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15772Y1 - 독립 구동모터를 갖는 에어컨용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독립 구동모터를 갖는 에어컨용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772Y1
KR200215772Y1 KR2019980024398U KR19980024398U KR200215772Y1 KR 200215772 Y1 KR200215772 Y1 KR 200215772Y1 KR 2019980024398 U KR2019980024398 U KR 2019980024398U KR 19980024398 U KR19980024398 U KR 19980024398U KR 200215772 Y1 KR200215772 Y1 KR 2002157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drive motor
horizontal
vertical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43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472U (ko
Inventor
조진표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43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772Y1/ko
Publication of KR200000154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4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7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772Y1/ko

Links

Landscapes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컨용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풍가변을 위해 설치되는 수직 및 수평블레이드에 기존의 구동모터외 별도의 구동모터를 추가로 설치하여 블레이드의 가변범위를 확대시켜주므로서, 냉풍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여 냉풍이 실내로 균일하게 토출되도록 한 독립 구동모터를 갖는 에어컨용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즉 수평블레이드를 제1 및 제2 연결바를 통해 상,하 분리 설치하되; 상기 제1 및 제2 연결바의 일측으로 제1 수평구동모터와 제2 수평구동모터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수직블레이드를 제1 연결바와 제2 연결바 및 제3 연결바를 통해 분리 설치하되; 상기 제1 및 제3 연결바의 일측으로 제1 수직구동모터와 제2 수직구동모터를 각각 설치하여 각각의 구동모터를 통해 수평 및 수직블레이드가 가변되도록 하여 블레이드의 가변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어 토출냉풍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여 실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Description

독립 구동모터를 갖는 에어컨용 블레이드(an apparatus for operating blades of air conditione)
본 고안은 에어컨용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풍가변을 위해 설치되는 수직 및 수평블레이드에 기존의 구동모터외 별도의 구동모터를 추가로 설치하여 블레이드의 가변범위를 확대시켜주므로서, 냉풍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여 냉풍이 실내로 균일하게 토출되도록 한 독립 구동모터를 갖는 에어컨용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실내에 냉풍을 공급하는 증발기는 차단벽을 사이에 두고 실내에 설치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방출열을 외부로 내보내는 응축기와 이 응축기로 부터 나오는 냉매의 압력을 감압시켜 상기의 증발기로 보내주는 모세관은 차단벽의 외부 즉 실외에 설치되어 진다.
한편, 상기의 에어컨은 그 용량에 따라 창문형과 분리형 및 패키지형으로 크게 구분되어 진다.
도 3은 상기의 에어컨중 일반적인 패키지형 에어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패키지형 에어컨의 본체(10) 하부로 실내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그릴(2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측으로는 흡입된 실내공기를 열교환 후 냉각시키는 증발기(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0) 상부로는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토출그릴(4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측으로는 열교환된 냉풍의 토출방향을 가변시키기 위한 수직블레이드(50)와 수평블레이드(70)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토출그릴(40)의 하부 내측으로는 증발기(30)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토출그릴(40)을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기 위한 송풍팬(7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패키지형 에어컨은 사용자의 온신호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면, 모터(미도시됨)가 구동을 시작하고, 상기 모터와 연결된 송풍팬(70)이 회전되면서 흡입그릴(20)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시키게 된다.
상기 흡입그릴(20)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증발기(30)를 거치면서 냉각되고, 이 냉각된 공기가 토출그릴(40)를 거쳐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가 냉방되어 지는 것이며, 이때 토출되는 냉풍은 상하토출방향을 조정하는 수평블레이드(60)와 냉풍의 좌우토출방향을 조정하는 수직블레이드(50)에 의해 가변되어 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수직 및 수평블레이드(50)(6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즉 수동으로 또는 구동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그 위치가 가변되어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므로서 실내가 냉방되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에어컨은 사용자가 설정온도 스위치를 통해 원하는 실내온도를 설정하게 되며, 또한 자동운전 스위치에 의해 설정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냉방운전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상기와 같이 냉풍의 토출방향을 가변시키는 종래의 자동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냉풍의 상하토출방향을 가변시키는 수평블레이드(60)와 냉풍의 좌우토출방향을 조정하는 수직블레이드(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직 및 수평블레이드(50)(60)는 각각의 수직 및 수평블레이드(50)(60) 양끝단에 형성된 고정돌기(51)(61)를 수직 및 수평블레이드 연결바(52)(62)의 고정홈(52a)에 삽입, 고정시켜주므로서, 상호 연결되어 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직 및 수평블레이드 연결바(52)(62)의 일측으로는 제1 및 제2 구동모터(70)(80)의 회전축(71)이 삽입, 고정되어 수직 및 수평블레이드 연결바(52)(62)를 당기거나 밀어주게 되므로서, 수직 및 수평블레이드(50)(60)가 상,하,좌,우로 가변되어 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블레이드는 블레이드의 상,하부나 좌,우부가 항상 동일하게 움직이게 되므로서, 블레이드의 가변범위가 그 만큼 작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토출그릴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냉풍의 토출범위도 한정되므로서 냉풍의 사각지대가 발생되어 냉풍이 실내로 균일하게 토출되지 못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 및 수직블레이드를 연결바를 통해 각각 분리 설치하며, 각각의 연결바의 일측으로 별도의 구동모터를 설치하여 각각의 구동모터에 의해 수평 및 수직블레이드가 가변되도록 하여 블레이드의 가변범위를 확대시켜주므로서, 냉풍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여 냉풍이 실내로 균일하게 토출되도록 한 독립 구동모터를 갖는 에어컨용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냉풍의 상하토출방향을 조정하는 수평블레이드와 냉풍의 좌우토출방향을 조정하는 수직블레이드를 갖는 통상의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수평블레이드를 제1 및 제2 연결바를 통해 상,하 분리 설치하되; 상기 제1 및 제2 연결바의 일측으로 제1 수평구동모터와 제2 수평구동모터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수직블레이드를 제1 연결바와 제2 연결바 및 제3 연결바를 통해 분리 설치하되; 상기 제1 및 제3 연결바의 일측으로 제1 수직구동모터와 제2 수직구동모터를 각각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독립 구동모터를 갖는 에어컨용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블레이드를 통한 냉풍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은 일반적인 패키지형 에어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는 종래의 자동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0 : 토출그릴 150 : 수직블레이드
151 : 제1 연결바 152 : 제2 연결바
153 : 제3 연결바 160 : 수평블레이드
161 : 제1 연결바 162 : 제2 연결바
170 : 제1 수평구동모터 171 : 제2 수평구동모터
180 : 제1 수직구동모터 181 : 제1 수직구동모터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독립 구동모터를 갖는 에어컨용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수평블레이드(16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연결바(161)(1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연결바(161)(162)를 통해 수평블레이드(160)는 에어컨의 토출그릴(140)에 상,하 분리된 상태로 설치되어 진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연결바(161)(162)의 일측으로 제1 수평구동모터(170)와 제2 수평구동모터(17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직블레이드(150)는 제1 연결바(151)와 제2 연결바(152) 및 제3 연결바(1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바(151)와 제2 연결바(152) 및 제3 연결바(153)에 의해 좌,우 및 중앙부로 분리된 상태로 에어컨의 토출그릴(140)에 설치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3 연결바(151)(153)의 일측으로 제1 수직구동모터(180)와 제2 수직구동모터(181)의 회전축(181a)이 제1 연결바(151) 및 제3 연결바(153)의 회전홈(153a)에 삽입,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별도의 구동모터가 설치되지 않은 제2 연결바(152)와 이에 고정된 수직블레이드는 토출그릴(140)에 설치시 항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의 수직 및 수평블레이드(150)(160)는 각각의 구동모터(170)(171)(180)(181)의 구동에 따라 가변되어 지며, 이에 따라 냉풍의 가변범위가 다변화 되므로서, 냉풍의토출범위가 커져 냉풍의 사각지대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블레이드를 통한 냉풍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평구동모터(170)를 통해 상부측의 수평블레이드(160)는 상측으로 최대한 가변되며, 제2 수평구동모터(171)를 통해 가변되는 하부측의 수평블레이드(160)는 상부측 블레이드와 별도로 하측으로 가변되어져 토출되는 냉풍이 상측과 하측으로 동시에 토출되어져 동일한 가변시 보다 냉풍을 실내의 상,하부로 균일하게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냉풍을 좌,우로 가변 토출시키는 수직블레이드(150)는 제1 수직구동모터(180)와 제2 수직구동모터(181)를 통해 각각 좌,우로 냉풍을 토출시킴과 동시에 제2 연결바(152)에 고정되어 있는 수직블레이드(150)를 통해 중앙으로도 동일한 량의 냉풍을 토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실내로 토출되는 냉풍이 화살표 방향으로 토출되어지므로서, 냉풍의 사각지대를 최소화 시켜 실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각각의 구동모터를 통해 수평 및 수직블레이드가 가변되도록 하여 블레이드의 가변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어 토출냉풍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여 실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 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냉풍의 상하토출방향을 조정하는 수평블레이드(60)와 냉풍의 좌우토출방향을 조정하는 수직블레이드(50)를 갖는 통상의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수평블레이드(160)를 제1 및 제2 연결바(161)(162)를 통해 상,하 분리 설치하되;
    상기 제1 및 제2 연결바(161)(162)의 일측으로 제1 수평구동모터(170)와 제2 수평구동모터(170)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수직블레이드(150)를 제1 연결바(151)와 제2 연결바(152) 및 제3 연결바(153)를 통해 분리 설치하되;
    상기 제1 및 제3 연결바(151)(153)의 일측으로 제1 수직구동모터(180)와 제2 수직구동모터(181)를 각각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구동모터를 갖는 에어컨용 블레이드.
KR2019980024398U 1998-12-08 1998-12-08 독립 구동모터를 갖는 에어컨용 블레이드 KR2002157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398U KR200215772Y1 (ko) 1998-12-08 1998-12-08 독립 구동모터를 갖는 에어컨용 블레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398U KR200215772Y1 (ko) 1998-12-08 1998-12-08 독립 구동모터를 갖는 에어컨용 블레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472U KR20000015472U (ko) 2000-08-05
KR200215772Y1 true KR200215772Y1 (ko) 2001-03-15

Family

ID=69509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4398U KR200215772Y1 (ko) 1998-12-08 1998-12-08 독립 구동모터를 갖는 에어컨용 블레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7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472U (ko)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0390A (ko) 창문형 에어콘의 팬케이싱
KR200215772Y1 (ko) 독립 구동모터를 갖는 에어컨용 블레이드
KR100445340B1 (ko) 토출그릴의 이슬형성 방지구조
KR100470485B1 (ko)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
JPH11287474A (ja) 窓型エアコンのファンケ―シング
KR20000055582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안내장치
KR200198157Y1 (ko) 공기조화기의토출풍향조절구조
KR200231321Y1 (ko) 분리형에어컨의풍량조절용스태빌라이저
KR200229882Y1 (ko) 창문형에어컨의풍향조정장치
KR200323967Y1 (ko) 창문형 에어컨
KR0128733Y1 (ko) 창문형 에어콘의 기어모터 취부구조
KR20000007609U (ko) 창문형 에어컨의 블레이드 고정장치
KR20000014291U (ko) 에어컨용 블레이드 고정장치
KR20000011370U (ko) 에어컨디셔너 실내기의 공기 흡입/송풍 장치
KR200340246Y1 (ko) 에어컨용블레이드고정장치
KR20000012374U (ko) 히터가 장착된 에어컨용 실내기
KR20000014336U (ko) 분리형 에어컨의 플랩 구동장치
KR20000055584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튀김방지장치
KR100551972B1 (ko) 공기조화기
KR20010018429A (ko) 창문형 에어콘의 응축수 비산기 구조
CN114110809A (zh) 空调器和空调器的控制方法
KR20000008073U (ko) 분리형 에어컨의 소음저감 장치
KR20000013607U (ko) 창문형 에어콘의 실외팬구조
KR19990018685U (ko) 분리형 에어컨의 소음저감 장치
KR20000047519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120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0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2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012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1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11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