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1337Y1 -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337Y1
KR200201337Y1 KR2019970037898U KR19970037898U KR200201337Y1 KR 200201337 Y1 KR200201337 Y1 KR 200201337Y1 KR 2019970037898 U KR2019970037898 U KR 2019970037898U KR 19970037898 U KR19970037898 U KR 19970037898U KR 200201337 Y1 KR200201337 Y1 KR 2002013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eat
sheet
rotating
guide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8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5391U (ko
Inventor
구용현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20199700378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337Y1/ko
Publication of KR199900253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3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3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33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96Stepwise movement mechanisms, e.g. ratch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의 일측이 하부로 회동되도록 구성하여 여성운전자 및 평균체형보다 작은 운전자들이 운전시 편안한 자세에서 운전을 할 수 있는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에 가이드판(33)이 돌출구성되고, 이 가이드판(33)과 가이드판(33)의 사이에 고정홈(32)이 형성된 고정대(31)가 하부에 구비된 고정시트(30)와, 상기 고정시트(30)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일측에 고정홈(41)이 형성된 회동시트(40)와, 회동핀(72)이 삽입되는 결합공(71)이 형성되고, 회동시트를 고정시트에 회동되게 결합시키는 회동구(70)와, 안내공(53)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고정핀(52)에 의하여 회동시트(40)의 일측에 밀착고정되며, 타측이 고정대(31)의 가이드판(33)과 가이드판(33)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반원의 형상을 갖는 각도조절판(50)과, 상기 각도조절판(50)의 타측을 고정대(31)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핸들(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 구조(STRUCTURE OF FOLDING TYPE SEAT FOR A CAR)
본 고안은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동차용 시트의 일측이 하부로 회동되도록 구성하여 여성운전자 및 평균체형보다 작은 운전자들이 운전시 편안한 자세에서 운전을 할 수 있는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차체의 형상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주로 적은 인원이 탑승하는 승용차와, 많은 인원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는 버스와, 화물을 운반하는데 사용하는 트럭 및 대형 장비나 컨테이너 등을 운반하는 트레일러로 나눌 수 있다. 승용차는 형태에 따라 고정된 루프를 구비하며 차 실내에는 전, 후 2열의 좌석이 배치된 세단(SEDAN)과, 전후 2열의 좌석과 보조 좌석을 마련하여 6~8명이 탈 수 있고 운전석과 뒷좌석 부분을 유리 등으로 구분진 리무진(LIMOUSINE)과, 임의로 루프를 개폐할 수 있는 컨버터블(CONVERTIBLE) 및 뒷좌석 뒤의 차 실내에 화물실을 만들어 화물을 적재할 수 있으며, 리어도어가 장착된 화객겸용차인 스테이션 왜건(STATION WAGON)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동차는 그종류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으며, 자동차의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 편의장치들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편의장치중에 자동차용 시트는 운전자가 장시간 앉아서 운전을 해야 하므로 그 편의성을 최대한 증대하고 안정성을 유지해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이용하여 종래기술을 설명하면, 자동차용 시트는 등받이부(11)와 받침부(14)로 이루어지며, 이 등받이부(11)는 받침부(14)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진다. 받침부(14)의 하단 양측에 시트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20)이 고정되어지고, 이 가이드레일(20)은 통상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플로어패널(미도시)에 고정되어진다. 시트의 하단 일측에는 시트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작동레버(21)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진다. 등받이부(11)의 일측에 운전하기에 알맞게 등받이부(11)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레버(12)가 장착되어지고, 상기 등받이부(11)의 상부에는 자동차의 충돌시 목부위와 머리부위를 보호하는 헤드레스트(13)가 구비되어진다. 이 헤드레스트(13)는 외측으로 연장가능하게 고정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가 작동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운전석에 승차한 운전자가 작동레버(21)와 회동레버(12)를 이용하여 운전하기에 알맞은 자세를 취한다. 즉, 자동차 시트(10) 하부에 구비된 작동레버(21)를 이용하여 가이드레일(20)을 전,후이동시켜 운전자의 신장이나 팔 길이 등에 알맞은 거리를 유지하고, 자동차 시트(10)의 받침부(14)의 하부에 구비된 조절레버(12)를 이용하여 등받이부(11)의 각도를 조절하여 운전자가 가장 편안한 자세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동차용 시트는 여성운전자 및 평균체형보다 작은 운전자가 작동레버를 이용하여 시트를 앞으로 당기면 자동차 시트의 받침부가 길어서 운전자가 페달을 밟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운전도중 위험시에 민첩한 동작으로 페달을 밝을 수가 없어 사고의 위험이 많은 문제점도 있으며 또, 운전자들이 편안한 자세를 위해 등뒤에 쿳숀 등을 집어넣고 운전을 하기 때문에 후방추돌사고시 목부위에 심한 상처를 입을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으며 또한, 자동차 시트를 앞으로 당기고 운전을 한 후에 운전자가 하차할 때, 페달부분이 비좁아 다시 자동차 시트를 뒤로 이동시키고 하차하게 되므로 재차 승차할 때는 또다시 운전석을 조절해야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 시트의 받침부 일측을 회동되게 장착하여 운전석을 앞으로 당겼을 때도 페달부분에 여유공간을 남겨두어 자유롭고 편안하게 자동차의 페달부분을 밟을 수 있고 자동차 시트의 받침부를 알맞은 각도로 조절되도록하여 운전자가 불편한 자세로 운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 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가 회동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고정시트 31 : 고정대
32 : 고정홈 33 : 가이드판
40 : 회동시트 41 : 고정홈
50 : 각도조절판 51 : 체결공
52 : 고정핀 53 : 안내공
60 : 고정핸들 70 : 회동구
71 : 결합공 72 : 회동핀
80 : 등받이 100 : 자동차 시트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목적은 양측에 가이드판이 돌출구성되고, 이 가이드판과 가이드판의 사이에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대가 하부에 구비된 고정시트와, 상기 고정시트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일측에 고정홈이 형성된 회동시트와, 회동핀이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회동시트를 고정시트에 회동되게 결합시키는 회동구와 안내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힌지핀에 의하여 회동시트의 일측에 밀착고정되며, 타측이 고정대의 가이드판과 가이드판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반원의 형상을 갖는 각도조절판과, 상기 각도조절판의 타측을 고정대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 구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회동시트가 고정시트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 구조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가 회동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 및 도 4를 설명하면, 자동차 시트(100)의 등받이(80) 하부에 고정대(31)가 설치된 고정시트(30)가 구비되고, 고정대(31)의 중앙에 고정홈(32)이 형성된다. 이 고정대(31)의 양측에 가이드판(33)이 형성된다. 고정시트(30)의 일측으로 고정공(41)이 형성된 회동시트(40)가 구비되고, 자동차 시트(100)의 하부에 구비된 고정시트(30)와 회동시트(40)를 회동되게 결합시키는 회동구(70)가 장착된다. 이 회동구(70)에는 결합공(71)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구(70)에 형성된 결합공(71)으로 회동핀(72)이 삽입된다. 회동시트(40)의 일측에 반원의 형상을 갖고, 다수개의 안내공(53)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각도조절판(50)이 구비된다. 각도조절판(50)의 타측 끝단부에 회동시트(40)의 고정공(41)과 대응되는 체결공(51)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51)과 고정공(41)으로 고정핀(52)이 삽입되어 각도조절판(50)이 회동시트(40)에 결합고정된다. 각도조절판(50)에 형성된 안내공(53)을 고정대(31)에 형성된 고정홈(32)에 고정시키는 고정핸들(60)이 구비된다. 이 고정핸들(60)의 외주면은 손으로 탈취할 때 미끄러지지않도록 너링가공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의 회동시트가 작동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각도조절판(50)이 고정핸들(60)에 의해서 고정대(31)에 결합고정된 상태에서 고정핸들(60)을 탈취하면, 각도조절판(50)은 고정대(31)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판(33) 사이의 공간에서 이탈하지않고 회동된다. 각도조절판(31)에 형성된 다수개의 안내공(53)중에 알맞은 각도의 안내공(53)을 선택하여 고정대(31)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홈(32)과 일치시킨후, 고정핸들(60)로 고정시킨다. 즉, 회동시트(4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공(41)과 각도조절판(5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된 체결공(51)이 고정핀(52)에 의해 결합고정 되어있어 회동시트(40)를 하부로 회동시키면 각도조절판(50)이 고정대(31)의 가이드판(33)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운전자가 편리한 자세로 회동시트(40)를 유지시키고, 상기 각도조절판(50)의 형성된 안내공(53)을 고정대(31)에 형성된 고정홈(32)과 일치시킨후 고정핸들(60)로 고정시켜 여성운전자나 평균체형보다 작은 운전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운전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의 등받이 하부에 형성된 하부시트를 회동시트와 고정시트로 구성하여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회동시트를 알맞은 각도로 조절하여 사용하므로서 운전석에 여유공간이 넓어져 위험시 민첩한 대응으로 사고의 위험성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여성운전자나 신장이 작은 운전자 가 운전석 등뒤에 쿳숀을 넣고 운전을 하여 후방 추돌사고시 목부위에 심한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양측에 가이드판(33)이 돌출구성되고, 이 가이드판(33)과 가이드판(33)의 사이에 고정홈(32)이 형성된 고정대(31)가 하부에 구비된 고정시트(30)와,
    상기 고정시트(30)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일측에 고정홈(41)이 형성된 회동시트(40)와, 회동핀(72)이 삽입되는 결합공(71)이 형성되고, 회동시트를 고정시트에 회동되게 결합시키는 회동구(70)와,
    안내공(53)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고정핀(52)에 의하여 회동시트(40)의 일측에 밀착고정되며, 타측이 고정대(31)의 가이드판(33)과 가이드판(33)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반원의 형상을 갖는 각도조절판(50)과,
    상기 각도조절판(50)의 타측을 고정대(31)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핸들(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시트(40)가 고정시트(3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 구조.
KR2019970037898U 1997-12-16 1997-12-16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2002013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898U KR200201337Y1 (ko) 1997-12-16 1997-12-16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898U KR200201337Y1 (ko) 1997-12-16 1997-12-16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391U KR19990025391U (ko) 1999-07-05
KR200201337Y1 true KR200201337Y1 (ko) 2000-11-01

Family

ID=19517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898U Expired - Fee Related KR200201337Y1 (ko) 1997-12-16 1997-12-16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3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2683B2 (en) 2003-12-24 2010-02-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forming gate dielectric lay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970B1 (ko) * 2011-03-23 2013-02-21 대호 (주) 트랙터의 운전캡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2683B2 (en) 2003-12-24 2010-02-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forming gate dielectric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391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22798B2 (ja) 折り畳み位置を備えた車両用座席
US20020089220A1 (en) Seats for vehicles, airplanes or the like
JPH10194083A (ja) 車内安全ベルト
KR200201337Y1 (ko)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 구조
US6464279B1 (en) Self stowing seat
JP3730151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2079864A (ja) 自動車
JP3731958B2 (ja) 自動車用シート
KR20040042946A (ko) 자동차의 센터 시트 마운팅 구조
KR20210132828A (ko) 캠핑카용 운전석 및 조수석 회전구조
KR100568742B1 (ko) 승합차용 보조시트 절첩장치
JP3807572B2 (ja) 簡易ベッド
JP3641166B2 (ja) 自動車の補助シート付シート装置
JP3083264U (ja) ワンタッチ荷物のせシート
JPS632334Y2 (ko)
KR200225552Y1 (ko) 버스용시트의높이조절장치
JP2532615Y2 (ja) 自動車用シート
JP2004229969A (ja) 自動車シートに用いるヘッド・レストレイント
JPS6119961Y2 (ko)
KR100516584B1 (ko) 자동차의 리어 센터 헤드 레스트
JP2004122965A (ja) 自動車シート
KR0139558Y1 (ko) 뒷좌석의 시트백을 뒤로 젖힐 수 있는 자동차
JP4451261B2 (ja) 車椅子車載構造
JPH0522435Y2 (ko)
KR200147457Y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연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121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1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8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0082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