 원통체(3)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중간 베벨기어(13)와, 양쪽 래치트기어(12)를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수단(8)과, 중간 베벨기어(13)를 연결/분리시키기 위한 착탈수단(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정지수단(8)은 본체(1)의 바닥판(1a)에 래치트기어(12)와 인접하게 고정된 지지판(15)에 축착되어 래치트기어(12)를 구속하는 정지간(16)과, 정지간(16)의 하단부와 바닥판(1a)의 고정부재(17) 사이에 연결되어 정지간(16)을 래치트기어(12)에 물리도록 하는 스프링(18)과, 바닥판(1a)의 고정부(19)에 고정되어 정지간(16)을 래치트기어(12)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20)와, 솔레노이드(20)의 플런저(21)와 정지간(16)의 일측 상단부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부재(2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구동수단(10)은 회전축(2)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원형 마찰판(22)과 바닥판(1a)에 원형 마찰판(22)과 인접하게 고정된 모터(23)와, 모터(23)의 축에 고정되어 원형 마찰판(22)을 회전시키는 마찰차(2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수단(6)은 본체(1)의 고정부(33)에 고정된 지지편(34)에 실린더(35)의 하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실린더(35)의 플런저(36)가 양쪽 펀칭레버(5)의 하부에 힌지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지지수단(6)의 실린더(35)의 압력은 사용자 또는 게임자가 필요에 따라 통상의 조절수단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착탈수단(14)은 중간 베벨기어(13)가 축착된 슬라이더(27)가 바닥판(1a)에 고정된 레일(26)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슬라이더(27)의 일단부에는 솔레노이드(28)의 플런저(29)가 연결간(30)으로 연결되어 솔레노이드(28)가 온될 때에 중간 베벨기어(13)를 후방으로 당겨 양쪽 베벨기어(11)에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슬라이더(27)의 타단부에는 본체(1)의 고정부(31)에 일단부가 연결된 스프링(32)의 타단부가 연결되어 솔레노이드(28)가 오프될 때에 중간 베벨기어(13)를 전방으로 당겨 양쪽 베벨기어(11)에서 분리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 펀치 게임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펀치 게임을 하기전 대기 상태에서는 펀치 게임기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된 한 쌍의 펀칭요소(4)가 모두 대기상태로 후퇴되어 있는다.
그리고, 양쪽 정지수단(8)의 정지간(16)은 솔레노이드(20)가 오프되어 솔레노이드(28)의 당김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스프링(18)의 복원탄력으로 당겨져 양쪽 래치트기어(12)에 접촉됨으로써 양쪽 래치트기어(12)를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속하고, 이에 따라 양쪽 원통체(3)와 양쪽 펀칭레버(5)가 대기 상태에 정지되어 있다. 또, 중간 베벨기어(13)는 솔레노이드(28)가 오프되어 당김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스프링(32)의 복원탄력에 의해 전방으로 당겨져 양쪽 베벨기어(11)에서 분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체(1)의 전면 일측부에 구비된 동전투입구에 일정액의 동전을 투입하여 통상의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되면, 도 3 및 기계를 기준으로 정지수단(8)의 우측 솔레노이드(20)가 온되어 당김에 따라 양쪽 정지수단(8)의 정지간(16)이 우측 래치트기어(12)에서 분리된다.
이어서 회전구동수단(10)의 모터(23)가 온되어 마찰차(24)가 회전하고 우측 원형 마찰판(22)의 회전에 의해 우측 원통체(3)의 회전함에 따라 우측 펀칭레버(5)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우측 펀칭레버(5)의 상단부에 결합된 펀칭요소(4)가 전방으로 튀어 나오게 된다.
이후, 정지수단(8)의 좌측 솔레노이드(20)가 온되어 당김에 따라 양쪽 정지수단(8)의 정지간(16)이 좌측 래치트기어(12)에서 분리되고, 이어서 착탈수단(14)의 솔레노이드(28)가 온되어 당김에 따라 중간 베벨기어(13)가 후방으로 당겨져 양쪽 베벨기어(11)에 연결됨으로써 게임할 준비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된 상태에서 게임자가 우측으로 튀어나온 우측 펀칭요소(4)를 주먹으로 치게 되면 상기 양쪽 원통체(3)가 베벨기어(11),(13)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우측 펀칭요소(4)를 타격함에 의해 우측 펀칭레버(5)가 본체(1)의 내측으로 회동하고, 좌측 원통체(3)가 우측 원통체(3)와 반대로 회전하여 좌측 원통체(3)에 고정된 좌측 펀칭레버(5)가 본체(1)의 외측으로 회동하며, 또, 튀어나온 좌측 펀칭요소(4)를 타격하면 이번에는 좌측 펀칭요소(4)가 들어감에 따라 우측 펀칭요소(4)가 전방으로 튀어나오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 펀치 게임기는 한쪽 펀칭요소(4)를 치면 다른 쪽 펀칭요소(4)가 튀어 나오게 되므로 게임자가 좌,우측 펀칭요소(4)를 반복적으로 일정한 회수 만큼 타격하는 게임을 할 수 있게 된다.
또, 게임하는 동안 본체(1) 내부에 구비된 통상의 감지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타격 회수가 카운트된다.
한편, 타격을 일정 회수 행하여 게임이 종료되면 상기 정지수단(8)의 솔레노이드(20)가 오프되고 정지수단(8)의 정지간(16)이 스프링(18)의 복원탄력에 의해 회동하여 래치트기어(12)를 구속하여 회전을 정지시키며, 또한, 착탈수단(14)의 솔레노이드(28)가 오프되고, 스프링(32)의 복원탄력에 의해 슬라이더(27)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중간 베벨기어(13)가 양쪽 베벨기어(11)에서 떨어져 정지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정지상태에서 좌,우측 펀칭레버(5) 중 어느 한 쪽의 펀칭레버(5)가 전방으로 나와있게 된 경우에는 상기 좌,우측 래치트기어(12)에 정지간(16)이 붙어 좌,우측 원통체(3)가 전방으로의 회전이 않되도록 구속되어 있으나, 후방으로는 회전할 수 있으므로 게임이 정지된 후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어느 한 쪽의 펀칭요소(4)를 치거나 밀어 넣으면 대기 위치로 회동하고, 대기 위치에서는 동전을 투입하지 않는 한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펀치 게임기를 실시함에 있어서 동전감지, 펀칭레버(5)의 회전수 감지, 솔레노이드 및 모터의 구동을 위한 전기회로는 통상의 내용에 의해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게임을 하면서 소리 발생장치 및 조명 발생장치을 이용하여 게임 분위기 및 흥취를 높이기 위한 통상의 여러 가지 수단이 실시될 수 있으며, 타격 점수에 따라 점수를 표시하는 통상의 수단도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게임기에서 펀칭요소가 자동적으로 교대로 튀어 나오고, 게임자가 양쪽 손을 이용하여 펀칭요소를 교대로 타격하면서 게임을 할 수 있으므로 종래 하나의 펀칭요소를 타격하는 게임에 비하여 게임의 호기심과 즐거움이 배가된다.

Claims (5)

  1. 게임기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바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2)과, 상기 회전축(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원통체(3)와, 상기 양쪽 원통체(3)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펀칭요소(4)가 결합되는 한 쌍의 절곡된 펀칭레버(5)와, 상기 양쪽 펀칭레버(5)를 타격에 반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6)과, 상기 양쪽 펀칭레버(5)를 교대로 돌출시키기 위한 레버구동수단(7)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 게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구동수단(7)은 상기회전축(2)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수단(10)과, 상기 양쪽 원통체(3)의 내측단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베벨기어(11)와, 상기양쪽 원통체(3)의 외측단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래치트기어(12)와, 상기양쪽 베벨기어(11)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연결/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간 베벨기어(13)와, 상기양쪽 래치트기어(12)를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수단(8)과, 상기중간 베벨기어(13)를 연결/분리시키기 위한 착탈수단(1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 게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14)은 상기중간 베벨기어(13)가 축착된 슬라이더(27)가 상기바닥판(1a)에 고정된 레일(26)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슬라이더(27)의 일단부에는 솔레노이드(28)의 플런저(29)가 연결간(30)으로 연결되며, 상기슬라이더(27)의 타단부에는 상기본체(1)의 고정부(31)에 일단부가 연결된 스프링(32)의 타단부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 게임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6)은 상기본체(1)의 고정부(33)에 고정된 지지편(34)에 실린더(35)의 하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실린더(35)의 플런저(36)가 상기양쪽 펀칭레버(5)의 하부에 힌지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 게임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수단(8)은 상기본체(1)의 바닥판(1a)에 상기래치트기어(12)와 인접하게 고정된 지지판(15)에 축착되어 상기래치트기어(12)를 구속하는 정지간(16)과, 상기정지간(16)의 하단부와 상기바닥판(1a)의 고정부재(17)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정지간(16)을 상기래치트기어(12)에 물리도록 하는 스프링(18)과, 상기바닥판(1a)의 고정부(19)에 고정되어 상기정지간(16)을 상기래치트기어(12)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20)와, 상기솔레노이드(20)의 플런저(21)와 상기정지간(16)의 일측 상단부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부재(25)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구동수단(10)은 상기회전축(2)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원형 마찰판(22)과 상기바닥판(1a)에 상기원형 마찰판(22)과 인접하게 고정된 모터(23)와, 상기모터(23)의 축에 고정되어 상기원형 마찰판(22)을 회전시키는 마찰차(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 게임기.
KR2020000037303U 2000-12-30 2000-12-30 펀칭 게임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2284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303U KR200228433Y1 (ko) 2000-12-30 2000-12-30 펀칭 게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303U KR200228433Y1 (ko) 2000-12-30 2000-12-30 펀칭 게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433Y1 true KR200228433Y1 (ko) 2001-06-15

Family

ID=73061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303U Expired - Fee Related KR200228433Y1 (ko) 2000-12-30 2000-12-30 펀칭 게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4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914B1 (ko) * 2017-07-24 2019-01-21 이재훈 복싱용 자동 미트 치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914B1 (ko) * 2017-07-24 2019-01-21 이재훈 복싱용 자동 미트 치기 및 이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4543B2 (en) Action figure game piece and method of playing action figure game
US4244575A (en) Pinball game having active targets
JP3999066B2 (ja) 球遊技機
KR200228433Y1 (ko) 펀칭 게임기
IE50869B1 (en) Reel spin mechanism
JPH08229191A (ja) ルーレットゲーム機
US4286785A (en) Tennis game board
JP2006271464A (ja) 遊技機
US5020801A (en) Baseball home run contest game
JP2006116055A (ja) 遊技機
JP5203083B2 (ja) 遊技機
US4856777A (en) Simulator toy
JP2789508B2 (ja) スロットマシン
KR200242517Y1 (ko) 체력 단련용 게임기
JP4877590B2 (ja) 遊技機
CN222719912U (zh) 一种摇球游戏机
JP5049222B2 (ja) 盤面部品、演出装置、遊技盤ユニット、及びパチンコ遊技機
JPH084052Y2 (ja) 玉出しゲーム装置
JP3151721U (ja) カード吐出玩具
JP4167305B2 (ja) ルーレット型ゲーム装置
JP2509419Y2 (ja) ル―レット玩具
US961239A (en) Amusement device.
KR200210230Y1 (ko) 오락용 펀치 기계
JP3060537U (ja) ピッチングマシンおもちゃ
JPH0220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123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4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1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12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