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39870Y1 - 강재빔과 레일을 이용한 p.s.c 빔 거치구조 - Google Patents

강재빔과 레일을 이용한 p.s.c 빔 거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870Y1
KR200239870Y1 KR2020010010165U KR20010010165U KR200239870Y1 KR 200239870 Y1 KR200239870 Y1 KR 200239870Y1 KR 2020010010165 U KR2020010010165 U KR 2020010010165U KR 20010010165 U KR20010010165 U KR 20010010165U KR 200239870 Y1 KR200239870 Y1 KR 200239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sc beam
rail
psc
moving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송
남현우
박영준
엄태학
Original Assignee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01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8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87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각의 상부에 종방향으로 강재 빔과 레일을 설치하고 횡방향으로 침목과 레일을 설치하여 과다한 공사비를 억제하고 교각 상부의 작업 공간을 원활하게 이용하는 구조로 형성된 강재빔과 레일을 이용한 P.S.C 빔 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교각의 상부에는 교량을 건설하는 길이방향으로 강재빔과 P.S.C 빔 수평이동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P.S.C 빔 수평이동레일에는 레일식 이동바퀴를 하부에 형성시킨 P.S.C 빔 이동받침장치를 안착하고 상기 P.S.C 빔 이동받침장치에는 몸체의 상부에 P.S.C 빔을 적재한 후 전도방지 와이어로 고정하며, 상기 P.S.C 빔 이동받침장치에는 일측에 유압 윈치의 와이어 로프(60)를 연결하여 P.S.C 빔 이동받침장치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교각 상부에는 P.S.C 빔 수직이동레일과 침목을 세로방향으로 설치하는 한편, 상기 P.S.C 빔 수직이동레일에는 일측에 P.S.C 빔 거치대를 설치하고 상기 P.S.C 빔 수직이동레일의 상부에 안착된 다른 P.S.C 빔 이동받침장치에는 다른 유압윈치를 연결하며, 상기 P.S.C 빔 거치대는 상부 가대에 설치된 체인 블록과 모노 레일을 이용하여 교각 상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된 P.S.C 빔을 가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강재빔과 레일을 이용한 P.S.C 빔 거치구조{A structure of placing P.S.C beam using a steel beam and rails}
본 고안은 강과 바다를 횡단하는 교량을 설치하는 경우 설치되는 P.S.C 빔을 이동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각의 상부에 종방향으로 강재 빔과 레일을 설치하고 횡방향으로 침목과 레일을 설치하여 과다한 공사비를 억제하고 교각 상부의 작업 공간을 원활하게 이용하는 구조로 형성된 강재빔과 레일을 이용한 P.S.C 빔 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S.C 빔을 교량의 교각 상부에 설치하는 경우, 거치를 위한 작업 여건이 부족할 경우에는 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작업 도로를 설치하여 작업 공간을 확보한 후 교각 상부에 P.S.C 빔을 설치하게 된다.
상술한 내용과 같이, 작업 도로를 설치한 후 P.S.C 빔을 교각 상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작업 도로를 설치하는데 과다한 설치 비용이 투자되었고, 또한 상기 P.S.C 빔을 교각 상부에 설치가 완료되면 설치된 작업 도로를 원상복구하여야 하는 이중 작업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강과 바다를 횡단하는 교량을 설치하는 교각의 상부에 종방향으로 강재 빔과 레일을 설치하고 횡방향으로 침목과 레일을 설치하여 과다한 공사비를 억제하고 교각상부의 작업 공간을 원활하게 이용하는 구조로 형성된 강재빔과 레일을 이용한 P.S.C 빔 거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강 또는 바다에 교량을 건설하는 경우 교각 상부에 P.S.C 빔을 이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교각의 상부에는 교량을 건설하는 길이방향으로 강재빔과 P.S.C 빔 수평이동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P.S.C 빔 수평이동레일에는 레일식 이동바퀴를 하부에 형성시킨 P.S.C 빔 이동받침장치를 안착하고 상기 P.S.C 빔 이동받침장치에는 몸체의 상부에 P.S.C 빔을 적재한 후 전도방지 와이어로 고정하며, 상기 P.S.C 빔 이동받침장치에는 일측에 유압 윈치의 와이어 로프(60)를 연결하여 P.S.C 빔 이동받침장치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교각 상부에는 P.S.C 빔 수직이동레일과 침목을 세로방향으로 설치하는 한편, 상기 P.S.C 빔 수직이동레일에는 일측에 P.S.C 빔 거치대를 설치하고 상기 P.S.C 빔 수직이동레일의 상부에 안착된 다른 P.S.C 빔 이동받침장치에는 다른 유압윈치를 연결하며, 상기 P.S.C 빔 거치대는 상부 가대에 설치된 체인 블록과 모노 레일을 이용하여 교각 상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된 P.S.C 빔을 가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빔과 레일을 이용한 P.S.C 빔 거치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강재빔과 레일을 이용한 P.S.C 빔 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의 강재빔과 레일을 이용한 P.S.C 빔 거치구조의 상세 개념도.
도 3은 본 고안의 P.S.C 빔 거치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P.S.C 빔 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도 5a는 본 고안의 P.S.C 빔 거치구조에 사용되는 레일과 강재빔을 분해한 상태도, 도 5b는 본 고안의 P.S.C 빔 거치구조에 사용되는 유압윈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c는 본 고안의 P.S.C 빔 거치구조에 사용되는 P.S.C 빔 이동받침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교각 상부에 P.S.C 빔을 설치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교각 상부에 P.S.C 빔을 설치하는 순서도.
도 8a는 본 고안의 P.S.C 빔 거치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8b는 본 고안의 P.S.C 빔을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레일과 침목이 설치되는 도면, 도 8c는 본 고안의 침목을 고정하는 하부 고정틀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P.S.C 빔을 종방향 이동완료후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P.S.C 빔 거치대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30 : 교각 32 : 강재빔
34 : 체결볼트 36 : 강재빔 연결판
38 : P.S.C 빔 수평이동레일 40 : P.S.C 빔 이동받침장치
42 : 몸체 44 : 레일식 이동바퀴
46 : 전도방지 와이어 48 : P.S.C 빔 지지봉
50 : 전도방지 받침대 52 : P.S.C 빔
56 : 유압 윈치 58 : 유압 발전기
60 : 와이어 로프 62 : 로프 연결장치
64 : P.S.C 빔 수직이동레일 66 : 침목
68 : 레일 고정핀 70 : P.S.C 빔 거치대
72 : 상부 가대 74 : 중간 지지대
75 : 하부 지지대
76 : 체인 블록 78 : 모노 레일
80 : 후크 82 : 레일하부 고정틀
84 : 앵커홈 86 : 침목 고정부
88 : 침목 고정홈 90 : 침목 고정판
92 : 너트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강재빔과 레일을 이용한 P.S.C 빔 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강재빔과 레일을 이용한 P.S.C 빔 거치구조의 상세 개념도이다.
교량을 건설하기 위하여 설치된 교각(30)의 상부에는 교량을 건설하는 길이방향으로 교각(30) 상부를 가로지르는 강재빔(32)과 P.S.C 빔 수평이동레일(38)을 설치하고, 상기 P.S.C 빔 수평이동레일(38)에는 P.S.C 빔 이동받침장치(40)를 안착하고 상기 P.S.C 빔 이동받침장치(40)에는 몸체의 상부에 P.S.C 빔(52)을 적재한 후 전도방지 와이어(46)로 고정하며, 상기 P.S.C 빔 이동받침장치(40)에는 일측에 유압 윈치(56)의 와이어 로프(60)를 연결하여 P.S.C 빔 이동받침장치(40)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3은 본 고안의 P.S.C 빔 거치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P.S.C 빔 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상기 교각(30)의 길이방향의 중앙 상부에는 P.S.C 빔 수평이동레일(38)을 설치하고, 상기 P.S.C 빔 수평이동레일(38)에는 P.S.C 빔 이동받침장치를 안착시킨 뒤 상부에 P.S.C 빔(52)을 적재하며, 상기 P.S.C 빔 이동받침장치(40)에는 일측에 형성한 유압 윈치(56)의 와이어 로프(60)를 연결하여 P.S.C 빔 이동받침장치(40)를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다수개의 교각(30)중 일측 교각의 상부에 P.S.C 빔(52)을 순차적으로 적재한다.
상기 교각(30) 상부에는 방향으로 교각 상부에 P.S.C 빔 수직이동레일(64)을 세로방향으로 설치하는 한편, 상기 P.S.C 빔 수직이동레일(64)에는 일측에 P.S.C 빔 거치대(70)를 설치하고 타측에 다른 유압윈치(56)를 설치한다.
상기 유압 윈치(56)는 교량(30)의 상부면 일측에 3대가 설치되어 가로 방향및 세로 방향으로 P.S.C 빔(52)을 이동시키는데 이용하게 된다.
도 5a는 본 고안의 P.S.C 빔 거치구조에 사용되는 레일과 강재빔을 분해한 상태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의 P.S.C 빔 거치구조에 사용되는 유압윈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c는 본 고안의 P.S.C 빔 거치구조에 사용되는 P.S.C 빔 이동받침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에서 알 수 있듯이, 강재빔(32)은 2단으로 체결볼트(34)를 이용하여 유동이 없도록 고정하고 상기 강재빔(32)에는 상부에 P.S.C 빔 수평이동레일(38)을 고정한다.
상기 강재빔(32)에는 길이방향으로 중간부에 강재빔 연결판(36)을 체결볼트로 결합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관계로 길이방향의 연장에는 제한을 받지 않는다.
도 5b에서 알 수 있듯이, 교각의 상부에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유압 윈치(56)의 구조는, 유압 발전기(58)에는 와이어 로프(60)를 감고 있는 로프 연결장치(62)가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 로프(60)에는 일측 말단에 P.S.C 빔 이동받침장치에 연결이 가능하도록 후크 구조가 형성된다.
도 5c에서 알 수 있듯이, P.S.C 빔 이동받침장치(40)에는 하부에 레일식 이동바퀴(44)를 형성하여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P.S.C 빔 이동받침장치(40)의 몸체(42)에는 모서리부분에 P.S.C 빔을 고정하는 전도방지 와이어(46)를 연결하고 몸체(42)의 상부에는 P.S.C 빔을 상부에 적재하는 경우에 P.S.C 빔을 지지하는 전도 방지 받침대(50)가 위치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교각 상부에 P.S.C 빔을 설치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교각 상부에 P.S.C 빔을 설치하는 순서도이다.
교각(30) 상부에는 중앙부에 P.S.C 빔 수평이동레일(38)이 형성되고, 상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설치되는 교각(30)의 상부 일측에는 P.S.C 빔(52)을 순차적으로 설치하며, 상기 P.S.C 빔 수평이동레일(38)에는 그 측면에 교각 상부와 같은 형태로 P.S.C 빔 수직이동레일(64)을 형성하고 상기 P.S.C 빔 수직이동레일(64)과 P.S.C 빔 수평이동레일(38)이 만나는 인접된 곳에는 P.S.C 빔(52)을 이동시키는데 사용하는 P.S.C 빔 거치대(70)를 형성하며, 상기 P.S.C 빔 수직이동레일(64)에는 일측 말단에 유압윈치(56)를 설치한다.
상기 P.S.C 빔 수직이동레일(64)에는 하부에 침목(66)을 형성하여 상부에 설치되는 P.S.C 빔 수직이동레일(64)을 지지하고 상기 P.S.C 빔 수직이동레일(64)에는 상부에 P.S.C 빔 이동받침장치(40)를 설치하여 P.S.C 빔(52)을 교각(30)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 8a는 본 고안의 P.S.C 빔 거치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는 본 고안의 P.S.C 빔을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레일과 침목이 설치되는 도면이며, 도 8c는 본 고안의 침목을 고정하는 하부 고정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에서 알 수 있듯이, P.S.C 빔 거치대(70)는 강재빔으로 제작되는데, 상기 P.S.C 빔 거치대(70)는 사각 구조로 형성한 상부 가대(72)의 모서리부에 하부 지지대(75)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가대(72)에는 중간부에 중간 지지대(74)를 설치하여 상부 가대(72)를 지지하며, 상기 상부 가대(72)에는 체인 블럭(76)을 하부에설치하고 상기 체인 블럭(76)에는 체인의 말단에 후크(80)를 형성하여 P.S.C 빔에 대한 위치이동을 실시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도 8b에서 알 수 있듯이, 교각 상부의 세로방향(또는 폭방향)에는 침목(60)을 교각 상부와 90°각도를 유지하며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침목(70)에는 상부에 P.S.C 빔 수직이동레일(64)이 설치되며, 상기 침목(70)의 상부에 설치된 P.S.C 빔 수직이동레일(64)에는 레일 고정핀(68)이 설치되어 P.S.C 빔 수직이동레일(64)을 고정한다.
도 8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P.S.C 빔 수직이동레일(64)을 고정지지하는 레일 하부 고정틀(82)은 개략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레일 하부 고정틀(82)에는 다수개의 앵커홈(84)을 형성하고 상기 레일 하부 고정틀(82)은 일측 말단에 침목 고정부(86)의 형태가 내측으로 요입되도록 침목 고정홈(88)을 형성하며, 상기 침목 고정홈(88)을 형성하는 말단에는 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나사부에 침목 고정판(90)을 고정너트로 고정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P.S.C 빔을 종방향 이동완료후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P.S.C빔 거치대의 사용 상태도로서, 상기 P.S.C빔 거치대(70)는 P.S.C 빔 수평이동레일(38)과 P.S.C빔 수직이동레일(64)을 설치한 사이에 형성되는데, 상기 P.S.C 빔 거치대(70)는 상부 가대(72)를 레일 형태로 형성한 관계로 체인 블록(76)을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체인 블록(76)은 상부 가대(72)의 상부면에 형성된 모노 레일(78)과 결합된다.
상기 체인 블록(76)의 하부에는 후크(80)가 형성되어 있어 P.S.C 빔 수평이동레일(38)을 따라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된 P.S.C 빔 이동받침장치(40)의 상부에 적재된 P.S.C 빔(52)을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P.S.C 빔 이동받침장치(40)의 상부에 이동시키는 경우에 사용된다.
상술한 설명과 같이, 상기 교각(30)의 상부에는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P.S.C 빔 수평이동레일(38)이 형성되고 교량의 세로방향으로 P.S.C 빔 수직이동레일(64)이 형성되는 관계로 P.S.C 빔 이동받침장치(40)의 상부에 적재된 P.S.C 빔(52)을 어느 방향으로든 이동이 가능하며, 특히 P.S.C 빔 수평이동레일(38)과 P.S.C 빔 수직이동레일(64)이 접하는 곳에 P.S.C 빔 거치대(70)를 형성하여 P.S.C 빔(52)을 위치이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어 작업자들은 간단하게 유압 윈치(56)와 모노 레일(78)의 작동에 위해 원하는 장소로 P.S.C 빔(52)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강재빔과 레일을 이용한 P.S.C 빔 거치구조는, 교각의 상부에는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P.S.C 빔 수평이동레일이 형성되고 교량의 세로방향으로 P.S.C 빔 수직이동레일이 형성되는 관계로 P.S.C 빔 이동받침장치의 상부에 적재된 P.S.C 빔을 어느 방향으로든 이동이 가능하며, 특히 P.S.C 빔 수평이동레일과 P.S.C 빔 수직이동레일이 접하는 곳에는 P.S.C 빔 거치대를 형성하여 P.S.C 빔을 위치이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어 작업자들은 간단하게 유압 윈치와 모노 레일의 작동에 위해 원하는 장소로 간단하게 P.S.C 빔을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의 강재빔과 레일을 이용한 P.S.C 빔 거치구조는 교각의 상부를 이용하여 레일을 설치하는 구조로 P.S.C 빔을 이동할 수 있는 관계로 종래와 같이 작업 도로를 건설하는데 소요되는 과다한 공사비를 억제하고 교각 상부의 작업 공간을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강 또는 바다에 교량을 건설하는 경우 교각 상부에 P.S.C 빔을 이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교각(30)의 상부에는 교량을 건설하는 길이방향으로 강재빔(32)과 P.S.C 빔 수평이동레일(38)을 설치하고, 상기 P.S.C 빔 수평이동레일(38)에는 레일식 이동바퀴(44)를 하부에 형성시킨 P.S.C 빔 이동받침장치(40)를 안착하고 상기 P.S.C 빔 이동받침장치(40)에는 몸체의 상부에 P.S.C 빔(52)을 적재한 후 전도방지 와이어(46)로 고정하며, 상기 P.S.C 빔 이동받침장치(40)에는 일측에 유압 윈치(56)의 와이어 로프(60)를 연결하여 P.S.C 빔 이동받침장치(40)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교각(30) 상부에는 P.S.C 빔 수직이동레일(64)과 침목(66)을 세로방향으로 설치하는 한편, 상기 P.S.C 빔 수직이동레일(64)에는 일측에 P.S.C 빔 거치대(70)를 설치하고 상기 P.S.C 빔 수직이동레일(64)의 상부에 안착된 다른 P.S.C 빔 이동받침장치(40)에는 다른 유압윈치(56)를 연결하며, 상기 P.S.C 빔 거치대(70)는 상부 가대(72)에 설치된 체인 블록(76)과 모노 레일(78)을 이용하여 교각 상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된 P.S.C 빔을 가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빔과 레일을 이용한 P.S.C 빔 거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S.C 빔 거치대(70)는 사각 구조로 상부 가대(72)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가대(72)에는 중간부에 가로지르는 중간 지지대(74)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 가대(72)에는 모서리부분의 직하부에 하부 지지대(75)를 설치하고상기 상부 가대(72)에는 하부와 상부에 각각 체인 블록(76)과 모노 레일(78)을 설치하며, 상기 체인 블록(76)에는 하부에 후크(80)를 형성하여 P.S.C 빔 이동받침장치에 안착된 P.S.C 빔을 이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빔과 레일을 이용한 P.S.C 빔 거치구조.
KR2020010010165U 2001-04-11 2001-04-11 강재빔과 레일을 이용한 p.s.c 빔 거치구조 Expired - Lifetime KR200239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165U KR200239870Y1 (ko) 2001-04-11 2001-04-11 강재빔과 레일을 이용한 p.s.c 빔 거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165U KR200239870Y1 (ko) 2001-04-11 2001-04-11 강재빔과 레일을 이용한 p.s.c 빔 거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870Y1 true KR200239870Y1 (ko) 2001-10-11

Family

ID=73064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165U Expired - Lifetime KR200239870Y1 (ko) 2001-04-11 2001-04-11 강재빔과 레일을 이용한 p.s.c 빔 거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8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24501A (zh) * 2022-08-19 2022-11-11 宝鸡瑞通石油装备有限公司 一种独立管具处理系统
KR20240009086A (ko) * 2022-07-13 2024-01-22 한국도로공사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 응력집중 방지 자동형 받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9086A (ko) * 2022-07-13 2024-01-22 한국도로공사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 응력집중 방지 자동형 받침장치
KR102668675B1 (ko) * 2022-07-13 2024-05-23 한국도로공사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 응력집중 방지 자동형 받침장치
CN115324501A (zh) * 2022-08-19 2022-11-11 宝鸡瑞通石油装备有限公司 一种独立管具处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4877B2 (en) Method for removal of temporary support system for road bridge pre-fabricated small box girder-type concealed bent cap, and equipment therefor
JP2009057685A (ja) 移動吊支保工
KR100885817B1 (ko) 모노레일의 궤도빔 받침장치
PL206551B1 (pl) Urządzenie śrubowe do regulacji wysokości rusztów torowych
KR100744098B1 (ko) 자기부상철도 궤도 및 이를 구비한 교량
CN109989330B (zh) 连续式轨道及其架设方法
JP5702640B2 (ja) 橋形クレーンならびに橋梁架設方法および橋梁撤去方法
JP4956634B2 (ja) 橋桁上への床版の敷設方法
KR200239870Y1 (ko) 강재빔과 레일을 이용한 p.s.c 빔 거치구조
KR101713653B1 (ko) 전도방지 psc 빔을 이용한 교량의 시공 공법
KR100661375B1 (ko) 교량의 교좌장치 유지보수용 브라켓 구조
KR101095449B1 (ko)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교량 해체장치 및 교량 해체 공법
CN109629454B (zh) 一种单侧提升节段梁的架桥设备和架桥方法
CN108894108B (zh) 一种桥梁线形多维调整装置
CN100489194C (zh) 用于磁悬浮列车的行车路轨
KR100214387B1 (ko)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용 잭 받침장치 및 그를 이용한 교량 보수방법
JPH10280328A (ja) 橋梁の撤去、架設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使用する台船装 置
KR200363059Y1 (ko) 리프팅트레블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교량상부시공시스템
KR102557944B1 (ko) 가설 하로 트러스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 해체 방법
KR200234673Y1 (ko) 교량 상판의 psc 빔 설치기구
KR200197362Y1 (ko) 아취교의 점검 및 보수용 이동장치
CN220953007U (zh) 一种用于中承式拱桥拱座预埋板安装的门架
JP7692125B1 (ja) 吊り治具及びこれを利用した高欄の撤去方法
CN220352531U (zh) 一种三型板式无砟轨道精调架体
CN222575275U (zh) 一种异形钢箱梁水平安装调节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41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7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41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12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1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21107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3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2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