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살균제 조성물은 휘발성으로서 속효성 살균을 하는 에탄올 20 내지 70중량%; 지효성 살균을 하는 트리클로로산 0.01 내지 2.0중량%; 및 상기 살균 작용을 증강시키는 벤조산 나트륨 0.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균제 조성물은 상기 살균 작용을 지속적으로 증강시키고 동파를 방지하는 농글리세린 1.0 내지 30.0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균제 조성물은, 향료 0.01 내지 1.0중량%, 염료 0.0001 내지 0.1중량% 및 안정제 0.001 내지 0.5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균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는 2Na-EDT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살균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에탄올 20 내지 70중량% 및 벤조산 나트륨 0.01 내지 1.0중량%를 제1용해조에 넣고 혼합 교반하는 제1혼합단계; 트리클로로산 0.01 내지 2.0중량%을 물과 함께 제2용해조에 넣고 혼합 교반하는 제2혼합단계; 및 상기 제1혼합단계에서 형성된 혼합물과 상기 제2혼합단계에서 형성된 혼합물을 혼합 교반하는 제3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균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혼합단계는, 상기 제2용해조에 농글리세린 1.0 내지 30.0중량%를 더 첨가하여 혼합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살균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혼합단계는, 상기 제2용해조에 향료 0.01 내지 1.0중량%, 염료 0.0001 내지 0.1중량% 및 안정제 0.001 내지 0.5중량%를 더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칫솔의 살균방법은, 양치질 이후에,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조성물을, 칫솔에 분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칫솔의 살균방법은, 양치질 이후에,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조성물에 칫솔을 담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칫솔의 살균방법에 있어서, 상기 살균제 조성물은 양치질 이후에 칫솔에 사용되기 직전에 별도의 용기 상에서 희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살균제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칫솔의 살균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살균제 조성물은 주살균제로서 에탄올과 트리클로로산을 포함한다. 에탄올은 휘발성으로 속효성 살균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빠른 시간 내에 미생물 전반에 작용하여 광범위한 살균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이유로 에탄올은 다른 분야에서도 살균제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에탄올 중에서도 가장 살균력이 높은 것은 약 75%의 에탄올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살균제는 입에 직접 대는 칫솔에 사용하는 것이므로 알코올 특유의 냄새를 줄이기 위하여 75%보다는 낮은 에탄올 함량을 갖지만, 낮은 에탄올 함량으로도 우수한 살균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에탄올은 발효 에탄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살균제 조성물이 함유하는 또 다른 주살균제는 트리클로로산이다. 여기서 트리클로로산은 "2, 4, 4-트리클로로-2-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을 말한다. 이는 에탄올과는 달리 지속적인 살균 효과를 나타낸다. 에탄올에 의해 발생하는 순간적으로 강한 살균 효과에 의해 세균이 제거된 후에도, 다시 주위 칫솔이나 공기 중으로부터 세균이 감염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트리클로로산은 다음 번의 칫솔 사용시까지 지속적으로 살균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살균제 조성물은 상기 살균제들 이외에도, 벤조산 나트륨을 포함한다. 벤조산 나트륨은 상기 에탄올 및 트리클로로산의 살균력을 증강시키는 효과가 있다. 벤조산 나트륨은 인체 안전성이 뛰어나므로, 입에 직접 닿는 칫솔을 살균하는 데에 적합하다.
상기 벤조산 나트륨 이외에도 글리세린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리세린 역시 인체에 안전한 물질이다. 글리세린은 상기 주살균제인 에탄올에 비해 상대적으로 휘발도가 낮으므로 지속적인 살균 기능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저온에서의 동파 방지를 가능하게 한다. 동파 방지의 기능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통상전체 조성물 중 약 4중량%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글리세롤은 약 95.0% 이상의 농글리세롤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칫솔을 살균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의한 살균제 조성물을 칫솔에 분무하거나, 그 살균제 조성물에 담그는 것이 바람직하다. 칫솔에 분무하기 위해서는,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살균제 조성물을 5 내지 300ml의 미스트 펌프 또는 트프레이 건 타입의 투명 또는 불투명 용기에 넣어 보관한다. 보관된 살균제 조성물은 양치질 후 사용시 간편하게 분무함으로써 우수한 살균효과를 볼 수 있다. 그렇지않으면, 본 발명에 의한 살균제 조성물에 직접 담금으로써 칫솔을 살균할 수도 있다. 5 내지 300ml의 투명 또는 불투명 용기에 보관된 살균제 조성물을 양치질 한 후에 약간량 덜어서 칫솔을 여기에 직접 담그거나, 약간량 덜어서 이를 별도의 용기 상에서 희석한 후 희석액에 칫솔을 담그는 것도 좋다. 이 때 한 번 사용시 덜어내는 양은 1 내지 20ml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의한 살균제 조성물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서 하기와 같은 실험을 하였다.
실시예
<실시예1>
발효 에탄올 45중량% 및 벤조산 나트륨 0.5중량%를 제1용해조에 투입한 후 스탠드 AGI MIXER를 이용하여 300rpm의 강도로 혼합 교반하였다. 그리고 정제수 54.079중량%, 트리클로로산 0.2중량%, 페파민트 향 0.2중량%, 염료 0.001중량% 및 2Na-EDTA 0.02중량%를 상기 용해조와는 또 다른 별도의 제2용해조에 순차적으로 투입한 다음, 스탠드 AGI MIXER를 이용하여 300rpm의 강도로 교반하였다. 그 후 제2용해조의 내용물을 제1용해조에 투입한 다음 스탠드 AGI MIXER로 300rpm의 강도로 10분간 교반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살균제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실시예1로부터 얻어진 본 발명에 의한 살균제 조성물의 살균 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 견본 OXO0109-GA에 대하여 할로우 존 테스트(Hollow zone Test)를 수행하였다.
1. 실험 대상 균주
(1) 세균 :Staphylococcus aureus(황색포도상구균) KCTC 1916
Escherichia coli(대장균) KCTC 2571
Pseudomonas(녹농균) KCTC 2513
(2) 효모 :Candida albicans(칸디다속) KCTC 7965
(3) 곰팡이 :Aspergillus niger(흑곰팡이) KCTC 6960
2. 실험 방법
KS K 0692-1984(Hallow zone Test)로 항균 가공 직물의 항균성 시험에 준하여 항균성 및 살균성 실험을 하기 단계로 실시하였다.
1)Staphylococcus aureus(황색포도상구균) KCTC 1916,Escherichia coli(대장균) KCTC 2571,Pseudomonas(녹농균) KCTC 2513 및Candida albicans(칸디다속) KCTC 7965를 액체 배지에서 하룻밤 배양한 후 혈구 계수기로 계수하여 균체의 수가 105이 되도록 하였다.
2)Aspergillus niger(흑곰팡이) KCTC 6960를 고체 배지에서 배양한 후 포자를 긁어내어 멸균 증류수에 넣고, 거즈로 여과한 후 상기 1)의 방법으로 계수하여 균체의 수가 105/ml인 포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3) 상기 세균, 효모 및 곰팡이를 멸균 면봉을 이용하여 고체 배지에 고르게 도말하였다. 접종된 미생물의 수는 다음과 같았다.
Staphylococcus aureus(황색포도상구균) KCTC 1916 : 11.0 × 105cfu/ml
Escherichia coli(대장균) KCTC 2571 : 1.68 × 106cfu/ml
Pseudomonas(녹농균) KCTC 2513 : 9.65 × 105cfu/ml
Candida albicans(칸디다속) KCTC 7965 : 6.73 × 105cfu/ml
Aspergillus niger(흑곰팡이) KCTC 6960 : 7.00 × 105cfu/ml
4) 지름 0.8mm의 페이퍼 디스크인 시험편을 상기 세균, 효모 및 곰팡이가 도말된 고체 배지가 담겨진 페트리-디쉬의 정중앙에 위치시키고, 상기 페이퍼 디스크에 본 발명에 의한 살균제 조성물 용액 각각 25㎕ 및 50㎕를 처리하였다.
5) 상기 처리 후, 본 발명에 의한 살균제 조성물에 의해 상기 세균, 효모 및 곰팡이의 생육이 저지됨으로써 형성된 환(Halo)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생육저지환의 크기는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W = T - D/2
W : 실제 세균, 효모 및 곰팡이가 생육하지 않은 부분(실제 생육 저지대)(mm)
T : 시험편을 포함한 전체 생육저지환의 지름(mm)
D : 시험편의 지름(mm)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균주 |
생육 저지대의 크기(mm) |
살균제 25㎕ |
살균제 50㎕ |
1 |
Staphylococcus aureus(황색포도상구균) |
25.2 |
31.8 |
2 |
Escherichia coli(대장균) |
13.2 |
13.8 |
3 |
Pseudomonas(녹농균) |
3.80 |
4.00 |
4 |
Candida albicans(칸디다속) |
1.80 |
7.70 |
5 |
Aspergillus niger(흑곰팡이) |
6.50 |
7.00 |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살균제 조성물이 세균, 특히Staphylococcus aureus(황색포도상구균) 및Escherichia coli(대장균)에 대해 우수한 살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Candida albicans(칸디다속) 및Aspergillus niger(흑곰팡이)에 대해서도 우수한 살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살균제 조성물은 세균 뿐만 아니라, 효모 및 곰팡이에 대해서도 우수한 살균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살균 효과는 살균제 조성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모든 균주에 있어서 살균제의 농도가 25㎕인 경우보다 50㎕인 경우에 살균 효과가 더 우수하였다. 본 실시예1의 결과는 도1 내지 도5의 사진으로도 나타나 있다. 도1 내지 도5에는 살균제로 처리된 시험편의 주변에 미생물이 생육하지 못하고 사멸함으로써 형성된 둥근 환이 나타나있다.
<실시예2>
발효 에탄올 40중량% 및 벤조산 나트륨 0.5중량%를 제1용해조에 투입한 후 스탠드 AGI MIXER를 이용하여 300rpm의 강도로 혼합 교반하였다. 그리고 정제수 48.779중량%, 농글리세린(95.0% 이상) 10.0중량%, 트리클로로산 0.5중량%, 페파민트 향 0.2중량%, 염료 0.001중량% 및 2Na-EDTA 0.02중량%를 상기 용해조와는 또 다른 별도의 제2용해조에 순차적으로 투입한 다음, 스탠드 AGI MIXER를 이용하여 300rpm의 강도로 교반하였다. 그 후 제2용해조의 내용물을 제1용해조에 투입한 다음 스탠드 AGI MIXER로 300rpm의 강도로 10분간 교반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살균제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본 발명에 의한 살균제 조성물을 가지고, 상기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 견본 OXO0109-GB에 대하여 할로우 존 테스트(Hollow zone Test)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균주 |
생육 저지대의 크기(mm) |
살균제 25㎕ |
살균제 50㎕ |
1 |
Staphylococcus aureus(황색포도상구균) |
26.0 |
34.3 |
2 |
Escherichia coli(대장균) |
15.7 |
17.7 |
3 |
Pseudomonas(녹농균) |
4.20 |
5.00 |
4 |
Candida albicans(칸디다속) |
6.50 |
8.50 |
5 |
Aspergillus niger(흑곰팡이) |
6.50 |
8.50 |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2에 따라 제조된 살균제 조성물이 세균, 특히Staphylococcus aureus(황색포도상구균) 및Escherichia coli(대장균)에 대해 우수한 살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Candida albicans(칸디다속) 및Aspergillus niger(흑곰팡이)에 대해서도 우수한 살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살균제 조성물은 세균 뿐만 아니라, 효모 및 곰팡이에 대해서도 우수한 살균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살균 효과는 살균제 조성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모든 균주에 있어서 살균제의 농도가 25㎕인 경우보다 50㎕인 경우에 살균 효과가 더 우수하였다.
본 실시예2의 결과는 도6 내지 도10의 사진에도 나타나 있다. 이 사진들 역시 본 발명에 의한 살균제 조성물이 처리된 시험편 주변에 미생물이 생육하지 못하고 사멸함으로써 형성된 둥근 환이 나타나 있다.
또한 실시예2의 조성물이 상기 실시예1의 조성물보다 상기 모든 미생물에 대해 살균 효과가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실시예2는 발효 에탄올을 실시예1보다 약 5중량% 정도 적게 투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트리클로로산의 0.3중량%의 증량과 농글리세린(95.0중량%) 10중량%가 첨가된 결과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살균제 조성물은 발효 에탄올, 트리클로로산 및 글리세린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험에 더불어, 상기 실시예2에서 제조된 살균제 조성물을 실제 사용중인 칫솔에 적용하였을 때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구강에 특별한 병적 질환이 없는 4명(가, 나, 다 및 라)의 사람을 대상으로 칫솔 4개씩 나누어 주고 각각 3회씩 사용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사용된 각 실험자의 네 칫솔 중 한 칫솔은 대조군으로서 아무 것도 처리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였다. 나머지 세 칫솔은 상기 실시예2에서 제조된 살균제 조성물로 5회 분무처리(약 1cc)한 후 각각 5분(실험군1), 4시간(실험군2) 및 8시간(실험군3)이 경과되도록 하였다. 그 후 각 실험자의 상기 네 칫솔을 각각 식염수 20ml가 함유된 캡 튜브에 넣고 충분히 흔들어주었다. 그 후 캡 튜브 내의 용액 1ml를 9ml의 식염수에 연속 희석하여 희석 단계별로 용액 0.1ml를 고체 배지에 3회 중복 도말하여 배양기에서 약 24 내지 약 48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대조군 및 실험군1에 대해 생균수를 계수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자 |
살균제 처리 |
균수 |
사멸율 |
가 |
대조군 |
4.1 × 103 |
0% |
실험군1 |
0 |
100% |
나 |
대조군 |
4.1 × 103 |
0% |
실험군1 |
0 |
100% |
다 |
대조군 |
4.1 × 103 |
0% |
실험군1 |
0 |
100% |
라 |
대조군 |
4.1 × 103 |
0% |
실험군1 |
0 |
100% |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살균제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네 사람 모두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2에 따른 살균제 조성물의 처리 후 5분 이내에 100%의 살균 효과를 나타냈음을 알 수 있었다. 물론 개인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보통의 정상인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세균 등의 감염은 100%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표 3에는 나타나지 않은 실험군2및 실험군3에 대한 결과는 도11 내지 도14에서 사진으로 나타나 있다. 도11 내지 도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살균제 조성물을 처리한 후 5분, 4시간, 그리고 심지어 8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미생물이 거의 증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살균제 조성물의 처리에 의해 처리 후 5분 이내에 100%의 세균이 살균되는 순간적인 살균력 뿐만 아니라 8시간 이상 지속되는 살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다음 번의 양치질까지 살균 효과가 지속되므로, 양치질 후 본 발명에 의한 살균제 조성물을 분무하거나 살균제 조성물에 담그는 단 한번의 주의로도 우수한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