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160Y1 - 손잡이 부분에 내장된 우산커버 - Google Patents
손잡이 부분에 내장된 우산커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7160Y1 KR200207160Y1 KR2020000020887U KR20000020887U KR200207160Y1 KR 200207160 Y1 KR200207160 Y1 KR 200207160Y1 KR 2020000020887 U KR2020000020887 U KR 2020000020887U KR 20000020887 U KR20000020887 U KR 20000020887U KR 200207160 Y1 KR200207160 Y1 KR 20020716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umbrella
- handle
- spring plate
- same ti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잡이 부분에 내장된 우산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우산 손잡이 하측부위(4)에 내부(13)가 중공이고, 내부(13)에 압축력과 탄력성을 갖는 스프링(11)으로 연결된 판(12)과 손잡이 하부(4)에 결합 와이어(5)로 연결되어 개구부를 갖는 덮개(9)가 우산손잡이 측면(6)에 고정설치된 단추(7)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단추(7)를 누름으로서 압축된 스프링판(12)이 풀리고, 동시에 손잡이 하부의 덮개(9)가 개방되어 우산커버(3)의 자동인출을 유도하며, 우산커버(3) 사용후 다시 풀어진 스프링판(12) 위로 우산커버(3)를 접어서 밀어넣으면, 스프링판(12)은 내부의 걸림고리(14)에 고정됨으로서 커버(3)가 손잡이(4)에 내장되고, 상기 덮개를 닫는 복원수단 및 접혀진 우산(8)을 씌울 수 있는 넓이와 크기를 갖는 자루와 같은 형상으로 일측이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있고, 절개부위의 체결수단으로 자크(17)를 설치하며, 우산손잡이(10)와 우산커버(3)에 소정의 줄(15)이 연결되어, 이는 씌워진 우산커버(3)의 하단 테두리부분에서 조임쇠 역할을 하는 것을 기능으로 하는 우산커버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고안은 우산 커버(3) 부위에 설치된 자크(17)를 통해 쉽게 우산을 씌우고 개방할 수 있으며, 커버(3)를 씌움과 동시에 커버 하단부위가 조여지는 특징이 있다. 이는 사용자가 우산을 커버와 일체로 보관함으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커버의 분실염려가 없고,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실내에서 상기 수단을 이용함으로서 빗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손잡이 부분에 내장된 우산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우산커버(3)는 우산을 사용하지 않을때에 우산을 커버(3)로 씌움으로써 우산(8)을 보호하고, 외관상 보기좋게 하며, 또한 실내에서 빗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커버(3)의 필요성이나 중요성면에서 그 사용가치가 크다. 그리고 보통 우산커버(3)는 자루 형상으로 생겨 접혀진 우산(8) 윗부분부터 씌움으로서 마무리로 커버(3)가 벗겨지지 않게 하는 수단으로 커버(3) 하단부위를 단추가 부착된 끈으로 묶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우산 커버(3)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우산커버(3)에 대한 인식이 낮아져만 가고 있다. 이것은 우산이 커버(3)와 분리되어있기 때문으로,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커버(3)의 보관 수단으로 보통 우산 손잡이 윗부분 즉, 지지대 역할을 하는 스포크(2)의 소정부위에 묶고 다닌다. 하지만 이는 관리하기도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잃어버리기도 쉽고, 미관상 품위도 떨어지며, 커버는 자루 형상으로 사방이 막혀 있어 접혀진 우산(8)을 씌울때에 잘 들어가지 않는 등이 같은 커버(3)의 사용상 불편함 뿐만 아니라, 관리. 보관상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우산을 보관할 때 우산커버(3)가 손잡이 부분(4)에 내장되어 있어 우산을 씌울때에 커버(3)가 손잡이 부분(4)에서 자동으로 인출되어, 커버(3) 절개부위에 설치된 자크(17)를 이용함으로서 쉽게 우산(8)을 씌울 수 있으며, 별도의 일반적인 커버 묶음 끈없이 손잡이 부분(10)과 연결된 이음줄(15)에 의해 커버(8) 하단부위가 조여지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또한 쉽게 커버(3)를 우산(8)으로부터 개방시켜 접은 커버(3)를 손잡이 부분에 다시 내장할 수 있다. 이는 제작 과정이 간단하고, 상기 커버(3)를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 1도는 일반적인 우산의 손잡이 구조도
제 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손잡이의 구조도 및 전체 단면도
제 3도는 도 2의 A-A'원 점선의 단면도
제 4도는 도 2의 B-B'원 점선의 단면도
제 5도는 우산 손잡이 하면에서 내부를 바라본 손잡이 내부 구조도
제 5(a)도는 도 5의 C-C'선 단면도
제 6도는 우산 커버의 구조도
제 7도는 우산커버와 손잡이 하부 측면 연결쇠간 이음줄 구조도
제 8도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커버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스포크 3. 우산 커버
4. 우산 손잡이 5. 결합 와이어
7. 단추 9. 덮개
12. 스프링판 14. 걸림고리
15. 이음(조임)줄 17. 자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도는 커버(3)와는 분리된 일반적인 우산의 손잡이(1) 구조도이며, 제 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부분(4)에 내장된 우산 커버(3)에 관한 것으로서, 손잡이의 전체적인 단면도를 보여준다. 이는 도 1의 우산의 스포크(2)를 지지하는 손잡이 부분(1) 하부에 첨가부착된 손잡이(4)로 내부가 중공이고, 하면에 결합 와이어(5)로 손잡이 부분(4)과 개폐가 가능하도록 연결된 개구부를 갖는 덮개(9)와, 제4도에서 손잡이 내부 상단에 하면에 유연성과 탄력성을 겸비한 압축식의 스프링(11)과 연결된 판(12)이 구성되어 있고, 이 판(12)의 스프링(11)에 감싸인 기둥(16)부분은 상부 손잡이(1)에 고정된 우산(8)을 지지하는 스포크(2)내부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판(12)과 덮개(9) 한쪽끝에는 걸림 고리(14)가 형성되어 있어, 이는 제 3도면과 같이, 스프링(11)으로 복원력을 가지며, 손잡이 측면(6)에 고정 설치된 단추(7)의 양 걸림 고리(14)에 의해서 스프링 판(12)은 내부에서 고정되고, 손잡이 하면의 덮개(9) 또한 걸림고리(14)에 걸림으로서 고정된다. 이 장치는 동시에 양쪽의 걸림고리(14)를 갖고 있는 단추(7)를 누름으로서, 압축된 스프링판(12)이 풀리고, 이는 내부에 저장된 우산 커버(3)를 밀어내는 역할을 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덮개(9)가 결합 와이어(5)에 의해 개방됨으로서 우산 커버(3)가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방법은 손잡이(4)에 내장된 우산커버(3)가 단추(7)를 누름으로서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커버(3)의 사용 후 복원 수단으로는 우산 커버(3)를 접은 후 풀려진 스프링판(12) 위로 밀어 넣으므로서 이 스프링판(12)은 다시 내부의 걸림고리(14)에 의해 고정되고, 하면의 덮개(9)를 닫음으로서 다시 우산 커버(3)가 손잡이 부분(4)에 저장되게 된다. 이는 내부가 중공인 손잡이(4)를 매개로 사용자가 우산 커버(3)와 우산을 항상 일체로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 5도는 손잡이 하면에서 손잡이 내부(13)를 바라본 도면으로서, 그림에서와 같이 스프링 판(12)이 보이고, 그 위로 공간(13)이 확보되어 있어, 커버(3)가 저장될 수 있다. 제 5(a)도는 손잡이 내부 스프링판(12) 위에서의 단면도를 표시한 것으로 이 스프링판(12)은 별도로 두개의 걸림 고리(14)가 있어 단추(7)에 연결된 두개의 걸림고리(14)에 의해 고정되고, 이는 스프링판(12)의 고정을 효과적으로 강화 하기위한 기능을 갖고 있다.
제 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커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접혀진 우산(8)의 넓이와 길이를 갖는 크기로 자루 형상을 하고 있고, 커버의 일측면이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면서 절개부위의 체결수단으로 3분의 2정도 길이의 자크(17)가 설치되어 있어, 자크(17)를 통해 쉽게 접힌 우산(8)을 씌우고 벗겨낼 수 있다.
제 7도는 손잡이 측면(6)에 연결 고리(10)가 형성되어 있어, 소정의 이음줄(15)이 손잡이 부분(10)에 고정되고, 상기 이음줄(15)은 끝부분이 두 가닥으로 나뉘어지면서 우산 커버(3) 하단 부위의 테두리부분을 감싸고 있어, 상기 커버(3)를 우산(8)에 씌울 때 커버(3)의 테두리 부분이 조여지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이음줄(15)의 소재로는 고무와 같은 어느 정도의 연성과 탄력성이 필요하며, 이는 늘어나면서 커버가 접혀진 우산(8)을 씌울 수 있고, 동시에 커버(3)의 하단부분이 조여지게 된다. 이음줄(15)의 길이는 제 8도에서 처럼 손잡이 측면에 고정된 부분(10)부터 씌워진 커버에 줄이 연결된 테두리부분 까지의 길이보다 약간 작은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한다.
제 8도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커버의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접혀진 우산(8)이 커버(3)에 의해 씌워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러한 구조의 본 고안은 우산(8)을 보관할 때 우산 커버(3)를 손잡이 부분(4)에서 자동 인출하여, 우산커버(3) 절개부위에 설치된 자크(17)를 통해 쉽게 우산(8)을 씌워 보관할 수 있으며, 우산(8)에 커버(3)를 씌운후에도 별도의 일반적인 커버(3)를 감싸는 끈이 필요없이, 손잡이 부분(10)과 연결된 이음줄(15)에 의해 커버(3) 하단부분이 조여짐으로서, 우산커버(3)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상기 수단을 이용함으로서, 실내에서 빗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커버(3)를 쉽게 인출하여 우산(8)을 씌움으로서 별도로 우산을 보관하는 장소가 필요없이 이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우산 사용시 커버(3)를 자크(17)를 통해 쉽게 개방할 수 있으며, 다시 손잡이 부분(4)에 밀어 넣으므로서 우산과 커버(3)를 일체적으로 보관할 수 있어, 커버(3)를 잃어버릴 염려가 없고, 이러한 상기 커버(3) 사용의 효율성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우산 손잡이 내부가 중공이고, 상기 우산 손잡이(4) 내부 상단에 탄력성과 유연성을 갖는 압축력있는 스프링(11)으로 연결된 판(12)과 우산 손잡이 하부(4)에 개구부를 갖는 덮개(9) 그리고 손잡이 측면(6)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스프링판(12)과 덮개(9)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는 단추(7) 및 접혀진 우산(8)을 씌울 수 있는 넓이와 길이를 갖는 주머니 형상을 하고, 일측면이 길이 방향으로 2/3정도 절개됨으로서, 그 절개부위의 체결수단으로 자크(17)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분에 내장된 우산커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커버(3)가 하부 손잡이(4) 측면 이음고리(10)에 고정된 탄력성 있는 고무소재의 줄(15)과 연결되고, 그 줄(15)은 상기 우산커버(3)의 하단 테두리부분을 감싸고 있어, 상기 커버(3)를 우산(8)에 씌움과 동시에 커버 하단 테두리부분이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분에 내장된 우산커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커버(3)의 작동 및 복원수단은 우산 손잡이 내부상단에 설치된 스프링판(12)과 손잡이 하면의 덮개(9)가, 손잡이 하부 측면(6)에 설치된 단추(7)를 누름으로서, 상기 덮개(9)가 결합와이어(5)에 의해 개방되고 동시에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판(12)이 풀어짐으로서 손잡이 내부(13)에 저장되어 있던 우산 커버(3)의 자동 인출유도. 복원시 풀어진 스프링판(12) 위로 우산커버(3)를 접어서 밀어넣으면, 스프링판(12)은 내부에 설치된 걸림고리(14)에 의해 다시 고정됨으로서 커버가 손잡이에 내장되고, 개방된 상기 덮개(9)를 닫는 것을 복원수단으로 하는 손잡이 내부에 내장된 우산 커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0887U KR200207160Y1 (ko) | 2000-07-21 | 2000-07-21 | 손잡이 부분에 내장된 우산커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0887U KR200207160Y1 (ko) | 2000-07-21 | 2000-07-21 | 손잡이 부분에 내장된 우산커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7160Y1 true KR200207160Y1 (ko) | 2000-12-15 |
Family
ID=1966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20887U Expired - Fee Related KR200207160Y1 (ko) | 2000-07-21 | 2000-07-21 | 손잡이 부분에 내장된 우산커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7160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2658B1 (ko) | 2010-09-01 | 2012-10-24 | 정진우 | 지팡이 |
-
2000
- 2000-07-21 KR KR2020000020887U patent/KR200207160Y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2658B1 (ko) | 2010-09-01 | 2012-10-24 | 정진우 | 지팡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45881B1 (ko) | 가방 우산 | |
US7011098B2 (en) | Cosmetics case | |
KR200207160Y1 (ko) | 손잡이 부분에 내장된 우산커버 | |
JP3993571B2 (ja) | 携帯用傘ホルダー | |
JP4251253B2 (ja) | ランドセルの雨用カバー | |
CN207444467U (zh) | 雨伞 | |
JPH0725050Y2 (ja) | カバ−収納傘 | |
KR200366498Y1 (ko) | 우산커버가 구비된 우산 | |
JP3090166U (ja) | 傘カバー | |
EP0049226A2 (en) | Improvements in and/or related to umbrellas and large umbrellas | |
KR200313434Y1 (ko) | 우산손잡이에 우산커버 보관함이 구비된 우산 | |
KR102831190B1 (ko) | 휴대용 빗물 제거기 | |
JP3043851U (ja) | 収納袋付きの傘 | |
JP3217445U (ja) | 携帯用傘カバー | |
KR200271202Y1 (ko) | 우산의 커버수납부재 | |
KR101066085B1 (ko) | 방수커버 수납가이드와 인장 수단을 구비한 우산 | |
KR200188835Y1 (ko) | 우산 장착형 가방 | |
KR20100130766A (ko) | 커버체가 일체로 구비된 우산 | |
JP2002272516A (ja) | 傘カバー | |
KR200166218Y1 (ko) | 커버가 내장된 우산손잡이 | |
JP3049477U (ja) | 傘 | |
KR200205054Y1 (ko) | 머리에 쓰는 우산 | |
JPS583564Y2 (ja) | カバ−付きルックザック | |
KR200404510Y1 (ko) | 텐트 도어용 단속홀더 | |
KR200373616Y1 (ko) | 우산개폐결속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721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010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1005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