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24496Y1 -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 구조 - Google Patents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496Y1
KR200224496Y1 KR2020000033686U KR20000033686U KR200224496Y1 KR 200224496 Y1 KR200224496 Y1 KR 200224496Y1 KR 2020000033686 U KR2020000033686 U KR 2020000033686U KR 20000033686 U KR20000033686 U KR 20000033686U KR 200224496 Y1 KR200224496 Y1 KR 2002244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drainage
backfill
shift
earth press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6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한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한건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한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000336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4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4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49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적인 교량에 적용할 수 있는 교량의 배수로 구조에 관한 것으로, 교대 배면에 발생하는 유입수에 의한 토압 저항력을 최소화하여 교량의 공용수명을 연장하고 유지관리가 쉬운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 구조를 얻기 위한 것인 바,
중, 소형, 대형 교량의 교대부에서 유입수에 의한 토압변화에 따른 구조물의 피해를 최소화하여 교량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교대의 배수로를 형성함으로써, 교량에 대하여 교대부 뒷채움부에 유입되는 유입수로 인하여 발생되는 교대의 변위를 최소화시키고 유입량이 많은 지층에서 더욱 필요한 구조로 배수로를 교대의 기초부에 형성한 구조는 교대를 상부 유입수를 빠르게 배출하여 토압을 최소화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뒷채움부를 계단형 구조로 형성하여 배수로 구조물과 유공관을 토압력에 고려한 공법을 사용하여 교대를 포함한 교량의 수명을 연장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 구조 {Structure for the filling out abutement of bridge}
본 고안은 일반적인 교량에 적용할 수 있는 교량의 배수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교대 배면에 발생하는 유입수에 의한 토압 저항력을 최소화하여 교량의 공용수명을 연장하고 유지관리가 쉬운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교량은 교대에 다열 지지말뚝을 설치한 후 말뚝 위로 벽체 교대를 완성한다. 이때 교각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교각 상부에 베어링을 설치한 후 주형을 거치 하도록 시공하였다.
교량은 사하중, 활하중, 교대에 발생하는 흙의 자중 및 토압에 저항하도록 설계가 되므로 교대 구체의 크기가 매우 클 뿐만 아니라 교대 구체가 부동(不動)의 구조물이므로 변위 발생을 허용치 않으며 또한 이러한 상부하중 및 자중을 교대가 지지하기 위하여 다열의 지지말뚝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교대는 도로와 인접되므로 흙의 자중 및 토압을 고려하여 시공함과 동시에 유입되는 유실수로 인하여 발생되는 토압으로 구조의 변위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교대 뒷채움시 배수로를 형성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배수로 역할을 수행하기보다는 단지 형식에 가까운 상태로 배수로의 역할에 가까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교대 배면에 발생하는 유입수에 의한 토압 저항력을 최소화하여 교량의 공용수명을 연장하고 유지관리가 쉬운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교대에 작용하는 유실수에 의한 토압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 소형, 대형 교량의 교대부에서 유입수에 의한 토압변화에 따른 구조물의 피해를 최소화하여 교량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에 있어서,
상기 교대 기초부(10)의 상단에 교대배수로(20)룰 형성하여 교대(100)와 일체로 형성된 배수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 구조.는 교대의 배수로를 시공하여 달성하였다.
또한, 상기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는 교대 뒷채움의 배수로가 계단형으로 형성되고, 그 저면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U'형 배수로(30)를 형성하고, 상기 그 상단 계단부에 설치한 유공관(40)을 내설한 계단식 구조를 갖도록 달성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 구조를 도시한 일부 절취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교대 기초부 20 : 교대 배수로
30 : 'U'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로 40 : 유공관
50 : 말뚝 60 : 뒷채움부
70 : 빔 100 : 교대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본 고안의 배수로에 앞서 교량의 교대 시공 및 배수로 시공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교량 양측 교대 제방부의 성토 공정을 시공단계; 교대를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초 말뚝으로 강재 H 말뚝 (50)을 지지층까지 항타 관입하는 시공단계와; 상기 강재 H 말뚝에 교대기초부 (10) 콘크리트를 타설시 제방측에 배수로 형성하도록 거푸집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대배수로(20)가 형성된 기초부를 시공단계와; 교대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교대를 완성하는 단계와; 기초면을 계단형 다짐부를 형성하여 토압저항을 큰 저면에 공극률이 큰 뒷채움재료의 사용과 더불어 뒷채움 저면에 장착되는 '∪'형 프리캐스트 도수로 배수관(30) 시공단계와; 그 상단의 계단부에 토압저항이 작은 위치에 유공관(40)을 시공하는 단계로 배수로를 시공하여 완성하였다.
먼저, 상기 교대 제방부 시공단계는 계획고까지 성토된 지반의 안정 및 잔류 침하에 대한 확인을 위하여 소정의 대기기간을 갖도록 한다. 성토부의 이상 유무가 확인된 후, H형 말뚝을 지지층까지 항타 관입하고 말뚝은 변위에 필요한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일렬로 시공하며 힘이 받는 방향에 대하여 약축으로 시공한다.
상기 교대 기초부(20)를 시공시 충분한 설계 허용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을 때까지 말뚝을 항타한 후, 말뚝(50)의 머리부를 매입하여 하부 교대 기초부(10)를 콘크리트를 타설시 기초부 상단에 배수로(20)를 형성하도록 거푸집을 형성하여 'U'형 배수로를 형성하여 교대상부에서 유입되는 유입수를 배출하도록 하여 토압을 줄여 교대의 변위를 최소화하였다.
다음, 교대(100) 벽체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뒷채움 작업 실시전 양쪽 교대 벽체 후면에 계단구조의 배수로 설치하며, 저면부에는 교대 뒷채움의 저면에는 'U'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로(20)를 형성하고, 상기 그 상단 계단부에 설치한 유공관(40)을 내설한 계단식 구조를 형성하였다.
본 고안의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 구조는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에 있어서, 상기 교대 기초부(10)의 상단에 교대배수로(20)룰 형성하여 교대(100)와 일체로 형성된 배수로 형성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는 교대 뒷채움의 배수로가 계단형으로 형성되고, 그 저면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U'형 배수로(30)를 형성하고, 상기 그 상단 계단부에 설치한 유공관(40)을 내설한 계단식 구조를 갖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 구조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교대 뒷채움부(60)에 우수가 침투하게 되며 저면 콘크리트 구조물 배수로에 침투된 우수가 뒷채움부에 누적됨이 없이 교량 밖으로 신속히 배수하여 수압에 의한 토압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유공관(40)은 토압의 압력이 작은 곳에서 설치되어 도로측에 가깝게 유공관을 설치한 후에는 뒷채움을 함으로써, 유공관의 파손이 적어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상기 뒷채움 재료로 입자가 크고 점착력이 작고 내부 마찰각이 큰 재료를 사용 및 계단구조를 갖는 배수로를 형성하여 배수가 잘 이루어져 교대의 변위가 발생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내에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중, 소형 및 대형 교량에 대하여 교대부 뒷채움부에 유입되는 유입수로 인하여 발생되는 교대의 변위를 최소화시키고 유입량이 많은 지층에서 더욱 필요한 구조로 배수로를 교대의 기초부에 형성한 구조는 교대를 상부 유입수를 빠르게 배출하여 토압을 죄소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뒷채움부를 계단형 구조로 형성하여 배수로 구조물과 유공관을 토압력에 적응되느 공법을 사용하여 교대를 포함한 교량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교량건설산업상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에 있어서,
    상기 교대 기초부(10)의 상단에 교대 배수로(20)를 형성하여 교대(100)와 일체로 형성된 배수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는 교대 뒷채움의 배수로가 계단형으로 형성되고, 그 저면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U'형 배수로(30)를 형성하고, 상기 그 상단 계단부에 설치한 유공관(40)을 내설한 계단식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 구조.
KR2020000033686U 2000-12-01 2000-12-01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2002244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686U KR200224496Y1 (ko) 2000-12-01 2000-12-01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686U KR200224496Y1 (ko) 2000-12-01 2000-12-01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139A Division KR100431905B1 (ko) 2000-11-30 2000-11-30 오일튜브를 이용한 암반 발파시 발생하는 진동의 차단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496Y1 true KR200224496Y1 (ko) 2001-05-15

Family

ID=73092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686U Expired - Fee Related KR200224496Y1 (ko) 2000-12-01 2000-12-01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4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716B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KR101973565B1 (ko) 종방향 플레이트가 부착된 phc 말뚝에 차수용 플레이트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흙막이 벽체와 차수벽을 동시에 조성하는 흙막이 공법
KR101216511B1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교대 시공방법
CN108193642B (zh) 一种驳岸加固设施及其施工方法
CN111254772B (zh) 一种适用于悬崖峭壁路段老路扩宽的大悬挑结构及施工方法
KR1008629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널말뚝 시공방법
CN115059112A (zh) 既有路基帮宽用拼装式挡土墙结构及其施工方法
CN211922133U (zh) 一种适用于悬崖峭壁路段老路扩宽的大悬挑结构
KR100433653B1 (ko)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 시공방법
JP3648219B2 (ja) プレキャスト可撓ボックスカルバートおよびその施工法
KR200224496Y1 (ko)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 구조
JP2001329545A (ja) 橋脚基礎工法及び橋脚用床版
KR200331557Y1 (ko) 말뚝 파일의 두부 연결구조
KR200420394Y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CN215483082U (zh) 一种重力式挡土墙
KR20090095204A (ko)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방법
EP1887146A2 (en) Method for producing an aqueduct
KR100493516B1 (ko) 현장 마이크로 파일과 조립식 브라켓을 이용한 교각용조립식 기초보강 구조체 및 그의 구축방법
JP6931876B2 (ja) 法面補強用透水壁の構築方法
KR100499338B1 (ko) Phc 말뚝을 이용한 암거
KR100902640B1 (ko) 강널말뚝을 이용한 수로암거 및 그 시공방법
JP4834649B2 (ja) 盛土構造物を構築する盛土構造及び盛土構造構成用の擁壁ブロック並びに盛土構造物の構築工法
CN217460664U (zh) 一种斜插桩板墙结构
CN219508628U (zh) 防止路面沉降的永久性沉井
KR100531214B1 (ko) 강널말뚝 및 강형띠장으로 구성된 원형 우물통 제작장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01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3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12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0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30210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8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