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2158Y1 - 공압모터 - Google Patents

공압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158Y1
KR200202158Y1 KR2020000012958U KR20000012958U KR200202158Y1 KR 200202158 Y1 KR200202158 Y1 KR 200202158Y1 KR 2020000012958 U KR2020000012958 U KR 2020000012958U KR 20000012958 U KR20000012958 U KR 20000012958U KR 200202158 Y1 KR200202158 Y1 KR 2002021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ompressed air
cover
hol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9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호
Original Assignee
임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호 filed Critical 임상호
Priority to KR20200000129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1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1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1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21D9/1086Drives or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2Control of the drilling operation;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for activation or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0/00Setting anchoring-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압력발생수단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압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동력을 발생하는 기어가 전위치형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종래의 구조보다 압축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하여 구동될 때 발생되는 불쾌한 마찰소음을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접촉되는 충격에 의하여 기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출력을 향상할 수 있는 공압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 1기어(76)와 제 2기어(78)가 기어의 기준 피치원이 그것과 맞물리는 기준 래크의 기준 피치선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전위치형으로 이루어지고, 이 제 1기어(76) 및 제 2기어(78)의 폭이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공압모터{Pneumatic motor}
본 고안은 공압모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압력발생수단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압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동력을 발생하는 기어가 전위치형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종래의 구조보다 압축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하여 구동될 때 발생되는 불쾌한 마찰소음을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접촉되는 충격에 의하여 기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출력을 향상할 수 있는 공압모터에 관한 것이다.
각종 도로의 건설을 위해 터널을 뚫거나 어스앵커천공 및 지하자원의 개발을 위해 지반을 뚫는 토목공사의 현장에서는 암반층을 자주 만나게 된다. 따라서, 작업의 진행을 위해서는 암반층을 제거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 통상적으로 착암기나 굴착기 등을 사용한다. 이들 장비를 이용하여 암반을 천공 및 파쇄하는 경우에는 공압모터를 이용한 공압해머가 사용되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공압모터가 감속기와 결합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공압모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제 1기어 및 제 2기어가 몸체의 치차홀에 개재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설명하면, 내측에 소정의 치차홀(10)이 형성된 몸체(12)가 구비되어지고, 이 몸체(12)의 치차홀(10) 상단과 하단에는 압축공기발생수단(미도시)에 발생된 압축공기가 선택적으로 공급 및 배출되는 압축공기통로(14)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진다. 몸체(12)의 외주면과 치차홀(10)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결합공(16)이 형성되어진다. 몸체(12)의 일측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 1커버(18)가 구비되어지고, 이 제 1커버(18)의 중심부분에는 한쌍의 제 1축공(20)이 형성되어진다. 제 1커버(18)의 외주면 부분에 몸체(12)에 형성된 결합공(16)과 동일선상을 갖는 관통공(22)이 형성되어지고, 이 제 1커버(18)의 상단과 하단에는 압축공기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압축공기가 공급 및 배출되는 통로(24)가 형성되어진다. 제 1커버(18)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통로(24)는 몸체(12)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압축공기통로(14)와 동일선상을 갖도록 형성되어진다.
제 1커버(18)에 형성된 통로(24)와 연통되도록 제 1커버(18)에 결합고정되는 압축공기조절밸브(26)가 구비되어지고, 이 압축공기조절밸브(26)는 압축공기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제 1커버(18)에 형성된 통로(24)로 공급 및 차단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압축공기조절밸브(26)의 일측에는 압축공기가 제 1커버(18)에 형성된 통로(24)를 통하여 배출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제거하는 소음기(28)가 결합고정되어진다. 몸체(12)의 타측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 2커버(30)가 구비되어지고, 이 제 2커버(30)의 중심부분에는 한쌍의 제 2축공(32)이 형성되어진다. 제 2커버(30)의 외주면 부분에 몸체(12)에 형성된 결합공(16)과 동일선상을 갖는 나사공(34)이 형성되어진다. 제 2커버(30)의 일측은 감속기(35)와 결합고정되어진다.
몸체(12)의 치차홀(10)에 위치되어 압축공기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압축공기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동력을 발생하는 제 1기어(36) 및 제 2기어(38)가 구비되어지고, 이 제 1기어(36) 및 제 2기어(38)는 기준 래크의 피치선에 접하는 기준 피치원을 갖는 표준 평 기어(Standard spur gear)로 이루어진다. 제 1기어(36)는 제 2커버(38)의 제 2축공(32)을 통하여 감속기(35)와 결합되도록 샤프트(40)가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진다. 제 1커버(18)의 관통공(22) 및 몸체(12)의 결합공(16)을 통하여 제 2커버(30)의 나사공(34)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42)가 복수개 구비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압모터가 작동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압축공기발생수단에서 압축공기가 발생되면, 이 압축공기는 압축공기조절밸브(26)와 제 1커버(18)의 통로(24)를 통하여 몸체(12)에 형성된 압축공기통로(14)로 공급된다. 이때, 몸체(12)의 하단에 형성된 압축공기통로(14)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제 1기어(36)와 제 2기어(38)가 정회전되고, 몸체(12)의 상단에 형성된 압축공기통로(14)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제 1기어(36)와 제 2기어(38)가 역회전된다. 즉, 제 1커버(18)의 일측에 결합고정된 압축공기조절밸브(26)가 압축공기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를 몸체(12)에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압축공기통로(14)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면, 제 1기어(36) 및 제 2기어(38)의 회전방향이 선택적으로 변환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압모터를 이용할 경우에는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먼저,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압모터를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하여 해머로 공급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공압모터는 공압모터가 구동될 때 불쾌한 마찰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공압모터에 사용되는 제 1기어 및 제 2기어는 피치선이 접하는 기준 피치원을 갖는 표준 평 기어를 사용함으로 상대적으로 기어와 기어가 접촉되는 면적이 많기 때문에 압축공기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압축공기가 순간적으로 기어로 공급되어지면 제 1기어와 제 2기어의 접촉으로 인하여 불쾌한 마찰소음이 심하게 발생됨은 물론 제 1기어와 제 2기어가 접촉되는 충격에 의하여 기어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 1기어와 제 2기어가 접촉되는 면적이 많기 때문에 공압모터의 출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제 1기어 및 제 2기어가 접촉될 때 압축공기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압축공기압력이 제 1기어와 제 2기어가 접촉되는 면적만큼 감소됨으로 압축공기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압축공기압력에 비례하는 출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공기압력발생수단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압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동력을 발생하는 기어가 전위치형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종래의 구조보다 압축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하여 구동될 때 발생되는 불쾌한 마찰소음을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접촉되는 충격에 의하여 기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출력을 향상할 수 있는 공압모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공압모터가 감속기와 결합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공압모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제 1기어 및 제 2기어가 몸체의 치차홀에 개재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공압모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기어 및 제 2기어가 몸체의 치차홀에 개재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치차홀 52 : 몸체
54 : 압축공기통로 56 : 결합공
58 : 제 1커버 60 : 제 1축공
62 : 관통공 64 : 통로
66 : 압축공기조절밸브 68 : 소음기
70 : 제 2커버 72 : 제 2축공
74 : 나사공 75 : 감속기
76 : 제 1기어 78 : 제 2기어
80 : 샤프트 82 : 체결볼트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측에 소정의 치차홀이 형성되고, 이 치차홀의 상단과 하단에 압축공기발생수단에 발생된 압축공기가 선택적으로 공급 및 배출되는 압축공기통로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외주면과 치차홀의 사이에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몸체와, 중심부분에 한쌍의 제 1축공이 형성되고, 외주면 부분에 상기 몸체에 형성된 결합공과 동일선상을 갖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단과 하단에 압축공기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압축공기가 공급 및 배출되는 통로가 형성된 제 1커버와, 상기 제 1커버에 형성된 통로와 연통되도록 제 1커버에 결합고정되고, 일측에 압축공기가 제 1커버에 형성된 통로를 통하여 배출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제거하는 소음기가 결합고정된 압축공기조절밸브와, 중심부분에 한쌍의 제 2축공이 형성되고, 외주면 부분에 상기 몸체에 형성된 결합공과 동일선상을 갖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일측이 감속기와 결합고정되는 제 2커버와, 상기 몸체의 치차홀에 위치되어 압축공기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압축공기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동력을 발생하는 제 1기어 및 제 2기어와, 상기 제 1커버의 관통공 및 몸체의 결합공을 통하여 제 2커버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로 이루어진 공압모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어와 제 2기어가 기어의 기준 피치원이 그것과 맞물리는 기준 래크의 기준 피치선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전위치형으로 이루어지고, 이 제 1기어 및 제 2기어의 폭이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모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공압모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공압모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기어 및 제 2기어가 몸체의 치차홀에 개재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설명하면, 내측에 소정의 치차홀(50)이 형성된 몸체(52)가 구비되고, 이 몸체(52)의 치차홀(50) 상단과 하단에는 압축공기발생수단(미도시)에 발생된 압축공기가 선택적으로 공급 및 배출되는 압축공기통로(54)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몸체(52)의 외주면과 치차홀(50)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결합공(56)이 형성된다. 몸체(52)의 일측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 1커버(58)가 구비되고, 이 제 1커버(58)의 중심부분에는 한쌍의 제 1축공(60)이 형성된다. 제 1커버(58)의 외주면 부분에 몸체(52)에 형성된 결합공(56)과 동일선상을 갖는 관통공(62)이 형성되고, 이 제 1커버(58)의 상단과 하단에는 압축공기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압축공기가 공급 및 배출되는 통로(64)가 형성된다. 제 1커버(58)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통로(64)는 몸체(52)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압축공기통로(54)와 동일선상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 1커버(58)에 형성된 통로(64)와 연통되도록 제 1커버(58)에 결합고정되는 압축공기조절밸브(66)가 구비되고, 이 압축공기조절밸브(66)는 압축공기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제 1커버(58)에 형성된 통로(64)로 공급 및 차단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압축공기조절밸브(66)의 일측에는 압축공기가 제 1커버(58)에 형성된 통로(64)를 통하여 배출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제거하는 소음기(68)가 결합고정된다. 몸체(52)의 타측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 2커버(70)가 구비되고, 이 제 2커버(70)의 중심부분에는 한쌍의 제 2축공(72)이 형성된다. 제 2커버(70)의 외주면 부분에 몸체(52)에 형성된 결합공(56)과 동일선상을 갖는 나사공(74)이 형성된다. 제 2커버(70)의 일측은 감속기(75)와 결합고정된다.
몸체(52)의 치차홀(50)에 위치되어 압축공기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압축공기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동력을 발생하는 제 1기어(76) 및 제 2기어(78)가 구비되고, 이 제 1기어(76) 및 제 2기어(78)는 기어의 기준 피치원이 그것과 맞물리는 기준 래크의 기준 피치선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전위기어(Shifted gear)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제 1기어(76) 및 제 2기어(78)는 종래에 비해 폭이 넓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 1기어(76)는 제 2커버(78)의 제 2축공(72)을 통하여 감속기(75)와 결합되도록 샤프트(80)가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 1커버(58)의 관통공(62) 및 몸체(52)의 결합공(56)을 통하여 제 2커버(70)의 나사공(74)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82)가 복수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압모터가 결합 및 작동되는 상태와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제 1기어(76) 및 제 2기어(78)를 치합시킨 상태에서 제 1기어(76) 및 제 2기어(78)를 몸체(12)에 형성된 치차홀(50)로 삽입한다. 제 1기어(76)와 제 2기어(78)가 치합된 상태에서 몸체(52)에 형성된 치차홀(50)로 삽입되면, 제 1커버(58)에 형성된 관통공(62)과 제 2커버(70)에 형성된 나사공(74)이 몸체(52)에 형성된 결합공(56)과 동일선상을 갖도록 제 1커버(58)와 제 2커버(70)를 몸체(52)에 밀착시킨다. 이때, 제 1기어(76)의 샤프트(40)는 제 2커버(78)의 제 2축공(72)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상태를 갖는다. 제 1커버(58)에 형성된 관통공(62)과 제 2커버(70)에 형성된 나사공(34)이 몸체(52)에 형성된 결합공(56)과 동일축상을 갖도록 제 1커버(58)와 제 2커버(70)가 몸체(52)에 밀착되면, 체결볼트(82)를 이용하여 제 1커버(58)와 제 2커버(70)를 몸체(52)에 결합고정한다.
체결볼트(82)에 의하여 제 1커버(58)와 제 2커버(70)가 몸체(52)에 결합고정되면, 압축공기발생수단을 '온' 상태로 변환시킨다. 압축공기발생수단이 '온' 상태로 변환되면, 압축공기발생수단에 의하여 압축공기가 발생된다. 압축공기발생수단에 의하여 압축공기가 발생되면, 이 압축공기는 압축공기조절밸브(66)와 제 1커버(58)의 통로(64)를 통하여 몸체(52)에 형성된 압축공기통로(54)로 공급된다. 이때, 몸체(52)의 하단에 형성된 압축공기통로(54)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제 1기어(76)와 제 2기어(78)가 정회전되고, 몸체(52)의 상단에 형성된 압축공기통로(54)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제 1기어(76)와 제 2기어(78)가 역회전된다. 즉, 제 1커버(58)의 일측에 결합고정된 압축공기조절밸브(66)가 압축공기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를 몸체(52)에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압축공기통로(54)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면, 제 1기어(76) 및 제 2기어(78)의 회전방향이 선택적으로 변환된다.
제 1기어(76)와 제 2기어(78)가 전위기어로 이루어져 있음으로 공압모터가 압축공기에 의하여 구동될 때 발생되는 불쾌한 마찰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 1기어(76)와 제 2기어(78)가 점 접촉을 이루면서 회전운동을 수행함으로 공압모터가 압축공기에 의하여 구동될 때 발생되는 불쾌한 마찰소음을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음은 물론 제 1기어(76)와 제 2기어(78)가 접촉되는 충격에 의하여 기어(76),(78)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1기어(76) 및 제 2기어(78)가 종래에 비해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압축공기발생수단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압력보다 높은 출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압축공기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압축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증가되어 있음으로 공압모터의 출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압모터는 공기압력발생수단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압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동력을 발생하는 기어가 전위치형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종래의 구조보다 압축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구동될 때 발생되는 불쾌한 마찰소음을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접촉되는 충격에 의하여 기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공압모터의 출력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내측에 소정의 치차홀이 형성되고, 이 치차홀의 상단과 하단에 압축공기발생수단에 발생된 압축공기가 선택적으로 공급 및 배출되는 압축공기통로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외주면과 치차홀의 사이에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몸체와, 중심부분에 한쌍의 제 1축공이 형성되고, 외주면 부분에 상기 몸체에 형성된 결합공과 동일선상을 갖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단과 하단에 압축공기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압축공기가 공급 및 배출되는 통로가 형성된 제 1커버와, 상기 제 1커버에 형성된 통로와 연통되도록 제 1커버에 결합고정되고, 일측에 압축공기가 제 1커버에 형성된 통로를 통하여 배출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제거하는 소음기가 결합고정된 압축공기조절밸브와, 중심부분에 한쌍의 제 2축공이 형성되고, 외주면 부분에 상기 몸체에 형성된 결합공과 동일선상을 갖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일측이 감속기와 결합고정되는 제 2커버와, 상기 몸체의 치차홀에 위치되어 압축공기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압축공기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동력을 발생하는 제 1기어 및 제 2기어와, 상기 제 1커버의 관통공 및 몸체의 결합공을 통하여 제 2커버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로 이루어진 공압모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어(76)와 제 2기어(78)가 기어의 기준 피치원이 그것과 맞물리는 기준 래크의 기준 피치선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전위치형으로 이루어지고, 이 제 1기어(76) 및 제 2기어(78)의 폭이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모터.
KR2020000012958U 2000-05-08 2000-05-08 공압모터 KR2002021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958U KR200202158Y1 (ko) 2000-05-08 2000-05-08 공압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958U KR200202158Y1 (ko) 2000-05-08 2000-05-08 공압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158Y1 true KR200202158Y1 (ko) 2000-11-15

Family

ID=19655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958U KR200202158Y1 (ko) 2000-05-08 2000-05-08 공압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1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117A (ko) * 2016-03-30 2017-10-12 박병곤 직렬 연결식 에어모터를 이용한 구동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117A (ko) * 2016-03-30 2017-10-12 박병곤 직렬 연결식 에어모터를 이용한 구동 장치
KR101940808B1 (ko) * 2016-03-30 2019-02-21 박병곤 직렬 연결식 에어모터를 이용한 구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905715U (zh) 开挖效率高的桩机链式钻头
US4016944A (en) Pneumatic hammer-auger earth boring apparatus
CN107002379A (zh) 利用挖掘机的挖掘装置
JP5511227B2 (ja) 削孔用ハンマ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回転式削孔装置
KR200202158Y1 (ko) 공압모터
CN101737010A (zh) 一种冲击、回转及干式排渣一体化钻头
KR200204678Y1 (ko) 굴착기의 케이싱장치
DE60005046D1 (de) Rotationsschlagbohrer mit mehreren schneideelementen
KR200202160Y1 (ko) 굴착장치
JPS63167889A (ja) マルチエアハンマ装置
JPH0524314B2 (ko)
JPH0448156B2 (ko)
JP2633215B2 (ja) 竪坑掘削工法および竪坑掘削機
SU1686110A1 (ru) Шарошка бурового долота
JPH03125785A (ja) ダブルヘッダードリルによる表土堀削工法
KR200390760Y1 (ko) 제방뚝 및 연약지반 지중 물막이 연속벽 시공장치
JPH11148288A (ja) 掘削装置
JPH0340197B2 (ko)
KR100829075B1 (ko) 편심 크러셔를 구비한 터널 굴진기
JP6831706B2 (ja) 削孔方法
KR200198718Y1 (ko) 감속기의 출력축구조
JP3075093B2 (ja) 掘削工具
RU1783108C (ru) Буровое долото
US4913246A (en) Rotary gad for ground drill
RU2094587C1 (ru) Шарошка бурового доло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50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8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50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70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5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7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