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27745Y1 -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 - Google Patents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745Y1
KR200227745Y1 KR2020000036714U KR20000036714U KR200227745Y1 KR 200227745 Y1 KR200227745 Y1 KR 200227745Y1 KR 2020000036714 U KR2020000036714 U KR 2020000036714U KR 20000036714 U KR20000036714 U KR 20000036714U KR 200227745 Y1 KR200227745 Y1 KR 2002277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elevator
frame
building
mov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7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춘
Original Assignee
서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춘 filed Critical 서영춘
Priority to KR20200000367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7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7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745Y1/ko

Links

Landscapes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고안은 고층건물의 유리창을 청소하는 청소원을 매달고 유리창의 청소를 할수 있도록 하고자하는 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소원을 매단상태로 좌우로 이동이 자유롭게 하고자 하는 청소원 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청소원 승강기에 로프와 승강기를 이동할 수 있는 승강기 이동기구를 형성하여 이 승강기 이동기구를 건물난간에 건상태로 청소를 하도록 하며 한줄 위치의 청소가 끝나면 승강기 이동기구를 좌 또는 우로 이동하여 다른줄 청소를 할수 있고록 하므로서, 청소하고자 하는 줄을 바꿀때마다 로프를 풀고 다시 매다는 번거로움을 없애고자 하는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 이다.

Description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moving device cleaner lift}
본고안은 고층건물의 유리창을 청소하는 청소원을 매달고 유리창의 청소를 할수 있도록 하고자하는 청소원 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소원을 매단 상태로 좌우로 이동이 자유롭게 하고자 하는 청소원 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11-2
고층건물의 유리창을 청소할 때에는 고층건물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난간에 로프를 단단히 묶어 매달고 이렇게 매단 로프에 다시 청소원이 앉을수 있도록 만들어진 안즐판을 연결하여 청소원 승강기를 만들고, 이렇게 만들어진 승강기에 청소원이 탄 상태에서 한 장소의 유리창을 청소하고 나면, 이렇게하여 로프의 좌우 이동이 가능한 범위내의 유리창의 청소가 다 끝나면 이번에는 로프를 조작하여 안즐판의 높이를 약간 낮춘 다음 위와같은 방법으로 같은 높이에서 일정한 범위내에 위치하고있는 유리창을 청소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물건의 가장 낮은 장소에 로프가 좌우로 이동할 수있는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유리창의 청소가 완료되면, 청소원이 안즐판에서 내린다음 건물 꼭대기의 난간에 있는 청소보조원에게 신호를 보내어 로프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요구하면 청소 보조원은 지금까지 건물 난간에 단단히 묶어 매달고 있던 로프를 풀고 로프를 좌 또는 우로 이동하여 다시 로프를 건물난간게 단단히 묶어 매단다음 위와 같은 방법으로 청소를 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청소원 승강기는 청소도중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극히 제한적일뿐 아니라 한줄위치의 청소가 완료 되고 다른 한줄의 유리창의 청소위치로 이동할때마다 건물난간에 로프를 풀고 다른줄 위치에 다시 매다는 작업을 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청소원이 청소를 하는 시간보다는 오히려 청소보조원이 로프를 풀고 매다는 시간이 더걸리는 문제가 있어왔다.
11-3
본고안은 청소원 승강기에 로프와 승강기를 이동할 수 있는 승강기 이동기구를 형성하여 이 승강기 이동기구를 건물난간에 건상태로 청소를 하도록 하며 한줄의치의 청소가 끝나면 승강기 이동기구를 좌 또는 우로 이동하여 다른줄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청소하고자 하는 줄을 바꿀때마다 로프를 풀고 다시 매다는 번거로움을 없애고자 하는 청소원 승강기의 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원 고안에 따른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의 정면도.
도 2 는 본원 고안에 따른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의 촤측면도.
도 3 은 본원 고안에 따른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의 우측면도.
도 4 는 본원 고안에 따른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의 배면도.
도 5 는 본원 고안에 따른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프레임 2,7,8 :롤러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원 고안에 따른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서 도4 까지에는 본원 고안에 따른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를 정면도,좌측면도, 우측면도, 배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본원 고안에 따른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는 건물의 난간에 걸어 매달수 있는 형상으로 프레임 1을 형성하고 이 프레임 1 의 한쪽 끝단에는 로프걸이부 1B를 가공하여 프로임1 에 감아건 로프 R의 한쪽을 상기 로프걸이부 1B 에 걸어 고정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 1 은 건물난간에 고정하거나 또는 건물 난간에 따라다니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프레임 1 의 고종 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하기 위하여 프레임 1 후측면(건물난간벽을 기준으로하여 유리창쪽을 전면, 그뱐댜쪽을 후면 이라함)에는 후면롤러 2를 장착하는 것으로, 후면롤러 2는 브라켓 2B를 개재하여 지지봉 3의 한
11-4
쪽에 회전이 가능하게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 3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고 있는 부쉬 4 에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조립하며 상기 지지봉 3 의 다른 한쪽은 핸들 5에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부쉬 4 에는 상기 지지봉 3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 6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롤러 2를 조립하고 있는 프레임측의 반대 쪽 프레임 1에는 건물 난간에 밀접되어 난간을 따라 다니면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전면롤러 7을 조립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 1의 상부측에는 상기 프레임 1을 건물난간의 상부면에 닿을수 있도록하여 상면롤러 8을 장착하게 되는 것으로, 상면롤러 8은 브라켓 8B를 개재하여 프레임 1의 상부에 조립하되 상면롤러 8은 브라켓 8B에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며 상기 브라켓 8B 의 한쪽은 프레임 1에 단단히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프레임 1의 외주면에는 로프장착브라켓 9를 고정하고 이 브라켓 9에는 축핀 10을 조립한 다음 이 축핀 10에 원주면롤러 11을 회전이 가능하게 조립하여 이 원주면 롤러 11에는 청소원 승강기를 매달고 있는 로프 R을 감아건다음 로프 R의 다른 한쪽은 상기 프레임 1의 로프고정부 1B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형성되는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의 사용상채를 도 5와 함게 살펴보기로 한다.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의 후면롤러 2와 전면롤러 7의 사이에 건물의 난간
11-5
벽이 끼이도록 하고 상면롤러 8이 건물난간벽 T의 상단부에 접촉되도록하여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를 조립하고, 핸들 5를 잡고 지지봉 3을 밀어넣어 후면롤러 2가 건물난간벽 T에 밀착되도록 한다음 고정구 6 으로 지지봉 3을 단단히 체결하므로써 건물 난간벽 T 에는 3곳의 롤러 2, 7, 8이 접촉상태로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조립된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의 로프고정부 1B에, 그 한쪽에는 청소원 승강기를 매달고 있는 로프 R의 다른 한쪽을 걸어 고정하고 이상채에서 청소원은 일정한 범위(이하 'L폭길이'라 한다)안에 있는 높이의 유리창 청소를 하며, 이와같이 L폭길이 안에 위치하는 같은 높이의 유리창의 청소가 완료되면 이번에는 청소원이 스스로 로프를 조작하여 청소원 승강기를, 앞서 청소한 유리창의 높이보다 한단계 아래로 내려가도록 조작한다. 이와같이 하여 같은 L폭길이 안에 위치하고있는 유리창의 청소를 건물꼭대기에서 시작하여 건물 최하단 위치에 있는 유리창까지 완료되면, 승강기에 청소원이 타고있는 상태(또는 내린상태)에서 건물옥상에 있는 청소보조원이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를 옆으로 밀어 이동시킨다.
이때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를 밀어 이동하는 거리는 앞서 청소가 완료된 L폭 길이와 거의 같은 거리를 이동하여, 다시 L폭 길이 안에 위치하고 있는 모든 유리창의 청소를 할 수 있을 만큼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원 고안에 따른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는 종래와 같이 L폭길이의 청소가 끝날때마다 청소 보조원이 로프 R을 건물 난간벽에 고정하고 풀고 하는
11-6
동작을 반복할 필요가 없이 로프를 본원 고안에 따른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에 고정하고 나면 이 상태에서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를 건물 난간벽을 따라 밀고만 다니면서 청소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시간이 절약되는 청소를 할 수 있는 것이다.
11-7

Claims (2)

  1. 건물의 옥상난간벽에 걸어 매달수 있는 형태로 프레임을 형성하고, 이 프레임의 둘레에는 고정브라켓을 개제하여 원주면롤러를 회전이 가능하게 조립하고, 상기 프레임의 한쪽에는 부쉬를 고정하여 이 부쉬에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봉을 끼워 조립하고, 지지봉의 한쪽에는 브라켓을 개제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후면롤러를 조립하며 지지봉의 다른 한쪽에는 핸들을 고정하고 상시 지지봉을 고정구에 의해 고정이 가능하게 하며, 상시 프레임의 상부측에는 브라켓을 개재하여 상면롤러를 회전이 가능하게 조립하여 되는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전면롤러를 회전이 가능하게 조립하여 되는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
    11-8
KR2020000036714U 2000-12-28 2000-12-28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 KR2002277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714U KR200227745Y1 (ko) 2000-12-28 2000-12-28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714U KR200227745Y1 (ko) 2000-12-28 2000-12-28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745Y1 true KR200227745Y1 (ko) 2001-06-15

Family

ID=73094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714U KR200227745Y1 (ko) 2000-12-28 2000-12-28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74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2054B1 (ko) 모터구동방식의 승강장치로 구성된 의류 행어장치
ITMI962492A1 (it) Dispositivo appendiabiti a saliscendi di tipo perfezionato
KR200227745Y1 (ko) 청소원 승강기 이동기구
JPH08112495A (ja) 物干し装置
JP2004091059A (ja) エレベータ装置
US20070114196A1 (en) Retractable Hanging Apparatus
JP2001522771A5 (ko)
US20030192923A1 (en) Shower hanger
JP4363726B2 (ja) フック取付け装置
KR100634245B1 (ko) 빨래 건조대
JP2001302185A (ja) 昇降装置
JP3039878U (ja) 物干し具
JPS6123343B2 (ko)
JP3419086B2 (ja) 回転収納体
KR200400101Y1 (ko) 차양장치의 레일용 클립구조
JPH0647889Y2 (ja) ロ−プ端係止具
JPH08257292A (ja) 物干竿吊り用具及び物干竿
JP3132451U (ja) 屋内用物干し具
JPH086542B2 (ja) 吊下装置
JPH0327162Y2 (ko)
KR200200814Y1 (ko) 의복 걸이대
JP3113162U (ja) 物干し具
CN109044165B (zh) 一种基于磁力防掉的带有梳妆镜的毛巾架
JP3216865U (ja) 物干し装置用持上げ具
CA2170293C (en) Attachment for a shower curtain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122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4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122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20128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20128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5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0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