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27277Y1 - 자동차 트렁크 네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트렁크 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277Y1
KR200227277Y1 KR2020010000330U KR20010000330U KR200227277Y1 KR 200227277 Y1 KR200227277 Y1 KR 200227277Y1 KR 2020010000330 U KR2020010000330 U KR 2020010000330U KR 20010000330 U KR20010000330 U KR 20010000330U KR 200227277 Y1 KR200227277 Y1 KR 200227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trunk
webbing
sewn
clos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3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권충용
주식회사광성캔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충용, 주식회사광성캔바스 filed Critical 권충용
Priority to KR20200100003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2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277Y1/ko

Link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트렁크 내부에 설치되는 트렁크 네트에 관한 것으로, 그물망의 양측 변부에 재봉되는 웨빙부(webbing 部)를 제직할 때 상품명이나 사용 차종명(또는 완성차 업체명)이나 광고문양을 일체형으로 제직하고, 양측 웨빙부에 슬라이드와 파스너, 스냅단추, 일반단추, 연속형 또는 구간형 벨크로 테이프와 같은 개폐수단을 설치하여 트렁크 네트를 반으로 접어 주머니 형태로 사물을 담을 수 있게 함으로서 트렁크 네트의 기능과 품질을 대폭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트렁크 네트{Net for car trunk}
본 고안은 자동차의 트렁크 내부에 설치되는 트렁크 네트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그물망의 양측 변부에 재봉되는 웨빙부(webbing 部)를 제직할 때 상품명이나 차종명(또는 완성차 업체명) 및 광고문양을 일체형으로 제직하고, 양측 웨빙부에 슬라이드와 파스너, 스냅단추, 일반단추, 벨크로 테이프와 같은 개폐수단을 설치하여 트렁크 네트를 반으로 접어 주머니 형태로 사물을 담을 수 있게 함으로서 트렁크 네트의 기능과 품질을 대폭 향상시킨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미에 위치하는 트렁크의 내부에는 각종 사물(물건)을 넣어 이동하거나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트렁크 내부에 유동방지 수단이나 보호수단이 없이 사물을 그냥 넣어 수납하는 경우 자동차가 주행할 때 도로 노면이나 자동차의 운행상태에 따라 받는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부터 사물이 유동되거나 흔들리면서 소음이 발생될 뿐 아니라 파손 및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트렁크 내부 공간에 트렁크 네트를 현수식으로 설치하여 각종 사물을 담아 보관하도록 함으로서 자동차가 주행할 때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부터 사물이 흔들리거나 유동되더라도 그물망 구조의 트렁크 네트에 의해 흔들림이 덜하게 되고 사물 끼리 일어날 수 있는 충돌과 그로 인한 손상 및 파손이 방지 된다.
특히, 트렁크내의 사물 중 이동되거나 흔들리지 않아야 하는 수하물이 있는 경우 상기 트렁크 네트를 이용함으로서 사물을 안전하게 유지 및 이동시킬수 있을 뿐 아니라, 방어막이 없는 웨곤형 자동차의 경우 자동차의 충돌 및 추돌 등의 충격에 의해 트렁크에 실린 사물(화물)이 관성에 의해서 전방으로 가속운동하면서 승객의 뒤를 강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도 1은 종래 자동차 트렁크에 사용된 트렁크 네트(2)의 평면도로, 트렁크의 평면적과 비슷하거나 다소 작은 크기의 평면적을 갖는 그물망(4)의 가장자리 부분과 가운데 부분에 신축성 고무줄(6)을 끼운 다음 모서리 부분과 교차 부분에 걸림고리(8)를 각각 형성하고, 그물망(4)의 양측 변부에 트렁크 네트(2)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웨빙부(10)를 재봉하여 구성한 것으로, 웨빙부(10) 부분이 좁을 뿐 아니라 상품명이나 차종명(또는 완성차 업체명)및 광고문양이 없어서 제품에 대한 광고효과 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일부 트렁크 네트의 경우 웨빙부(10)에 차종별 꼬리표를 달아 사용 차종을 구분하고는 있으나 크기가 작아 자세히 들여다 보아야 하는 등 이 또한 광고효과와 미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웨빙부(10)에 개폐수단이 없으므로 트렁크 네트(2)를 반으로 접어 트렁크 내부에 현수 설치한 다음 그물망(4) 사이에 사물을 넣어 수납하는 경우 자동차가 주행할 때 발생되는 각종 진동이나 충격이 트렁크 네트(2)로 작용되는 경우 그물망(4) 사이에 수납된 사물이 위치를 이탈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트렁크 네트의 양측 변부에 재봉되는 웨빙부에 개폐수단을 설치하여 펼쳐 사용하거나 개폐수단으로 접어서 주머니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 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그물망의 양측에 재봉되는 섬유 웨빙부를 제직할 때 상품명이나 차종명(또는 완성차 업체명) 및 광고문양이 바깥으로 드러나도록 일체형으로 제직하여 트렁크 네트의 품질과 미감을 향상시키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개폐수단은 슬라이드와 파스너, 암수 스냅단추, 일반단추, 조각형 또는 연속형 벨크로 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 : 종래 트렁크 네트의 평면도.
도 2 : 본 고안 트렁크 네트를 조금 접은 상태의 사시도.
도 3 : 본 고안 트렁크 네트의 평면도.
도 4 : 본 고안 트렁크 네트의 웨빙부에 일체형으로 제직되는 상품명, 차종 명, 광고문양 평면도.
도 5 내지 도 8 : 본 고안 트렁크 네트의 다른 실시예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4a)--그물망 (6)--신축성 고무줄
(8)--걸림고리 (10)(14)(14a)--웨빙부
(12)--트렁크 네트 (16)--상품명, 차종명, 광고문양
(18)(18a)--파스너 (20)--슬라이드
(22)(24)--스냅단추 (26)--일반단추
(28)--단추구멍 (30)(32)(34)(36)--벨크로 테이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트렁크 네트(12)을 일부 접은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펼친 상태의 평면도로, 그물망(4)의 가장자리 부분과 가운데 부분에 신축성 고무줄(6)을 끼운 다음 모서리 부분과 교차 부분에 걸림고리(8)를 각각 형성하고, 그물망(4)의 양측 변부에 웨빙부(webbing 部)를 재봉하여서 된 자동차 트렁크 네트에 있어서;
트렁크 네트(12)의 양측 변부에 재봉되는 웨빙부(14)(14a)에 다양한 구조의 개폐수단을 설치하여 트렁크 네트(12)를 펼쳐 사용하거나 개폐수단으로 접어 주머니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그물망(4)(4a)의 양측 변부에 재봉하는 웨빙부(14)(14a)에는 도 4와 같이 위사와 경사로 제직하되 상품명(예컨데 'ABC')이나 사용 차종명(또는 완성차 업체명) 및 광고문양(16)이 바깥으로 드러나도록 일체형으로 제직하여 트렁크 네트(12)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광고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광고문양은 문자 또는 도형이나 이들의 결합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웨빙부(14)(14a)와 웨빙부(14)(14a)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상품명이나 차종명(또는 완성차 업체명) 및 광고문양(16)은 웨빙직기 또는 쟈가드 직기 등으로 제직(편직)하되, 웨빙부(14)(14a)의 바탕색과 대비되는 다른 색상의 실(絲)로 제직(편직)하면 될 것이다.
또한, 상기 그물망(4)(4a)의 내경은 작은 크기의 사물들이라도 망사이로 빠지지 않도록 3㎝ 전ㆍ후의 조밀한 크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신축성 고무줄(6)의 외면에는 섬유외피가 각각 피복되어 신축성 고무줄(6)의 마모나 손상에 의한 수명단축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신축성 고무줄(6)을 한 개 또는 2개 사용하여 신축성 고무줄(6)이 만나거나 교차하는 부분에 걸림고리(8)를 형성할 때 섬유외피 부분을 접촉시켜 재봉하면 되므로 신축성 고무줄(6)을 한 개 또는 2개 사용하더라도 걸림고리(8)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게된다.
상기에서 웨빙부(14)(14a)에 구성되는 개폐수단으로는 도 2, 도 3과 같이 웨빙부(14)(14a)의 길이방향으로 재봉되는 파스너(18)(18a)와 상기 파스너(18)(18a)에 결합되는 슬라이드(20)로 구성하여 트렁크 네트(12)를 평면형으로 펼치거나 반으로 접은 다음 슬라이드(20)와 파스너(18)(18a)로 웨빙부(14)(14a)를 접합시켜 상부가 개방되는 주머니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트렁크 네트(12)를 평면형으로 펼쳐 사용하는 경우 트렁크 내부의 네 귀퉁이 부분에 위치하는 걸이부(도시안됨)에 트렁크 네트(12)의 걸림고리(8)를 각각 걸어 현수 사용하면 될 것이다.
또한, 트렁크 네트(12)를 반으로 접어 주머니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트렁크 내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걸이부(도시안됨)에 트렁크 네트(12)의 걸림고리(8) 2개를 각각 걸어 사용하면 될 것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 개폐수단을 다르게 실시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즉, 도 5와 같이 암ㆍ수로 된 복수 개의 스냅단추(22)(24)를 서로 대응하는 위치의 웨빙부(14)(14a)에 각각 고정시켜 구성함으로서 트렁크 네트(12)(12a)를 평면형으로 펼치거나 반으로 접은 다음 스냅단추(22)(24)로 웨빙부(14)(14a)를 접합시켜 상부로 개방되는 주머니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6과 같이 일측 웨빙부(14a)에 복수 개의 일반단추(26)를 일정간격으로 고정하고, 상기 일반단추(26)와 대응하는 위치의 타측 웨빙부(14)에 단추구멍(28)을 형성하여 트렁크 네트(12)를 펼치거나 상부로 개방되는 주머니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7과 같이 웨빙부(14)(14a)의 표면에 조각으로 된 복수 개의 벨크로 테이프(30)(32)를 일정간격으로 재봉시켜 고정하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고정시켜 트렁크 네트(12)를 펼치거나 상부로 개방되는 주머니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8과 같이 웨빙부(14)(14a)의 표면 길이방향으로 연속형 벨크로 테이프(34)(36)를 대응되게 재봉하여 고정함으로서 트렁크 네트(12)를 펼치거나 상부로 개방되는 주머니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웨빙부(14)(14a)의 표면과 이면에 상품명이나 차종명(또는 완성차 업체명) 및 광고문양(16)을 각각 형성하면 되며, 도 8과 같이 웨빙부(14)(14a)의 표면에 연속형 벨크로 테이프(34)(36)가 재봉되는 경우 웨빙부(14)(14a)의 이면에 제품명이나 도형 및 광고문양(16)을 형성하면 될 것이다.
물론 상품명이나 차종명(또는 완성차 업체명) 및 광고문양(16)이 형성된 웨빙부(14)(14a)의 표면에 연속형 벨크로 테이프(34)(36)를 재봉시켜 고정하더라도 문제 없다.
본 고안에서 개폐수단을 이용하여 트렁크 네트(12)를 주머니 형태로 접어 사용하는 경우 트렁크 공간 활용도를 한층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에서 그물망(4)(4a)의 양측 변부에 재봉하는 웨빙부(14)(14a)는 위사와 경사로 제직한 섬유제품으로 설명하였으나 물론 연질 또는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와 같은 재질로 하고 그 표면에 상품명이나 차종명(또는 완성차 업체명) 및 광고문양(16)이 바깥으로 드러나도록 인쇄하거나 접착하는 방법으로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그물망의 양측 변부에 재봉되는 웨빙부(webbing)를 제직할 때 상품명이나 사용 차종명(또는 완성차 업체명) 및 광고문양이 바깥으로 드러나도록 일체형으로 제직함으로서 품질이 향상되고 광고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폐수단을 이용하여 트렁크 네트를 반으로 접어 주머니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트렁크 공간 활용도를 한층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트렁크 네트의 웨빙부에 슬라이드와 파스너, 스냅단추, 일반단추, 연속형 또는 구간형 벨크로 테이프와 같은 개폐수단을 설치함으로서 트렁크 네트를 펼쳐 사용하거나 반으로 접어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트렁크 네트를 반으로 접은 다음 개폐수단을 이용하여 주머니 형태로 한 다음 사물을 담을 수 있어서 자동차가 주행할 때 도로 노면이나 자동차의 운행상태에 따라 받는 각종 진동이나 충격에도 수납된 사물이 네트를 벗어나지 않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그물망(4)의 가장자리 부분과 가운데 부분에 신축성 고무줄(6)을 끼운 다음 모서리 부분과 교차 부분에 걸림고리(8)를 각각 형성하고, 그물망(4)의 양측 변부에 웨빙부를 재봉하여서 된 자동차 트렁크 네트에 있어서;
    그물망(4)(4a)의 양측 변부에 재봉하는 웨빙부(14)(14a)는 위사와 경사로 제직하되 상품명이나 차종명이나 광고문양(16)이 바깥으로 드러나는 다른 색상으로 제직하여서 된 자동차 트렁크 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트렁크 네트(12)의 양측 변부에 재봉되는 웨빙부(14)(14a)에 개폐수단을 설치하여 네트를 펼쳐 사용하거나 주머니 형태로 접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렁크 네트.
  3. 제 2 항에 있어서, 개폐수단은 웨빙부(14)(14a)의 길이방향으로 재봉되는 파스너(18)(18a)와, 상기 파스너(18)(18a)에 결합되는 슬라이드(20)로 구성하여서 된 자동차 트렁크 네트.
  4. 제 2 항에 있어서, 개폐수단은 웨빙부(14)(14a)의 표면에 재봉되는 벨크로 테이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렁크 네트.
  5. 제 2 항에 있어서, 개폐수단은 웨빙부(14)(14a)의 표면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암수 스냅단추(22)(2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렁크 네트.
KR2020010000330U 2001-01-06 2001-01-06 자동차 트렁크 네트 KR2002272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330U KR200227277Y1 (ko) 2001-01-06 2001-01-06 자동차 트렁크 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330U KR200227277Y1 (ko) 2001-01-06 2001-01-06 자동차 트렁크 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277Y1 true KR200227277Y1 (ko) 2001-06-15

Family

ID=73062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330U KR200227277Y1 (ko) 2001-01-06 2001-01-06 자동차 트렁크 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2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503B1 (ko) * 2001-07-13 2004-02-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승합차용 네트구조
KR20220048693A (ko) *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서연이화 항균 기능을 가진 차량용 카고스크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503B1 (ko) * 2001-07-13 2004-02-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승합차용 네트구조
KR20220048693A (ko) *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서연이화 항균 기능을 가진 차량용 카고스크린
KR102411818B1 (ko) 2020-10-13 2022-06-22 주식회사 서연이화 항균 기능을 가진 차량용 카고스크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92235B2 (en) Load restraint net
US5529395A (en) Stretchable gift wrapping with self forming bow
JP4447629B2 (ja) パーテーション
EP0577093B1 (en) Carrying bags
CN105034883B (zh) 交通工具用座椅
US2196341A (en) Traveling bag for automobiles
US4973106A (en) Reminder device for wearing seat belts
US6682115B1 (en) Storage apparatus for a vehicle panel closure
KR930017756A (ko) 자동차의 안전 쿠션의 전개를 안내하는 장치
WO1999017627A1 (en) Foldable hat with storage pocket
KR200227277Y1 (ko) 자동차 트렁크 네트
US6179677B1 (en) Water sport belt
CN106494316A (zh) 轻质低成本拉伸负载罩盖
US6401889B1 (en) Luggage lock covering device
JPH05178146A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US4685560A (en) Door hook retainer loop patch
JP4490360B2 (ja) 携帯バッグとして使用可能な車内装備ネット
JP3058799U (ja) 車内装備品に取着する物品保持又は押えネット
EP1748404A1 (en) Scarf with writing area and writing area
JP4116280B2 (ja) 滑り止め機能付きポケットの構造
CN212437368U (zh) 一种穿戴气囊的限位带固定机构
JP6744960B1 (ja) ランドセル用雨衣
JP3218173U (ja) ランドセルフック
JP4096260B2 (ja) 携帯ごみ収納バッグ
JP3068429U (ja) とんぼ形携行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106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01032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4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1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0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30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1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