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46719Y1 - 축연을 위한 조명제구 및 그 조명제구를 이용한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축연을 위한 조명제구 및 그 조명제구를 이용한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719Y1
KR200246719Y1 KR2019990002056U KR19990002056U KR200246719Y1 KR 200246719 Y1 KR200246719 Y1 KR 200246719Y1 KR 2019990002056 U KR2019990002056 U KR 2019990002056U KR 19990002056 U KR19990002056 U KR 19990002056U KR 200246719 Y1 KR200246719 Y1 KR 2002467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ighting
pedestal
main switch
turn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20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891U (ko
Inventor
홍건선
Original Assignee
홍건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건선 filed Critical 홍건선
Priority to KR20199900020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719Y1/ko
Publication of KR200000168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8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7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71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일축하 연이나 그 이외 연회를 축하 하기 위한 조명제구및 그 조명제구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다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적당한 위치에 램프를 갖는 몸체와, 이 몸체의 램프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풍력 또는 습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갖추어서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조명제구와; 그리고 상기 조명제구가 재치되는 수개의 수용부를 가지며, 이 수용부에 상기 조명제구가 재치됨과 동시에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터미널을 갖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적당한 위치에 상기 램프의 점등을 위해 설치되는 메인 스위치와; 상기 받침대 적당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의 점등을 위한 전원을 공급시키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메인 스위치를 온시켜 램프를 점등시킨후 입바람 또는 입김을 감지센서로 감지케하여서 점등된 램프를 소등시키도록한 것이다.

Description

축연을 위한 조명제구 및 그 조명제구를 이용한 조명장치{A CANDDLE FOR FESTIVAL AND LIGHTING APPARATUS USED THE CANDDLE}
본 고안은 생일축하 또는 그 이외 각종 연의 축하를 위해 회장을 밝혀주는 조명제구 및 그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이 간편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도록한 조명제구및 그 조명제구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일축하 연이나 결혼, 약혼등 각종 연회의 축하를 위해 장을 밝혀주는 것은 통상 양초를 주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러한 양초를 이용한 축하의식을 보면 심지에 불을 붙혀 연회의 장을 밝혀주고 축하의식이 끝나는 시점에서 양초를 소화시키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연소식으로 점화되는 양초에서 용융물이 흘러내리고, 이 흘러내려지는 양초물은 케이크 표면상에서 응고되어 음식물(케이크)을 오염시키고 있는 것이다.
또 양초의 소화시 끄름 또는 유해가스등의 악취가 발생하고 있어 축하 연회장내의 공기를 오염시키는등 사용상에 많은 불편을 주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지 것으로, 그 목적은 축전된 전원을 이용해 간단히 점등시키고, 점등된 램프를 입바람(풍력) 또는 입김(습도)등을 감지하여 소등되게 하여서 연회를 간편히 축하 할 수 있도록한 축연을 위한 조명제구및 그 조명제구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한 조명제구및 그 조명제구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생일축하 연이나 그 이외 연회를 축하 하기 위한 조명제구및 그 조명제구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다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적당한 위치에 램프를 갖는 몸체와, 이 몸체의 램프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풍력 또는 습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갖추어서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조명제구와; 그리고 상기 조명제구가 재치되는 수개의 수용부를 가지며, 이 수용부에 상기 조명제구가 재치됨과 동시에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터미널을 갖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적당한 위치에 상기 램프의 점등을 위해 설치되는 메인 스위치와; 상기 받침대 적당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의 점등을 위한 전원을 공급시키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메인 스위치를 온시켜 램프를 점등시킨후 입바람 또는 입김을 감지센서로 감지케하여서 점등된 램프를 소등시키도록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조명제구를 보여 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 조명제구의 구성을 보여 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조명제구및 그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보여 주는 사시도,
도 4은 본 고안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 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받침대 사용상태를 보여 주는 설명도,
도 6은 본 고안 조명제구를 독립적으로 사용시의 전기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회로도,
도 6a는 본 고안 조명제구를 복수개로 사용하고 램프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되 상태를 보여 주는 회로도,
도 7은 본 고안 복수개의 조명제구를 사용하는 받침대의 전기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회로도,
도 8은 본 고안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 주는 설명도,
도 9은 도 8에 적용되는 받침대를 보여 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조명제구 11 :몸체
12 :램프 13 :감지센서
20 :받침대 21 :허브
22 :아암 23 :수용부
60 :터미널 70 :멜로디IC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및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제구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 조명제구(10)는 통상의 양초와 같이 적당한 길이를 가지고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11)를 갖고 있다. 이러한 몸체(11)는 봉형상 이외 다른 형상을 가질 수 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몸체(11)의 적당한 위치에 불꽃형상을 갖는 램프(12)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이때 램프(12)는 다양한 색을 띠게 한다.
또 상기 램프(12)에는 입바람등의 풍력 또는 입김등의 습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3)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감지센서(13)의 감지부(13A)가 램프(12)의 외주벽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서 입바람 또는 입김에 용이하게 접하게 하였다.
또한 몸체(11)에는 램프(12)의 점등을 위한 충전 전원을 공급시키기 위한 배터리(14)및 램프(12)의 점등을 위한 메인 스위치(15)가 설치된다.
상기 배터리(14)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램프(12) 역시 교체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렇게 조명제구(10)의 몸체(11)에 램프(12), 감지센서(13), 배터리(14)를 일체로 갖추어 조명제구를 독립적으로 사용한다.
도 3에는 본 고안 조명제구(10)가 진열되는 받침대(20)의 일례를 보이고 있다.
받침대(20)는 중앙에 허브(21)를 가지고 있으며, 이 허브(21)의 외주연에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아암(22)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아암(22)의 길이는 케이크의 반경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아암(22)의 끝단부에 조명제구(10)가 재치되는 수용부(23)가 일체로 설치된다. 이때 수용부(23)는 조명제구(10)의 설치시 외력에 의해 쉬웁게 넘어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수용부(23)는 조명제구(10)가 적당한 깊이로 삽입되어 안정되게 설치되는 삽입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받침대(20)는 대략 케이크의 저면으로 설치되고 조명제구(10)는 케이크의 가장자리에 돌아가며 설치될 것이다.
도 4및 도 5에는 본 고안 조명제구(10)가 진열되는 받침대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본 실시예의 받침대(30)는 대략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면에 조명제구(10)가 적당한 깊이로 삽입되어 안정되게 설치되게 하는 수개의 수용부(31)를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되는 원판형상의 받침대(30)는 대략 케이크(40)의 상면에 삼발이(50)등을 이용하여 설치될 것이다. 이때 케이크(40)상에 설치되는 원판형상의 받침대(30)는 투명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촛(10)및 받침대(20),30)들은 적당한 합성수지제를 이용하여 적당한 사출공정을 통해 제조될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대(20),(30)에는 배터리(14)와 메인 스위치(15)를 설치하고 있고, 수용부(23),(31) 각각에는 조명제구(10)의 설치시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터미널(60)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수용부에 조명제구를 설치시에서는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고 수용부에서 조명제구를 들어냄과 동시에 전기적인 회로가 차단되게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터미널(60)은 핀결합식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이 핀결합식 이외 다른 방식으로 이용할 수 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조명제구(10) 또는 받침대(20),(30)에다 메인 스위치(15)의 온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소정의 음악을 연주해내는 멜로디IC(70)를 더 갖을 수 있다.
또 상기 멜로디IC(70)가 램프(12)의 소등과 동시에 연주가 중단되게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도 6및 도 6a,도 7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적인 회로구성을 보인 블럭도로서, 도 6은 조명제구(10)가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즉 메인 스위치(15)를 온시키면 배터리(14)의 충전 전원은 낸드게이트(N)를 통해 램프(12)로 전달되어 그 램프(12)를 점등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램프(12)가 점등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바람(풍력) 또는 입김(습도)을 감지센서(13)가 감지함과 동시에 낸드게이트(14)에 의해 램프(12)는 소등되게 구성 하였다.
도 6a는 본 고안의 다른 전기적인 회로구성을 보인 블럭도로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와 다르다는 것은 수개의 램프(12)를 병렬로 연결하고, 램프(12)들 중 그 어느하나를 선택하여 설치한 감지센서(13)에 의해 램프(12)가 소등되게 구성하고 있다.
도 7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전기적인 회로구성을 보인 블럭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병렬로 설치되는 램프(12)들 각각에 감지센서(13)를 갖추고 개개의 감지센서(13)에 의해 각 램프(12)가 감지되는 신호에 의해 각각 소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8및 도 9에는 본 고안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의 받침대(80)는 원판형상으로 구성되는 허브(81)를 갖고 있으며, 이 허브(81)와 별도 분리 구성되는 아암(82)을 구성하고, 이 아암(82)을 상기 허브(81)내,외측으로 삽탈가능하게 설치, 즉 허브(81)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삽입홈(83)을 이용하여서, 상기 아암(82)을 상기 삽입홈(83)내,외측으로 출몰되는 것으로 그 길이가 조절되며 조명제구의 설치위치를 가변시키게 한 것이다. 다시설명하면 케이크(40)의 크기(너비)에 따라서 조명제구(10)의 위치를 가변시키어 제품의 호환성을 가지게 구성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조명제구 및 그 받침대에서 램프의 점등을 위한 전원은 충전 전원 이외 일반 가정용 전원을 이용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전원을 이용하여 램프를 간단히 점등시키고, 이렇게 점등된 램프를 감지센서에 의해 소등되게 하므로써, 연회의 축하를 간편히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은 조명제구의 램프에 다양한 색상을 띠게 하여서 분위기 고양시키고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9)

  1. 다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
    상기 몸체 적당한 위치에 설치되는 램프;
    상기 몸체 또는 램프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서 풍력 또는 습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몸체 적당한 위치에 상기 램프의 점등을 위해 설치되는 메인 스위치;및
    상기 몸체 적당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의 점등을 위한 전원을 공급시키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메인 스위치를 온시켜 램프를 점등시킨후 입바람 또는 입김을 감지센서로 감지케하여서 점등된 램프를 소등시키도록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축연을 위한 조명제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제구에 상기 메인 스위치의 온신호와 함께 온되는 멜로디IC를 더 포함하는 축연을 위한조명제구.
  3. 다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적당한 위치에 램프를 갖는 몸체와, 이 몸체의 램프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풍력 또는 습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갖추어서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조명제구;
    상기 조명제구가 재치되는 수개의 수용부를 가지며, 이 수용부에 상기 조명제구가 재치됨과 동시에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터미널을 갖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 적당한 위치에 상기 램프의 점등을 위해 설치되는 메인 스위치;
    상기 받침대 적당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의 점등을 위한 전원을 공급시키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메인 스위치를 온시켜 램프를 점등시킨후 입바람 또는 입김을 감지센서로 감지케하여서 점등된 램프를 소등시키도록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축연을 위한 조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 상기 메인 스위치의 온신호와 함께 온되는 멜로디IC를 더 포함하는 축연을 위한 조명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들 중 그 어느 하나의 램프에 하나의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점등된 램프들이 동시에 소등되게한 것을 포함 하는 축연을 위한 조명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들 각각에 감지센서를 갖추어서 점등된 각 램프들이 개개의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각각 소등되도록한 것을 포함 하는 축연을 위한 조명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가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 하는 축연을 위한 조명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가 중앙에 허브를 가지며, 이 허브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아암을 갖추어서된 것을 포함하는 축연을 위한 조명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아암이 허브와 분리되고, 이 아암이 허브 내외측으로 삽탈되며 아암의 길이를 조절시키면서, 상기 조명제구의 설치 회전반경을 케이크의 너비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시킬 수 있도록한 것을 포함하는 축연을 위한 조명장치.
KR2019990002056U 1999-02-10 1999-02-10 축연을 위한 조명제구 및 그 조명제구를 이용한 조명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2467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056U KR200246719Y1 (ko) 1999-02-10 1999-02-10 축연을 위한 조명제구 및 그 조명제구를 이용한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056U KR200246719Y1 (ko) 1999-02-10 1999-02-10 축연을 위한 조명제구 및 그 조명제구를 이용한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891U KR20000016891U (ko) 2000-09-25
KR200246719Y1 true KR200246719Y1 (ko) 2001-09-29

Family

ID=54759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2056U Expired - Fee Related KR200246719Y1 (ko) 1999-02-10 1999-02-10 축연을 위한 조명제구 및 그 조명제구를 이용한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71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004B1 (ko) * 2019-11-25 2021-08-27 미스터 스마일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다기능 전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891U (ko) 200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7374B2 (en) Electrically illuminated flame simulator
US7252423B1 (en) Candle with magnetically activated internal illumination
US8256936B2 (en) Electronic candle assembly
US20050248952A1 (en) Lighting device for pumpkins and other similar articles
KR20080044957A (ko) 회전식 조명등기구
KR200246719Y1 (ko) 축연을 위한 조명제구 및 그 조명제구를 이용한 조명장치
JP2013004509A (ja) Led灯具
CN106641806B (zh) 一种手提式灯
JP2012185987A (ja) センサ付き照明器具
US20210102674A1 (en) Blow-out electronic candle
JP2001319504A (ja) 庭園灯
CN212108228U (zh) 灯具
KR102105265B1 (ko) 응원봉 거치대
KR200245290Y1 (ko) 멜로디 케익
CN206708933U (zh) 一种圣诞蜡烛灯
JP2564676Y2 (ja) 照明灯のスイッチ作動具
KR200361163Y1 (ko) 불교장식용 조명장치
KR200196451Y1 (ko) 재활용이 가능한 소리나는 촛대와 초
KR200410803Y1 (ko) 조명장치가 장착된 현수막 거치대
JP3116443U (ja) 照明装置
KR200269931Y1 (ko) 축구공형상의 도자기를 이용한 조명구조
KR20060005991A (ko) 조명장치가 장착된 현수막 거치대
JPH09129013A (ja) 照明器具
JP2001043709A (ja) 照明装置
JP2007163517A (ja) 発光風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21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112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9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109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