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3624Y1 - 슬라브용 철근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슬라브용 철근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624Y1
KR200203624Y1 KR2020000017265U KR20000017265U KR200203624Y1 KR 200203624 Y1 KR200203624 Y1 KR 200203624Y1 KR 2020000017265 U KR2020000017265 U KR 2020000017265U KR 20000017265 U KR20000017265 U KR 20000017265U KR 200203624 Y1 KR200203624 Y1 KR 200203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spacer
slab
reinforcement
reinforc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택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 목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 목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 목성
Priority to KR2020000017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6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62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5Ladder or strip spac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브용 철근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상부에 상부철근(1)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시킨 상부철근받침대(2)와, 상기 상부철근받침대(2)의 상부에 상부철근(1) 외부의 충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 고정구(6)와, 상기 상부철근받침대(2)의 하부 외측 주연부를 따라 4방향으로 하부철근(3,3',7,7')이 안치될 수 있도록 형성시킨 하부철근받침대(4,4',8,8')와, 상기 상하부철근받침대(2,4,4',8,8')의 하부 내측에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충진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통공(5)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용 철근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라브용 철근 스페이서 {Steel reinforcing for spacer}
본 고안은 슬라브용 철근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일방향 뿐 아니라 양방향 슬라브와 상하부 철근의 피복두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되는 슬라브용 철근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로 시공되는 슬라브의 피복두께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과 그 슬라브의 내부에 매립되는 철근들의 상호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하는 것은 건축물의 정밀도와 강도상의 문제에서 고품질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철근 스페이서는 철근콘크리트 슬라브와 철근의 피복두께를 정확하게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보조도구로 사용되는 것이다.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소54-18013호에서 공개된 종래의 슬라브용 레벨 스페이서는 슬라브 거푸집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면 중앙에 하단이 고정되고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부재와, 상기 바닥부의 상부로 적절한 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부재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하철망받침과, 상기 하철망받침에서 상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하철망받침과 같은 방향으로 평행하게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철망받침과, 상기 상철망받침에서 상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레벨표시부로 구성된 것이고,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182636호는 바닥부의 상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철망받침과, 상기 하철망받침에서 상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하철망받침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수직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철망받침과, 상기 상철망받침과 동일한 높이에서 직각되는 방향으로 상기 수직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직각철근받침으로 구성되는 레벨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며,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7-51973호는 하부근 받침대의 상단 일측에 소정높이로 돌설되는 상부근 받침대가 일체로 설치되고, 또 다시 상부근 받침대 상단 하측에 소정높이의 높이표식대가 일체로 설치되도록 구성한 복합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안들은 하부철근망을 구성하는 스페이서와 하부철근 및 상부철근망을 구성하는 스페이서와 상부철근들이 각각 설치되거나 또는 철근고정에는 부적합하며, 통상적인 건축물에는 일방향 슬라브보다는 양방향 슬라브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 점을 감안한다면. 종래의 스페이서는 현실적으로 건축현장에서 자유롭게 사용되는 데에 중대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슬라브의 철근 배근시 상, 하부철근을 동시에 지지시킬 수 있으며, 하부철근은 같은 방향이나 교차방향 철근에 관계없이 시공할 수 있는 뿐 아니라 양방향 슬라브에서도 슬라브와 상하부 철근의 피복두께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되는 슬라브용 철근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인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철근 스페이서의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철근 스페이서의 측면도
도3, 도4, 도5, 도6은 본 고안의 철근 스페이서의 설치예
<도면의 부호설명>
상부철근(1), 상부철근받침대(2), 하부철근(3,3',7,7'),
하부철근받침대(4,4',8,8'), 통공(5), 고정구(6)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철근콘크리트로 시공되는 슬라브와 상, 하부철근들의 피복두께가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데 사용되는 슬라브용 철근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철근 스페이서의 설치 상세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철근 스페이서의 측면도이며, 도3, 도4, 도5 및 도6은 본 고안의 철근 스페이서의 평면도를 도시하였으며, 도면의 부호는 상부철근(1), 상부철근받침대(2), 하부철근(3,3',7,7'), 하부철근받침대(4,4',8,8'), 통공(5), 고정구(6)임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은 도1, 도3, 도4, 도5 및 도6과 같이 중앙상부에 상부철근(1)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철근받침대(2)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철근받침대(2)의 상부에는 상부철근(1) 외부의 충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구(6)를 설치하였으며, 상기 상부철근받침대(2)의 하부 외측 주연부를 따라 4방향으로 하부철근(3,3',7,7')이 안치될 수 있도록 하부철근받침대(4,4',8,8')를 형성시키며, 상기 상하부철근받침대(2,4,4',8,8')의 하부 내측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충진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도2는 철근 스페이서의 측면도로서, 상부에 형성된 상부철근받침대(2)와, 상기 상부철근받침대(2)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하부철근받침대(8,8')와,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진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5)을 형성한 것임을 알 수 있으며,
도3, 도4, 도5 및 도6은 철근 스페이서의 설치된 예임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철근 스페이서는 슬라브에 상, 하부철근(1,3,3',7,7')을 배치하고, 임의의 간격으로 스페이서를 배치하여 상, 하부철근(1,3,3',7,7')이 처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이나, 동시에 상, 하부철근(1,3,3',7,7')을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고, 도3, 도4, 도5 및 도6과 같이 상부철근(1)과, 하부철근(3,3',7,7')중 철근 배근 상태에 따라 하나만을 택일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며, 외부의 충격시 상, 하부철근(1,3,3',7,7')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철근 스페이서는 일방향, 양방향 슬라브의 철근배근에 있어서 상하부철근을 정확한 높이에서 받쳐주도록 할 뿐 아니라, 상하부철근이 제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복두께를 유지시키고, 작업공정이 단순화되어 능률향상 및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스페이서의 재료비 및 인건비등이 절감되며, 스페이서의 누락시공을 방지하여 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슬라브용 철근 스페이서에 있어서, 중앙상부에 상부철근(1)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시킨 상부철근받침대(2)와, 상기 상부철근받침대(2)의 상부에 상부철근(1) 외부의 충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 고정구(6)와, 상기 상부철근받침대(2)의 하부 외측 주연부를 따라 4방향으로 하부철근(3,3',7,7')이 안치될 수 있도록 형성시킨 하부철근받침대(4,4',8,8')와, 상기 상하부철근받침대(2,4,4',8,8')의 하부 내측에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충진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통공(5)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용 철근 스페이서.
KR2020000017265U 2000-06-17 2000-06-17 슬라브용 철근 스페이서 Expired - Fee Related KR2002036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265U KR200203624Y1 (ko) 2000-06-17 2000-06-17 슬라브용 철근 스페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265U KR200203624Y1 (ko) 2000-06-17 2000-06-17 슬라브용 철근 스페이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624Y1 true KR200203624Y1 (ko) 2000-11-15

Family

ID=19661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265U Expired - Fee Related KR200203624Y1 (ko) 2000-06-17 2000-06-17 슬라브용 철근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6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542B1 (ko) 2016-05-11 2016-12-19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상부수평철근용 철근스페이서의 고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542B1 (ko) 2016-05-11 2016-12-19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상부수평철근용 철근스페이서의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1057A (en) Unit masonry fence and method for erecting
US7444789B1 (en) Insulated concrete form holder
CN114482529A (zh) 一种后浇带镀锌钢管支撑架回顶施工方法
KR200414349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구조
KR20190106435A (ko) 철근 구조물 고정장치
KR200203624Y1 (ko) 슬라브용 철근 스페이서
US6557830B2 (en) Prefabricated masonry fence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KR200238498Y1 (ko) 보강망 장치
JPH0860900A (ja) フェンスの築造方法おょびフェンス
KR101120360B1 (ko) 철근트러스형 데크플레이트에의 고정설치를 위한 경량성형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슬래브 구조체
KR200233599Y1 (ko) 교각의 철근 설치구조
KR100264386B1 (ko) 자연석만을 이용한 보강토옹벽의 구축공법및 그 구축구조
KR100837831B1 (ko)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
KR100469961B1 (ko) 철골케이지 및 강섬유콘크리트와 철골케이지를 이용한보강공법
KR100747665B1 (ko)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200238510Y1 (ko) 건설용 철근의 이격구
KR101174665B1 (ko) 개량형 철근트러스 데크플레이트에의 고정설치를 위한 경량성형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슬래브 구조체
KR200305351Y1 (ko) 상,하부근 겸용 바 스페이서
KR200182636Y1 (ko)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
KR200184986Y1 (ko) 벽체 기초용 형틀
KR200205908Y1 (ko)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구조
JP4010937B2 (ja) ハーフpc板とそれを用いる施工法
JP7213150B2 (ja) 支柱とコンクリート床版の固定方法及び擁壁の構築方法
KR101033261B1 (ko) 곡면 콘크리트 구조체의 시공 방법
KR200242422Y1 (ko) 조립식 티형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61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9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61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52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4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8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