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10670Y1 - 치아 교정용 커터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용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670Y1
KR200210670Y1 KR2020000017137U KR20000017137U KR200210670Y1 KR 200210670 Y1 KR200210670 Y1 KR 200210670Y1 KR 2020000017137 U KR2020000017137 U KR 2020000017137U KR 20000017137 U KR20000017137 U KR 20000017137U KR 200210670 Y1 KR200210670 Y1 KR 200210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cker
cutter
orthodontic
pair
elas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1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준
Original Assignee
마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준 filed Critical 마준
Priority to KR20200000171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6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67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아 교정용 커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상호 기능을 달리하는 독립적인 구성형태로서, 개별적 사용관계를 갖는 커터와 터커를 일체화된 몸체구조로 통합구성하여 치열교정에 따른 번거로운 진료기구(커터 및 터커)의 교환작업을 배제토록 함과 동시에 통합된 단일 기구형태로서 취급 및 조작의 편리성을 부여되도록하여 치열교정에 따른 작업효율을 극히 상승시킬수 있도록 한 치아 교정용 커터를 제공함에 있으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 일체화된 몸체구조로 통합 구성된 커터와 터커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적으로 분해 또는 조립가능케 하여, 제품의 이상 발생시 부품의 교환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하고, 또한 터커라는 단일기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터커와 그 형태는 다르나 터커의 기능을 수행할수 있는 유사종류의 치아교정용 손기구(밴드시터, 스케일러 등)를 선택적으로 교환사용 가능케 하여 호환성을 부여되도록 한 치아 교정용 커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힌지연결된 한쌍의 손잡이 상부로 한쌍의 컷팅날을 구비하여 형성된 독립구성의 커터와, 파지봉 하단부에 터커부재를 구비하여 형성된 독립구성의 터커에 있어서;
상기, 한쌍을 이루는 커터의 손잡이 일측에 착탈구를 구비한 체결봉을 형성시키고, 상기 체결봉이 삽입되는 구조로서, 상기 터커의 파지봉 상부에 한쌍의 탄성절개홈과 탄성돌기와 지지홈을 구비한 소정 깊이의 탄성결합공을 형성되게 하여 상기 커터와 터커를 상호 일체화된 삽입구조로 결합시키므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치아 교정용 커터{Orthodontic cutter}
본 고안은 치아 교정용 커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열 교정환자를 치료함에 있어 사용되는 커터와 터커를 상호 탈,부착 조립이 가능한 통합 형태로 일체화 구성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부여되도록 한 치아 교정용 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의사들에 의해 행하여 지고있는 치열 교정환자의 치료방법은 통상 도 1로 도시된 바와같은 진료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이는 먼저, 치열교정을 필요로하는 환자의 각 치아(10)에 삽입홈(20)을 갖는 브라켓(30)을 부착시키고, 이와같이 부착된 브라켓(30)이 상호 유기적 연결관계로서 치아를 지지, 고정할수 있도록 상기 각 브라켓(30)의 삽입홈(20)내로 교정선(40)을 삽입 연결시키며, 재차 상기 브라켓(30)에 삽입된 교정선(4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교정선(40)이 삽입된 브라켓(30) 날개부에 도 1로 도시된 바와같이 결찰선(L)을 걸어준 후, 이를 결찰겸자(50)에 의해 매듭형태로 꼬임 고정시키므로 치열교정치료를 행하게 되는 것인바;
이때, 특히 상기 매듭형태로 꼬임된 결찰선(L)이 환자의 입술에 상처를 입힐수 있으므로, 결찰선(L)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절단된 부위를 절곡시켜 환자의 입술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 즉 치열교정진료를 마무리하는 진료기구로서 통상 커터(60) 및 터커(70)등을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전술한 바와같은 치열교정 치료를 행함에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종래의 커터(60) 및 터커(70)는 도 2 내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상호 개별적인 독립구성을 취하는 것으로, 먼저 종래의 커터(60) 구성을 살펴보면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 일측을 상호 대칭구조로 교차시켜 힌지연결한 한쌍의 손잡이(61)를 형성하고, 이러한 한쌍의 손잡이(61) 상부에 각각 일체화된 결합구조로서 회동 컷팅작용을 행하는 한쌍의 컷팅날(62)을 구비되도록하여 형성한 것이며, 또 다르게 종래의 터커(70)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원기둥체를 취하는 파지봉(71)을 형성한 후, 그 하단에 터커부재(72)를 일체로 결합, 구성되게 하므로서 형성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종래의 커터 및 터커는 상호 독립적 사용관계를 갖는 개별구성으로서, 치열 교정진료의 마무리 단계 즉, 각 치아에 적용된 결찰선의 반복적 절단 및 절곡작업을 행함에 있어, 커터와 터커를 작업형태에 따라 반복적으로 교환사용 했던 것으로, 상당한 번거로움의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이와같은 커터와 터커의 번거로운 교환사용관계로 인해 진료를 행하는 치과의사의 주의력을 분산시킴은 물론 진료시간을 지연되게 하는 등, 치열교정에 따른 작업효율을 극히 저하되게 하는 상당한 구조적 결함의 문제점을 항상 상존시키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치아교정용 진료기구로 이용되고 있는 커터와 터커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호 기능을 달리하는 독립적인 구성형태로서, 개별적 사용관계를 갖는 커터와 터커를 일체화된 몸체구조로 통합구성하여 치열교정에 따른 번거로운 진료기구(커터 및 터커)의 교환작업을 배제토록 함과 동시에 통합된 단일 기구형태로서 취급 및 조작의 편리성을 부여되도록하여 치열교정에 따른 작업효율을 극히 상승시킬수 있도록 한 치아 교정용 커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 일체화된 몸체구조로 통합 구성된 커터와 터커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적으로 분해 또는 조립가능케 하여, 제품의 이상 발생시 부품의 교환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하고, 또한 터커라는 단일기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터커와 그 형태는 다르나 터커의 기능을 수행할수 있는 유사종류의 치아교정용 손기구(밴드시터, 스케일러 등)를 선택적으로 교환사용 가능케 하여 호환성을 부여되도록 한 치아 교정용 커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힌지연결된 한쌍의 손잡이 상부로 한쌍의 컷팅날을 구비하여 형성된 독립구성의 커터와, 파지봉 하단부에 터커부재를 구비하여 형성된 독립구성의 터커에 있어서;
상기, 한쌍을 이루는 커터의 손잡이 일측에 착탈구를 구비한 체결봉을 형성시키고, 상기 체결봉이 삽입되는 구조로서, 상기 터커의 파지봉 상부에 한쌍의 탄성절개홈과 탄성돌기와 지지홈을 구비한 소정 깊이의 탄성결합공을 형성되게 하여 상기 커터와 터커를 상호 일체화된 삽입구조로 결합시키므로서 달성된다.
도 1은 치아 교정관계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종래 커터의 구성 상태도
도 3은 종래 터커의 구성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커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커터의 결합 단면도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커터의 또 다른 실시예 분해 사시도
도 7는 본 고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커터의 또 다른 실시예 결합 단면도
도 8는 본 고안에 호환 적용되는 밴드시터와 스케일러의 구성상태도
<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커터 2 : 터커 11 : 손잡이
12 : 체결봉 21 : 파지봉 22 : 터커부재
23 : 탄성결합공 111 : 컷팅날 121 : 착탈구
211 : 체결볼트 221 : 체결너트 231 : 탄성절개홈
232 : 탄성돌기 233 : 지지홈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커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커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커터의 결합 단면도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한쌍의 손잡이(11)를 갖는 커터(1)에 체결봉(12)을 형성하고, 봉상체를 취하는 터커(2)에 탄성결합공(23)을 형성하여 상호 탄력적 결합관계를 이루도록 하므로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터(1)는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대향구조를 이루는 한쌍의 손잡이(11)를 상호 대칭구조로 교차시켜, 그 교차되는 부위를 힌지연결하고, 이와같이 힌지연결된 각 손잡이(11)의 상부로 한쌍의 컷팅날(111)을 일체로 구비되게 하므로서 회동 컷팅작용을 행하도록 한 통상의 커터 구성을 취하는 것인바, 이러한 통상의 커터를 본 고안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대향구조를 취하는 한쌍의 손잡이(11) 일측을 타측 손잡이(11)와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짧게 구성되도록 한 후, 후술하는 체결봉(12)을 일체로 결합구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봉(12)은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소정의 길이로서 하향테이퍼 구조를 취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이와같은 구조를 취하는 체결봉(12)의 상부 외면 둘레에는 도 4내지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이 요홈구조를 취하는 착탈구(121)를 구비되도록 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터커(2)는 봉상체를 취하는 파지봉(21) 하단에 터커부재(22)를 일체로 결합시킨 통상의 터커 구성을 취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터커(2)를 본 고안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상기 파지봉(21) 상부로 후술하는 탄성결합공(23)을 일체로 구비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결합공(23)은 전술한 파지봉(21)의 상부로 부터 그 내측을 향해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한 요홈구조로서. 이와같은 탄성결합공(23)의 좌, 우 양측면으로는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수직 구조로 절개된 한쌍의 탄성절개홈(231)을 형성하고, 그 상부 내면 둘레에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이 삼각돌기 형상으로 돌출된 탄성돌기(232)를 구비되도록 하며, 재차 탄성결합공(23)의 내측 바닥면 중앙으로는 전술한 체결봉(12) 삽입시 삽입된 체결봉(12)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으로서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은 요홈구조의 지지홈(233)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치아 교정용 터커를 상호 결합함에 있어서는, 도 4 또는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이 커터(1)의 체결봉(12)을 터커(2)의 탄성결합공(23)내에 삽입시키는 형태로 외력(압박력)을 가하여 체결봉(12)의 착탈구(121)를 탄성돌기(232)에 걸림되도록 결합시키고, 이와같은 결합상태로서 체결봉(12)의 하단 일부를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이 지지홈(233)내에 삽입,지지되게 하므로서 커터(1)와 터커(2)를 일체화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착탈구(121)와 탄성돌기(232)의 체결관계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가 체결봉(12)을 탄성결합공(23)에 삽입시키는 형태로 결합외력을 가하게 되면 하향 테이퍼 구조를 취하는 체결봉(12)은 탄성돌기(232)에 슬라이딩 외력을 가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결합공(23)은 탄성절개홈(231)에 의해 탄력적으로 벌어지는 형태를 취하며 체결봉(12)의 착탈구(121)를 탄성돌기(232)와 결합되게 하고, 재차 상기와 같은 형태로 체결봉(12)의 결합이 완료하게되면 상기 탄성결합공(23)은 탄성절개홈(231)에 의해 탄성복원되어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이 체결봉(12)과 탄성결합공을 상호 결합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때 상기와 같이 체결봉(12)이 탄성결합공(23)내에 삽입되어 완전 결합상태를 이룰 경우 체결봉(12)의 하단 일부는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이 지지홈(233)내에 수용되는 형태를 취하게 되므로서 치아교정 진료에 따른 기구 사용자의 외력작용시 견고한 지지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고, 특히 이와같은 결합관계를 이룸에 있어 상기 착탈구(121)와 탄성돌기(232)의 결합부위는 단순 걸림결합구조을 취하게 되므로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이 결합된 상태로서 터커(2)에 슬라이딩 회동기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커터의 또 다른 실시예도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상기 일실시예와 동일 명칭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음.)
전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형태로서 커터(1)의 일측 손잡이(11)에 착탈구(121)를 갖는 체결봉(12)을 형성하고, 터커(2)의 파지봉(21)상에 탄성절개홈 (231)과 탄성돌기(232)와 지지홈(233)을 갖는 탄성결합공을 형성되도록 하되, 이를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적용함에 있어서는 상기 터커(2)를 파지봉(21)과 터커부재(22)로 상, 하 독립 분활시키므로서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분할된 파지봉(21) 하단으로는 수나사 구조로 돌기된 체결볼트 (211)를 형성하고, 상기 분할된 터커부재(22) 상단으로는 암나사를 이루는 요홈구조의 체결너트(221)를 형성한 것으로. 이에 상기 독립된 형태로 분할된 파지봉(21)과 터커부재(22)를 상호 결합함에 있어서는 체결볼트(211)와 체결너트(221)에 의해 도 7로 도시된 바와같이 볼트체결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한편, 전술한 바와같이 일실시예와 또 다른 실시예로 구성되는 치아 교정용 커터는 단순히 커터(1)와 터커(2)만을 일체로 결합 구성되게 함에 한정되는 것은 것은 아니며, 도 8로 도시된 바와같이 터커(2)와 그 형태는 다르나 터커(2)의 기능을 수행할수 있는 유사종류의 치아교정용 손기구, 즉 도 8로 도시된 바와같은 밴드시터(3) 또는 스케일러(4) 등에 본 고안의 구성을 적용, 커터(1)와 일체화 구성시킬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커터는 상호 기능을 달리하는 독립적 구성의 커터와 터커를 일체화된 몸체구조로 통합구성하여 치열교정에 따른 번거로운 진료기구(커터 및 터커)의 교환작업을 배제토록 함과 동시에 통합된 단일 기구형태로서 취급의 편리성을 부여되도록하여 치열교정에 따른 작업효율을 상승되도록 한 것이며;
또 다르게, 일체화된 몸체구조로 통합 구성된 커터와 터커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적으로 분해 또는 조립가능케 하여, 제품의 이상 발생시 부품의 교환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하고, 또한 터커 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종류의 치아교정용 손기구(밴드시터, 스케일러 등)를 선택적으로 교환사용 가능케 하여 호환성을 부여되도록 한 것으로, 이는 사용자에 매우 괄목할 만한 기대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힌지연결된 한쌍의 손잡이(11) 상부로 한쌍의 컷팅날(111)을 구비하여 형성된 독립구성의 커터(1)와, 파지봉(21) 하단부에 터커부재(22)를 구비하여 형성된 독립구성의 터커에 있어서;
    상기, 한쌍을 이루는 커터(1)의 손잡이(11) 일측에 착탈구(121)를 구비한 체결봉(12)을 형성하고, 회전가능한 형태로 상기 체결봉(12)과 결합되는 구조로서, 상기 터커(2)의 파지봉(21) 상부에 한쌍의 탄성절개홈(231)과 탄성돌기(232)와 지지홈(233)을 구비한 소정 깊이의 탄성결합공(23)을 형성하여 상기 커터(1)와 터커(2)를 상호 일체화된 삽입구조로 결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커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결합공(23)을 형성한 터커(2)를 파지봉(21)과 터커부재(22)로 분할구성하여 상기 분할된 파지봉(21) 하단에 돌기된 체결볼트 (211)를 형성하고, 상기 분할된 터커부재(22) 상단에 요홈구조의 체결너트(221)를 형성하여 상기 파지봉(21)과 터커부재(22)를 상호 볼트체결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커터.
KR2020000017137U 2000-06-16 2000-06-16 치아 교정용 커터 Expired - Fee Related KR200210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137U KR200210670Y1 (ko) 2000-06-16 2000-06-16 치아 교정용 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137U KR200210670Y1 (ko) 2000-06-16 2000-06-16 치아 교정용 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670Y1 true KR200210670Y1 (ko) 2001-01-15

Family

ID=73085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137U Expired - Fee Related KR200210670Y1 (ko) 2000-06-16 2000-06-16 치아 교정용 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6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8664B2 (en) Orthodontic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malocclusions
US11628045B2 (en) Torque wrench for implant procedure
KR101501954B1 (ko) 치주 수술용 견인기
JPS626456B2 (ko)
DE19825261A1 (de) Medizinisches oder dentalmedizinisches Instrument zur spanabhebenden Bearbeitung von Körpergewebe und Werkzeug für ein solches Instrument
US20030013064A1 (en) Rinsing cannula for rinsing a root canal of a tooth
KR20230169872A (ko)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렌치
JP7369366B2 (ja) キャップおよびこのキャップを備えた根管治療用の往復動発生具
US6386873B1 (en) Dental tool
KR200210670Y1 (ko) 치아 교정용 커터
JP2003519527A (ja) 下あご等の顔面骨の骨折手術方法及び手術器具
US20050130092A1 (en) Distracting device for orthodontic/orosurgical purposes on the lower jaw
KR100349222B1 (ko) 치아 교정용 커터
AU2020217424B2 (en) Dental retractor with micro mirror
CN110693588B (zh) 一种防回转的颌骨牵引器
JP2005531381A (ja) 歯根ポストを有する補綴物またはインプラントの引抜き用器具類
KR200208500Y1 (ko) 치아교정용 커터
KR100893787B1 (ko) 핸드 콘트라앵글 마이크로임플란트 토크 드라이버
KR200210667Y1 (ko) 치아 교정용 커터
KR200448454Y1 (ko) 착탈가능한 치과용 임플란트 핸드피스의 몸체
KR101918655B1 (ko) 임플란트 조립장치
KR20100090399A (ko) 임플란트 시술용 토오크 렌치
KR200203750Y1 (ko) 치아 교정용 커터
KR20220050856A (ko)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렌치
KR200244990Y1 (ko) 치아 교정용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61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1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6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