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84714A - 온수보일러시스템 - Google Patents

온수보일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4714A
KR20020084714A KR1020010023667A KR20010023667A KR20020084714A KR 20020084714 A KR20020084714 A KR 20020084714A KR 1020010023667 A KR1020010023667 A KR 1020010023667A KR 20010023667 A KR20010023667 A KR 20010023667A KR 20020084714 A KR20020084714 A KR 20020084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opening
boiler
combustion chamber
gas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수
Original Assignee
강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수 filed Critical 강성수
Priority to KR1020010023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4714A/ko
Publication of KR20020084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714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5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o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2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mantle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 F24H1/26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mantle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the water mantle forming an integral body
    • F24H1/28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mantle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the water mantle forming an integral body including one or more furnace or fire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6/00Waste heat recuperation
    • F23G2206/20Waste heat recuperation using the heat in association with another installation
    • F23G2206/203Waste heat recuperation using the heat in association with another installation with a power/heat generating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10Liquid waste
    • F23G2209/102Waste oi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2Heat utilisation in combustion or incineration of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컨데 자동차 또는 산업용 폐유등과 같은 폐유, 중유및 정제유를 원료로 사용하여 넓은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난방할 수 있는 건타입용 온수보일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온수보일러시스템은, 고압기류식 버너를 이용하여 폐유를 연소시키는 보일러관체(1)에는 각 벽면을 따라 온수통(14)이 형성되면서 연소실(20) 상부에 다수 배열의 배관(15)이 형성되어, 연소실개구부(10)에 열고 닫을 수 있는 버너도어(2)가, 상기 개구부(11)에 가스켓(4)을 통한 클린아웃도어(3)가, 상기 개구부(12)가 루버가스켓(6)을 통한 커버판(5)및, 상기 개구부(13)에 연통부(14)의 스모크헤드(7)와 가스켓(8)을 통한 클린아웃도어(9)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개구부(10)내에 연소실(20)이 형성되면서 하부에 뒷벽의 내화벽(18)과 바닥의 내화벽(19)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수보일러시스템{HOT-WATER BOILER SYSTEM}
본 발명은 예컨데 자동차 또는 산업용 폐유등과 같은 폐유, 중유및 정제유를 원료로 사용하여 넓은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난방할 수 있는 건타입용 온수보일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통 온수보일러는 증기부가 전혀 없고 보일러속은 물론 관련배관도 물로 충만되고 급탕용이나 온수 난방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인 바, 용도상 100 ℃ 미만의 온수만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철 보일러가 주로 온수보일러로 사용되고 있다. 장치내부는 전부 물로 충만되고 복귀관의 보일러부근에 순환펌프를 설치하여 온수를 전체 장치내의 밀폐회로에서 강제 순환시켜 보일러에는 급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수두압이 소정값 이상을 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로서 워터릴리스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보일러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료로서는 무연탄이나 기름, 또는 가스나 전기등을 이용하여 난방효율을 최대한 높힐 수 있도록 다양하게 개발하여 이를 설치, 가동시키고 있다. 그러나, 생산라인이나 기계설비, 그리고 차량들을 움직이기 위해 연료로서 해당 기름들을 하고, 이렇게 일정 기간 사용한 다음에 일부 폐유가 남게 되어 이를 적절히 사용 또는 폐기처분해야 한다.
많은 량의 폐유를 처리하기 위해서 적당한 크기의 탱크내에 적재하여 적당한 장소에 보관한다든지 해당 소각장치를 통해 이를 연소시켜서 소모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보관하거나 연소시키는 방법이외에 자연보호, 또는 환경 공해방지를 위해 생산자, 소비자 또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환경부및 환경단체에서 여러 종류의 폐유를 처리하기 위해 보다 구체적이고 다각적으로 처리방법을 강구하여 효율적인 폐유처리를 행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폐유를 처리하면서 온수보일러로서도 실내난방을 기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으로, 예컨데 자동차 또는 산업용 폐유등과 같은 폐유, 중유및 정제유를 사용하여 정격난방능력을 높히고 자동제어의 온도조절, 온오프의 온도제어및 고압기류식 버너를 이용하여 일정 실내공간을 효율적인 난방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최대한의 공해피해도 줄일수 있는 건타입용 스팀, 온수보일러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온수보일러시스템의 보일러관체를 도시해 놓은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온수 보일러관체를 도시해 놓은 완성 사시도,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온수보일러시스템에서 온수보일러 또는 스팀보일러로 활용되고 있는 동작상태도,
도 5 내지 도 7 은 본 발명의 온수보일러시스템을 난방부하에 적용하여 가동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일러관체 2 : 버너도어
3 : 클린아웃도어 4 : 가스켓
5 : 커버판 6 : 루버가스켓
7 : 스모크헤드 8 : 가스켓
9 : 도어 10 - 13 : 개구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온수보일러시스템은, 고압기류식 버너를 이용하여 폐유를 연소시키는 보일러관체(1)에는 각 벽면을 따라 온수통(14)이 형성되면서 연소실(20) 상부에 다수 배열의 배관(15)이 형성되어,연소실개구부(10)에 열고 닫을 수 있는 버너도어(2)가, 상기 개구부(11)에 가스켓(4)을 통한 클린아웃도어(3)가, 상기 개구부(12)가 루버가스켓(6)을 통한 커버판(5)및, 상기 개구부(13)에 연통부(14)의 스모크헤드(7)와 가스켓(8)을 통한 클린아웃도어(9)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개구부(10)내에 연소실(20)이 형성되면서 하부에 뒷벽의 내화벽(18)과 바닥의 내화벽(19)이 각각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온수보일러시스템의 보일러관체를 도시해 놓은 분리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예컨데 자동차 또는 산업용 폐유등과 같은 폐유, 중유및 정제유를 원료로 사용하여 넓은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난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고압기류식 버너를 이용하여 상기 폐유를 연소시키는 보일러관체(1)에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벽면을 따라 온수통(14)이 형성되면서 연소실(20) 상부에 다수 배열의 배관(15)이 형성되는 한편 다수의 개구부(10 - 13)가 전후로 설치되어 외부에서 각 도어가 취부되고 있다.
상기 보일러관체(1)의 연소실개구부(10)에 열고 닫을 수 있는 버너도어(2)가, 상기 개구부(11)에 가스켓(4)을 통한 클린아웃도어(3)가, 상기 개구부(12)가 루버가스켓(6)을 통한 커버판(5)및, 상기 개구부(13)에 연통부(14)의 스모크헤드(7)와 가스켓(8)을 통한 클린아웃도어(9)가 각각 설치되고 있다. 연소실개구부(10)내에는 도 3 에 도시된 연소실(20)이 형성되면서 하부에 뒷벽의 내화벽(18)과 바닥의 내화벽(19)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자동제어의 온도조절과 온오프의 온도제어를 행할 수 있는 상기 보일러관체(1)의 버너도어(2)에 고압기류식 버너가 설치되는 한편 상부의 온수통(14)내로 코일(14)이 설치되어 커버판(5)의 돌출(도 3 참조) 또는 온수통(14)의 상부로 스팀수납관(21 : 도 4 참조)이 설치되므로 도 2 에 도시된 스팀, 온수보일러의 완성품으로 폐유, 중유및 정제유를 원료로 사용하여 넓은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난방할 수 있다. 도 3 또는 도 4 에 도시된 보일러관체(1)내의 연소실(20)내에서 연료가스는 약 252,000Kcal의 정격난방의 능력으로 이동가능한 배플(17)을 통해 상하 배열의 배관(15)을 통해 개구부(13)의 스모크헤드(7)로 배출되고 있다.
상기 보일러관체(1)는 배관(15)과 더불어 벽면의 온수통(14)내의 물이 온수로 데혀지게 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보일러관체(1)의 온수통(14)에는 도 3 에 도시된 코일(16)을 전기히터로 이용한 온수보일러, 또는 도 4 에 도시된 상부의 스팀수납관(21)을 설치한 SHENANDOAH 스팀보일러등으로 각각 가동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 은 본 발명의 온수보일러시스템을 난방부하에 적용하여 가동되는 경우로서, 도 3 또는 도 4 에 도시된 온수보일러관체(1)에 릴리프밸브(30)가설치되는 한편 상하의 배관을 통해 바이패스밸브(31), 템퍼링밸브(32)및 믹싱탱크(33)등을 적용하여 각각의 난방부하(34)를 가동시키는 본 발명의 온수보일러시스템인 것이다.
도 5 에서 온수보일러관체(1)는 볼밸브(b1)를 통해 다른 볼밸브(b2)와 바이패스밸브(31)의 한 티관이, 드레인콕(39)을 통해 볼밸브(b3)와 퍼지밸브(p1)를 거쳐 상기 바이패스밸브(31)의 다른 티관이 각각 연결되고 있다. 상기 바이패스밸브(31)의 한 티관이 순차적으로 게이지(g1), 에어벤트및 에어스코프의 확장탱크(37)및 양쪽의 볼밸브(b4, b5)가 설치된 서클레이터(38)을 거쳐 각각의 라지에이터(35, 36)가 설치되고, 이 라지에이터(35, 36)는 볼밸브를 통해 상호 연결되면서 상기 바이패스밸브(31)에 연결된다.
상기 라지에이터(36)에는 난방부하(34)가 연결되는 한편 아이솔레이터밸브(40)가 연결되고 존밸브, 퍼지벤트, 메니폴드, 튜브 어테취피팅및 튜빙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바이패스밸브(31)는 확대도면에서 처럼 상부 티관으로 공급되는 한편(180℉ -- 115℉) 하부 티관으로 리턴되고 있다(95℉ --- 95℉). 상기 볼밸브(b2)에는 체크밸브(c1)를 통해 필라인이 연결되고 있다.
도 6 에서 온수보일러관체(1)는 볼밸브(b1)를 통해 다른 볼밸브(b2)와 탬퍼링밸브(32)가, 드레인콕(39)을 통해 볼밸브(b3)와 퍼지밸브(p1)를 거쳐서클레이터(38')와 체크밸브(c2)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체크밸브(c2)는 상기 탬퍼링밸브(32)과 템프 게이지(g2)가 각각 연결되고 있다. 상기 탬퍼링밸브(32)의 출력이 순차적으로 게이지(g1), 에어벤트및 에어스코프의 확장탱크(37)및 양쪽의 볼밸브(b4, b5)가 설치된 서클레이터(38)을 거쳐 각각의 라지에이터(35, 36)가 설치되고, 이 라지에이터(35, 36)는 볼밸브를 통해 상호 연결되면서 상기 바이패스밸브(31)에 연결된다.
상기 라지에이터(36)에는 난방부하(34)가 연결되는 한편 아이솔레이터밸브(40)가 연결되고 존밸브, 퍼지벤트, 메니폴드, 튜브 어테취피팅및 튜빙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액티브 탬퍼링밸브(32)는 확대도면에서 처럼 상부 티관으로 공급되는 한편(180℉ -- 115℉) 하부로부터 리턴되고 있다(95℉). 상기 볼밸브(b2)에는 체크밸브(c1)를 통해 필라인이 연결되고 있다.
도 7 에서 온수보일러관체(1)는 볼밸브(b1)를 통해 다른 볼밸브(b2)의 체크밸브(c1)와 게이지(g1)의 확장탱크(37)가 각각 연결되고, 드레인콕(39)을 통해 순차적으로 서클레이터(38"), 볼밸브(b3)와 게이지(g1)를 거쳐 믹서탱크(33)의 일측이 연결되고 있다. 상기 믹서탱크(33)의 타측이 순차적으로 게이지(g3), 에어벤트및 양쪽의 볼밸브(b4, b5)가 설치된 서클레이터(38)을 거쳐 각각의 라지에이터(35, 36)가 설치되고, 이 라지에이터(35, 36)는 볼밸브를 통해 상호 연결되면서 상기 믹서탱크(33)에 연결된다.
상기 라지에이터(36)에는 난방부하(34)가 연결되는 한편 아이솔레이터밸브(40)가 연결되고 존밸브, 퍼지벤트, 메니폴드, 튜브 어테취피팅및 튜빙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믹서탱크(33)는 확대도면에서 처럼 좌측으로 공급되는 한편(180℉ -- 115℉) 상부로 리턴되고 있다(95℉ --- 115℉).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예컨데 자동차 또는 산업용 폐유등과 같은 폐유, 중유및 정제유를 사용하여 정격난방능력을 높히고 자동제어의 온도조절, 온오프의 온도제어및 고압기류식 버너를 이용하여 일정 실내공간을 효율적인 난방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최대한의 공해피해도 줄일수 있는 건타입용 스팀, 온수보일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온수보일러 또는 스팀보일러을 일례로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원리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난방부하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3)

  1. 고압기류식 버너를 이용하여 폐유를 연소시키는 보일러관체(1)에는 각 벽면을 따라 온수통(14)이 형성되면서 연소실(20) 상부에 다수 배열의 배관(15)이 형성되어,
    연소실개구부(10)에 열고 닫을 수 있는 버너도어(2)가, 상기 개구부(11)에 가스켓(4)을 통한 클린아웃도어(3)가, 상기 개구부(12)가 루버가스켓(6)을 통한 커버판(5)및, 상기 개구부(13)에 연통부(14)의 스모크헤드(7)와 가스켓(8)을 통한 클린아웃도어(9)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개구부(10)내에 연소실(20)이 형성되면서 하부에 뒷벽의 내화벽(18)과 바닥의 내화벽(19)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보일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관체(1)의 온수통(14)에는 코일(16)을 전기히터로 이용한 온수보일러, 또는 상부의 스팀수납관(21)을 설치한 스팀보일러등으로 각각 가동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보일러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관체(1)에 릴리프밸브(30)가 설치되는 한편 상하의 배관을 통해 바이패스밸브(31), 템퍼링밸브(32)및 믹싱탱크(33)등을 적용하여 각각의 난방부하(34)를 가동시키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보일러시스템.
KR1020010023667A 2001-05-02 2001-05-02 온수보일러시스템 Abandoned KR20020084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667A KR20020084714A (ko) 2001-05-02 2001-05-02 온수보일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667A KR20020084714A (ko) 2001-05-02 2001-05-02 온수보일러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677U Division KR200250501Y1 (ko) 2001-05-02 2001-05-02 온수보일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714A true KR20020084714A (ko) 2002-11-11

Family

ID=27703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667A Abandoned KR20020084714A (ko) 2001-05-02 2001-05-02 온수보일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47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553B1 (ko) * 2008-06-17 2008-09-09 박동수 실외형 이동식 급탕장치
CN108194935A (zh) * 2017-12-29 2018-06-22 广州市兆江电力技术有限公司 一种垃圾资源化焚烧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553B1 (ko) * 2008-06-17 2008-09-09 박동수 실외형 이동식 급탕장치
CN108194935A (zh) * 2017-12-29 2018-06-22 广州市兆江电力技术有限公司 一种垃圾资源化焚烧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4042B1 (en) Gas fired tube and shell heat exchanger
US8881719B2 (en) Non-pressurized indirect swimming pool water heating system
CN101002054A (zh) 直流锅炉
US2904014A (en) Heating and hot water boiler
KR101754029B1 (ko) 메인보일러와 가스보일러의 배관 연결구조
US4327670A (en) Waste heat recovery unit
US4257557A (en) Fluid heating system utilizing solid fuel
KR200250501Y1 (ko) 온수보일러시스템
KR20020084714A (ko) 온수보일러시스템
US1029300A (en) Water-heater.
JP2010223539A (ja) 薪ストーブ装置及び薪ストーブ暖房システム
JP5858555B1 (ja) 薪ストーブ及び温水供給装置
KR200338925Y1 (ko) 화목 및 갈탄 보일러
RU2839315C1 (ru) Котел со встроенным бойлером
KR102269617B1 (ko) 스팀 급속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02960Y1 (ko) 다목적 난방기
KR960003883Y1 (ko) 외장형 판형 열교환기를 갖는 보일러
KR20030061169A (ko) 다층 보일러
KR20050104453A (ko) 숯가마의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 시스템
KR20050081182A (ko) 연탄보일러의 난방수 및 온수 공급장치
DE4231621A1 (de) Doppelmantel-rauchgasableitungsrohr als rauchgasheizflaeche mit brennwerttechnik und warmwasserboiler, waermetauscher sowie integrierter universal-heizkesselanlage
KR100875615B1 (ko) 에너지 절약형 보일러의 보조장치
KR200273995Y1 (ko) 다층 보일러
US328902A (en) rothboqk
KR200412325Y1 (ko)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12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5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18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