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70627A - 전자렌지 - Google Patents

전자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0627A
KR20020070627A KR1020020003634A KR20020003634A KR20020070627A KR 20020070627 A KR20020070627 A KR 20020070627A KR 1020020003634 A KR1020020003634 A KR 1020020003634A KR 20020003634 A KR20020003634 A KR 20020003634A KR 20020070627 A KR20020070627 A KR 20020070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place
heating chamber
food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6324B1 (ko
Inventor
다이노가즈오
기따가와히로야스
다나까가즈꼬
야마네요시꼬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0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5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temperature sensors
    • H05B6/6455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temperature sensors the sensors being infrared det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 H05B6/687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for coo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Abstract

(과제) 동시에 가열실내의 복수의 장소에 식품이 배치된 경우에도 가열을 종료시키는 시기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는 전자렌지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S1011 에서는, 가열실의 바닥면 위의 어느 한 위치에서 75 ℃ 에 도달한 위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기다려 처리가 S1012 로 이행된다. S1012 에서는 S1011 에서 검출된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서, 70 ℃ 이상의 온도가 검출된 위치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그 같은 위치가 존재하면 S1013 으로 처리가 이행된다. 한편 그 같은 위치가 존재하지 않으면 S1014 로 처리가 이행된다. S1013 에서는 S1012 에서 검출된 위치에서 검출된 온도가 75 ℃ 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기다려 처리가 S1014 로 이행된다. S1014 에서는 마그네트론 (12) 에 의한 가열동작이 종료된다.

Description

전자렌지{MICROWAVE OVEN}
본 발명은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열실내의 식품의 온도를 검출함으로써 자동적으로 가열동작을 종료시킬 수 있는 전자렌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렌지에는 일본 특허 제 2998607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가열실내의 식품의 온도를 계속적으로 검출하여 식품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였을 경우에 자동적으로 가열동작을 종료시키는 것이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가열실내의 식품의 최고온도가 소정 온도로 된 시점, 요컨대 가열실내의 복수 장소에서 검출된 검출 출력중의 최고온도와 최저온도의 차이가 소정 이상으로 된 시점에서, 가열조리가 완료된 것으로 하여 가열동작을 종료시켰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렌지에서는 복수의 식품이 가열실내에 배치된 경우 등, 가열실내의 비교적 넓은 범위에 걸쳐 식품이 배치된 경우, 상기 시점에서 가열동작이 종료되었을 경우, 일부 식품의 가열이 아직 완료되어 있지 않을 우려가 있었다. 가열실내의 한 장소에서 가열조리가 완료되어 있어도 동시에 가열실내의 모든 식품의 가열조리가 완료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문제에 관해서는 예컨대 동일한 종류일지라도 배치장소에 따라 가열되는 정도에 차이가 있는 등의 이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동시에 가열실내의 복수의 장소에 식품이 배치된 경우에도 가열을 종료시키는 시기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는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전자렌지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전자렌지의 도어가 열림상태로 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전자렌지의 외장부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전자렌지의 IV-IV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에 나타내는 전자렌지의 회전 안테나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1 에 나타내는 전자렌지의 보조 안테나의, 회전 안테나와 겹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도 1 의 전자렌지에 있어서의 적외선 센서의 시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도 7 의 예에서 적외선 검출소자의 시야가 가열실의 바닥면 위를 이동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도 1 의 전자렌지에 있어서의 적외선 센서의 시야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도 9 의 예에서 적외선 검출소자의 시야가 가열실의 바닥면 위를 이동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도 1 의 전자렌지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2 는 도 1 의 전자렌지에서 적외선 센서에서 제어부로 출력되는 위치정보에 대응하여, 가열실의 바닥면에 정의되어 있는 좌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은 도 12 에 정의된 좌표를 보조 안테나의 방향에 대응시켜 8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는 도 1 의 전자렌지에서 보조 안테나를 정지시키는 방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는 도 1 의 전자렌지에서 전원투입시의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6 은 도 1 의 전자렌지에서 전원투입시의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7 은 도 15 의 자동 데우기 코스 처리의 서브 루틴의 흐름도이다.
도 18 은 도 17 의 안테나 제어 처리의 서브 루틴의 흐름도이다.
도 19 는 도 15 의 스피드 데우기 코스 처리의 서브 루틴의 흐름도이다.
도 20 은 도 16 의 기호 온도 코스 처리의 서브 루틴의 흐름도이다.
도 21 은 도 16 의 근채 코스 처리의 서브 루틴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자렌지6 : 조작패널
7 : 적외선 센서7a : 적외선 검출소자
9 : 바닥판9a : 바닥면
10 : 가열실12 : 마그네트론
20 : 회전 안테나21 : 보조 안테나
30 : 제어부40 : 검출경로부재
70a : 시야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따른 전자렌지는 식품을 수용하는 가열실과, 상기 식품을 가열하기 위해 마이크로파를 발진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가열실내의 복수의 장소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부와, 상기 온도검출부의 검출 출력을 기초로 상기 마그네트론의 가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그네트론에 의한 가열동작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 상기 온도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가열실내의 최고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부와, 상기 제 1 판단부가 상기 가열실내의 최고온도가 상기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장소 외에, 상기 가열실내에서 상기 소정의 온도보다 낮은 특정 온도 이상에 도달한 장소인 특정 장소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부와, 상기 제 2 판단부가 상기 특정 장소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에, 당해 특정 장소의 온도가 상기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마그네트론의 가열동작을 정지시키는 가열정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럼으로써, 가열실내에 복수개의 식품이 배치된 경우, 당해 복수개의 식품중의 하나만이 아닌 다른 식품도 충분히 가열되는 상태까지 가열동작이 속행된다.
따라서, 전자렌지에 있어서, 동시에 가열실내의 복수의 장소에 식품이 배치된 경우에도 가열을 종료시키는 시기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렌지에서는 상기 온도검출부와는 별체로 형성되어, 정보를 기억하는 본체측 기억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온도검출부는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적외선 센서에 부착되고, 당해 적외선 센서의 검출온도를 보정하기 위한 정보를 기억하는 보정정보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처음 동작할 때에 상기 본체측 기억부에 상기 보정정보 기억부의 기억내용을 기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처음 동작하여 본체측 기억부에 당해 보정정보 기억부의 기억내용을 기억시킨 후에는 보정정보 기억부의 내구성과 관계없는 환경에서 적외선 센서를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정정보 기억부의 내구성은 낮아도 되기 때문에, 보정정보 기억부의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요컨대 전자렌지의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렌지는 상기 온도검출부에 온도검출을 행하는 장소를 소정 패턴으로 반복 변경시켜 온도검출을 행하게 하는 온도검출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그네트론의 가열동작의 기간중의 당해 가열동작에 관련된 다른 부재에 대한 동작 타이밍을, 상기 온도검출 제어부가 상기 소정 패턴에 따른 온도검출을 선두로부터 실행하는 타이밍으로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온도검출부에 있어서, 각 소정의 패턴별로는 동일한 조건에서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렌지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검출부가 검출한온도가 어느 범위 이외인 경우에 당해 온도가 검출된 장소를 식품이 배치되어 있는 장소인 식품배치장소로 결정하는 배치장소 결정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온도검출 제어부는 상기 마그네트론의 가열동작의 기간중, 상기 식품배치장소의 온도가 상온보다 낮은 일정 온도를 밑도는 경우에는 상기 온도검출부에 온도를 검출시키는 장소를 상기 식품배치장소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식품이 저온일지라도 당해 식품에 대한 검출온도가 그보다 고온인 것으로 생각되는 주위의 온도에 영향을 받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렌지에서는 상기 온도검출부는 상기 마그네트론이 가열동작을 개시할 때의, 상기 가열실내의 식품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장소의 온도에 따라, 상기 가열실내의 복수의 장소의 온도에 보정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렌지에서는 상기 온도검출부는 상기 마그네트론이 가열동작을 개시할 때의, 상기 가열실내의 식품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장소의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열실내의 복수의 장소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전자렌지에 있어서, 가열동작 개시시의, 가열실내의 상태가 온도검출부의 검출 출력에 반영된다.
따라서, 온도검출부의 검출 출력이 가열동작 개시시의 전자렌지의 상태에 대응하는 것이 된다. 요컨대 온도검출부의 검출 출력의 정밀도는 가열동작 개시시의 전자렌지의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렌지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그네트론에 의한 가열동작 개시시에 상기 온도검출부에 의해 일정 온도 이상인 것으로 검출된 장소에 대해서는 상기 온도검출부의 검출 출력을 무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전자렌지에 있어서 가열실의 일부가 식품이 배치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가열개시시에 어느 정도 고온이더라도 그 장소에 충분히 가열된 식품이 배치된 것으로 오인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 전자렌지의 구조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전자렌지의 사시도이다.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자렌지 (1) 는 주로 본체 (2) 와 도어 (3) 로 이루어진다. 본체 (2) 는 그 외곽이 외장부 (4) 로 덮여 있다. 또한 본체 (2) 의 앞면에는 사용자가 전자렌지 (1) 에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패널 (6) 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 (2) 는 복수개의 다리를 통해 지지되어 있다.
도어 (3) 는 하단을 축으로 하여 개폐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어 (3) 의 상부에는 손잡이 (3a) 가 구비되어 있다. 도 2 에 도어 (3) 가 열림상태로 되었을 때의 전자렌지 (1) 를 좌측 전방에서 본 전자렌지 (1) 의 부분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체 (2) 의 내부에는 본체틀 (5) 이 구비되어 있다. 본체틀 (5) 의 내부에는 가열실 (10) 이 형성되어 있다. 가열실 (10) 의 우측면 상부에는 구멍 (10a) 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 (10a) 에는 가열실 (10) 의 외측으로부터 검출경로부재 (40) 가 접속되어 있다. 가열실 (10) 의 바닥면에는 바닥판 (9) 이구비되어 있다.
도 3 에 외장부 (4) 를 분리한 상태에 있는 전자렌지 (1) 를 우측 상방에서 본 전자렌지 (1) 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4 에 도 1 의 IV-IV 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체틀 (5) 의 우측면에는 가열실 (10) 에 인접하도록 마그네트론 (12 ; 도 4 참조) 등의 각종 부품이 탑재되어 있지만, 도 3 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구멍 (10a) 에 접속된 검출경로부재 (40) 는 개구를 갖고, 당해 개구가 구멍 (10a) 에 접속된 상자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검출경로부재 (40) 를 구성하는 당해 상자형상의 바닥면에는 적외선 센서 (7) 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검출경로부재 (40) 를 구성하는 상자형상의 바닥면에는 검출창 (11) 이 형성되어 있다. 적외선 센서 (7) 는 검출창 (11) 을 통해 가열실 (10) 내의 적외선을 캐치한다.
외장부 (4) 의 내부에는 가열실 (10) 의 오른쪽 아래에 인접하도록 마그네트론 (12) 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가열실 (10) 의 하방에는 마그네트론 (12) 과 본체틀 (5) 의 하부를 접속시키는 도파관 (19) 이 구비되어 있다. 마그네트론 (12) 은 도파관 (19) 을 통해 가열실 (10) 에 마이크로파를 공급한다.
또한, 본체틀 (5) 의 바닥부와 바닥판 (9) 사이에는 회전 안테나 (20) 가 구비되어 있다. 도파관 (19) 의 하방에는 안테나 모터 (16) 가 구비되어 있다. 회전 안테나 (20) 와 안테나 모터 (16) 는 축 (15a) 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안테나 모터 (16) 가 구동됨으로써, 회전 안테나 (20) 가 회전된다.
가열실 (10) 내에서는 바닥판 (9) 위에 식품이 배치된다. 마그네트론 (12) 이 발한 마이크로파는 도파관 (19) 을 통해 회전 안테나 (20) 에 의해 교반되면서 가열실 (10) 내로 공급된다. 그럼으로써, 바닥판 (9) 위의 식품이 가열된다.
가열실 (10) 의 후방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히터 유닛이 구비되어 있다. 히터 유닛에는 히터 (도 11 의 히터 (13)), 및 당해 히터가 발하는 열을 가열실 (10) 내로 효율적으로 보내기 위한 팬이 수납되어 있다. 또한 가열실 (10) 의 상방에도 식품 표면을 태우기 위한 히터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회전 안테나 (20) 에는 보조 안테나 (21) 가 부착되어 있다. 회전 안테나 (20) 및 보조 안테나 (21) 는 판상이다. 그리고, 보조 안테나 (21) 는 회전 안테나 (20) 에 절연체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요컨대 회전 안테나 (20) 와 보조 안테나 (21) 는 절연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안테나 (20) 는 축 (15a) 상단에 부착되어 있다.
회전 안테나 (20) 의 하방에는 축 (15a) 이 1 회전할 때마다, 요컨대 회전 안테나 (20) 가 1 회전할 때마다, 한번 ON 되는 스위치 (89) 가 부착되어 있다. 회전축 (15a) 의 회전은 박스 (88) 내의 주지의 기구를 통해 스위치 (89) 에 전해진다.
도 5 는 회전 안테나 (20) 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6 은 보조 안테나 (21) 의, 회전 안테나 (20) 와 겹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회전 안테나 (20) 는 도 5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축 (15a) 과 접속하기 위한 구멍 (20X)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안테나 (20) 는 구멍 (20X) 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부분 (20A ∼ 20C) 을 구비하고 있다. 구멍 (20X) 부근의 외주는 원호상으로 되어 있다. 부분 20A 의 단부의, 구멍 (20X) 으로부터의 거리 A 는 약 60 ㎜ 이고, 부분 20B 및 20C 의 단부의, 구멍 (20X) 으로부터의 거리 B 는 약 80 ㎜ 이다. 그리고, 거리 A 는 마그네트론 (12) 이 발진하는 마이크로파의 파장의 약 1/2 길이에 상당한다.
보조 안테나 (21) 는 회전 안테나 (20) 에 고정됨으로써, 회전 안테나 (20) 와 동일한 주기로 회전된다. 또한 보조 안테나 (21) 의, 부분 20A 부근에는 마이크로파의 주된 전파방향 (도 6 중의 화살표 (E)) 에 수직인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는 슬릿상의 구멍 (21A ∼ 21F) 이 형성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구멍 (21A ∼ 21F) 으로부터 강하게 마이크로파가 방사된다. 또한 구멍 (21B,21D,21E,21F) 으로부터는 특히 강하게 마이크로파가 방사된다. 그리고, 구멍 (21B,21D,21E,21F) 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마이크로파를 방사하기 위해 이들 구멍의 길이방향의 치수는 55 ㎜ ∼ 60 ㎜ 정도로 한다.
전자렌지 (1) 에서는 구멍 (21A ∼ 21F) 이 가열실 (10) 내의 도어 (3) 측에 위치하도록, 회전 안테나 (20) 및 보조 안테나 (21) 가 정지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이들 안테나가 정지되어 마그네트론 (12) 이 운전되는 경우에는 가열실 (10) 내의 앞쪽에 식품이 탑재되면 당해 식품에 집중적으로 마이크로파가 공급되어 효율적으로 가열되게 된다. 그리고, 바닥판 (9) 을 투명하게 하는 등, 보조 안테나 (21) 를 가열실 (10) 내에서 시인(視認)가능하게 하고, 보조 안테나 (21) 의 구멍(21A ∼ 21F) 이 형성되는 부근 (도 6 의 영역 F 부분) 에 이를 나타내는 표시가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표시는 문자로「파워 영역」등, 집중적으로 가열된다는 것을 기재해도 되고, 그 부분의 표면에 물결모양을 형성해도 (요컨대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면으로) 된다.
그리고, 보조 안테나 (21) 에는 영역 F 에 대해, 당해 보조 안테나 (21) 에 대해 대상인 위치에 구멍 (21X)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안테나 (20) 는 축 (15a) 의 상단에, 당해 축 (15a) 의 상단을 코킹함으로써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코킹하는 부분의 단면은 원형이 아닌 다각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5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멍 (20X) 의 단면형상도 팔각형으로 되어 있다. 축 (15a) 의 코킹되어 있는 단면이 다각형이므로, 축 (15a) 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 안테나 (20) 를 화살표 (W)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 회전 안테나 (20) 가 축 (15a) 에 대해 미끌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요컨대, 축 (15a) 의 회전각도를 제어함으로써, 확실하게 회전 안테나 (20) 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2. 적외선 센서의 시야
적외선 센서 (7) 는 흡수한 적외선을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적외선 검출소자 (도 11 의 적외선 검출소자 (7a)) 를 복수개 구비하고 있다. 도 7 은 적외선 센서 (7) 가 가열실 (10) 의 깊이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된 적외선 검출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의,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이하에는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는 복수개의 적외선 검출소자의 시야를 합친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7 에서는 가열실 (10) 의 내부를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도록, 외장부 (4) 및 도어 (3) 를 생략하고, 또한 본체틀 (5) 중의 가열실 (10) 의 좌측 벽을 구성하는 부분을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7 에서는 가열실 (10) 의 폭방향으로 x 축이, 깊이방향으로 y 축이, 높이방향으로 z 축이 정의되어 있다. 이들 3 축은 서로 직교하고 있다.
전자렌지 (1) 에서는 적외선 센서 (7) 에 y 축방향으로 나열된 8 개의 적외선 검출소자가 구비되어 있다. 적외선 센서 (7) 가 8 개의 적외선 검출소자를 구비하므로, 가열실 (10) 의 바닥면 (9a ; 바닥판 (9) 포함) 위에서는 실선으로 기재된 y 축방향으로 나열된 8 개의 시야 (70a) 가 동시에 투영된다. 그리고, 바닥면 (9a) 은 8 개의 시야 (70a) 에 의해 x 방향의 어느 영역에 대해 y 방향의 한쪽 끝에서 다른 한쪽 끝까지 덮여 있다.
또한, 전자렌지 (1) 에는 적외선 센서 (7) 를 양 화살표 (93)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부재 (후술하는 도 11 의 이동부 (72)) 가 구비되어 있다. 양 화살표 (93) 는 x-z 평면상의 회전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적외선 센서 (7) 가 양 화살표 (93)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바닥면 (9a) 위에 투영되는 시야 (70a) 의 위치가 양 화살표 (91) 방향 (x 축방향 : 가열실 (10) 의 폭방향) 으로 이동한다. 상세하게는 적외선 센서 (7) 가 양 화살표 (93)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시야 (70a) 는 실선으로 표시되는 시야 (70a) 의 위치에서 파선으로 표시되는 시야 (70a) 의 위치까지의 범위내에서 이동한다.
도 8 은 시야 (70a) 가 바닥면 (9a) 위를 이동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에 있어서의 x 축 및 y 축은 도 7 과 동일한 것이다. 또한 도 8 에서는 바닥면 (9a) 위에 x 방향으로 14 점, y 축방향으로 8 점이 취해져 있다. 그리고, 바닥면 (9a) 위의 8 개의 적외선 검출소자의 시야 (70a) 의 위치를 P (x,y) 라는 좌표형식을 사용하면 각각 P (1,1) ∼ P (14,1), P (1,2) ∼ P (14,2), P (1,3) ∼ P (14,3), P (1,4) ∼ P (14,4), P (1,5) ∼ P (14,5), P (1,6) ∼ P (14,6), P (1,7) ∼ P (14,7), P (1,8) ∼ P (14,8) 의 범위에서 변화된다고 기재할 수 있다.
한편, 도 9 는 적외선 센서 (7) 가 가열실 (10) 의 폭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된 적외선 검출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의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9 의 x 축, y 축, z 축은 각각 도 7 과 동일한 방향이다.
도 9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예에서는 적외선 센서 (7) 가 이동부 (72 ; 후술하는 도 11 참조) 에 의해 적절히 이동되면 바닥면 (9a) 위에 투영되는 시야 (70a) 의 위치가 양 화살표 (99) 방향 (y 축방향 : 가열실 (10) 의 깊이방향) 으로 이동한다. 상세하게는 적외선 센서 (7) 가 이동됨으로써, 시야 (70a) 는 실선으로 표시되는 시야 (70a) 의 위치에서 파선으로 표시되는 시야 (70a) 의 위치까지의 범위내에서 이동한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낸 적외선 센서 (7) 를 구비하는 전자렌지 (1) 에 있어서, 시야 (70a) 가 바닥면 (9a) 위를 이동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에 있어서의 x 축 및 y 축은 도 9 와 동일한 것이다. 또한 도10 에서는 바닥면 (9a) 위에 x 축방향으로 8 점, y 축방향으로 14 점이 취해져 있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바닥면 (9a) 위의 8 개의 적외선 검출소자의 시야 (70a) 의 위치를 P (x,y) 라는 좌표형식을 사용하면 각각 P (1,1) ∼ P (1,14), P (2,1) ∼ P (2,14), P (3,1) ∼ P (3,14), P (4,1) ∼ P (4,14), P (5,1) ∼ P (5,14), P (6,1) ∼ P (6,14), P (7,1) ∼ P (7,14), P (8,1) ∼ P (8,14) 의 범위에서 변화된다고 기재할 수 있다.
3. 제어블록도
도 11 에 전자렌지 (1) 의 제어블록도를 나타낸다. 전자렌지 (1) 는 당해 전자렌지 (1) 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30) 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 (30) 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한다.
제어부 (30) 는 조작부 (60) 및 적외선 센서 (7) 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는다. 조작부 (60) 는 조작패널 (6) 에서 입력된 정보를 제어부 (30) 로 보내는 부분이다. 그리고, 제어부 (30) 는 이 입력된 정보 등을 기초로 안테나 모터 (16), 냉각팬 모터 (31), 표시부 (61), 이동부 (72), 마그네트론 (12) 및 히터 (13) 의 동작을 제어한다. 냉각팬 모터 (31) 는 마그네트론 (12) 을 냉각하기 위한 팬을 구동하는 모터이다. 표시부 (61) 는 조작패널 (6) 에 구비된 표시장치이다.
여기서, 적외선 센서 (7) 에서 제어부 (30) 로 입력되는 정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적외선 센서 (7) 에서 제어부 (30) 로는 가열실내의 위치정보와 당해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온도정보가 보내진다. 여기서, 도 9 및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렌지 (1) 에 대해 온도정보의 송신의 태양을 설명한다. 적외선 센서 (7) 는 가열실 (10) 의 폭방향의 위치정보를 각각의 적외선 검출소자에 대응시켜 1 ∼ 8 의 채널 (CH) 로부터 출력한다. CH1 ∼ CH8 은 각각 가열실 (10) 의 폭방향의 좌표 1 ∼ 8 에 대응하는다. 그리고, 각 CH 로부터, 깊이방향의 위치정보를 깊이방향에 대해 정의된 좌표치 1 ∼ 14 중에서 출력한다. 요컨대, 가열실 (10) 의 바닥면 (9a) 은 적외선 센서 (7) 에서 출력되는 위치정보에 맞추면 도 12 에 나타내는 좌표와 같이 정의된다.
도 12 에서는 횡축에 x 축이, 종축에 y 축이 정의되어 있다. 이 x 축, y 축은 각각 도 9 및 도 10 의 양축에 대응하고 있다. 요컨대, 가열실 (10) 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CH1 ∼ CH8 이 정의되어 있고, 가열실 (10) 의 안쪽에서 부터 앞쪽으로 y 좌표 1 ∼ 14 가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 12 에서는 CH3 의 y 좌표 3,13, CH7 의 y 좌표 13,3 에, 차례로 점 (R1,R2,R3,R4) 이 취해져 있다. 이 4 점은 가열실 (10) 의 앞쪽의 좌우 구석 또는 안쪽의 좌우 구석에 위치하고 있어, 식품이 탑재되기 어려운 위치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4 점에서 검출되는 온도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그네트론 (12) 의 가열동작을 개시시킬 때에, 식품이 탑재되지 않은 바닥면 (9a) 의 온도 (선반온도) 로서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4 점에서의 온도중의 최대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2 점의 온도의 평균이 선반온도가 된다.
또한, 제어부 (30)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외선 센서 (7) 의 검출 출력을 기초로 식품이 탑재되어 있다고 판단된 위치의 바로 아래 또는 근방에 보조 안테나(21) 의 영역 F 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회전 안테나 (20) 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회전 안테나 (20) 의 정지위치에 대해 도 13 및 도 14 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 은 도 12 에 정의된 좌표를 보조 안테나 (21) 의 방향에 대응시켜 8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 는 보조 안테나 (21) 를 정지시키는 방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14 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조 안테나 (21) 의 방향을 화살표 (100) 로 정의한다. 화살표 (100) 는 보조 안테나 (21) 의 회전중심에서 영역 F 로 향하는 방향이다. 도 14 에서는 보조 안테나 (21) 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연장되는 8 개의 선 (일점파선) 이 기재되고, 각각 방향 1 ∼ 방향 8 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4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보조 안테나 (21) 는 방향 1 의 방향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방향 1 은 가열실 (10) 중심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방향이다.
또한, 도 14 에서는 방향 1 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차례로 방향 2 ∼ 방향 8 이 정의되어 있다. 예컨대 방향 5 는 가열실 (10) 의 중심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방향이고, 방향 7 은 가열실 (10) 의 중심에서 좌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이다.
또한 도 13 을 참조하여 바닥면 (9a) 위의 좌표가 방향 1 ∼ 방향 8 에 대응하는 8 개의 영역으로 나뉘어 있다. 방향 1 ∼ 방향 8 의 각각에 대응하는 좌표영역을 표 1 에 나타낸다.
표 1 또는 도 13 을 참조하면 예컨대 식품의 탑재 위치가 CH6 의 y 좌표 11 로 판단된 경우, 이 점은「방향 1」의 영역에 속하므로, 전자렌지 (1) 에서는 보조 안테나 (21) 를 방향 1 의 방향에서 정지시켜 가열동작이 실행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
보조 안테나 (21) 의 방향이 변함으로써, 영역 F 의 위치도 변화한다. 영역 F 는 보조 안테나 (21) 의 다른 위치에 비해 강력하게 마이크로파를 방사할 수 있는 위치이다. 또한 도 13 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닥면 (9a) 위에서, 식품의 존재위치가 검출된 경우, 당해 위치에 영역 F 가 위치하도록 보조 안테나 (21) 의 정지시의 방향이 결정된다. 요컨대 식품이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 위치를 강력하게 집중적으로 가열하도록 보조 안테나 (21) 의 정지위치가 결정된다. 그리고, 식품의 탑재 위치는 반드시 전자렌지 (1) 측에서 검출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사용자가 식품의 탑재 위치를 입력하고, 입력된 탑재 위치에 따라 도 13 의 관계에 따라 보조 안테나 (21) 의 정지시의 방향이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제어부 (30) 는 캠 스위치 (89) 의 ON/OFF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에 따라 회전 안테나 (20) 및 보조 안테나 (21) 의 정지위치가 제어된다. 이 정지위치의 제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보조 안테나 (21) 를 회전시킬 때, 캠 스위치 (89) 가 ON 된 다음, 상기 방향 1 ∼ 방향 8 로 되는 시간을 표 2 에 나타낸다.
표 2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 (30) 는 예컨대 전원주파수가 60 ㎐ 인 경우, 보조 안테나 (21) 를 방향 1 에서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캠 스위치 (89) 가 ON 된 다음 1.18 초 후에 안테나 모터 (16) 를 정지시켜 보조 안테나 (21) 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요컨대 제어부 (30) 는 캠 스위치 (89) 가 ON 된 후 표 2 에 따른 타이밍으로 안테나 모터 (16) 를 정지시킴으로써, 보조 안테나 (21) 의 정지위치를 방향 1 ∼ 방향 8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30) 에는 서치회수 카운터부 (32) 가 접속되어 있다. 서치회수 카운터부 (32) 는 적외선 센서 (7) 의 서치회수를 카운트하는 것이다. 적외선 센서 (7) 의 서치회수란 가열실 (10) 의 바닥면 (9a) 전역의 온도가 검출된 회수를 말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 이나 도 9 를 참조하면 시야 (70a) 가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또는 파선으로 표시된 위치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이동된 회수를 말한다.
적외선 센서 (7) 는 복수개의 적외선 검출소자 (7a)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적외선 센서 (7) 는 각 적외선 검출소자 (7a) 의, 로트마다의 검출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 (7x) 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 (30) 는 처음 전력을 투입받은 시점에서 메모리 (7x) 에 기억되어 있는 보정데이터를 적외선 센서 (7) 와는 별체로 구비되어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33) 에 기억시킨다. 그럼으로써, 메모리 (7x) 에는, 적외선 센서 (7) 가 전자렌지 (1) 안의 비교적 고온이 되는 부위에 부착되어도 메모리 (7x) 를 구성하는 부품에는 당해 부위에 대응해야 할 만큼의 내열성은 요구되지 않는다. 요컨대, 메모리 (7x) 를 내열성이 낮은 저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 (30) 가 메모리 (7x) 의 기억내용을 비휘발성 메모리 (33) 에 옮김으로써 전자렌지 (1) 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4. 전자렌지의 동작
1) 일반적인 동작
다음에, 전자렌지 (1) 에 있어서, 전력이 투입된 다음 실행되는 처리를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 은 전자렌지의 전원투입시의 처리의 흐름도이다.
우선, 도 15 및 도 16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자렌지 (1) 에 대해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투입되면 S1 에서 초기 설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자렌지 (1) 에 대해 처음 전력이 투입된 경우, S1 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 (7x) 의 기억내용이 비휘발성 메모리 (33) 에 기억된다. 그리고, 전자렌지 (1) 에서는 조작패널 (6) 상의 소정의 키가 조작되거나, 닫힘상태에 있는 도어 (3) 가 열림상태로 됨으로써 전력의 투입이 개시된다.
다음에, S2 에서 오토파워오프타이머 (Toff) 의 카운트치가 리세트된다. 오토파워오프타이머란 전자렌지 (1) 에 대해 아무런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또한 전자렌지 (1) 가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는 상태가 계속된 기간 카운트 다운되는 타이머이다. 당해 타이머가 카운트 다운되어 카운트치가 0 이 되면 자동적으로 전자렌지 (1) 에 대한 전력의 공급이 정지된다.
다음에, S3 에서는 Toff 의 카운트 다운이 개시된다.
다음에, S4 에서는 Toff 의 카운트치가 0 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0 인 것으로 판단되면 S22 에서 전자렌지 (1) 에 대한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의 투입을OFF 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아직 0 이 아닌것으로 판단되면 S5 로 이행된다.
S5 에서는 도어 (3) 가 열림상태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열림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가 S2 로 되돌아간다. 요컨대 전자렌지 (1) 에 있어서, 적어도 도어 (3) 가 열림상태로 되어 있는 동안은 Toff 가 리세트된다. 한편, 닫힘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S6 으로 이행된다.
S6 에서는 조작패널 (6) 상의 키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조작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조작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S7 에서 Toff 가 리세트된 후, 처리는 S8 로 이행된다. 한편,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가 S4 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이하에 기재하는 각종 키는 조작패널 (6) 상에 형성되고, 당해 키에 대한 조작이 이루어졌을 때에는 조작부 (60) 에서 제어부 (30) 로 전달된다.
S8 에서는 조작된 키가「데우기 키」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데우기 키」란 일반적인 식품을 가열시킬 때에 조작되는 키로서, 전자렌지 (1) 에 식품의 상태를 검출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가열동작의 종료시기를 결정시키는 조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키이다. 「데우기 키」였던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가 S9 로 이행되고, 다른 키였던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가 S12 로 이행된다.
S9 에서는「데우기 키」가 조작된 후, 다른 키의 조작에 의해 또 다른 가열조건의 설정이 있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또 다른 가열조건의 설정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가 S11 로 이행되고, 당해 다른 키에 따른 처리가 이루어진 후, 처리가 S2 로 되돌아간다. 한편, 또 다른 가열조건의 설정없이 가열을 개시시키는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면 처리가 S10 으로 이행된다.
S10 에서는 자동 데우기 코스에 대응하는 처리가 실행된 후, 처리가 S2 로 되돌아간다. 자동 데우기 코스에 대응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도 17 및 도 18 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S12 에서는 조작된 키가「스피드 키」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스피드 키」란 소량의 식품을 급속히 가열하기 위해 조작되는 키이다. 「스피드 키」였던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가 S13 으로 이행되고, 다른 키였던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가 S14 로 이행된다.
S13 에서는 스피드 데우기 코스에 대응하는 처리가 실행된 후, 처리가 S2 로 되돌아간다. 스피드 데우기 코스에 대응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도 19 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S14 에서는 조작된 키가「취소 키」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취소 키」였다고 판단되면 처리가 S15 에서 키 조작에 의해 그 때까지 설정된 내용이 취소되고, 처리가 S2 로 되돌아간다. 한편, 다른 키였던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가 S16 으로 이행된다.
S16 에서는 조작된 키가「기호 온도 키」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기호 온도 키」란 식품을 입력된 온도까지 가열하기 위해 조작되는 키이다. 「기호 온도 키」였던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가 S17 로 이행되고, 다른 키였던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가 S18 로 이행된다.
S18 에서는 조작된 키가「근채 키」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근채 키」란 감자 등의 근채를 적절히 가열하기 위해 조작되는 키이다. 「근채 키」였던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가 S19 로 이행되고, 다른 키였던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가 S20 으로 이행된다.
S20 에서는 조작된 키가 S18 까지 판단대상이었던 키와는 상이한 다른 키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다른 키였던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가 S21 로 이행되어, 당해 다른 키에 상당하는 처리가 실행된 후, 처리가 S2 로 되돌아간다. 한편, 다른 키로서 들 수 있는 키 중 어느 것도 아니었던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가 S4 로 되돌아간다.
S17 에서는 기호 온도 코스에 대응하는 처리가 실행된 후, 처리가 S2 로 되돌아간다. 또한 S19 에서는 근채 코스에 대응하는 처리가 실행된 후, 처리가 S2 로 되돌아간다. 기호 온도 코스, 근채 코스의 각각에 대응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도 20 및 도 21 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2) 자동 데우기 코스에 있어서의 동작
이하에, 자동 데우기 코스에 대응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 은 도 15 의 자동 데우기 코스 처리 (S10) 의 서브 루틴의 흐름도이다.
우선, S1001 에서 마그네트론 (12) 에 의한 가열동작을 개시시킨 후, 가열개시시의 온도서치로서 바닥면 (9a) 위의 전체 (CH1 ∼ CH8 의 y 좌표 1 ∼ 14) 의 온도검출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여기서는 회전 안테나 (20) 및 보조 안테나 (21) 를 계속하여 회전시키면서 마그네트론 (12) 에 의한 가열동작이 실행되고 있다.
다음에, S1002 에서, S1001 에서 검출 출력으로부터, 도 12 의 R1 ∼ R4 의 4 점의 온도중에서 최고온도와 최저온도를 제외한 2 점의 온도의 평균을 선반온도 (T0) 로 결정한다.
다음에, S1003 에서 T0가 40 ℃ 이상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40 ℃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S1004 를 거쳐 S1005 로 이행되고, 40 ℃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직접 S1005 로 이행된다.
S1004 에서는 적외선 센서 (7) 의 출력치를 보정하는 처리가 이루어진 후, 처리가 S1005 로 이행된다. 이 보정이란 구체적으로는 적외선 센서 (7) 의 검출온도에서, 선반온도에 의해 높게 검출된 것으로 생각되는 온도만큼을 뺀 보정이다. 적외선 센서 (7) 의 적외선 검출소자의 시야 (70a) 에는 식품과 바닥면 (9a) 이 동시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요컨대 이 보정에 의해 식품의 온도로서 검출되는 온도가 가열실 (10) 자체 온도에 영향을 받는 것을 최대한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식품의 온도로서 검출되는 온도에 가열실 (10) 자체 온도의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선반온도 (T0) 를 온도검출의 기준으로 하는 것, 요컨대 적외선 센서 (7) 에 가열실 (10) 내의 각 검출장소의 온도로서 검출온도의 선반온도와의 차이를 출력시키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S1005 에서는 S1001 에 있어서의 검출온도로부터 최저온도 (Smin) 가 추출된다.
다음에, S1006 에서 Smin 이 (T0- 4 ℃) 를 하회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하회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가 S1009 로 이행되고, (T0- 4 ℃)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가 S1007 로 이행된다.
S1007 에서는 바닥면 (9a) 위의 최고온도와 최저온도의 온도차가 추출되고, S1008 에서 당해 온도차가 5 ℃ 이상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S1007 및 S1008 의 처리는 온도차가 5 ℃ 이상인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계속된다. 그리고, 온도차가 5 ℃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S1011 로 이행된다.
한편, S1009 에서는 상이한 타입의 식재(食材)가 가열실 (10) 내에 배치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상이한 식재의 판별처리). 여기서 말하는 식재의 타입으로는 냉동식재, 냉장식재, 상온식재를 들 수 있다. 그리고, S1009 에서는 이들 타입 중의 복수개의 타입의 식재가 가열실 (10) 내에 동시에 배치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바닥면 (9a) 위의 온도분포로부터 판단된다. 그리고, 상이한 타입의 식재가 동시에 가열실 (10)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S1016 으로 이행되고,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S1010 으로 처리가 이행된다.
S1010, S1016 에서는 각각 안테나 제어 처리가 실행된 후, S1011, S1017 로 처리가 이행된다. 여기서, 안테나 제어 처리의 상세한 내용을 도 18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 은 도 17 의 안테나 제어 처리 (S1010,S1016) 의 서브 루틴의 흐름도이다.
안테나 제어 처리에서는 우선 S901 에서, S1005 (도 17 참조) 와 마찬가지로 Smin 의 추출이 이루어진다.
다음에, 현재 실행되고 있는 처리가 스피드 데우기 코스 (도 19 참조) 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그렇다고 판단되면 S912 로 처리가 이행되고, 그렇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903 으로 처리가 이행된다.
S903 에서는 Smin 이 5 ℃ 미만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그렇다고 판단되면 S904 로 처리가 이행되고, 그렇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909 로 처리가 이행된다.
S904 에서는 Smin 이 검출된 좌표 (Pmin : 채널 및 y 좌표의 값) 가 제어부 (30) 내에 기억된다.
다음에, S905 에서는 어느 시간내의 Pmin 에 있어서의 온도상승치 (검출온도의 온도차 : ΔV) 가 검출된다. 이 경우의 어느 시간이란 예컨대 가열실 (10) 의 바닥면 (9a) 전역의 온도가 어느 회수 검출되는 기간을 말하고, 서치회수 카운터부 (32) 의 검출 출력을 기초로 계측할 수 있다. 어느 시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바닥면 (9a) 전역의 온도가 3 회 검출되는 5 초 정도를 들 수 있다.
다음에, S906 에서 ΔV 가 15 ℃ 이상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15 ℃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S907 로 처리가 이행되고, 그렇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리턴한다.
S907 에서는 Pmin 의 위치에 대응하는 방향 (표 1 참조) 에서 보조 안테나(21) 를 정지시키고, S908 에서, S907 에서의 방향에서 보조 안테나 (21) 를 정지시킨 상태와 보조 안테나 (21) 의 회전을 재개시키는 상태를, 5 초 마다 교체하면서 마그네트론 (12) 에 의한 가열동작을 계속시켜 리턴한다. 그럼으로써, 보조 안테나 (21) 를 정지시켜 가열실 (10) 내의 저온의 식품을 집중적으로 가열하는 동시에 보조 안테나 (21) 를 회전시켜 가열실 (10) 전체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Pmin 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당해 복수의 Pmin 의 중앙위치를 다시 Pmin 으로 하여 처리가 속행된다.
또한 여기서 상태의 교체가 5 초라는 바닥면 (9a) 전역의 온도검출이 정수회 실행되는 타이밍으로 되어 있다. 요컨대 전자렌지 (1) 에 있어서, 부재의 제어 타이밍이 적외선 센서 (7) 가 가열실 (10) 전역의 온도검출을 완료하는 타이밍으로 맞춰져 있다. 그럼으로써, 서치회수 카운터부 (32) 에서 1 회로 카운트되는 기간중, 요컨대 도 7 또는 도 9 에서, 시야 (70a) 가 파선에서 실선으로 또는 실선에서 파선으로 한번만 이동되는 기간중, 가열실 (10) 내의 식품에 대한 가열조건이 변경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서치회수 카운터부 (32) 에서 1 회로 카운트되는 기간중에는 가열실 (10) 전역의 온도검출이 동일한 조건에서 실행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도 7 또는 도 9 에서, 시야 (70a) 가 파선에서 실선으로 또는 실선에서 파선으로 한번만 이동되는 태양을 적외선 센서 (7) 에 의한 가열실 (10) 전역의 서치패턴이라고 한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열동작과 관련이 있는 부재의 동작의 제어태양 변경 타이밍은 적외선 센서 (7) 에 의한 가열실 (10) 전역의 서치패턴이 종료 또는개시되는 타이밍으로 맞춰지게 된다. 가열동작과 관련이 있는 부재에는 마그네트론 (12), 회전 안테나 (20), 및 보조 안테나 (21) 가 포함된다.
그리고, S906 에서 ΔV 가 15 ℃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보조 안테나 (21) 가 회전된 채 리턴한다. 이는 ΔV 가 15 ℃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식품이 비교적 큰 것으로 생각되어, 보조 안테나 (21) 의 방향을 고정시켜 국소적인 가열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한편, S909 에서는 바닥면 (9a) 에 있어서의 최대온도 (Smax) 를 추출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
다음에, S910 에서 바닥면 (9a) 에 있어서, Smax 에서 7 ℃ 이내의 온도가 검출된 위치가 있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이 같은 위치가 없었던 것으로 판단되면 리턴하고,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가 S911 로 이행된다. 그리고, 여기서의 판단에서는 Smax 가 검출된 위치의 CH 에 인접하는 CH 는 대상밖으로 된다.
S911 에서는 Smax 에서 7 ℃ 이내의 온도가 검출된 위치 중에서의 최소온도를 추출하고, 당해 최저온도가 검출된 위치를 Pmin 으로 하여 S907 로 처리가 이행된다.
S909 ∼ S911 의 처리에 의해 가열실 (10) 내에 복수개의 식품이 탑재된 경우, 2 번째 이후로 가열되기 쉬운 식품의 위치가 S910 에서 검출되고, 그 중에서 가열 정도가 낮은 것이 S911, S907, S908 의 처리에서 집중적으로 가열되게 된다. 그리고, S910 에서의 판단대상이 Smax 에서 7 ℃ 이내로 되어 있는 이유는 선반온도를 식품이 탑재되어 있는 위치의 온도에 포함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Smax 에서 7 ℃ 를 초과하여 온도가 떨어져 있으면 그 온도는 선반온도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리고, 7 ℃ 는 일례이며, 이 같은 사상을 기초로 한다면 판단대상이 되는 온도범위는 전자렌지 (1) 의 형상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S912 에서는 S901 에서 추출한 Smin 이 5 ℃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5 ℃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S913 으로 처리가 이행되고, 5 ℃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S917 로 처리가 이행된다.
S913 에서는 Smin 이 검출된 위치의 좌표가 제어부 (30) 에 기억된다.
다음에, S914 에서, 가열실 (10) 내에서의 검출온도에 대해 CH1 ∼ CH8 이 존재하였으나, 각 CH 의 y 좌표 1 ∼ 14 에서 적어도 한번은 5 ℃ 이하의 온도가 검출된다는 CH 의 수가 체크된다.
그리고, S915 에서, S914 에서 체크한 CH 의 수가 1 이상 3 이하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이 범위내이면 S916 으로 처리가 이행된다. 한편 이 범위밖이면 그대로 리턴한다.
S916 에서는 S907 과 마찬가지로 Pmin 의 위치에 대응하는 방향 (표 1 참조) 에서 보조 안테나 (21) 를 정지시키고, 또한 S920 에서, S908 과 마찬가지로 보조 안테나 (21) 를 정지시킨 상태 (S916) 와 보조 안테나 (21) 의 회전을 재개시키는 상태를 5 초 마다 교체하면서 마그네트론 (12) 에 의한 가열동작을 계속시키고 리턴한다.
요컨대, S915, S916 및 S920 에서 실행되는 가열실 (10) 내의 특정 장소의집중적인 가열을 포함하는 가열처리는 S913 ∼ S916 및 S920 이 실행될 때의 Smin 과 동일한 온도인 5 ℃ 이하의 온도가 1 이상 3 이하의 CH 에서만 검출된 경우에만 실행되게 된다.
한편, S917 에서는 그 시점에서 검출된 온도와, S1001 (도 17 참조) 에서 검출된 가열개시시의 검출온도를 비교함으로써, 가장 온도상승이 큰 장소의 좌표 (Pmax), 및 상승온도 ΔVmax 가 추출된다.
다음에, S918 에서, ΔVmax 가 7 ℃ 보다 작은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7 ℃ 보다 작은 경우에는 S919 로 처리가 이행된다. 한편, ΔVmax 가 7 ℃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그대로 리턴한다.
S919 에서는 S917 과 마찬가지로, 검출된 온도가 비교됨으로써, 각 장소의 온도상승치가 산출되고, 당해 온도상승치가 7 ℃ 이상으로 된 장소가 존재하는 CH 수가 산출된다. 여기서는 예컨대 CH3 과 CH4 에 7 ℃ 이상의 온도상승을 나타낸 장소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CH 수로서「2」가 산출되는 것이다.
다음에, S915 에서, S919 에서 산출된 CH 수가 1 이상 3 이하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판단결과에 따라 그대로 리턴하거나 S916 으로 처리가 이행된다.
다시, 도 17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S1017 에서는 Smin 이 11 ℃ 이하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그렇다고 판단되면 S1018 로 처리가 이행되고, 그렇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1011 로 처리가 이행된다.
S1018 에서는 Smin 이 5 ℃ 이상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그렇다고 판단되면 S1019 로 처리가 이행되고, 그렇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1022 로 처리가 이행된다.
S1019 에서는 Smin 이 20 ℃ 에 도달하는 것을 기다려 S1020 으로 처리가 이행된다.
S1020 에서는 서치회수 카운터부 (32) 의 카운트치가 체크되고, S1021 에서 당해 카운트치가 11 이상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11 이상이면 S1022 로 처리가 이행되고, 11 미만이면 S1011 로 처리가 이행된다.
S1022 에서는 그 시점에서의 가열실 (10) 전역의 온도검출 결과에 있어서, S1001 에 있어서의 온도검출결과로부터 15 ℃ 이상 온도가 상승한 위치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그 같은 위치가 있는 경우에는 S1011 로 처리가 이행되고, 그 같은 위치가 없는 경우에는 S1023 으로 처리가 이행된다.
S1023 에서는 Smin 이 20 ℃ 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기다려 처리가 S1011 로 이행된다.
S1011 에서는 바닥면 (9a) 위의 어느 한 위치에서 75 ℃ 에 도달한 위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기다려 처리가 S1012 로 이행된다. 여기서, 75 ℃ 는 자동 데우기 코스에 있어서, 가열을 종료시키는 온도이다. 요컨대, 이 코스에서는 식품은 75 ℃ 까지 가열된다.
S1012 에서는 S1011 에서 검출된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서, 70 ℃ 이상의 온도가 검출된 위치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그 같은 위치가 존재하면 S1013 으로 처리가 이행된다. 한편 그 같은 위치가 존재하지 않으면 S1014 로 처리가 이행된다.
S1013 에서는 S1012 에서 검출된 위치에서 검출된 온도가 75 ℃ 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기다려 처리가 S1014 로 이행된다.
S1014 에서는 마그네트론 (12) 에 의한 가열동작이 종료되고, S1015 에서 보조 안테나 (21) 의 회전을「방향 1」(리세트 위치) 에서 정지시켜 리턴한다.
이상 설명한 S1011 ∼ S1014 의 처리에 의해 가열실 (10) 내의 어느 위치의 온도가 75 ℃ 에 도달하고, 당해 위치에 배치된 식품의 가열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 그 밖에 70 ℃ 이상의 온도가 검출되어 있는 위치가 있으면 그 위치의 온도가 75 ℃ 이상으로 되는 것을 기다려 가열동작을 정지시킨다. 그럼으로써 가열실 (10) 내에 복수개의 식품이 배치되어도 가열동작의 정지시기를 모든 식품의 가열이 완료되도록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또한 S1012 의 처리에서는 S1011 에서 검출된 위치 이외의 모든 위치를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S1011 에서 검출된 위치와 동일한 식품에 대해 처리대상으로 하지 않도록, S1011 에서 검출된 위치에 대한 CH 와 동일한 CH 의 위치는 S1012 의 처리 대상밖으로 해도 된다.
3) 스피드 데우기 코스에 있어서의 동작
이하, 스피드 데우기 코스에 대응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 는 도 15 의 스피드 데우기 코스 처리 (S13) 의 서브 루틴의 흐름도이다.
S131 에서는 마그네트론 (12) 에 최대출력으로 가열동작을 개시시켜 보조 안테나 (21) 가 회전되고, 또한 바닥면 (9a) 전역의 온도검출이 개시된다. 다음에, S132 에서는 S1002 (도 17 참조) 와 동일하게 선반온도 (T0) 가 결정된다.
다음에, S133 에서 T0가 40 ℃ 이하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그렇다고 판단되면 S135 로 처리가 이행된다. 한편, 그렇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134 에서, S1004 (도 17 참조) 와 마찬가지로 적외선 센서 (7) 의 검출 출력에 대해 보정이 이루어지는 처리가 행해진 후, S135 로 처리가 이행된다.
S135 에서는 도 18 을 이용하여 설명한 안테나 제어 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안테나 제어 처리가 스피드 데우기 코스의 서브 루틴으로서 실행되었을 때에는 S912 ∼ S920 의 처리에 의해, 스피드 데우기 코스에서는 식품이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영역의 크기 (S914 또는 S919 에서 산출되는 CH 수) 에 따라 식품이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장소에 대한 집중적인 가열을 포함하는 가열제어 (S920) 가 실행되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S915).
다음에, S136 에서, 어느 한 위치의 온도가 75 ℃ 로 되는 것을 기다려 처리가 S137 로 이행된다.
S137 에서는 마그네트론 (12) 에 의한 가열동작을 정지시키는 처리가 이루어지고, 다음에, S138 에서는 보조 안테나 (21) 의 회전을 리세트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처리가 이루어지고 리턴한다.
4) 기호 온도 코스에 있어서의 동작
이하, 기호 온도 코스에 대응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 은 도 16 의 기호 온도 코스 처리 (S17) 의 서브 루틴의 흐름도이다.
우선, S1701 에서, 최대출력으로 가열동작이 개시되고, 보조 안테나 (21) 가 회전되고, 또한 바닥면 (9a) 전역의 온도검출이 개시된다. 다음에, S1702 에서는 S1002 (도 17 참조) 와 마찬가지로 선반온도 (T0) 가 결정된다.
다음에, S1703 에서, T0가 40 ℃ 미만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그렇다고 판단되면 S1705 로 처리가 이행된다. 한편, 그렇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1704 에서, S1004 (도 17 참조) 와 마찬가지로 적외선 센서 (7) 의 검출 출력에 대해 보정이 이루어지는 처리가 이루어진 후, S1705 로 처리가 이행된다.
S1705 에서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 (설정온도 : Sset) 를 제어부 (30) 에 기억시키는 처리가 이루어진다.
다음에, S1706 에서는 Sset 가 10 ℃ 이하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10 ℃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S1707 로 처리가 이행되고, 10 ℃ 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S1714 로 처리가 이행된다.
S1707 에서는 마그네트론 (12) 의 가열출력을 60 W 로 변경하여 가열실 (10) 에 있어서의 온도검출을 속행한다. 그리고, 마그네트론 (12) 의 가열출력이 60 W 로 변경되는 타이밍은 상기한 가열실 (10) 전역의 서치패턴이 개시된 타이밍으로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60 W 라는 가열출력은 마그네트론 (12) 의 최대출력과 비교하면 매우 낮은 출력이다. 다시 말하면 예컨대 냉동식품 등을 10 ℃ 이하의 온도로까지 상승시켜 가열동작을 종료시키는 경우에는, 전자렌지 (1) 에서는 마그네트론 (12) 의 출력을 저하시켜 가열동작이 실행된다.
다음에, S1708 에서는 가열시간의 최대시간 (Tmax) 이 30 분으로 설정된다. 그럼으로써, 적외선 센서 (7) 에 의해 가열실 (10) 내에서 Sset 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지 않아도 30 분이 경과한 시점에서 가열동작이 종료된다.
다음에, S1709 에서 적외선 센서 (7) 가, 시야 (70a) 가 S1701 에서 최저온도 (Smin) 가 검출된 장소에 위치하도록 고정된다.
다음에, S1710 에서는 도 18 을 사용하여 설명한 안테나 제어 처리가 실행된다.
다음에, S1711 에서는 Smin 이 Sset 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기다려 처리가 S1712 로 이행된다. 그리고, Smin 이 Sset 에 도달하기 전에, 가열개시로부터 Tmax 로 설정한 시간이 경과하였을 경우에는 Smin 이 Sset 에 도달하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S1712 로 처리가 이행된다.
S1713 에서는 보조 안테나 (21) 의 회전이 정지되고, 리턴한다.
한편, S1714 에서는 Sset 가 45 ℃ 이하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45 ℃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S1715 로 처리가 이행되고, 45 ℃ 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S1716 으로 처리가 이행된다.
S1715 에서는 마그네트론 (12) 의 출력이 200 W 로 변경되고, 상기 Tmax 가 7 분으로 설정되고, 또한 가열실 (10) 전역의 서치패턴이 개시되어 S1722 로 처리가 이행된다. 그리고, S1715 에 있어서의 출력의 변경, Tmax 의 설정은 서치패턴의 개시 타이밍으로 맞춰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S1716 에서는 Sset 가 90 ℃ 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90 ℃ 이하인것으로 판단되면 S1718 로 처리가 이행된다. 한편, 90 ℃ 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S1725 에서 에러라는 것을 표시하는 처리가 이루어진 후, 리턴한다.
S1718 에서는 마그네트론 (12) 에 의한 최대출력에서의 가열동작이 계속되고, 또한 가열실 (10) 전역의 서치패턴이 개시된다.
다음에, S1719 에서는 Sset 이 80 ℃ 이하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80 ℃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S1720 으로 처리가 이행되고, Tmax 가 7 분으로 설정되어 S1722 로 처리가 이행된다.
한편, S1721 에서는 Tmax 가 11 분으로 설정되어 S1722 로 처리가 이행된다.
S1722 에서는 Smax 가 Sset 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기다려 S1723 으로 처리가 이행된다.
S1723 에서는 마그네트론 (12) 에 의한 가열동작이 정지된 후, 보조 안테나 (21) 의 회전을 리세트 위치에서 정지시키고 리턴한다.
이상 설명한 기호 온도 코스 처리에 있어서, S1706 에서 Sset 가 10 ℃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적외선 센서 (7) 의 시야 (70a) 는 Smin 이 검출된 위치를 포함하도록 고정된다. 이 같은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은 Smin 이 상온보다 낮고, 또한 선반온도에 대해 충분히 저온인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가열기간중에 시야 (70a) 를 이동시키면 Smin 에 크게 오차가 포함되는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요컨대, 이 같은 처리에 의해 전자렌지 (1) 에 있어서, 적외선 센서 (7) 의 검출 출력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회피하게 된다.
5) 근채 코스에 있어서의 동작
이하, 근채 코스에 대응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 은 도 16 의 근채 코스 처리 (S19) 의 서브 루틴의 흐름도이다.
우선, S191 에서는 마그네트론 (12) 에 최대출력으로 가열동작을 개시시켜 보조 안테나 (21) 가 회전되고, 또한 바닥면 (9a) 전역의 온도검출이 개시된다. 다음에, S192 에서는 S1002 (도 17 참조) 와 마찬가지로 선반온도 (T0) 가 결정된다.
다음에, S193 에서, T0가 40 ℃ 미만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그렇다고 판단되면 S195 로 처리가 이행된다. 한편, 그렇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194 에서, S1004 (도 17 참조) 와 마찬가지로 적외선 센서 (7) 의 검출 출력에 대해 보정이 이루어지는 처리가 이루어진 후, S195 로 처리가 이행된다.
S195 에서는 T0가 50 ℃ 이상의 위치가 있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그 같은 위치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면 S196 으로 처리가 이행되어, 그 같은 위치를 금회의 가열조리에 있어서의 온도검출의 대상에서 제외시키도록 설정된 후, 처리가 S197 로 이행된다. 한편, 이 같은 위치가 없었던 것으로 판단되면 그대로 S197 로 처리가 이행된다.
S197 에서는 도 19 을 참조하여 설명한 안테나 제어 처리가 실행된다.
다음에, S198 에서 근채 시퀀스가 실행된 후, 리턴한다.
근채 시퀀스란 가열동작을 속행하면서 다음의 처리를 수행하는 시퀀스이다. 우선 가열개시시로부터 가열실 (10) 내의 어느 한 위치가 80 ℃ 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 (T80) 이 검출된다. 그리고, 가열실 (10) 내의 어느 한 위치가 80 ℃ 에 도달한 후, T80에 소정의 계수를 곱한 시간 만큼, 가열동작을 더 실행하고, 그 후, 가열동작, 보조 안테나 (21) 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근채 시퀀스에 있어서, 어느 한 위치에서도 80 ℃ 에 도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최장 5 분간으로 가열동작은 정지된다.
이상 설명한 근채 코스 처리에서는 S195 에서 T0가 50 ℃ 인 것으로 판단된 위치는 금회의 온도검출의 대상밖으로 된다. 그럼으로써, 직전에 고온의 식품이 탑재되어 있던 장소 등, 미리 고온으로 되어 있던 장소를 현재도 고온의 식품이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 잘못 판단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금회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일 뿐 제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
또한, 금회의 각 코스에서 개시된 기술은 단독으로도, 조합되어도 전자렌지 (1) 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센서 (7) 가 구비하는 적외선 검출소자의 수는 반드시 8 개일 필요는 없으며, 그 이외의 수일 수도 있고, 단수일 수도 있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적외선 센서 (7) 를 양 화살표 (99) 등의 일방향만이 아닌, 2 차원으로, 요컨대 서로 교차하는 2 방향으로 이동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조 안테나 (21) 의 방향을 가열실 (10) 내에서집중적으로 가열하고자 하는 식품의 탑재장소에 따라 방향 1 ∼ 방향 8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정지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집중적으로 가열하고자 하는 식품의 탑재장소는 적외선 센서 (7) 의 검출 출력을 기초로 결정되어 있었다. 단, 집중적으로 가열하고자 하는 식품의 탑재장소는 전자렌지 (1) 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조리시 마다 조작패널 (6) 의 소정 키를 조작해도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렌지는, 마그네트론에 의한 가열동작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 온도검출부가 검출한 가열실내의 최고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부와, 상기 제 1 판단부가 상기 가열실내의 최고온도가 상기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장소 외에, 상기 가열실내에서 상기 소정의 온도보다 낮은 특정 온도 이상에 도달한 장소인 특정 장소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부와, 상기 제 2 판단부가 상기 특정 장소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에, 당해 특정 장소의 온도가 상기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마그네트론의 가열동작을 정지시키는 가열정지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가열실내에 복수개의 식품이 배치된 경우, 당해 복수개의 식품중의 하나만이 아닌 다른 식품도 충분히 가열되는 상태까지 가열동작이 속행되고, 따라서, 전자렌지에 있어서, 동시에 가열실내의 복수의 장소에 식품이 배치된 경우에도 가열을 종료시키는 시기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Claims (8)

  1. 식품을 수용하는 가열실;
    상기 식품을 가열하기 위해 마이크로파를 발진하는 마그네트론;
    상기 가열실내의 복수의 장소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부; 및
    상기 온도검출부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마그네트론의 가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그네트론에 의한 가열동작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 상기 온도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가열실내의 최고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부;
    상기 제 1 판단부가 상기 가열실내의 최고온도가 상기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장소 외에, 상기 가열실내에서, 상기 소정의 온도보다도 낮은 특정 온도 이상에 도달한 장소인 특정 장소가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부; 및
    상기 제 2 판단부가 상기 특정 장소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당해 특정 장소의 온도가 상기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마그네트론의 가열동작을 정지시키는 가열정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검출부와는 별체로 설치되어, 정보를 기억하는 본체측 기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검출부는,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적외선 센서에 부착되어, 당해 적외선 센서의 검출온도를 보정하기 위한 정보를 기억하는 보정정보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처음 동작할 때에, 상기 본체측 기억부에, 상기 보정정보 기억부의 기억내용을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검출부에, 온도검출을 행하는 장소를 소정 패턴으로 반복 변경시켜, 온도검출을 행하게 하는 온도검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그네트론의 가열동작의 기간중의 당해 가열동작에 관련되는 다른 부재에 대한 동작 타이밍을, 상기 온도검출 제어부가 상기 소정 패턴에 따른 온도검출을 선두로부터 실행하는 타이밍에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검출부가 검출한 온도가 어느 범위 이외인 경우에, 당해 온도가 검출된 장소를 식품이 배치되어 있는 장소인 식품배치장소로 결정하는 배치장소 결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온도검출 제어부는, 상기 마그네트론의 가열동작의 기간 중, 상기 식품배치장소의 온도가 상온보다도 낮은 일정 온도를 하회하는 경우에는, 상기 온도검출부에 온도를 검출시키는 장소를 상기 식품배치장소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검출부는, 상기 마그네트론이 가열동작을 개시할 때의, 상기 가열실내의 식품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장소의 온도에 따라, 상기 가열실내의 복수의 장소의 온도에 보정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검출부는, 상기 마그네트론이 가열동작을 개시할 때의, 상기 가열실내의 식품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장소의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열실내의 복수의 장소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그네트론에 의한 가열동작 개시시에, 상기 온도검출부에 의해 일정 온도 이상인 것으로 검출된 장소에 대해서는, 상기 온도검출부의 검출 출력을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검출부가 검출한 온도가 어느 범위 이외인 경우에, 당해 온도가 검출된 장소를 식품이 배치되어 있는 장소인 식품배치장소로 결정하는 배치장소 결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온도검출 제어부는, 상기 마그네트론의 가열동작의 기간 중, 상기 식품배치장소의 온도가 상온보다도 낮은 일정 온도를 하회하는 경우에는, 상기 온도검출부에 온도를 검출시키는 장소를 상기 식품배치장소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KR10-2002-0003634A 2001-02-28 2002-01-22 전자렌지 KR100436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55037A JP2002257351A (ja) 2001-02-28 2001-02-28 電子レンジ
JPJP-P-2001-00055037 2001-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627A true KR20020070627A (ko) 2002-09-10
KR100436324B1 KR100436324B1 (ko) 2004-06-19

Family

ID=18915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634A KR100436324B1 (ko) 2001-02-28 2002-01-22 전자렌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90192B2 (ko)
JP (1) JP2002257351A (ko)
KR (1) KR100436324B1 (ko)
CN (1) CN120111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7015A1 (en) * 2003-03-19 2004-12-09 Wojan Scott A. Beverage and food temperature notification device
JP4521226B2 (ja) * 2004-06-09 2010-08-11 株式会社東芝 電子レンジ
JP4182082B2 (ja) * 2005-04-18 2008-11-1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工作機械
CN103384422B (zh) 2006-02-21 2016-11-09 高知有限公司 电磁加热
US8839527B2 (en) 2006-02-21 2014-09-23 Goji Limited Drying apparatus and methods and accessories for use therewith
US10674570B2 (en) 2006-02-21 2020-06-02 Goji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electromagnetic energy
US8653482B2 (en) 2006-02-21 2014-02-18 Goji Limited RF controlled freezing
JP2007285596A (ja) * 2006-04-17 2007-11-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加熱装置
US20090236334A1 (en) * 2006-07-10 2009-09-24 Rf Dynamics Ltd Food preparation
EP2127481A1 (en) 2007-02-21 2009-12-02 RF Dynamics Ltd. Rf controlled freezing
IL184672A (en) 2007-07-17 2012-10-31 Eran Ben-Shmue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centrating electromagnetic energy on a remotely-located object
US9131543B2 (en) 2007-08-30 2015-09-08 Goji Limited Dynamic impedance matching in RF resonator cavity
EP2566297B1 (en) 2008-11-10 2016-04-27 Goji Limited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ergy
WO2011027963A2 (ko) * 2009-09-01 201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
ES2534411T3 (es) 2009-11-10 2015-04-22 Goji Limited Dispositivo y método para el control de la energía
US9459346B2 (en) * 2010-05-03 2016-10-04 Goji Limited Modal analysis
CN102012050B (zh) * 2010-12-20 2014-06-11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具有智能感应功能的微波炉
EP2469974B1 (en) * 2010-12-21 2017-01-2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s of controlling cooling in a microwave heat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US9585203B2 (en) * 2011-08-04 2017-02-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Microwave heating device
EP2752086B2 (en) * 2011-08-31 2021-12-08 Goji Limited Object processing state sensing using rf radiation
US9538880B2 (en) * 2012-05-09 2017-01-10 Convotherm Elektrogeraete Gmbh Optical quality control system
JP6586274B2 (ja) 2014-01-24 2019-10-0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調理装置、調理方法、調理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調理情報提供方法
WO2016006249A1 (ja) * 2014-07-10 2016-01-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マイクロ波加熱装置
WO2017077695A1 (ja) * 2015-11-05 2017-05-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N105972650A (zh) * 2016-05-05 2016-09-28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低温微波烹饪方法、烹饪系统及微波加热装置
KR102556536B1 (ko) * 2016-09-30 2023-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US11666160B2 (en) 2017-08-24 2023-06-06 Unified Brands, Inc. Method for temperature monitoring and regulation and systems therefor
US11191370B2 (en) 2017-08-24 2021-12-07 Unified Brands, Inc. Temperatur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CN109691860B (zh) * 2017-10-24 2021-07-2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烹饪的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DE102022204877A1 (de) 2022-05-17 2023-11-23 BSH Hausgeräte GmbH Betreiben eines Haushalts-Mikrowellengeräts mit IR-Kamera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5998U (ja) * 1982-06-22 1983-12-2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子レンジ
JPS63285898A (ja) * 1987-05-18 1988-11-22 Toshiba Corp 高周波加熱装置
JPH07103488A (ja) * 1993-10-05 1995-04-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調理装置
EP1220571A2 (en) 1994-10-20 2002-07-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igh frequency heating apparatus
JP2998607B2 (ja) * 1995-09-06 2000-01-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調理装置
CA2229951C (en) * 1997-03-18 2002-05-07 Sanyo Electric Co., Lt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infrared ray sensor
KR100281710B1 (ko) * 1997-12-27 2001-02-15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균일가열장치 및 방법
KR19990065353A (ko) * 1998-01-12 1999-08-05 구자홍 전자 레인지의 부하 가열장치 및 그 방법
JP3672767B2 (ja) * 1999-06-18 2005-07-20 株式会社東芝 電子レンジ
JP3762580B2 (ja) * 1999-08-12 2006-04-05 株式会社東芝 加熱調理器
JP2001304572A (ja) * 2000-04-26 2001-10-31 Sanyo Electric Co Ltd 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1119C (zh) 2005-05-11
CN1373323A (zh) 2002-10-09
US6590192B2 (en) 2003-07-08
JP2002257351A (ja) 2002-09-11
KR100436324B1 (ko) 2004-06-19
US20020158065A1 (en) 200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324B1 (ko) 전자렌지
KR100436325B1 (ko) 전자렌지
KR100474777B1 (ko) 전자 렌지
EP2704525B1 (en) Microwave oven
KR20140030029A (ko)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021066B1 (en) Operating method for a microwave oven
US6376812B2 (en) Cooking appliance with infrared sensor having movable field of view
KR100518445B1 (ko) 전기 오븐의 온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1149959B2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oking apparatus
US12152785B2 (en) Ov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20001883A (ko) 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7015440B2 (en) Microwave ov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6686568B1 (en) Cooking apparatus having heaters
CN102984839A (zh) 烹饪装置
JP3920701B2 (ja) 高周波加熱装置
US11895761B2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265403B1 (ko) 전자렌지의해동제어장치및그방법
US20240155744A1 (en) Heating cooker, computer program, and heating cooking method
KR101074709B1 (ko) 전자레인지 히터 반사판 제어 장치
KR100341328B1 (ko) 전자렌지의 자동조리 제어방법
JP2001357969A (ja) 電子レンジ
JPH10267286A (ja) 加熱調理器
JPH08236268A (ja) 電子レンジ
KR20090003124U (ko) 조리장치
KR20040060340A (ko) 가스오븐레인지 상단에 설치된 전자레인지의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