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41351B1 - 절수형 세면기 - Google Patents

절수형 세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1351B1
KR100341351B1 KR1020000017843A KR20000017843A KR100341351B1 KR 100341351 B1 KR100341351 B1 KR 100341351B1 KR 1020000017843 A KR1020000017843 A KR 1020000017843A KR 20000017843 A KR20000017843 A KR 20000017843A KR 100341351 B1 KR100341351 B1 KR 100341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water
valve
hot
hot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7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7045A (ko
Inventor
강인규
Original Assignee
신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석 filed Critical 신동석
Priority to KR1020000017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1351B1/ko
Publication of KR20000037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35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 F16K47/023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for preventing water-hammer, e.g. damping of the valve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수형 세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하부 양측에 각각 냉온수연결관(21,22)이 형성되는 세면본체(20)와; 상기 세면본체(20)의 양측에 나사결합되는 체크너트(23,23-1)에 의해 탄성지지되면서 상기 냉온수연결관(21,22)의 상단측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밸브포펫(26,26-1)과; 상기 세면본체(20)의 내부를 냉온수쳄버(17,16)로 이등분하도록 형성되면서 그 상단측에 상기 냉온수쳄버(17,16)와 각각 연결되는 냉온수공급구(28,29)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스프링(10)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플로트밸브(18)가 설치되는 밸브하우징(19)과; 상기 밸브하우징(19)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면서 그 중앙에 상기 플로트밸브(18)에 의해 개폐되는 냉온수유출구(15)가 형성되고, 그 내외주면에 각각 치구돌기(33)와 홈(32-1,32-2)이 형성되는 연결관(32)과; 상기 연결관(32)의 상부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고, 그 상부측에 밸브작동부(36)가 설치되면서 상기 밸브작동부(36)의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배출꼭지(31)가 형성되는 꼭지본체(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세면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수형 세면기{A WASHBOWL FOR ECONOMIZING WATER}
본 발명은 절수형 세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수 또는 온수만을 배출하는 종래의 절수형 수도꼭지와 달리 공급되는 냉온수를 적당한 온도로 섞어 배출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절수형 세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수형 수도꼭지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작동부(36)의 누름버튼(1)을 누르면 누름봉(4)이 밸브봉(6)을 젖히게 되고, 이에 따라 수압쳄버(12-1)내의 수압이 수압유로(11)를 통해 배출되면서 플로트밸브(18)가 스토퍼볼트(44)까지 서서히 하강하게 된다.
이때, 연결관(42)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 또는 온수가 안내홈(7-1)을 따라 꼭지본체(40)로 공급되고, 다시 배출꼭지(4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처럼, 종래의 절수형 수도꼭지는 구조적으로 냉수 또는 온수만을 배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그 사용개소가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종래의 절수형 수도꼭지의 경우, 냉수 또는 온수 배출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연결관(42)과 연결되는 배관내에 수격현상을 일으키게 되고, 이러한 수격현상은 배관에 진동을 주어 배관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사용하기 알맞는 온도의 물이 배출꼭지를 통해 일정량 공급된 후, 자동적으로 서서히 차단되도록 설계되어 목욕탕와 공공장소 등에 설치될 경우 절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절수형 세면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절수형 수도꼭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세면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세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세면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누름버튼 5: 스프링 12-1: 수압쳄버 13: 스프링 18: 플로트밸브 36: 밸브작동부 44: 스토퍼볼트 45: 캡 46: 조절볼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 하부 양측에 각각 냉온수연결관이 형성되는 세면본체와; 상기 세면본체의 양측에 나사결합되는 체크너트에 의해 탄성지지되면서 상기 냉온수연결관의 상단측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밸브포펫과; 상기 세면본체의 내부를 냉온수쳄버로 이등분하도록 형성되면서 그 상단측에 상기 냉온수쳄버와 각각 연결되는 냉온수공급구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플로트밸브가 설치되는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면서 그 중앙에 상기 플로트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냉온수유출구가 형성되고, 그 내외주면에 각각 치구돌기와 홈이 형성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상부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고, 그 상부측에 밸브작동부가 설치되면서 상기 밸브작동부의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배출꼭지가 형성되는 꼭지본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세면기를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세면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세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세면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면본체(20)에는 그 하부양측에 각각 냉온수연결관(21,22)이 형성되어 있고, 체크너트(23,23-1)가 냉온수연결관(21,22)의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나사결합상태로 끼워지게 된다.
이때, 패킹(24,24-1)에 의해 누수방지가 되도록 설치되는 체크너트(23,23-1)에는 각각 압축스프링(25,25-1)에 의해 상하 탄성이동을 하는 밸브포펫(26,26-1)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밸브포펫(26,26-1)은 압축스프링(25,25-1)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냉온수연결관(21,22)의 상부측을 개폐하게 되는데, 특히 냉온수연결관을 통해 공급되는 수압에 의해 상승 후진되면서 냉온수연결관의 상부측을 개방하게 되지만 냉온수쳄버(17,16)내의 수압이 외부로부터의 기체혼입에 의해 냉온수연결관내의 수압보다 커지면 압축스프링(25,25-1)의 압축탄성력 및 냉온수쳄버내의 수압에 의해 하강 전진되면서 냉온수연결관의 상부를 닫게 된다.
따라서, 플로트밸브(18)가 상승되면서 냉온수유출구(15)를 차단할 때 냉온수공급구(29,28)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한 냉온수쳄버(17,16)내의 수압상승을 밸브포펫(26,26-1)을 이용하여 차단함으로써 배관내의 수격현상(Water Hammer)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세면본체(20)의 내부공간을 냉온수쳄버(17,16)로 각각 이등분을 하도록 세면본체(20)내에 설치되는 밸브하우징(19)에는 그 상단측에 냉온수공급구(28,29)가 형성되어 있어 이 공급구를 통해 냉온수쳄버(17,16)내의 냉온수가 각각 그 내부에 공급된다.
이때, 밸브하우징(19)에 내장 설치되는 플로트밸브(18)는 냉온수공급구(28,29)를 통해 밸브하우징(19)내로 유입되어 적당한 온도로 섞이는 냉온수가 스크린망(8)과 유입구(9)를 차례로 거쳐 수압쳄버(12)에 차게 되면 서서히 상승하여 패킹(37)이 연결관(32)에 밀착되면서 냉온수유출구(15)를 폐쇄하게 된다.
특히, 밸브하우징(19)의 수압쳄버(12)에 내장 설치되는 압축스프링(10)은 기체유입에 따른 밸브하우징의 내압상승에 의한 플로트밸브(18)의 급격한 하강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밸브하우징(19)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연결관(32)은 그 중앙에 냉온수유출구(15)가 형성되어 있고, 플로트밸브(18)에 의해 개폐되는 냉온수유출구(15)에는 플로트밸브의 밸브봉(6)이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연결관(32)에는 그 외주면 상부측에 원주방향의 패킹홈(32-1)과 체결홈(32-2)이 상하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패킹홈(32-1)에는 패킹(34)이 끼워지게 된다.
또한, 연결관(32)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4개의 치구돌기(33)는 연결관을 밸브하우징(19)의 상부에 나사결합할 때 치구가 취부되어 연결관을 돌리게 된다.
이때, 연결관(32)의 상부측에 꼭지본체(30)가 억지끼움으로 조립되고, 패킹홈(32-1)의 패킹(34)은 연결관(32)의 외주면과 꼭지본체(30)의 내주면 사이의 누수를 차단하게 된다.
특히, 꼭지본체(30)에 나사결합상태로 관통 결합되어 체결홈(32-2)에 삽입되는 체결볼트(35)는 연결관(32)으로 부터의 꼭지본체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꼭지본체(30)의 상부측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밸브작동부(36)는 누름버튼(1)을 누르면 누름봉(4)이 연결너트(2)의 안내에 따라 탄성적으로 전진되어 밸브봉(6)의 상단측을 밀게 된다.
또한, 밸브작동부(36)의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꼭지본체(30)에 형성되는 배출꼭지(31)는 그 선단측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일반 수도꼭지나 샤워기꼭지를 유니온 등을 이용하여 연결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누름버튼(1)을 누르면 누름봉(4)이 전진되면서 밸브봉(6)을 일측으로 밀게 되고, 밸브봉(6)이 젖혀지면 수압쳄버(12)의 수압이 수압유로(11)를 통해 상승되면서 꼭지본체(30)측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수압쳄버(12)의 수압이 감소됨에 따라 플로트밸브(18)가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패킹(37)에 의해 닫혀있던 냉온수유출구(15)가 개방되면서 냉온수쳄버(17,16)에 차있던 냉온수는 냉온수공급구(28,29)를 통해 밸브하우징(19)에서 섞인 후, 개방된 냉온수유출구(15)를 통해 배출꼭지(31)로 배출된다.
이때, 냉온수쳄버(17,16)내의 냉온수가 배출꼭지(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 그 수압이 감소되면서 상대적으로 수압이 큰 냉온수연결관(21)의 수압이 밸브포펫(26,26-1)을 밀면서 냉온수쳄버(17,16)에 충전된다.
그리고, 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봉(6)이 수직상태로 복귀되면 수압유로(11)가 차단되고, 냉온수공급구(28,29)를 통해 유입되는 수압이 스크린망(8)과 유입구(9)를 거쳐 수압쳄버(12)를 채우게 되면 다시 플로트밸브(18)가 상승되면서 냉온수유출구(15)를 폐쇄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세면기는 사용하기 알맞는 온도의 물이 배출꼭지(31)를 통해 공급된 후, 자동적으로 차단되도록 설계되어 목욕탕 등에 설치될 경우 절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사용하기 알맞는 온도로 섞인 물을 일정량 배출 후, 서서히 자동적으로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절수효과를 극대화하고, 수격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배관의 파손을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

  1. 그 하부 양측에 각각 냉온수연결관(21,22)이 형성되는 세면본체(20)와;
    상기 세면본체(20)의 양측에 나사결합되는 체크너트(23,23-1)에 의해 탄성지지되면서 상기 냉온수연결관(21,22)의 상단측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밸브포펫(26,26-1)과;
    상기 세면본체(20)의 내부를 냉온수쳄버(17,16)로 이등분하도록 형성되면서 그 상단측에 상기 냉온수쳄버(17,16)와 각각 연결되는 냉온수공급구(28,29)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스프링(10)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플로트밸브(18)가 설치되는 밸브하우징(19)과;
    상기 밸브하우징(19)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면서 그 중앙에 상기 플로트밸브(18)에 의해 개폐되는 냉온수유출구(15)가 형성되고, 그 내외주면에 각각 치구돌기(33)와 홈(32-1,32-2)이 형성되는 연결관(32)과;
    상기 연결관(32)의 상부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고, 그 상부측에 밸브작동부(36)가 설치되면서 상기 밸브작동부(36)의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배출꼭지(31)가 형성되는 꼭지본체(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세면기.
KR1020000017843A 2000-04-06 2000-04-06 절수형 세면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341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843A KR100341351B1 (ko) 2000-04-06 2000-04-06 절수형 세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843A KR100341351B1 (ko) 2000-04-06 2000-04-06 절수형 세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045A KR20000037045A (ko) 2000-07-05
KR100341351B1 true KR100341351B1 (ko) 2002-06-22

Family

ID=19662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843A Expired - Fee Related KR100341351B1 (ko) 2000-04-06 2000-04-06 절수형 세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13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3007B (zh) * 2013-01-30 2015-02-25 张少亮 一种带循环节水装置的水龙头
CN110220025B (zh) * 2019-06-12 2024-06-11 九牧厨卫股份有限公司 即关即停出水装置、龙头和淋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045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1351B1 (ko) 절수형 세면기
KR200151567Y1 (ko) 수도전용 자폐식 밸브장치
CN210104886U (zh) 一种具有溢流功能的去水器
KR200241216Y1 (ko)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
KR100825412B1 (ko) 절수식급수밸브
KR20030017925A (ko) 자폐식 수도전
KR200250136Y1 (ko) 싱크대용 벽붙이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KR200241060Y1 (ko) 세면기용 배수밸브
KR200395112Y1 (ko) 세면대용 트랩 구조
KR102524717B1 (ko) 절수형 수전금구
KR200250135Y1 (ko) 싱크대용 벽붙이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KR200298986Y1 (ko) 샤워기의 절수용 급수장치
KR200316427Y1 (ko) 좌변기용 비데의 개폐밸브
JP2001173037A (ja) 寒冷地用水回り器具及びその水抜き方法
KR200409417Y1 (ko) 수전 배관연결 밸브
KR100475248B1 (ko) 유체를 차단하는 밸브의 응용 방법
KR200297732Y1 (ko) 자폐식 냉-온수혼합 수도꼭지
KR100415078B1 (ko) 싱크대용 벽붙이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JP4502727B2 (ja) 湯水混合栓
KR200274200Y1 (ko) 샤워헤드의 급수단속장치
KR200344248Y1 (ko) 급수 절환 장치
KR200210298Y1 (ko) 초절수형 수도 꼭지
KR20030069655A (ko) 샤워 겸 세면기의 절수용 혼합수전
KR970000673Y1 (ko) 냉온수 혼합밸브 디스크 뭉치구조
KR200236050Y1 (ko)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4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004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5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