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15938Y1 - 컴바인용 분리형 유성치차 감속기 - Google Patents

컴바인용 분리형 유성치차 감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938Y1
KR200215938Y1 KR2020000027377U KR20000027377U KR200215938Y1 KR 200215938 Y1 KR200215938 Y1 KR 200215938Y1 KR 2020000027377 U KR2020000027377 U KR 2020000027377U KR 20000027377 U KR20000027377 U KR 20000027377U KR 200215938 Y1 KR200215938 Y1 KR 2002159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anetary gear
combine
housing body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김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2020000027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9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9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938Y1/ko

Links

Landscapes

  • Retarder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바인용 분리형 유성치차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성치차 감속기는 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내부 부품 고장시 기기 전체를 컴바인으로부터 분리 및 교체해야만 되므로 이로인해 상기 기기의 구입 및 설치에 따른 비용낭비를 초래함은 물론 작업의 불편성 및 비효율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모터고정체의 일측부에 구비된 유압모터의 구동력으로 상기 모터고정체의 타측부에서 하우징이 회전되고, 상기 하우징이 적정 회전속도비로 감속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유압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기어트레인이 구비됨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은 일측부에 플랜지(11A)가 일체로 형성되고 모터고정체(310)의 외측에서 베어링(333)으로 지지되는 제1하우징몸체(11)와, 상기 제1하우징몸체(11)의 타측부에 일측부가 볼트(B) 체결되고 내측면에는 기어트레인(332)과 치합되는 내측기어(12C)가 형성된 제2하우징몸체(12)와, 상기 제2하우징몸체(12)의 타측 개방부에 볼트(B) 체결되는 하우징덮개(13)로 분리 구성됨으로써 기존에서와 같이 유성치차 감속기 전체를 분리 및 교환할 필요없이 하우징 내부의 부품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하고, 또한 상기 유성치차 감속기 구입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는 물론 내부부품의 교체 및 수리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컴바인용 분리형 유성치차 감속기{separate type sun and planet gear decelerator for combine}
본 고안은 컴바인용 유성치차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유성치차 감속기의 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분리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 부품 고장시 기기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서도 해당 관련 부품만을 교체 및 수리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컴바인용 분리형 유성치차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컴바인(Combine)은 수확, 탈곡, 조제(調製) 등의 일련의 작업을 동일 기계로 처리하는 대형 농업 기계로서 이동이 가능하고, 이의 이동은 기계의 하부측에 구비된 궤도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 및 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컴바인의 기동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이는 비교적 폭이 넓은 앤드레스(endless) 체인 형태로 형성된 궤도(100)와, 상기 궤도(100)에 이(齒) 맞물림되는 스프로킷휘일(200)과, 상기 스프로킷휘일(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30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궤도(100)의 표면에는 지면과의 마찰력 증대를 위해 다수의 요철(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면에는 스프로킷휘일(200)과의 이 맞물림을 위해 다수의 치형(120)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300)는 플랜지(331A)를 갖는 원통형의 모터고정체(310) 일측부에 구동력을 발생하는 유압모터(320)가 고정 및 지지되고, 상기 모터고정체(310)의 타측부에는 전술한 스프로킷휘일(200)과 결합되어 상기 유압모터(320)의 회전력으로 상기 스프로킷휘일(200)을 적정 회전속도비로 감속 구동시키는 유성치차 감속기(33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성치차 감속기(330)와 스프로킷휘일(200)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스프로킷휘일(200)의 중앙부에는 유성치차 감속기(330)의 직경에 상응하는 삽입공(210)이 전.후방측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공(210)의 외곽에는 유성치차 감속기(330)에 형성된 플랜지(331)의 고정공(331B)에 볼트(B)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공(2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성치차 감속기(3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에 상기한 플랜지(331A)가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331)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331)과 유압모터(320)의 회전축(320A) 사이에는 기어트레인(gear train)(332)이 구비되어 상기 기어트레인(332)에 의해서 유압모터(320)의 회전력이 적정 회전속도비로 감속된 상태로 하우징(331) 측으로 전달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성치차 감속기(330)의 하우징(331)과 모터고정체(310) 사이에는 다수의 베어링(333)이 설치되어 상기 유성치차 감속기(330)의 하우징(33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컴바인용 기동장치는 먼저, 유압모터(320)가 구동되면, 이의 구동력으로 상기 유압모터(320)의 회전축(320A)이 회전되고, 이의 회전력은 다시 유성치차 감속기(330)의 기어트레인(332)을 통해 적정 회전수로 감속된 상태로 하우징(331)으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331)이 회전하게 됨은 물론 하우징(331)에 결합된 스프로킷휘일(200)도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프로킷휘일(200)의 회전력에 의해서 이에 치합된 궤도(100)가 구동됨으로써 컴바인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컴바인의 기동장치에 있어서, 종래의 유성치차 감속기는 하우징의 구조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부품, 즉 기어트레인 관련 부품의 고장시 기기 전체를 컴바인으로부터 분리 및 교환해야만 되므로 상기 기기의 별도 구입 및 설치에 따른 비용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작업의 불편성 및 비효율성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유성치차 감속기의 내부부품 고장시 기기 전체를 컴바인으로부터 분리 및 교환하지 않고서도 해당 관련 부품의 교체 및 수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터고정체의 일측부에 구비된 유압모터의 구동력으로 상기 모터고정체의 타측부에서 하우징이 회전되고, 상기 하우징이 적정 회전속도비로 감속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유압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기어트레인이 구비됨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측부에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고 모터고정체의 외측에서 베어링으로 지지되는 제1하우징몸체와, 상기 제1하우징몸체의 타측부에 일측부가 볼트 체결되고 내측면에는 기어트레인과 치합되는 내측기어가 형성된 제2하우징몸체와, 상기 제2하우징몸체의 타측 개방부에 볼트 체결되는 하우징덮개로 분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컴바인용 분리형 유성치차 감속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컴바인 기동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유성치차 감속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유성치차 감속기에 의한 컴바인 기동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유성치차 감속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하우징
11:제1하우징몸체
11A:플랜지 11B:고정공
11C:제1체결공
12:제2하우징몸체
12A:제2체결공 12B:제1조립공
12C:내측기어
13:하우징덮개
13A:제2조립공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컴바인의 기동장치를 보인 분리사시도로서, 이 컴바인의 기동장치는 통상에서와 같이 비교적 폭이 넓은 앤드레스(endless) 체인 형태로 형성된 궤도(100)와, 상기 궤도(100)에 이(齒) 맞물림되는 스프로킷휘일(200)과, 상기 스프로킷휘일(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3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300)는 플랜지(310A)를 갖는 원통형의 모터고정체(310) 일측부에 구동력을 발생하는 유압모터(320)가 고정 및 지지되고, 상기 모터고정체(310)의 타측부에는 스프로킷휘일(200)과 결합되어 상기 유압모터(320)의 회전력으로 상기 스프로킷휘일(200)을 적정 회전속도비로 감속 구동시키는 유성치차 감속기(33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유성치차 감속기(330)는 모터고정체(310)의 타측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면서 외체를 형성하는 본 고안의 하우징(1)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은 제1하우징몸체(11) 및 제2하우징몸체(12)와 하우징덮개(13)로 분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컴바인용 분리형 유성치차 감속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성치차 감속기(330)는 일측부에 유압모터(미도시됨)가 고정 및 지지되는 모터고정체(310)의 타측부에 구비되고, 이의 구성은 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서 유압모터(320)의 회전축(320A)과 연결되어 상기 유압모터(320)의 회전력을 적정 회전속도비로 감속시켜 하우징(1) 측으로 전달하는 기어트레인(33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은 제1하우징몸체(11) 및 제2하우징몸체(12)와 하우징덮개(13)로 분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하우징몸체(11)는 모터고정체(310)의 타측부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333)으로 지지되는 원통형체로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스프로킷 휘일(200)이 볼트(B) 체결되는 플랜지(11A)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몸체(11)의 타측부에는 전.후방측으로 관통 형성되고, 제1하우징몸체(11)와 동일직경의 원통형체로 형성된 제2하우징몸체(12)가 볼트(B) 체결되며, 이를 위해서 상기 제1하우징몸체(11) 및 제2하우징몸체(12)의 각 대향면에는 상호 일치되는 제1체결공(11C) 및 제2체결공(12A)이 각각 형성된다.
또, 제2하우징(1)의 내부에 구비된 기어트레인(332)으로부터 유압모터(320)의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제2하우징(1)의 내측면에는 상기 기어트레인(332)과 치합되는 내측기어(12C)가 형성된다.
이와함께 상기 제2하우징(1)의 타측부, 즉 제1하우징몸체(11)와 체결된 부분의 반대쪽 제2하우징몸체(12)의 개방부에는 하우징덮개(13)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덮개(13)는 볼트(B) 체결에 의해서 상기 제2하우징몸체(12)에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서 상기 하우징덮개(13) 및 제2하우징몸체(12)의 각 대향면에는 제1조립공(12B) 및 제2조립공(13A)이 각각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및 조립과정을 첨부된 도 2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모터고정체(310)의 일측부에 고정 및 지지된 유압모터(미도시됨)가 작동되면, 이의 구동력은 상기 유압모터의 회전축(320A)을 통해 기어트레인(332)으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기어트레인(332)으로 전달된 유압모터의 회전력은 적정 회전속도비로 감속된 상태로 제2하우징몸체(12)의 내측기어(12C)로 전달되고, 상기 내측기어(12C)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2하우징몸체(12)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2하우징몸체(1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하우징몸체(12)에 볼트(B) 체결된 제1하우징몸체(11) 및 하우징덮개(13)가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1하우징몸체(11)는 플랜지(11A)에 결합된 스프로킷휘일(200)을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컴바인의 궤도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하우징몸체(11) 및 제2하우징몸체(12)와 하우징덮개(13)로 분리 구성된 하우징(1)의 내부 부품, 즉 기어트레인(332) 관련 부품의 교체시에는, 우선 볼트(B)를 풀어 제2하우징몸체(12)로부터 하우징덮개(13)를 분리시킨다. 그런 다음 다시 볼트(B)를 풀어 제1하우징몸체(11)로부터 제2하우징덮개(13)를 분리시키게 되면, 기어트레인(332)이 외부로 완전히 노출됨으로써 상기 기어트레인(332) 관련 부품을 교체 및 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 후, 다시 이의 역순으로 제2하우징몸체(12)를 제1하우징몸체(11)에 볼트(B) 체결시키고, 상기 제2하우징몸체(12)에 하우징덮개(13)를 볼트(B) 체결시키게 됨으로써 일련의 하우징(1)의 내부부품 교체 및 수리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유성치차 감속기의 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제1하우징몸체 및 제2하우징몸체와 하우징덮개로 분리 구성하여 볼트 체결에 의해서 상호 조립 및 분리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기존에서와 같이 유성치차 감속기 전체를 분리 및 교환할 필요없이 하우징 내부의 부품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하고, 또한 상기 유성치차 감속기 구입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는 물론 내부부품의 교체 및 수리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모터고정체의 일측부에 구비된 유압모터의 구동력으로 상기 모터고정체의 타측부에서 하우징이 회전되고, 상기 하우징이 적정 회전속도비로 감속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유압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기어트레인이 구비됨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은 일측부에 플랜지(11A)가 일체로 형성되고 모터고정체(310)의 외측에서 베어링(333)으로 지지되는 제1하우징몸체(11)와, 상기 제1하우징몸체(11)의 타측부에 일측부가 볼트(B) 체결되고 내측면에는 기어트레인(332)과 치합되는 내측기어(12C)가 형성된 제2하우징몸체(12)와, 상기 제2하우징몸체(12)의 타측 개방부에 볼트(B) 체결되는 하우징덮개(13)로 분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컴바인용 분리형 유성치차 감속기.
KR2020000027377U 2000-09-29 2000-09-29 컴바인용 분리형 유성치차 감속기 KR2002159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377U KR200215938Y1 (ko) 2000-09-29 2000-09-29 컴바인용 분리형 유성치차 감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377U KR200215938Y1 (ko) 2000-09-29 2000-09-29 컴바인용 분리형 유성치차 감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938Y1 true KR200215938Y1 (ko) 2001-03-15

Family

ID=73089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377U KR200215938Y1 (ko) 2000-09-29 2000-09-29 컴바인용 분리형 유성치차 감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9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030B1 (ko) 2005-11-04 2008-02-15 주식회사 은하양행 내부몸체 분리형 전동 액츄에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030B1 (ko) 2005-11-04 2008-02-15 주식회사 은하양행 내부몸체 분리형 전동 액츄에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0184B2 (en) Bogie axle assembly
CN110273982B (zh) 减速机
JP3017800B2 (ja) 終減速装置アセンブリ
JP2008089144A (ja) 差動揺動型減速機
KR200215938Y1 (ko) 컴바인용 분리형 유성치차 감속기
JP3842525B2 (ja) 遊星歯車減速装置
US4191073A (en) Drive assembly having an improved sun gear mounting
RU2009121508A (ru) Барабанный двигатель
JP2013133663A (ja) カッターヘッド駆動装置
KR20120002009A (ko) 메인베어링의 고정이 용이한 크롤러 주행유닛의 감속기
KR19990085031A (ko) 허브에 모터와 감속기가 일체화된 자전거
KR100339845B1 (ko) 감속기
CN102057188A (zh) 无需拆卸可变换齿轮齿数的作业机械的变速器
JP6934827B2 (ja) 減速機
CN211009792U (zh) 一种半同轴式电驱桥总成
JP4909578B2 (ja) 風車用駆動装置
JP6832308B2 (ja) 装軌式車両の走行装置
US4515038A (en)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for motorcycles
WO2015001988A1 (ja) 駆動装置
JP2000318673A (ja) 無チェーン式自転車の動力伝達装置
JPH0324924Y2 (ko)
CN214565984U (zh) 具有倒档功能的三轮摩托车发动机
JP2530342Y2 (ja) 車両用減速装置
CN217814886U (zh) 一种车辆的传动结构
JPS6035819Y2 (ja) 動力伝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92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2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93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20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4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