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71818A -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 Google Patents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1818A
KR20020071818A KR1020020049433A KR20020049433A KR20020071818A KR 20020071818 A KR20020071818 A KR 20020071818A KR 1020020049433 A KR1020020049433 A KR 1020020049433A KR 20020049433 A KR20020049433 A KR 20020049433A KR 20020071818 A KR20020071818 A KR 20020071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ost
loading
plate
c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우삼
Original Assignee
(주)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텍 filed Critical (주)알텍
Priority to KR1020020049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1818A/ko
Publication of KR20020071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81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8Multilevel-deck construction carr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차의 적재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승용차의 적재를 용이하게 하고, 적재면적을 최소화하여 적재되는 자동차 댓수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견인차량의 후미에 장착되는 견인부(12)가 전방에 형성되고, 후방에는 도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주행부(14)가 설치되고, 상기 견인부(12) 전방 양측으로 프론트포스트(130)가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포스트(130)와 소정거리 떨어진 중간부 양측으로 미들포스트(140)가 배치되고, 상기 미들포스트(140)와 소정거리 떨어진 후방 양측에 리어포스트(150)가 배치되는 하부프레임(100)과; 상기 각각의 포스트에 의해 상기 하부프레임(100)으로부터 일정고도를 유지하도록 지지되는 상부프레임(400)이 마련된 카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100)에는, 상기 견인부(12) 후방에 전단이 힌지결합되고, 후단은 미들포스트(140)에 장착되는 승하강장치에 결합되는 제1적재판(120a)과; 상기 제1적재판(120a)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주행부(14) 전방에 힌지결합된 후단에 의해 전단이 상기 제1적재판(120a)에 승용차의 적재가 용이하도록 적재실린더(50)에 의해 상,하 힌지회동하는 제2적재판(120b)으로 이루어지는 적재가이드(12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적재된 승용차가 상호 포개지도록 경사를 형성하며 적재되므로 적재면적은 최소화하고, 적재량은 증가시켜 승용차 운반에 따른 물류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CAR CARRIER HAVING A INCLINATION BOARD}
본 발명은 카 캐리어(Car Carrier)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부 프레임에 마련되는 제1경사판을 소정각도 경사지게 함으로서, 승용차가 경사지게 적재되도록 하여 다른 적재될 승용차가 경사져서 적재된 승용차의 하부에 겹쳐지듯이 적재됨으로서, 적재면적을 최소화하고, 적재량을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대의 승용차를 운반하는 카 캐리어(CC)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카 캐리어(CC)가 그 대표적인 형태의 것으로서, 선두의 견인차(FT) 후방에 결합되는 견인부(KP)는 후방으로 길게 형성되는 하부프레임(LF)과 상부프레임(UF)으로 이루어지고, 하부프레임(LF)에는 후방에 도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바퀴(WL)가 배치된 주행부(DP)가 마련된다.
한편, 하부프레임(LF)의 선단 양측에는 각 내측방향 수직하는 스크류(미도시)가 마련된 포스트(PS)가 배치되고, 후단의 주행부(DP)의 후방에는 실린더(CY)에 의해 힌지 회동하는 링크(LK)가 양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부프레임(LF)의 상측에 2단으로 승용차(CR)의 적재가 가능하도록 상부프레임(UF)이 배치되는데, 이 상부프레임(UF)의 선단은 상기한 포스트(미도시)의 각 내측에 배치된 스크류(미도시)와 나사결합되는 스크류블럭(미도시)이 양측으로 배치되고, 후단에는 링크(LK)의 단부가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는 힌지브라켓(HB)이 배치된다.
이상과 같은 하부프레임(LF)에 수직으로 배치된 포스트(미도시)의 스크류(미도시)를 회전시키면 상부프레임(UF)이 하강한다. 이때, 후단의 실린더(CY)도 하강하여 상부프레임(UF) 상부에 승용차의 적재가 용이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적재가 완료되면 상부프레임(UF)은 하부프레임(LF)에 승용차를 적재할 수 있도록 상승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카 캐리어는 승용차를 일렬로 적재하므로서 견인차량을 포함한 총 차량의 길이가 도로교통법상 17m를 초과할 수 없는 법 규정상, 승용차를 3대 이상 적재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운송량의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승용차를 경사지게 적재하여 적재면적을 최소화하고, 그로 인해 더 많은 대수의 승용차 적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대의 카 캐리어에 의해 다수 대의 승용차 운송이 가능하여 물류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카 캐리어를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의 일측면도이고,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의 하부프레임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3b는 도3a의 "B"부분을 확대한 상세사시도이고,
도4는 도3a의 "C-C"선의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의 상부프레임을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의 상부프레임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견인부14;주행부
100;하부프레임110;하부레일
120;적재가이드120a;제1적재판
120b;제2적재판130;프론트포스트
140;미들포스트150;리어포스트
160;제1경사판200;제1프레임
300;제2프레임400;상부프레임
본 발명은 견인차량의 후미에 장착되는 견인부(12)가 전방에 형성되고, 후방에는 도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주행부(14)가 설치되고, 상기 견인부(12) 전방 양측으로 프론트포스트(130)가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포스트(130)와 소정거리 떨어진 중간부 양측으로 미들포스트(140)가 배치되고, 상기 미들포스트(140)와 소정거리 떨어진 후방 양측에 리어포스트(150)가 배치되는 하부프레임(100)과; 상기 각각의 포스트에 의해 상기 하부프레임(100)으로부터 일정고도를 유지하도록 지지되는 상부프레임(400)이 마련된 카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100)에는, 상기 견인부(12) 후방에 전단이 힌지결합되고, 후단은 미들포스트(140)에 장착되는 승하강장치에 결합되는 제1적재판(120a)과; 상기 제1적재판(120a)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주행부(14) 전방에 힌지결합된 후단에 의해 전단이 상기 제1적재판(120a)에 승용차의 적재가 용이하도록 적재실린더(50)에 의해 상,하 힌지회동하는 제2적재판(120b)으로 이루어지는 적재가이드(12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의 일측면도이고,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의 하부프레임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3b는 도3a의 "B"부분을 확대한 상세사시도이고, 도4는 도3a의 "C-C"선의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의상부프레임을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의 상부프레임을 보인 평면도이다.(이하,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명칭을 붙여 설명하고, 부호만 다르게 붙여 설명한다.)
도2 내지 도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는 하부프레임(100)과, 이 하부프레임(100)으로부터 일정 고도의 상측에서 위치하여 상, 하로 슬라이딩하며, 승용차를 적재하는 제1, 2프레임(200,300)으로 이루어진 상부프레임(400)으로 구성된다.
하부프레임(100)은 견인차(미도시)의 후미에 연결되도록 일정 높이를 유지하는 견인부(12)가 전방에 위치하고, 후방에는 도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주행부(14)가 마련되고,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보강부재(SM)에 의해 강도가 유지되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부레일(110)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고, 이 하부레일(110)의 전방에는 양측의 하부레일(110)에 대칭되도록 수직으로 프론트포스트(130)가 각각 설치되고, 이 프론트포스트(130)로부터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양측의 하부레일(110)에 대칭되도록 미들포스트(140)가 각각 설치되고, 하부레일(110)의 후방에는 양측의 하부레일(110)에 대칭되도록 리어포스트(150)가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하부프레임(100)의 견인부(12)와 주행부(14) 사이의 양측으로 배치되는 하부레일(110) 사이에는 상호 대향하도록 힌지회동하는 제1적재판(120a)과 제2적재판(120b)으로 이루어진 적재가이드(120)가 배치된다.
제1적재판(120a)은 소정크기의 사각판 형상으로서, 승용차가 미끄럼 없이 등판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엠보싱(Embossing) 성형된 알루미늄 타공(打空)판으로 된 발판(FP)이 상측에 구비되어 등판하는 승용차의 미끄럼이 방지되고, 타공(打空)으로 인한 중량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발판(FP)의 하측에는 격자형상으로 보강부재(SM)가 결합됨으로서, 승용차의 등판시에도 승용차의 무게를 용이하게 지탱할 수 있게 된다.(이하, 후술할 제2적재판(120b)의 발판(FP)의 구성이 제1적재판(120a)의 발판(FP)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1적재판(120a)의 전단은 견인부(12)의 후방에 힌지 결합되며, 후단은 후술하는 미들포스트(140)에 상하로 설치된 제2스크류(141)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블럭(SB)에 연결되어 제2스크류(141)의 회동으로 인한 스크류블럭(SB)의 상, 하 이동으로 인해 힌지회동하게 함으로서, 후술할 제2적재판(120b)을 통해 승용차가 적재되면, 제1적재판(120a)이 경사지도록 제1적재판(120a)의 후단을 상승시켜서 후적재될 승용차의 일부가 선적재된 승용차의 하부에 겹치듯 적재되도록 하여 적재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제2적재판(120b)은 상기한 제1적재판(120a)과는 반대로 후단이 주행부(14) 전방에 힌지결합되고, 전단은 대략 미들포스트(140)가 배치된 위치의 양측 하부레일(110) 사이의 중앙부에 설치된 적재실린더(50)에 의해 상,하 이동하게 됨으로서, 승용차의 적재시 제2적재판(120b)을 경사지도록 하여 제2적재판(120b)의 전단부와 제1적재판(120a)의 후단부의 고도를 일치시켜 제1적재판(120a)에 승용차를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적재판(120b)의 상측에는 제1경사판(160)이 배치되는데, 이 제1경사판(160)은 각각의 미들포스트(140)의 후면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힌지브라켓(163)에 각각의 로드(161) 전단이 힌지결합되고, 각 로드(161)의 후단부 사이에는 2열의 고정부재(162)가 설치되어 적재되는 승용차의 뒷바퀴(후진하여 적재될 때에는, 앞바퀴)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고정부재(162)가 배치되는 로드(161)의 선단은 'ㄴ'자 형태가 대칭되는 구조로서, 바닥면과 측면에 고정공(161a)이 다수 형성되어 고정부재(162) 양단을 고정구(162a)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또한, 측면에 형성된 고정공(161a)에 삽입되는 고정구(162a) 상단에는 레버(162b)가 장공이 형성된 고정부재(162)의 상단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장공의 일측 즉, 로드(161)의 내측방향으로 밀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고정부재(162)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레바(162b)를 장공의 타측으로 당겨서 측면에 형성된 고정공(161a)에 삽입되는 고정구(162a)를 빼낸 후,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부재(162)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용이하게 분리된다.
그러므로, 차종에 따라 타이어의 외경(外俓)이 달라짐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2열로 형성되는 고정부재(162)의 간격을 조절하여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로드(161)의 하측에는 일단이 하부레일(11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로드실린더(55)의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부재(162) 사이로 적재되는승용차의 바퀴가 놓이게 되면, 로드실린더(55)에 의해 힌지 결합된 제1경사판(160)이 상측으로 회동하여 승용차가 경사지게 적재된다.
그로 인해, 후적재될 승용차는 제1경사판(160)에 의해 경사지게 선적재된 승용차의 하부에 겹치듯 적재되어 적재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하부레일(110)의 양측에는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소정간격을 유지하며 대칭되도록 프론트포스트(130)와 미들포스트(140), 리어포스트(150)가 각각 설치되는데,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프론트포스트(130)의 각 대향면에는 제1스크류(131)가 수직으로 각각 설치되고, 대칭된 미들포스트(140)의 각 대향면에는 제2,3,4스크류(141,142,143)가 병렬로 각각 설치되고, 대칭된 리어포스트(150)의 각 대향면에는 제5스크류(151)가 각각 설치된다.
한편, 미들포스트(140)와, 리어포스트(150)는 전방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는 상태로 배치되는데, 이는 후술할 제2프레임(300)의 승하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제1 내지 제5스크류(131,141,142,143,151)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상 "승하강장치"라 통칭하고, 도4를 참조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적재판(120a) 및 제1,2프레임(200,300)을 상,하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각 포스트(130,140,150)의 대향면에 설치되는 승하강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승하강장치는 제2기어박스(GB2)에 장착된 유압모터(HM)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입력축(IS)과 베벨치합되는 출력축(OS)이 포스트에 상하로 설치되는 스크류(SC)의 하단에 축결합되는데, 이 입력축(IS)과 출력축(OS)은 제1기어박스(GB1)의 내측에서베벨치합되고, 이 제1기어박스(GB1)는 대칭되는 각 포스트(130,140,150)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각 입력축(IS)에 수평으로 결합된 연결축(JS)에 의해 축결합된 제2기어박스(GB2)는 그 일측에 유압모터(HM)가 일체로 장착되고, 이 유압모터(HM)의 회동에 의해 양측의 제1기어박스(GB1)와 스크류(SC)가 연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스크류(SC)에는 스크류블럭(SB)이 나사결합되어 상술한 제1적재판(120a)의 후단부와 후술할 제1,2프레임(200,300)의 각 단부에 구비되는 각각의 브라켓에 힌지결합된다.
도2 및 도3a에 도시한 바에 의하면, 하부프레임(100)의 후단에는 승차대(170)가 배치되는데, 승차대(170)는 하부프레임(100) 후방에 삽입되며 양측의 하부레일(110) 사이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승차실린더(175)에 의해 슬라이딩되며 출몰되는 것으로, 후단에는 일측이 지면과 접촉하는 보조발판(SFP)을 배치하여 지면으로부터 적재될 승용차의 등판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도5와 도6을 참조하면, 상술한 하부프레임(100) 상측에는 일정 고도를 유지하는 제1,2프레임(200,300)으로 된 상부프레임(400)이 배치된다.
제1프레임(200)은 상술한 제1,2적재판(120a,120b)과 마찬가지로 양측으로 나란히 발판(FP)이 마련되고, 이 발판(FP)의 하측에 보강부재(SM)가 격자형으로 장착된다.
또한, 제1프레임(200)의 전단 하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211)이 형성된 제1브라켓(210)이 설치되며, 제1브라켓(210)의 장공(211)에는 프론트포스트(130)에장착된 제1스크류(131)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블럭(SB)에 결합된 롤러축(미도시)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1브라켓(210)에 장공(211)이 형성되는 것은 후술하는 제2브라켓(220)과 힌지결합된 제3브라켓(230)이 제3스크류(142)에 의해 상,하 이동할 때, 달라지는 힌지점에 의해 제1프레임(200) 선단의 위치가 달라져도 상, 하 슬라이딩 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1프레임(200)의 후단 하측에는 제2브라켓(220)이 설치되어 하향 경사지는 일정길이의 제3브라켓(230)의 일단과 힌지결합되며, 제3브라켓의 타단은 미들포스트(140)에 병렬로 배치된 다수의 스크류 중 제3스크류(142)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블럭(SB)에 고정 결합되어 제3스크류(142)의 회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프레임(200)은 승용차가 적재되면, 전,후단의 높이를 달리하여 전단으로 경사지게 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제2프레임(300)에 후적재될 승용차의 일부가 선적재된 제1프레임(200) 상의 승용차의 하부에 겹치듯 적재되도록 하여 적재면적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1프레임(200)의 후방에는 제2프레임(300)이 배치되는데, 제2프레임(300)은 길이방향으로 한쌍의 상부레일(301)이 나란히 배치된다.
각 상부레일(301)의 전단은 미들포스트(140)에 상하로 설치된 제4스크류(143)와 나사결합된 스크류블럭(SB)에 힌지결합되고, 후단에는 장공(3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공(302)에 리어포스트(150)의 제5스크류(151)에 나사결합된 스크류블럭(SB)에 설치되는 롤러축(미도시)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하 이동에 의해 힌지점이 달라져도 상, 하 슬라이딩 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상술한 제1브라켓(210)의 장공(211)과 제2프레임(300) 후단의 장공(302)과 힌지결합되는 스크류블럭(SB)에는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롤러(미도시)가 구비된 롤러축(미도시)이 배치되어 장공(211,302)의 내부에서 전,후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하, 도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에 승용차를 적재하도록 하는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카 캐리어의 후방에 배치된 승차대(170)를 후방으로 돌출시키고, 후단에는 보조발판(SFP)을 결합하여 승용차가 용이하게 등판될 수 있도록 하고, 제1,2프레임(200,300)으로 이루어진 상부프레임(40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각 유압모터(HM)를 회전시켜 이 유압모터(HM)와 베벨치합된 제1,2기어박스(GB1,GB2)와 축결합된 각 스크류(131,142,143,151)가 회전한다.
이때,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프레임(200,300)은 승용차의 등판이 용이하도록 보조발판(SFP)을 시작점으로 완만한 경사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적재준비가 완료되어 제1프레임(200)에 첫 번째 승용차가 적재되면, 제1스크류(131)와 제3스크류(142)를 회전시켜 제1프레임(200)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첫 번째 승용차의 적재는 완료된다.
다음 두 번째 승용차는 제2프레임(300) 전단에 적재하되, 제1프레임(200)에선적재된 승용차의 하부에 일부가 겹치듯 적재시킨 후, 제2프레임(300)의 적재면적에 따라 승용차를 적재한 후, 상부프레임(400)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하부프레임(100)에 승용차의 적재가 용이하도록 한다.
하부프레임(100)도 선단의 제1,2적재판(120a,120b)으로 이루어진 적재가이드(120)를 승용차의 등판이 용이하도록 비스듬히 경사지게 한 후, 전단의 견인부(12) 상단에 1차 적재가 완료되면, 제1적재판(120a)의 후단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제2적재판(120b)의 선단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다음 승용차를 적재시킨다.
그런 다음에 두 번째 승용차가 제2적재판(120b)의 선단에 적재되면 제1경사판(160)을 상측으로 회동시켜 승용차를 경사지게 적재시킨 후, 다음 적재되는 승용차의 선두를 경사지게 선적재된 승용차의 하부에 일부가 겹치도록 적재시킨 후, 계속해서, 세 번째, 네 번째 승용차의 적재시킨다.
적재가 완료되면, 후방의 승차대(170)를 원위치로 삽입시키면, 견인차(미도시)에 의해 운송이 용이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적재되는 승용차의 후단을 상측으로 회동시키고, 그 하부로 다음 승용차의 선두가 포개어 지도록 적재하면 적재면적은 최소화하되, 적재량을 크게하여 승용차 운반에 따른 물류비용을 대폭 절감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승용차의 적재시 전방의 승용차와 포개지도록 경사져서 적재되므로 적재면적은 최소화하고, 그에 따라 더 많은 승용차의 적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잇다.
또한, 한대의 카 캐리어에 의해 다수의 승용차 운반이 가능하여 물류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견인차량의 후미에 장착되는 견인부가 전방에 형성되고, 후방에는 도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주행부가 설치되고, 상기 견인부 전방 양측으로 프론트포스트가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포스트와 소정거리 떨어진 중간부 양측으로 미들포스트가 배치되고, 상기 미들포스트와 소정거리 떨어진 후방 양측에 리어포스트가 배치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포스트에 의해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일정고도를 유지하도록 지지되는 상부프레임이 마련된 카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견인부 후방에 선단이 힌지결합되고, 후단은 미들포스트에 장착되는 승하강장치에 결합되어 상,하 힌지회동하는 제1적재판과;
    상기 제1적재판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주행부 전방에 힌지결합된 후단에 의해 선단이 상기 제1적재판에 승용차가 적재되도록 적재실린더에 의해 상,하 힌지회동하는 제2적재판으로 이루어지는 적재가이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적재판에는, 상기 미들포스트의 양측 후방하단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쌍의 로드와;
    상기 로드 사이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2열로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로드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를 상하로 회동시키는 로드실린더로 이루어진 제1경사판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전단은 상기 프론트포스트에 장착되는 승하강장치에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미들포스트에 장착되는 승하강장치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어 전단은 상기 미들포스트에 장착되는 승하강장치에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리어포스트에 장착되는 승하강장치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는 제2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KR1020020049433A 2002-08-21 2002-08-21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Ceased KR200200718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433A KR20020071818A (ko) 2002-08-21 2002-08-21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433A KR20020071818A (ko) 2002-08-21 2002-08-21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818A true KR20020071818A (ko) 2002-09-13

Family

ID=27727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433A Ceased KR20020071818A (ko) 2002-08-21 2002-08-21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1818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4523A (en) * 1974-03-18 1976-11-30 Harold Billy E Vehicle transport trailer
JPH03107347A (ja) * 1989-09-19 1991-05-07 Takara Seisakusho:Kk 振動型偏平ブラシレスモータ
US5332345A (en) * 1992-04-09 1994-07-26 Lillard Dale R Vehicle carrier
KR20020071821A (ko) * 2002-08-21 2002-09-13 (주)알텍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KR20020071819A (ko) * 2002-08-21 2002-09-13 (주)알텍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4523A (en) * 1974-03-18 1976-11-30 Harold Billy E Vehicle transport trailer
JPH03107347A (ja) * 1989-09-19 1991-05-07 Takara Seisakusho:Kk 振動型偏平ブラシレスモータ
US5332345A (en) * 1992-04-09 1994-07-26 Lillard Dale R Vehicle carrier
KR20020071821A (ko) * 2002-08-21 2002-09-13 (주)알텍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KR20020071819A (ko) * 2002-08-21 2002-09-13 (주)알텍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4889E (en) Vehicle service ramp
CN103201195A (zh) 用于车辆运输的可移除的框架系统
US20230278656A1 (en) Narrow three wheeled vehicle with stabilizing and modular mechanisms
KR100511840B1 (ko)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CN110962723A (zh) 一种升降式山地运输助力车及其应用
KR100511842B1 (ko)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KR20020071818A (ko)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KR100511841B1 (ko)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EP2412552B1 (de) Lagertechnikflurförderzeug, insbesondere Schlepper oder Kommissionierer
DE102020112259B4 (de) Lasten-Fahrrad mit Breiten-Änderung
DE60310619T2 (de) Selbstfahrendes Fahrzeug zum Handhaben und Transportieren von Kisten
CN211776237U (zh) 一种带车轮固定器的立体车库
CN208039939U (zh) 一种组合式移动智能停车箱
KR20230045479A (ko) 셀프로더
KR100530012B1 (ko)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
KR200388309Y1 (ko)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
CN206707361U (zh) 梳齿式车辆提升装载机构
CN1116996C (zh) 轮式吊车及连结型车辆
CN218668739U (zh) 一种基于电机链条提升的两层简易升降车位
CN214775557U (zh) 车辆运输车用多级爬架
CN2799748Y (zh) 多层立体停车库的升降全程导引装置
CN222432445U (zh) 消防物资运送车
CN212773697U (zh) 一种空中停车场
CN115387650B (zh) 智能双层折叠立体车库及使用方法
KR102087790B1 (ko) 주차설비용 차량 진입 발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5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10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