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41216Y1 -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216Y1
KR200241216Y1 KR2020010014341U KR20010014341U KR200241216Y1 KR 200241216 Y1 KR200241216 Y1 KR 200241216Y1 KR 2020010014341 U KR2020010014341 U KR 2020010014341U KR 20010014341 U KR20010014341 U KR 20010014341U KR 200241216 Y1 KR200241216 Y1 KR 2002412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p
hole
opening
blocking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국준
이정재
Original Assignee
강국준
이정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국준, 이정재 filed Critical 강국준
Priority to KR2020010014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2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2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21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전으로 부터 급수가 이루어진 물이 수도전내로 역류됨을 방지시켜 수도전내의 진공압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급수에 의해 담수되어 있는 물이 수도전을 통해 외부의 수도관을 통해 다른 라인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수도전의 토수관(1a)에 나선체결시켜 토수되는 물이 흐를수 있도록 내주연이 다단으로 단턱(21)이 갖추어진 상태로 하여 관통되는 체결부(20)와; 상기 체결부내에 끼워져 토수관을 부터 흐르는 물이 배수될수 있도록 내주연에 일정한 간격의 배수공(32)이 갖추어진 차단판(31)을 형성하고, 상기 차단판의 직 하부에 위치시켜 물의 흐르는 방향에 따라 상,하로 작동되면서 급수되는 물이 배출될수 있도록 중앙에 배출공(34)이 갖추어진 연질의 고무패킹(33)으로 형성하는 개폐부(30)와; 체결부의 하단 내주연측에 상단부 외주연이 나선체결되고 하단은 호오스(3)가 연결된 상태에서 물이 흐를수 있도록 중앙에 배수공(42)이 갖추어진 체결관(41)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관의 내주연측에 배수공을 통해 역류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될수 있도록 하는 배출공(43)으로 형성하는 배출부(40)로 갖추어지는 역류방지수단(1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Counterflow prevention device for supplied water of faucet}
본 고안은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도전으로 부터 급수가 이루어진 물이 수도전내로 역류됨을 방지시켜 수도전내의 진공압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급수에 의해 담수되어 있는 물이 수도전을 통해 외부의 수도관을 통해 다른 라인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전은 외부로 부터 연결되는 냉,온수의 수도관이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레버의 개폐작동에 따라 수도관으로 부터 공급되는 물의 급수및 차단을 수행하도록 되어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수도전은 사용용도에 따라 세면대, 씽크대, 욕조 등 다양하게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특히, 욕조에는 호오스가 연결된 상태에서 샤워기가 설치되고, 씽크대에는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시켜 주면서 사용할수 있는 자바라형 토수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하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도전에 호오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샤워기 또는 자바라형 토수기는 급수되는 물이 담수될수 있는 욕조및 씽크대, 그리고 다른 용기내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급수되는 물이 담수되도록 하게 되는데, 물의 담수가 완료되더라도 샤워기나 자바라형 토수기를 물이 담수된 용기내에 그대로 놓아두는 것이 보편적이다.
상기와 같이 물이 담수되어 있는 욕조및 씽크대 그리고, 다른 용기내에 샤워기및 토수기를 놓아둔 상태에서 수도전을 잠그어줄 경우 다른 수도관을 라인에서 수도전을 통해 물을 급수받게 되면 다른 라인을 통해 흐르게 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이미 받아져 있는 물이 샤워기및 토수기를 통해 역류가 이루어져 물의 사용을 위해 받아둔 물이 줄어들게 되는 단점및 항상 수도전내에 수압이 걸려있어 수도전 내부의 부속품이 쉽게 손상되는 등의 제반결함이 있었던 것이다.
이를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물이 담수되어 있는 욕조및 씽크대 등에 샤워기및 자바라형 토수기가 그대로 담겨져 있는 상태에서 수도전을 잠그어 줄경우 샤워기와 이를 연결시켜 주고있는 호오스및 수도전내에 물이 채워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다른 라인의 수도전을 열어주어 물을 급수받게되면, 하나의 수도관에서 분배되는 물의 흐름으로 인해 수도전이 잠그어져 있더라도 수도관을 통해 다른 라인의 수도전으로 급수되는 물의 흐름 수압으로 인해 잠겨져 있는 수도전내에 잔류하고 있는 물이 빨려들어가려는 외압이 발생되므로서, 상기 외압으로 인해 수도전내의 부속품 특히 고무로된 패킹이 쉽게 손상되는 것이고, 누수가 일어남에 따른 수도전을 잠그어주어도 누수가 일어난 부분을 통해 지속적으로 물이 흘러내려 필요이상으로 물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다른 수도전을 통해 물을 급수받을때 수도관을 흐르는 수압으로 인해 사용하지 않는 수도전내에 잔류하고 있는 물이 빨려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지 않는 수도전에 연결되어 있는 샤워기 또는 자바라형 토수기가 물이 담수되어 있는 욕조및 씽크대에 담겨져 있을 경우 담수되어 있는 물이 역으로 수도전을 통해 다른 수도전을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현상이 일어나 담수되어있던 물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게됨은 물론, 상기와 같이 담수되어 있는 물이 음용이 불가능한 상태일 경우 다른 수도전을 통해 급수되는 물 또한 역류하는 물에 의해 음용에 사용할수 없으나, 이를 모르고 음용수로 사용하게 되는 등의 제반결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도전을 통해 급수가 이루어진 물은 샤워기나 토수기를 통해 수도전으로 역류되는 일이 없도록 하여 다른 수도전으로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므로서, 다른 수도전을 통해 급수되는 물은 항상 깨끗한 새로운 물만이 급수될수 있도록 하여 안심하고 물을 사용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욕조및 씽크대 또는 다른 용기에 담수된 물이 줄어드는 일이 없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인 역류방지수단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인 역류방지수단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절개 사시도.
도 3a 는 본 고안인 역류방지수단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물이 급수되지 않는 상태도.
도 3b 는 본 고안인 역류방지수단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물이 급수되는 상태도.
도 4a 는 본 고안인 역류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물이 급수되지 않는 상태도.
도 4b 는 본 고안인 역류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물이 급수되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역류방지수단 20:체결부
30:개폐부 31:차단판
32:배수공 33:고무패킹
34:배출공 40:배출부
41:체결관 42:배수공
43:배출공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예시도로서, 수도전(1)의 토수관(1a)에 상단부분을 나선체결시켜 준 상태에서 샤워기(2)나 자바라형 토수기에 연결된 호오스(3) 선단부분을 하단에 연결시켜 수도전으로 부터 공급되는 물은 호오스를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고, 수도전이 잠긴 상태에서 담수된 물이 호오스를통해 역류할 경우 역류되는 물이 수도전내로 유입되기 전에 외부로 배수될수 있도록 하는 역류방지수단(10)을 갖추어준 것이다.
상기의 역류방지수단(10)은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도전의 토수관(1a)에 나선체결시켜 토수되는 물이 흐를수 있도록 내주연이 다단으로 단턱(21)이 갖추어진 상태로 하여 관통되는 체결부(20)와, 상기 체결부의 내부 중앙측에 긴밀히 끼움 결합시켜 물의 흐름을 개폐시켜 주는 개폐부(30) 즉, 체결부내에 끼워져 토수관을 부터 흐르는 물이 배수될수 있도록 내주연에 일정한 간격의 배수공(32)이 갖추어진 차단판(31)을 형성하고, 상기 차단판의 직 하부에 위치시켜 물의 흐르는 방향에 따라 상,하로 작동되면서 급수되는 물이 배출될수 있도록 중앙에 배출공(34)이 갖추어진 연질의 고무패킹(33)이 갖추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고무패킹의 외주연은 차단판의 외주연 하단부로 절곡된 리브에 접하게 되고, 중앙의 배출공(34) 내주연 부분은 차단판의 중앙 하부로 돌출된 돌출면(35)에 접하도록 하여 고무패킹이 차단판에 갖추어진 배수공을 차단시켜 주지 않도록 한다.
또한, 체결부의 하부로 부터 내주연에 나선체결시켜 역류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될수 있도록 하는 배출부(40)를 갖추어지게 되는데, 상기의 배출부(40)는 체결부의 하단 내주연측에 상단부 외주연이 나선체결되고 하단은 호오스(3)가 연결된 상태에서 물이 흐를수 있도록 중앙에 배수공(42)이 갖추어진 체결관(41)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관의 내주연측에 배수공을 통해 역류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될수 있도록 하는 배출공(43)으로 형성하여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체결부(20)의 상단부에 수도전의 토수관(1a)을 나선체결시켜 주고, 호오스(3) 선단부분을 체결관(41) 하단측에 연결시켜 주면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수도전이 잠겨 수도전을 통해 물이 급수되지 않은 경우 도 2a 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무패킹(33)의 중앙 부분에 갖추어진 배출공(34) 내주연부가 돌출면(35)에 접하고 있는 상태에 있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도전의 레버 작동에 의해 물을 급수시켜 주게되면 토수관(1a)을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물은 차단판(31)에 갖추어진 다수개의 배수공(32)을 통해 흘러내리게 되고, 상기의 물은 수압에 의해 차단판 직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돌출면(35)에 접하고 있는 고무패킹(33)의 중앙 부분을 도 2b 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로 밀어내려 벌어진 틈새를 통해 고무패킹 중앙의 배수공(34)을 거치면서 호오스(3)를 통과하여 샤워기 또는 자바라형 토수기를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급수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하부로 밀리는 고무패킹(33)의 중앙부분 하단부는 체결관 중앙에 갖추어진 배수공(42) 상면의 외주연부분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이어서 급수되는 물이 배수공 외주연에 외부와 연통된 배출공(43)으로 흐르지 못하고 중앙의 배수공(42)만을 통해 호오스(3)측으로 흐르게 되므로서, 상기 호오스(3) 선단측에 갖추어진 샤워기 또는 자바라형 토수기를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물의 급수가 완료되면 수도전의 레버 작동에 의해 급수되던 물을 차단시켜 주게되면 도 2a 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압에 의해 하부로밀려있던 고무패킹(33)의 중앙부분이 자체의 텐션력에 의해 상승되면서 중앙에 갖추어진 배수공(34)의 내주연 부분이 차단판(31)의 돌출면(35)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욕조나 씽크대 또는 용기내에 담수된 물로 부터 샤워기를 꺼내어주게 되면 수도전 내부로 부터 호오스 거쳐 샤워기에 잔류하였던 물이 자연배수가 이루어져 수도전내부가 진공상태를 유지하지 않게되는 것이나, 담수된 물에 샤워기를 그대로 놓아주게 되면 수도전에서 부터 샤워기까지 물이 그대로 잔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도전의 수도관과 연결되어 있는 다른 라인의 수도관에 연결된 수도전을 이용하여 물을 급수받고자 할 경우 급수되는 물의 공급수압에 의해 사용되지 않고 있는 다른 수도전내에 잔류하고 있는 물이 빨려 들어가는 역류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샤워기가 담수된 물에 담겨져 있는 상태일 경우 샤워기에서 부터 수도전에 까지 물이 잔류하고 있어 역류현상이 발생되면 수도전내에 잔류하고 있는 물은 연겨된 라인을 통해 다른 수도전으로 빨려들어갈수는 있으나, 호오스()에 잔류하고 있는 물은 고무패킹(33)이 차단판(31)의 돌출면(35)에 긴밀히 밀착되어 있는 상태이어서, 수도전내로 역류되지 못하고 체결관(41)의 배수공(42) 외주연측에 갖추어진 배출공(43)을 통해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개폐부(30)를 중앙에 갖추어진 관통공 외주연에 다수개의 배수공(52)이 갖추어진 차단판(51)을 형성하고, 상기 차단판의 직 하면에 위치하여 중앙에 배수공(52)의 일부분만이 개방될수있도록 개방공(54)이 갖추어지는 고무판(53)을 형성하며, 상기 차단판(51)의 중앙에 갖추어진 관통공을 관통한 작동핀(55) 하단에 고무판의 개방공 하단부를 차단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개폐판(56)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개폐판이 개방공을 긴밀히 밀폐시켜 줄수 있도록 차단판 상부로 노출된 작동핀(55)에 씌워져 차단판 상면과 작동핀의 선단에 탄지되는 탄성스프링(57)으로 형성할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물이 급수되지 않거나 담수되어 있는 물이 역류할 경우 도 4a 에 도시된 바와같이 탄성스프링(57)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판(56)이 고무판(53) 중앙에 갖추어진 개방공(54)을 긴밀히 밀착시켜 주고있어 역류되는 물이 수도전내로 유입되지 못하고 체결관의 배수공(43)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오게 되는 것이고, 수도전을 통해 물을 급수시켜 주고자 할 경우 급수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도 4b 에 도시된 바와같이 개폐판(56)이 탄성스프링(57)을 강제 압축하면서 하강하게 되어 차단판(51)의 배수공(52)과 연통되어 있는 개방공(54)을 통해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욕조나 씽크대 또는 다른 용기내에 담수된 물에 샤워기나 자바라형 토수기를 그대로 담가준 상태에서 다른 라인의 수도관과 연결된 수도전을 통해 물을 급수받더라도 급수되는 물의 수압으로 인해 사용되지 않는 수도전을 통해 담수되어 있는 물이 역류됨을 차단시켜 주므로서, 담수된 물이 줄어들게되는 현상과 사용되지 않는 수도전내의 압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수도전내의 부속품이 압력에 의해 손상됨을 방지시켜 줄수 있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수도전(1)의 토수관(1a)에 상단부분을 나선체결시켜 준 상태에서 샤워기(2)나 자바라형 토수기에 연결된 호오스(3) 선단부분을 하단에 연결시켜 수도전으로 부터 공급되는 물은 호오스를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고, 수도전이 잠긴 상태에서 담수된 물이 호오스를 통해 역류할 경우 역류되는 물이 수도전내로 유입되기 전에 외부로 배수될수 있도록 하는 역류방지수단(10)이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역류방지수단(10)은 수도전의 토수관(1a)에 나선체결시켜 토수되는 물이 흐를수 있도록 내주연이 다단으로 단턱(21)이 갖추어진 상태로 하여 관통되는 체결부(20)와; 상기 체결부내에 끼워져 토수관을 부터 흐르는 물이 배수될수 있도록 내주연에 일정한 간격의 배수공(32)이 갖추어진 차단판(31)을 형성하고, 상기 차단판의 직 하부에 위치시켜 물의 흐르는 방향에 따라 상,하로 작동되면서 급수되는 물이 배출될수 있도록 중앙에 배출공(34)이 갖추어진 연질의 고무패킹(33)으로 형성하는 개폐부(30)와; 체결부의 하단 내주연측에 상단부 외주연이 나선체결되고 하단은 호오스(3)가 연결된 상태에서 물이 흐를수 있도록 중앙에 배수공(42)이 갖추어진 체결관(41)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관의 내주연측에 배수공을 통해 역류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될수 있도록 하는 배출공(43)으로 형성하는 배출부(40)로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개폐부(30)는 중앙에 갖추어진 관통공 외주연에 다수개의 배수공(52)이 갖추어진 차단판(51)을 형성하고, 상기 차단판의 직 하면에 위치하여 중앙에 배수공(52)의 일부분만이 개방될수 있도록 개방공(54)이 갖추어지는 고무판(53)을 형성하며, 상기 차단판(51)의 중앙에 갖추어진 관통공을 관통한 작동핀(55) 하단에 고무판의 개방공 하단부를 차단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개폐판(56)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개폐판이 개방공을 긴밀히 밀폐시켜 줄수 있도록 차단판 상부로 노출된 작동핀(55)에 씌워져 차단판 상면과 작동핀의 선단에 탄지되는 탄성스프링(57)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
KR2020010014341U 2001-05-16 2001-05-16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2412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341U KR200241216Y1 (ko) 2001-05-16 2001-05-16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341U KR200241216Y1 (ko) 2001-05-16 2001-05-16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216Y1 true KR200241216Y1 (ko) 2001-10-15

Family

ID=73101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341U Expired - Fee Related KR200241216Y1 (ko) 2001-05-16 2001-05-16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21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458A (ko) * 2014-11-21 2016-06-01 (주) 대화이에스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
KR102577007B1 (ko) * 2023-04-20 2023-09-12 주식회사 에스테크코리아 꼬임방지 및 잔수배출 기능을 병행하는 샤워호스 연결용 유닛
KR102621041B1 (ko) * 2023-04-22 2024-01-05 주식회사 에스테크코리아 잔수배출수단이 마련된 샤워호스용 꼬임방지 연결구
KR102713020B1 (ko) * 2023-09-14 2024-10-02 복양수 샤워기용 잔수배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458A (ko) * 2014-11-21 2016-06-01 (주) 대화이에스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
KR101701190B1 (ko) * 2014-11-21 2017-02-14 (주) 대화이에스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
KR102577007B1 (ko) * 2023-04-20 2023-09-12 주식회사 에스테크코리아 꼬임방지 및 잔수배출 기능을 병행하는 샤워호스 연결용 유닛
KR102621041B1 (ko) * 2023-04-22 2024-01-05 주식회사 에스테크코리아 잔수배출수단이 마련된 샤워호스용 꼬임방지 연결구
KR102713020B1 (ko) * 2023-09-14 2024-10-02 복양수 샤워기용 잔수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5456A (en) Diverter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fresh water
KR200241216Y1 (ko)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
EP0788574A1 (en) Washbasin valve with integrated water trap
US20050283890A1 (en) Apparatus for waste line cleanout
KR200241217Y1 (ko)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
US6698455B2 (en) Fluid multieconomizer device
KR100701650B1 (ko) 출몰식 급수장치
JP4916196B2 (ja) 水栓柱
KR100390934B1 (ko) 다기능 절수기기
KR200242191Y1 (ko) 부동전의 잔류수 배출장치
KR200165466Y1 (ko) 세면대용 수도전
KR200299784Y1 (ko) 수전용 관붙이 앵글밸브
KR200356297Y1 (ko) 샤워본체와 호스의 연결구조
KR200304839Y1 (ko) 관붙이 앵글밸브
KR100441453B1 (ko) 팽이밸브 응용방법
KR200344248Y1 (ko) 급수 절환 장치
KR100341351B1 (ko) 절수형 세면기
KR200165467Y1 (ko) 세면대 및 좌변기용 밸브
KR101007054B1 (ko) 양변기 수조의 역류방지장치
KR200431062Y1 (ko) 수도전 부착형 연결피팅이 있는 디버터 밸브
KR200415891Y1 (ko) 세면대용 수도꼭지
KR100459510B1 (ko) 밸브의 응용방법
KR200250136Y1 (ko) 싱크대용 벽붙이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KR100475248B1 (ko) 유체를 차단하는 밸브의 응용 방법
KR20000005791U (ko) 싱크대용 수도꼭지의 토수구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51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7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5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