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60777A - 화상 처리 방법, 화상 처리 장치, 전자기기, 화상 처리프로그램 및 당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방법, 화상 처리 장치, 전자기기, 화상 처리프로그램 및 당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0777A
KR20020060777A KR1020027007138A KR20027007138A KR20020060777A KR 20020060777 A KR20020060777 A KR 20020060777A KR 1020027007138 A KR1020027007138 A KR 1020027007138A KR 20027007138 A KR20027007138 A KR 20027007138A KR 20020060777 A KR20020060777 A KR 20020060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data
gradation
gradation value
specif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1942B1 (ko
Inventor
무라이기요아키
모리야히데쿠니
다케우치쥰
Original Assignee
구사마 사부로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사마 사부로,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사마 사부로
Publication of KR20020060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94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09G5/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using colour palettes, e.g. look-up tab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22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6Reduction of sub-frame artefa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using tables for spatial correction of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2Handling of images in compressed format, e.g. JPEG, MPE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4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dithering
    • G09G3/2051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dithering with use of a spatial dither patter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59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error diffu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45/00Computer graphics processing and selective visual display systems
    • Y10S345/904Display with fail/safe testing fe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컬러 LCD 패널(20)등와 같은 화상 출력 장치에 공급하는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당해 화상 출력 장치의 표시품질의 저하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화상 데이터를, 컬러 LCD 패널(20)에 있어서 표현 가능한 데이터에, 감색·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할 때에, 플리커나 흔들림 등의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에는 변환되지 않거나 또는, 발생 빈도를 저하시킨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방법, 화상 처리 장치, 전자기기, 화상 처리 프로그램 및 당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ELECTRONIC DEVICE,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ED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일반적으로, 휴대전화나 휴대 정보 단말 등의 화상 표시부에는, 흑백 또는 컬러의 액정 표시(LCD :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이 이용되고 있다. 이 LCD 패널에서는,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한 화소에, 계조(階調) 데이터의 계조값에 따라 미리 설정된 구동 전압을 인가하면, 액정의 투과율 또는 반사율이 단계적으로 변화된다. 이 때문에, 화소마다 인가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소망하는 다(多)계조의 화상이 표시 출력되게 된다.
여기서, LCD 패널의 계조 제어에 있어서는, 프레임 추출 구동법(프레임 레이트 제어 구동법이라고도 한다)이 있다. 이 프레임 추출 구동법은 1 프레임으로 본 경우에 실현 가능한 계조를 복수 프레임에 걸쳐 시간적으로 배분함으로써, 1 프레임으로 본 경우에 실현 불가능한 중간 계조를 표현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에 의해, LCD 패널에 있어서(당해 복수 프레임으로 본 경우의) 표현 가능한 계조수가 실질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이 프레임 추출 구동법에서는, 프레임 주파수나, 계조 데이터의 계조값, 보조 광원(백 라이트 등)의 점등 주파수 등의 여러가지의 요인이 겹치면, 소위 플리커(깜박거림)나 흔들림 등의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그 목적은 액정 표시 패널 등의 화상 출력 장치로의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출력되는 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제 1 화상 처리 방법은, 화소의 계조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입력하여, 당해 입력 데이터를 화상 출력 장치의 계조를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특성에 따라서 변환하지만, 당해 입력 데이터가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한 출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특정 계조값에 대응할 때, 그 전부 또는 적어도 그 일부를, 당해 특정 계조값 이외의 계조값을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여, 변환한 계조 데이터를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공급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플리커나 흔들림 등의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가 화상 출력 장치에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또는 저감되기 때문에, 화질의 향상이 도모된다.
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변환은, 상기 입력된 데이터에 의해 지시 가능한 계조수를 상기 계조 데이터에 의해 규정 가능한 계조수로 감소시키는 감색(減色)처리를 수반하는 것으로 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 변환은 감색 처리의 전후에 있어서 단독으로 실행해도 바람직하지만, 감색 처리와 더불어 실행하는 것이 효율 또는 처리속도의 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상기 변환에 있어서 감색 처리를 수반하는 경우, 그 감색 처리는 상기계조 데이터가 동일값으로 집중하지 않도록 분산시키는 의사 중간조 처리(擬似 中間調 處理)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의사 중간조 처리로서는, 디서법(dithering)이나, 변환시에 발생하는 오차를 주변 화소에 배분하는 오차 확산법 등 여러가지 기술이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감색 처리는, 상기 특정 계조값에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의 전부를,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을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변환에서는,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가 화상 출력 장치에 있어서 완전히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화질의 향상 면에서 양호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제 2 화상 처리 방법은, 화소의 계조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와, 당해 입력 데이터를 화상 출력 장치의 계조를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로, 미리 정해진 특성에 따라서 계조수를 감소시키고, 또한, 중간조 표현을 위한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여 변환하지만, 당해 입력 데이터가,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한 출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특정 계조값에 대응할 때, 그 전부 또는 적어도 그 일부를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을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여, 변환한 계조 데이터를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공급하는 수순을 갖는 방법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입력된 데이터가 화상 출력 장치의 출력 가능한 계조로 감소되고, 또한, 플리커나 흔들림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가 화상 출력 장치에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또는 저감되기 때문에, 화질의 향상이 도모된다.
이 방법은 의사 중간조 처리 후에, 처리 데이터가 특정 계조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 1 형태와, 데이터를 의사 중간조 처리하면, 특정 계조값이 될 수 있는지 여부를 사전에 판별하는 제 2 형태의 2가지로 나누어지고, 또한,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특정 계조값을 완전히 회피하는 제 3 형태와, 일부 허용하는 제 4 형태의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조합하면, 총 4개의 형태가 나타나기 때문에, 이들의 형태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당해 입력 데이터에 1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와, 당해 1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가 상기 특정 계조값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의 결과가 부정적이면, 당해 1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를 그대로 계조 데이터로 하는 한편, 상기 판별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당해 1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에 2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를 더 실시하여,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을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 형태는, 상기 제 1 형태와 제 3 형태의 조합에 상당한다. 이 조합에 의하면, 표시상의 불량을 발생시키는 계조가, 인접하는 계조에 의해서 의사적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화질의 향상을 도모한 뒤에, 중간 계조를 원활히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당해 입력 데이터에 1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와, 당해 1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가 상기 특정 계조값이고, 또한 당해 입력 데이터가 상기 특성에 있어서 상기 특정 계조값에 대응하는 범위의 일부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의 결과가 부정적이면, 당해 1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를, 당해 특정 계조값의 출력을 허용하면서, 그대로 계조 데이터로 하는 한편, 상기 판별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당해 1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에 2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를 더 실시하여,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을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이 형태는 상기 제 1 형태와 제 4 형태의 조합에 상당한다. 이 조합에 의하면, 표시상의 불량을 발생시키는 계조가 일부 출력되지만, 그 이외는, 인접하는 계조에 의해서 의사적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중간 계조를 보다 원활히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허용이란,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를 완전히 사용하지 않는 것은 아니고, 일부만 사용한다는 취지이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당해 입력 데이터에 1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면, 당해 특정 계조값으로 변환될 수 있는 범위에 당해 입력 데이터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의 결과가 부정적이면, 당해 입력 데이터에 1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여 계조 데이터로 하는 한편, 상기 판별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당해 입력 데이터에 2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여,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을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이 형태는, 상기 제 2 형태와 제 3 형태의 조합에 상당한다. 이 조합에 의하면, 표시상의 불량을 발생시키는 계조가, 인접하는 계조에 의해서 의사적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화질의 향상을 도모한 후에, 중간 계조를 원활히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당해 입력 데이터에 1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면, 당해 특정 계조값으로 변환될 수 있는 범위의 일부에, 당해 입력 데이터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의 결과가 부정적이면, 당해 입력 데이터에 1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여, 당해 특정 계조값의 출력을 허용하면서, 계조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한편, 상기 판별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당해 입력 데이터에 2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여,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을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이 형태는 상기 제 2 형태와 제 4 형태의 조합에 상당한다. 이 조합에 의하면, 표시상의 불량을 발생시키는 계조가 일부 출력되지만, 그 이외는, 인접하는 계조에 의해서 의사적으로 표현되기 때문에,중간계조를 보다 원활히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방법은, 2 단계의 변환을 수반하는 형태에 의해서도 실현할 수 있다. 즉,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특성 중 상기 특정 계조값에 대응하는 범위 밖의 한쪽을 그대로 하고, 당해 범위의 기울기를 약 절반이라고 하면, 상기 범위밖의 다른 쪽의 특성에 관해서는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수정된 특성에 따라서, 당해 입력 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와, 수정된 특성에 따라서 변환된 데이터에 의사 계조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와, 의사 계조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 중, 당해 특정 계조값 미만에 상당하는 데이터에 관해서는, 그대로 계조 데이터로 하는 한편, 당해 특정 계조값 이상의 계조값에 상당하는 데이터에 관해서는, 계조값을 각각 시프트하여 계조 데이터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이 형태에 의하면, 의사 중간조 처리는, 상기 4종류의 조합과 비교하면, 1 종류로 끝나며, 또한, 변환 내용도 간단하게 끝나기 때문에, 고속 처리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제 3 화상 처리 방법은, 화소의 계조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고, 의사 중간조 처리를 위해 미리 정해진 디서 매트릭스 중 상기 화소의 좌표에 따른 디서값을 당해 입력 데이터에 가산하고, 디서값이 가산된 데이터를,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해서 표현 가능한 계조수로 감색하고, 감색한 데이터가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한 출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특정 계조값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의 결과가 부정적이면, 감색한 데이터를 그대로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출력하는 한편, 상기 판별의 결과가 긍정적이면,감색한 데이터에 상기 디서값과 상기 감색에 따른 값을 가산하고, 당해 가산 결과에 따라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을 규정하는 데이터로 변환하고,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출력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플리커나 흔들림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가 화상 출력 장치에 있어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화질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입력 데이터가 특정 계조값에 상당하는 범위의 중심값에 근접할 때, 의사 중간조 처리에 의해서,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으로, 당해 입력 데이터의 계조값에 따른 확률에 의해 변환되기 때문에, 중간 계조의 재현성이 저하하는 일도 없다. 또한, 두번째 디서값은 첫번째 디서값에, 감색에 따른 값의 가산값이기 때문에, 디서 매트릭스를 복수 준비할 필요도 없어진다.
이 방법에 있어서, 감색한 데이터가 상기 특정 계조값이며, 또한, 당해 입력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특정 계조값에 상당하는 범위에 있고, 당해 범위보다도 좁은 범위에 있을 때에 한하여, 상기 판별의 결과를 긍정적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판별을 변경했을 때에, 판별의 결과가 부정적으로 되면, 특정 계조값이 얼마 안 되지만 출력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제 4 화상 처리 방법은, 화소의 계조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고, 당해 입력 데이터에 디서값을 가산하여, 화상 출력 장치의 표현 가능한 계조수로 감색했을 때에,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한 출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특정 계조값으로 변환될 수 있는 범위에 당해 입력 데이터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의 결과가 부정적이면, 당해입력 데이터에 디서값을 가산하고, 당해 화상 출력 장치의 표현 가능한 계조수로 감색하여,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출력하는 한편, 상기 판별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당해 입력 데이터에, 상기 디서값의 2배의 값과 상기 감색에 따른 값을 가산하여, 당해 가산 결과에 따라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을 규정하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출력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플리커나 흔들림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가 화상 출력 장치에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화질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입력 데이터가 특정 계조값에 상당하는 범위의 중심값에 근접할 때, 의사 중간조 처리에 의해서,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에, 당해 입력 데이터의 계조값에 따른 확률에 의해 변환되기 때문에, 중간 계조의 재현성이 저하하는 일도 없다. 또한, 두번째 디서값은 첫번째 디서값에 감색에 따른 값의 가산값이기 때문에, 디서 매트릭스를 복수 준비할 필요도 없어진다.
또한, 제 3 화상 처리 방법과 제 4 화상 처리 방법은 판별과 의사 중간조 처리의 단계가 상위할 뿐이고, 결과는 동등하다.
제 4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당해 입력 데이터가,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한 출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특정 계조값으로 변환될 수 있는 범위보다도 더 좁은 범위에 있을 때에 한하여, 상기 판별의 결과를 긍정적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판별을 변경했을 때에, 판별의 결과가 부정적으로 되면, 특정 계조값이 얼마 안되지만 출력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제 5, 제 6 및 제 7 화상 처리 방법은 모두, 화소의 계조를 지시하는 입력 데이터에 전(前) 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전 처리된 데이터에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에 후(後) 처리를 실시하여, 화상 출력 장치의 표현 가능한 계조수로 감색하는 점에 있어서 공통이다.
이 중, 제 5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전 처리는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한 출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계조값의 한쪽에 상당하는 중심값으로부터 다른 쪽에 상당하는 중심값까지의 범위를,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계조값의 한쪽에 상당하는 중심값으로부터 당해 특정 계조값에 상당하는 중심값까지의 범위로 압축하고, 상기 후 처리는 상기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가 당해 특정 계조값일 때, 그 계조값을 시프트하여 출력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제 6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전 처리는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한 출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계조값의 한 쪽에 상당하는 중심값으로부터 다른 쪽에 상당하는 중심값까지의 범위를,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계조값의 한 쪽에 상당하는 중심값으로부터 당해 특정 계조값에 상당하는 중심값까지의 범위로 압축하고, 상기 후 처리는 상기 입력 데이터의 계조값이 상기 특정 계조값에 상당하는 중심값을 포함하는 범위에 있고, 상기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가 당해 특정 계조값일 때, 그 계조값을 시프트하여 출력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제 7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전 처리는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한 출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특정 계조값에 상당하는 중심값을 포함하는 범위를,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계조값의 한 쪽에 상당하는 중심값과 당해 특정계조값에 상당하는 중심값과의 중간값을 포함하는 범위로 압축하고, 상기 후 처리는 상기 입력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특정 계조값에 상당하는 중심값을 포함하는 범위에 있고, 상기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가 당해 특정 계조값일 때, 그 계조값을 시프트하여 출력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제 5 화상 처리 방법에 의하면, 플리커나 흔들림 등의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가 화상 출력 장치에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또한, 제 6 및 제 7 화상 처리에 의하면,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가 화상 출력 장치에서 저감되기 때문에, 모두 화질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제 5, 제 6 및 제 7 화상 처리 방법에 의하면, 모두 입력 데이터가 특정 계조값에 상당하는 범위의 중심값에 근접할 때, 의사 중간조 처리에 의해서,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에, 해당 입력 데이터의 계조값에 따른 확률에 의해 변환되기 때문에, 중간 계조의 재현성이 저하하는 일도 없으며, 또한, 제 3 또는 제 4 화상 처리 방법과 같이 복잡한 판별을 수반하지 않기 때문에, 처리의 고속화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제 1 화상 처리 장치는, 화소의 계조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화상 출력 장치의 계조를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특성에 따라서 변환하지만, 당해 입력 데이터가,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한 출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특정 계조값에 대응할 때, 그 전부 또는 적어도 그 일부를, 당해 특정 계조값 이외의 계조값을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한 계조 데이터를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공급하는 변환 회로를 구비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은, 상기 제 1 화상 처리 방법을 장치화한 것에 상당한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플리커나 흔들림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가 화상 출력 장치에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또는 저감되기 때문에, 화질의 향상이 도모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제 2 화상 처리 장치는 화소의 계조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화상 출력 장치의 계조를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특성에 따라서 계조수를 감소시키고, 또한 중간조 표현을 위한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여 변환하지만,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한 출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의 특정 계조값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에 관해서는,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을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고,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공급하는 변환 회로를 구비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은, 상기 제 2 화상 처리 방법을 장치화한 것에 상당한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입력된 데이터를 화상 출력 장치의 출력 가능한 계조로 감소시킬 때에, 플리커나 흔들림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가 화상 출력 장치에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또는 저감되기 때문에, 화질의 향상이 도모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화상 처리 장치와 화상 출력 장치를 갖고,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화소의 계조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당해 화상 출력 장치의 계조를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특성에 따라서 계조수를 감소시키고, 또한, 중간조 표현을 위한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여 변환하지만,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한 출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의 특정 계조값에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에 관해서는,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을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회로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서 변환된 계조 데이터에 따라서, 화상을 출력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리커나 흔들림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가 화상 출력 장치에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또는 저감되기 때문에, 화질의 향상이 도모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프로그램은, 화상 출력 장치에, 당해 화상 출력 장치의 계조를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한 컴퓨터에 대하여, 화소의 계조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상기 계조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특성에 따라서 계조수를 감소시키고, 또한, 중간조 표현을 위한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여 변환하지만,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한 출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의 특정 계조값이 되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에 관해서는,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의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한 계조 데이터를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기능에 의하면, 플리커나 흔들림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가 화상 출력 장치에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또는 저감되기 때문에, 화질의 향상이 도모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화상 출력 장치에, 당해 화상 출력 장치의 계조를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한 컴퓨터에 대하여, 화소의 계조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상기 계조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특성에 따라서 계조수를 감소시키고, 또한 중간조 표현을 위한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여 변환하지만,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한 출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의 특정 계조값이 되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에 관해서는,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의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한 계조 데이터를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화상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기능에 의하면, 플리커나 흔들림 등의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의 사용이 화상 출력 장치에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또는 저감되기 때문에, 화질의 향상이 도모된다.
본 발명은, 액정 표시 패널 등의 화상 출력 장치로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 방법, 화상 처리 장치, 당해 화상 출력 장치를 갖는 전자기기, 당해 화상 처리를 위한 화상 처리 프로그램 및 당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를 실행하는 휴대 전화기 등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동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동 휴대 전화기로 실행되는 화상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동 화상 처리에 있어서 다 계조화 처리에 이용되는 테이블의 내용을나타내는 도표,
도 5는 동 화상 처리에 있어서의 제 1 감색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동 화상 처리에 이용되는 디서 매트릭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동 화상 처리에 있어서의 제 2 감색 처리의 입출력의 할당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제 1 실시예의 제 1 응용예에 따른 화상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동 화상 처리에 있어서의 룩업 테이블의 변환 내용을 나타내는 도표,
도 10은 동 변환내용을 나타내는 톤 곡선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256 계조를 8 계조도 단순히 감색할 때의 할당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제 1 응용예에 있어서의 제 1 감색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제 1 실시예의 제 2 응용예에 따른 화상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4는 동 화상 처리에 있어서이용되는 임계값 테이블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표,
도 15는 제 1 실시예의 제 3 응용예에 따른 화상 처리의 출력의 할당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7은 동 화상 처리에 이용되는 디서 매트릭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a 및 도 18b는 각각 동 화상 처리에 있어서의 입출력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0은 동 화상 처리에 이용되는 디서 매트릭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a 및 도 21b는 각각 동 화상 처리에 있어서의 입출력의 범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동 디서 매트릭스의 요소로서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a 및 도 23b는 각각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4는 동 화상 처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5는 동 화상 처리에 있어서의 전 처리의 변환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동 화상 처리에 있어서의 후 처리의 변환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제 4 실시예의 제 1 응용예에 따른 전 처리의 변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8은 제 4 실시예의 제 2 응용예에 따른 전 처리의 변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9는 제 4 실시예의 제 1 또는 제 2 응용예에 적용되는 후 처리의 변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0은 제 4 실시예의 제 3 응용예에 따른 전 처리의 변환 내용을 도시하는도면, 및
도 31은 제 4 실시예의 제 3 응용예에 따른 후 처리의 변환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우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이 화상 처리 장치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0)는, 컬러 LCD 패널(20)을 구비하며, 복수인 기지국(BS) 중 대응 영역(셀)을 관할하는 기지국(BS)과 통신한다. 기지국(BS)은 이동 통신망(TN)에 접속되어 있다. 이동 통신망(TN)에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SV)도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이동 전화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0)는 컬러 LCD 패널(20), CPU(30), ROM(32), RAM(34), 입력부(36), 무선부(40)를 구비하고, 이들의 각 부는 버스(B)를 거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중, 컬러 LCD 패널(20)은 내부에 구동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컬러 LCD 패널(20)에 대하여 상술하면, 1 도트가 R(적색), G(녹색), B(청색)의 3 색의 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동 회로가 R, G, B의 각 화소를 각각 3, 3, 2 비트의 계조 데이터에 따라서 계조 표시를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컬러 LCD 패널(20)에서는, 1 도트에 대하여 256(= 2(3+3+2)) 색의 컬러 표시가 행해진다.
또한, 컬러 LCD 패널(20)에서는, STN(Super Twisted Namatic)형의 패시브 매트릭스 구동 방식이 채용되고, 또한 프레임 추출 구동법에 의한 계조 표시가 행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컬러 LCD 패널(20)에서는, 화소를 임의의 계조값으로 설정하면, 플리커 등의 표시상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 표시상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을 편의상 특정 계조값이라 한다.
CPU(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종 연산이나 제어 등을 실행하는 주체이며, 또한, ROM(32)은 기본 입출력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고, RAM(34)은 CPU(30)에 의한 제어에 있어서 일시 기억 영역으로서 이용되고, 입력부(36)는 숫자 키패드나 화살표 키 등, 사용자가 각종 입력 조작을 위한 버튼 스위치이다.
한편, 무선부(40)는 CPU(30)의 제어 하에, 음성 정보나, 화상 데이터, 패킷 데이터, 제어 정보 등을 기지국(BS) 외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하고 또한, 수신한 정보나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 구성에 의한 휴대 전화기(10)에서는, 통상의 음성 통화 외에,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여러가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예컨대, 개인 정보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스케쥴이나 주소록, 메모 등을 관리하는 기능이 실현되고, 메일 송수신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다른 단말과 전자메일을 송수신하는 기능이 실현된다. 또한,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서버(SV)가 제공하는 여러 가지 정보를 열람하는 기능도 실현된다.
화상 처리
다음에, 휴대 전화기(10)에 있어서의 CPU(30)에 의해서 실행되는 화상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설명에서는, 예로서, 서버(SV)에서 다운로드한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형식의 화상 데이터를 컬러 LCD 패널(20)의 표시 능력에 적합하도록 처리하는 화상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이 화상 처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화상 처리 프로그램이 기동되면, 우선, 처리 대상이 되는 화상 데이터가 입력되어, RAM(34)에 기억된다(단계 S100).
다음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비트수를 다(多)비트화하는 다계조화 처리가 실행된다(단계 S110). 이 다계조화 처리를 실행하는 이유는, GIF 형성에 의해 취급하는 것이 가능한 색수는 256색(8 비트) 이하이기 때문에, 이 색수를 일단 휴대 전화기(10)의 내부에서 처리 가능한 24 비트까지 확대하기 위해서이다.
이 다계조화 처리는, 실제로는, 도 4에 도시된 테이블을 이용한 변환 처리에 의해서 실행된다. 상세하게는,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따른 테이블이 RAM(34)에 세트되고 또한, 세트된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화상 데이터에 의해서 지시되는 8 비트의 팔렛트 인덱스 컬러(Palette Index Color)가 R, G, B의 각 8 비트(총 24 비트)로 변환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테이블의 내용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가 상위하면, 변환내용도 변경될 수 있다.
다운로드한 화상 데이터로 표시되는 화상의 해상도는, 반드시, 컬러 LCD 패널(20)으로서 표시 가능한 해상도(또는, 당해 브라우저 등에 의해서 미리 정해진 범위의 해상도)인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다계조화 처리된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컬러 LCD 패널(20)의 해상도(또는 지정된 해상도)로 되도록, 해상도 변환 처리가 행해진다(단계 S120).
다음에, 컬러 LCD 패널(20)에서 표시가 행해지는 경우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판독된다(단계 S130). 상술한 바와 같이, 컬러 LCD 패널(20)에서는 R, G, B의 각 화소가 각각 3, 3, 2 비트의 계조 데이터에 따라서 계조 표시를 하기 때문에, R, G에 관해서는 계조값이 [0] 내지 [7]까지의 8 계조에 의해, B에 관해서는 계조값이 [0] 내지 [3]까지의 4 계조에 의해 각각 표시 가능하다. 또한, 본 건의 설명에서는 []의 숫자는 10진 표기로 표시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적으로 256 계조로부터 8 계조로 감색되는 R, G에 대하여, 계조값이 [3]이면, 컬러 LCD 패널(20)에서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S130에서는, 계조값 [3]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판독된다. 또한, 감색 후에는 4 계조로 되는 B에 관해서는, 표시상에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계속해서, 입력된 화상 데이터로 표시되는 화상이 자연화 또는 사진 이미지 등의 자연 화상인지 여부가 판별된다(단계 S140). 이 판별은, 예컨대 당해 화상에서 출현하는 계조수가 일정값 이상인지 여부에 의해서 판별된다. 당해 계조수가일정값 이상이면, 자연 화상인 것으로 판별되어 제 1 감색 처리가 실행되는 한편(단계 S150), 당해 화상의 색수가 일정값 보다도 적으면, 자연 화상이 아닌 것으로 판별되어 제 2 감색 처리가 실행된다(단계 S160).
제 1 감색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 1 감색 처리는 1 화소를 R, G, B의 각 8 비트(각 256 계조)로서 규정하는 화상 데이터를 R, G에 관해서는, 3 비트(각 8 계조)중 표시상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 [3]을 제외한 7 계조로, B에 관해서는 2 비트(4 계조)로, 각각 컬러 LCD 패널(20)에서 표현 가능하도록 감색하는 처리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자연 화상을 감색할 때에, 동일한 계조값으로 집중하여, 부자연한 윤곽모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최초 계조값을 디서 행렬에서 대응하는 임계값과 비교하는 디서법도 더불어 적용한다.
편의상, 처리 대상이 되는 화상 데이터로 표시되는 화상 중, 지정된 화소의 계조를 지시하는 계조값을 DX로 표기하는 한편, 변환된 (감색 후의) 계조 데이터에 있어서의 계조값을 CDX로 표기한다.
통상, 계조값 DX가 [0] 내지 [255]까지의 256 계조를 디서법을 이용하여 8 계조로 할당하기 위해서는, 6개의 임계값 TH1, TH2, TH3,.., TH6(TH1 < TH2 < TH3,.., < TH6)을 이용하여, 256 계조를 7 계조로 나누고, 이 다음, 디서 매트릭스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계조값 CDX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수법으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컬러 LCD 패널(20)에 있어서, R(적색), G(녹색)의 화소가 계조값 [3]의 표시를 행하면, 표시상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계조값 CDX가 [3]으로 되는 변환을 회피해야 한다.
따라서, 제 1 감색 처리에서는, 단계 S130에서 판독된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지정된 화소의 계조값 DX가 [3]에 상당하는 임계값 TH4를 사용하지 않고 또한, 임계값 TH3 이상 임계값 TH5 미만인 데이터에 관해서는, 디서 매트릭스의 임계값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계조값 [3]에 인접하는 [2] 또는 [4]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계조값 CDX가 [3]으로 되는 변환을 회피하는 것으로 했다.
도 5는 이 제 1 감색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제 1 감색 처리는 R, G, B의 각 색에 대하여 각각 실행되지만, 여기서는, R의 데이터에 대하여, 256 계조를 7 계조로 감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디서법에서 이용하는 디서 매트릭스로서는,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4×4의 정방 매트릭스가 이용되고, 후술하는 정규화값 DX’이 디서 매트릭스의 임계값보다도 큰 지 여부에 따라서, 감색 후의 계조값 CDX가 결정된다. 또한, 디서 매트릭스로서는, 도 6에 도시된 매트릭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사이즈의 매트릭스를 이용하더라도 좋고, 임계값의 배열에 관해서도 예컨대 중심으로부터 외측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커지는 매트릭스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도 5에 있어서, 제 1 감색 처리가 시작되면, 자연 화상인 것으로 판별된 화상 데이터가 입력된다(단계 S200).
다음에, 당해 화상 데이터 중 지정된 화소의 계조값 DX가 임계값 TH1미만인지 여부가 판별된다(단계 S210). 계조값 DX가 임계값 TH1 미만이면, 당해 계조값 DX가 디서 매트릭스의 임계값 범위인 [0] 내지 [15]까지의 범위에 해당되도록 정규화되어, 그 정규화값이 DX’로 된다(단계 S212). 예컨대, 임계값 TH1이 [36]인 경우에, 계조값이 [24]이면,
DX’= 15·DX/TH1
에 의해 구해진 결과, 정규화값 DX’은 [10]로 된다.
계속해서, 단계 S212에 있어서의 정규화값 DX’이 디서 매트릭스에 있어서 지정된 화소에 대응하는 임계값 TH보다도 큰 지 여부가 판별된다(단계 S214). 정규화값 DX’이 임계값 TH 미만이면, 지정된 화소의 계조값 CDX를 [0]로 하고(단계 S216), 정규화값 DX’이 임계값 TH보다도 크면, 지정된 화소의 계조값 CDX를 [1]로 한다(단계 S226).
한편, 단계 S210에 있어서 계조값 DX가 임계값 TH1 이상이다고 판별되면, 또한, 계조값 DX가 임계값 TH2 미만인지 여부가 판별된다(단계 S220). 계조값 DX가 임계값 TH2 미만이면, 당해 계조값 DX가, 디서 매트릭스의 임계값 범위에 해당되도록 정규화되어, 그 정규화값이 DX’로 된다(단계 S222). 이 때, 정규화값 DX’은 다음 식에 의해 구해진다.
DX’= 15·(DX-TH1)/(TH2-TH1)
다음에, 단계 S222에 있어서의 정규화값 DX’이 디서 매트릭스에서 지정된 화소에 대응하는 임계값 TH보다도 큰 지 여부가 판별된다(단계 S224). 정규화값 DX’이 임계값 TH 미만이면, 지정된 화소의 계조값 CDX를 [1]로 하고(단계 S226), 정규화값 DX’이 임계값 TH보다도 크면, 지정된 화소의 계조값 CDX를 [2]로 한다(단계 S236).
단계 S220에 있어서 계조값 DX가 임계값 TH2 이상이다고 판별되면, 또한, 당해 계조값 DX가 임계값 TH3 미만인지 여부가 판별된다(단계 S230). 계조값 DX가 임계값 TH3 미만이면, 당해 계조값 DX가 디서 매트릭스의 임계값 범위에 해당되도록 정규화되어, 그 정규화값이 DX’로 된다(단계 S232). 이 때, 정규화값 DX’은 다음 식에 의해 구해진다.
DX’= 15·(DX-TH2)/(TH3-TH2)
다음에, 단계 S232에 있어서의 정규화값 DX’이 디서 매트릭스에 있어서 지정된 화소에 대응하는 임계값 TH보다도 큰 지 여부가 판별된다(단계 S234). 정규화값 DX’이 임계값 TH 미만이면, 지정된 화소의 계조값 CDX를 [2]로 하고(단계 S236), 정규화값 DX’이 임계값 TH보다도 크면, 지정된 화소의 계조값 CDX를 [3]으로 하지 않고, [4]로 한다(단계 S256).
단계 S230에 있어서 계조값 DX가 임계값 TH3 이상이다고 판별되면, 또한, 당해 계조값 DX가 임계값 TH5 미만인지 여부가 판별된다(단계 S250). 계조값 DX가 임계값 TH5 미만이면, 당해 계조값 DX가 디서 매트릭스의 임계값 범위에 해당되도록 정규화되어, 그 정규화값이 DX’로 된다(단계 S252). 이 때, 정규화값 DX’은 다음 식에 의해 구해진다.
DX’= 15·(DX-TH3)/(TH5-TH3)
다음에, 단계 S252에 있어서의 정규화값 DX’이 디서 매트릭스에 있어서 지정된 화소에 대응하는 임계값 TH보다도 큰 지 여부가 판별된다(단계 S254). 정규화값 DX’이 임계값 TH 미만이면, 지정된 화소의 계조값 CDX를 [4]로 하고(단계S256), 정규화값 DX’이 임계값 TH보다도 크면, 지정된 화소의 계조값 CDX를 [5]로 한다(단계 S266).
마찬가지로, 단계 S250에 있어서, 계조값 DX가 임계값 TH5 이상이다고 판별되면, 또한, 당해 계조값 DX가 임계값 TH6 미만인지 여부가 판별된다(단계 S260). 계조값 DX가 임계값 TH6 미만이면, 당해 계조값 DX가 디서 매트릭스의 임계값 범위에 해당되도록 정규화되어, 그 정규화값이 DX’로 된다(단계 S262). 이 때, 정규화값 DX’은 다음 식에 의해 구해진다.
DX’= 15·(DX-TH5)/(TH6-TH5)
다음에, 단계 S262에서의 정규화값 DX’이 디서 매트릭스에 있어서 지정된 화소에 대응하는 임계값 TH 보다도 큰 지 여부가 판별된다(단계 S264). 정규화값 DX’이 임계값 TH 미만이면, 지정된 화소의 계조값 CDX를 [5]로 하고(단계 S266), 정규화값 DX’이 임계값 TH보다도 크면, 지정된 화소의 계조값 CDX를 [6]로 한다(단계 S276).
마찬가지로, 단계 S260에 있어서, 계조값 DX가 임계값 TH6 이상이다고 판별되면, 당해 계조값 DX가 디서 매트릭스의 임계값 범위에 해당되도록 정규화되어, 그 정규화값이 DX’로 된다(단계 S272). 이 때, 정규화값 DX’은 다음 식에 의해 구해진다.
DX’= 15·(DX-TH6)/(255-TH6)
그리고, 단계 S272에 있어서의 정규화값 DX’이 디서 매트릭스에 있어서 지정된 화소에 대응하는 임계값 TH보다도 큰 지 여부가 판별된다(단계 S274). 정규화값 DX’이 임계값 TH 미만이면, 지정된 화소의 계조값 CDX를 [6]로 하고(단계 S276), 정규화값 DX’이 임계값 TH보다도 크면, 지정된 화소의 계조값 CDX를 [7]로 한다(단계 S278).
그리고, 입력된 화상 데이터 중 모든 화소에 대하여 단계 S200에서 단계 S278까지의 처리가 행해졌는지 여부가 판별되고(단계 S280), 당해 판별 결과가 부정적이면, 지정된 화소를 이행시키고, 또한, 전(全) 화소에 대하여 처리를 실행해야 하는 단계를 단계 S200에 되돌리는 한편, 당해 판별 결과가 긍정적이면, R(적색)에 대하여 제 1 감색 처리가 종료한다.
또한, 여기서는 R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R과 마찬가지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G(녹색)에 관해서도, [0]로부터 [7]까지의 8 계조 중 [3]을 제외한 7 계조의 계조값 CDX로 되도록, 마찬가지의 감색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B(청색)에 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상에 불량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통상의 의사 중간조 처리에 의해서, 256 계조로부터 4 계조로 감색된다. 또한, B에 관해서도, 어떤 계조값을 표시하면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면, 당해 계조값을 회피하는 처리를 하면 좋다.
또한, 여기서는 일례로서 디서법을 이용하여 의사적으로 중간조를 재현했지만, 오차 확산법 등 다른 수법을 적용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도 3의 단계 S160에 있어서 실행되는 제 2 감색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해야 할 화상이 자연 화상이 아닐 때, 예컨대, 문자나 선화(線畵) 등의 화상일 때,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계조값의 분포가 치우쳐 있기 때문에, 디서법등의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쪽이 양호한 화질이 얻어진다.
따라서, 제 2 감색 처리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0]으로부터 [255]까지의 256 계조가, [0]로부터 [7]까지의 8계조 중 [3]을 제외한 7 계조로 할당된다. 상세하게는,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 CDX의 [3]에 관해서는 출력되지 않고, 그 대신에, 당해 계조값에 인접하는 [2] 및 [4]의 입력범위가, 예컨대, 각각 [64] 이상 [112]미만, [112] 이상 [160] 미만으로 확대되어 있다(통상으로서는, 입력되는 계조값 DX가 [96] 이상 [128]미만이면, 계조값이 [3]로 되도록 할당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된 화상 데이터로 표시되는 화상이 자연화 또는 사진 이미지 등의 자연 화상인지 여부에 대한 판별 결과에 따라서, 제 1 또는 제 2 감색 처리를 실행하지만, 판별을 행하지 않고, 어느 한 쪽의 감색 처리를 실행해도 좋고, 또한, 해상도 변환에 관해서도 필요 없으면,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계조값 CDX가 [2], [4]로 할당되는 계조값 DX의 범위만을 확대했지만, 예컨대, 계조값 CDX가 [1], [2], [4], [5], [6], [7]로 각각 할당되는 계조값 DX의 범위를 균등화해도 좋다.
이 할당에 의한 변환은 R, G에 대하여 행해진다. B에 관해서는, [0]으로부터 [255]까지의 계조값 DX를 4개의 블럭으로 균등하게 나누고, 각 블럭의 범위를 각각 [0], [1], [2], [3]으로 하는 계조값 CDX에 할당하면 좋다.
제 1 또는 제 2 감색 처리가 완료하면, 감색된 계조 데이터, 즉, R, G에 관해서는, 각각 계조값 CDX [3]이 제외된 7 계조로 규정하고, B에 관해서는 4 계조로규정하는 계조 데이터가 컬러 LCD 패널(20)에 공급되고, 이 계조 데이터에 따른 표시가 컬러 LCD 패널(20)에 행해진다. 이 때문에, 컬러 LCD 패널(20)에 있어서, 플리커나 흔들림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이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표시 화면의 화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 화상 처리는, 컴퓨터에 의한 처리를 포함하고 있는 것에서부터, 이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의 형태와, 당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의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기록 매체로서는, 플렉시블 디스크나 CD-ROM, 광자기디스크, IC 카드 또는 ROM 카트리지 외에, 펀치 카드, 바코드 등의 부호가 인쇄된 인쇄물이나, 컴퓨터의 내부 기억 장치(RAM이나 ROM 등의 메모리), 외부 기억 장치에 의해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여러 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응용예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1 감색 처리에서는, 컬러 LCD 패널(20)에서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을 완전히 제외했지만, 당해 계조값의 발생 빈도를 단지 감소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화질의 저하로 시인될 가능성은 적다. 따라서,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을 완전히 제외하는 것은 아니고, 당해 계조값의 발생 빈도를 감소시킨 제 1, 제 2 및 제 3 응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의 제 1 응용예
제 1 응용예는, 후술하는 톤 곡선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계조값을 보정하여, 당해 계조값으로의 변환을 조금만 허용하는 기술이다. 도 8은 제 1 응용예에 따른 화상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100a 에서 단계 S140a까지는, 도 3에 있어서의 단계 S100 으로부터 단계 S140까지와 동일 내용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단계 S142이후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계 S140a에서, 입력된 화상 데이터가 자연 화상이라고 판정되면, 단계 S130a에서 판독된 계조값, 즉,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따라서, 룩업 테이블이 RAM(34)내에 설정된다(단계 S142). 그리고, 당해 룩업 테이블이 참조되어, 화상 데이터의 계조값 DX가 보정된다(단계 S144).
룩업 테이블의 설정 및 해당 룩업 테이블을 참조한 보정은 R(적색), G(녹색)의 각각에 대하여 실행된다. B(청색)에 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컬러 LCD 패널(20)에 있어서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룩업 테이블의 설정 및 해당 룩업 테이블에 의한 보정을 실행할 필요는 없다. 단, B에 관해서도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가 존재하는 것이면, 실행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여기서, 룩업 테이블의 설정 및 해당 룩업 테이블을 참조한 보정에 대하여, R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9는 R에 대한 룩업 테이블의 변환 내용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0은 이 변환 특성(톤 곡선)이며, 입력측은 보정전의 계조값 DXR을 나타내고, 출력측은 보정후의 계조값 DXr를 나타내고 있다. 모두, 컬러 LCD패널(20)에 있어서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 CDX가 [3]이라고 했을 때의 것이다.
도 10에 있어서의 톤 곡선(La)은, 예컨대, 계조값 DXR[104]의 데이터가 계조값 DXr[96]의 데이터로 보정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톤 곡선(La)에서는, 입력측의 계조값 DXR이, 계조값 CDX가 [3]에 상당하는 p 점보다도 작은 영역에서는, 값이 보다 작은 계조값 DXr로 보정되는 한편, p 점보다도 큰 영역에서는, 값이 보다 큰 계조값 DXr로 보정된다.
또한, 보정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의 특성은 도면에서 일점 쇄선 Lb로 표시되고, 입력측의 계조값 DXR이 그대로 출력측의 계조값 DXr로서 출력된다.
이 톤 곡선에서는, 계조값 DXr이 [96]∼[128]에 분포하는 비율이 감소하지만, 그 만큼, [0]∼[96] 및 [128]∼[255]에 분포하는 비율이 증가한다. 여기서, 계조값 DXr가 [96]∼[128]에 분포하는 비율을 감소시키고 있는 이유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0]∼[255]까지의 256 계조를 8 등분하고, 8개의 영역을 작성하여, 각 영역을 8 계조로 단순히 할당했을 때, 계조값 [3]에 상당하는 영역이 [96]∼[128]에 상당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표시상의 불량이 다른 계조값, 예컨대 계조값 [5]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것이면, 계조값 [5]에 상당하는 [160]∼[192]에 분포하는 비율을 감소시키면 좋다.
즉, 단계 S142에 있어서의 룩업 테이블의 설정은, 단계 S130a에서 판독된 계조값에 상당하는 범위의 분포가 감소하도록, 입출력의 관계를 조작하는 것을 말한다. 단, 입출력의 관계를 조작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미리 계조값에 따른 룩업테이블을 ROM(32) 또는 RAM(34)에 복수로 준비해 두는 한편, 단계 S130a에서 판독된 계조값에 대응하는 테이블을 선택해도 좋다.
또한, 이 예에서는, 톤 곡선을 직선적인 것으로 하고 있지만, 컬러 LCD 패널의 입력/표시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감마 특성을 갖게 하여, 곡선적으로 설정하더라도 좋다.
또한, 룩업 테이블이 아니라, 계조값 DXR을 입력하는 연산·함수에 의해서 구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단계 S144에 있어서 계조값 DXr로 보정되면, 제 1 감색 처리가 실행된다(단계 S150a). 여기서 말하는 제 1 감색 처리에 의해서, 1 화소를 R, G, B의 각 8 비트(각 256 계조)로 규정하는 화상 데이터가 R, G에 관해서는 3 비트(각 8 계조)로, B에 관해서는 2 비트(4 계조)로 각각 감색된다. 해당 제 1 감색 처리에서도, 제 1 실시예와 같이, 디서법이 적용된다.
도 12는 제 1 응용예에 있어서의 제 1 감색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제 1 감색 처리가, 도 5와 상위한 점은, 임계값 TH4이 이용되는 점과, 계조값 CDX를 [3]으로 하는 것(단계 S346)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제 1 응용예에 있어서의 제 1 감색에서도 R, G의 각각에 대하여, 전 화소에 단계 S300로부터 단계 S380까지의 처리가 반복되고, B에 관해서도 전 화소에 대하여 4 계조로 감색되는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단계 S160a에서의 제 2 감색 처리는, 도 3에 있어서의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다.
제 1 또는 제 2 감색 처리가 완료되면, 감색된 계조 데이터가 컬러 LCD 패널(20)에 공급되고, 이 계조 데이터에 따른 표시가 행하여진다. 이 제 1 응용예에 있어서, 제 1 감색 처리가 실행된 경우, R, G에 관해서는, 룩업 테이블에 의해서, 각각 계조값 CDX [3]의 분포가 저감된 8 계조로 규정하고, B에 관해서는 4 계조로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가 컬러 LCD 패널(20)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이 표시되지만, 그 발생 빈도는 낮기 때문에, 표시 화면의 품질의 저하의 문제로 될 때까지 이르지 않고 완료한다.
제 1 실시예의 제 2 응용예
제 1 응용예에서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에 상당하는 범위의 분포를 룩업 테이블 등에 의해서 감소시킨 후에, 제 1 감색 처리를 실행하여, 당해 계조값의 발생 빈도를 저감시켰지만, 룩업 테이블 등을 이용하지 않고, 제 1 감색 처리 내에서의 임계값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 감색 처리 내에서의 임계값을 변경한 제 2 응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제 2 응용예에 따른 화상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100b에서 단계 S140b까지는, 도 3에 있어서의 단계 S100에서 단계 S140까지와 동일 내용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단계 S146 이후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계 S140b에서 입력된 화상 데이터가 자연 화상이라고 판정되면, 단계 S130b에서 판독된 계조값, 즉,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따른 임계값이 임계값 테이블을 참조하여 설정된다(단계 S146).
여기서, 임계값 테이블은 ROM(32)에 고정적으로 기억(또는, 이 화상 처리의 기동 직후에 RAM(34)에 기억)된 것이며, 그 내용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 CDX에 대하여, 도 12에 있어서의 TH1, TH2, TH3,..., TH6으로서 이용하는 임계값의 관계를 규정한다.
도 14에서, 해칭(hatching)되지 않은 임계값 TH1, TH2, TH3,..., TH6은, 도 12에 있어서의 임계값과 동일하다. 또한, 해칭된 임계값은 제 2 응용예에 있어서 특정한 것이며, 당해 계조값 CDX에 상당하는 범위를 좁히기 위해서, TH01 < (TH1) < TH11 < TH21 < (TH2) < TH22 < TH32 < (TH3) < TH33 < TH43 < (TH4) < TH44 < TH54 < (TH5) < TH55 < TH65 < (TH6) < TH66 < TH67의 관계를 갖는다.
이 응용예에서도, 컬러 LCD 패널(20)에 있어서 R(적색), G(녹색)의 화소에 계조값 [3]의 표시를 하면,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하면, 단계 S130에 있어서는 계조값 [3]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판독된다. 이 때문에, 단계 S146에서는, 계조값 CDX [3]에 대응하는 임계값 TH1, TH2, TH33, TH43, TH5, TH6의 각각이, 도 12에 있어서의 임계값 TH1, TH2, TH3,..., TH6으로서 세트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TH3 < TH33 < TH43 < TH4의 관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당해 계조값 CDX [3]에 상당하는 입력 범위가 좁게 된다.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 CDX [5]이면, 임계값 TH1, TH2, TH3, TH4, TH55, TH65의 각각이, 도 12에 있어서의 임계값 TH1, TH2, TH3,..., TH6으로서 세트되어, 당해 계조값 CDX [5]에 상당하는 입력 범위가 좁게 된다.
그리고, 임계값 TH1, TH2, TH3,..., TH6으로서 세트된 임계값을 이용한 제 1 감색 처리가 실행된다(단계 S150b). 한편, 단계 S160b에서의 제 2 감색 처리는, 도 3에 있어서의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제 1 또는 제 2 감색 처리가 완료되면, 감색된 계조 데이터가 컬러 LCD 패널(20)에 공급되어, 이 계조 데이터에 따른 표시가 행해진다. 이 제 2 응용예에 있어서, 제 1 감색 처리가 실행된 경우, R, G에 관해서는, 임계값의 변경에 의해서, 각각 계조값 CDX [3]의 분포가 저감된 8 계조로 규정하고, B에 관해서는 4 계조로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가 컬러 LCD 패널(20)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이 표시되지만, 그 표시 빈도는 낮기 때문에, 표시 화면의 품질의 저하의 문제로 될 때까지 이르지 않고 완료된다.
제 1 실시예의 제 3 응용예
상술한 제 1 및 제 2 응용예에서는, 제 1 감색 처리에 있어서,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 CDX의 발생 빈도를 감소시켰지만, 256 계조의 데이터를 8 계조로 감색할 때의 할당을 변경하여도 좋다. 도 15는 이 할당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 CDX가 [3]으로 출력하는 입력 계조값 DX의 범위가 좁게 되어 있다. 이러한 할당에 의해서도,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의 발생 빈도를 감소시켜서, 표시 품질의 저하를 의식하지 않고 완료한다. 이 응용은, 제 1 감색 처리 및 제 2 감색 처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제 1 실시예에서는, 입력된 화상 데이터가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으로 변환되지 않기 때문에, 또는, 그 발생 빈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컬러 LCD 패널(20)에 의한 표시 품질의 저하에 관해서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 실시예에서는, 컬러 LCD 패널(20)의 계조 특성에 치우침이 발생하여, 중간 계조의 재현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현재화되었다.
이 이유는, 예컨대 256 계조를 8 계조로 감색할 때에 계조값 [3]을 회피하는 것이면, 256 계조에 있어서, 당해 계조값 [3]의 중심에 상당하는 계조값 [112]은, 이상적으로는, 8 계조에서의 계조값 [2] 또는 [4]에, 발생 확률이 거의 50%로 변환되어야 하지만, 제 1 실시예에서는, 디서 매트릭스의 임계값과의 비교 전의 할당(도 5에서는 단계 S210 등, 도 12에서는 단계 S310 등)이나, 톤 곡선에 의한 보정(도 8의 단계 S144)에 의해서, 입력된 화상 데이터는, 본래적으로 갖는 계조값의 정보를 잃은 상태로써(또는, 보정된 상태), 의사 중간조 처리되기 때문에, 이러한 이상적인 변환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결과, 제 1 실시예에서는, 256 계조에 있어서의 계조값 [112]은, 8 계조에 있어서의 계조값 [2] 또는 [4] 중 한 쪽에 치우쳐서 변환되기 때문에, 컬러 LCD 패널(20)에 있어서의 계조 특성의 전체적인 밸런스가 무너진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의 표시를 회피하면서, 중간 계조의 재현성의 악화를 방지한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는, 도 3에 있어서의 단계 S150을 제외하면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모든 화소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기 위한 재귀적 단계나, 필요한 값의 프리셋이나 클리어의 단계에 관해서도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256 계조를 16 계조로 감색하는 경우에 대하여 검토한다.
도 1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중 주요부인 감색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처음에, 자연 화상이라고 판정된 화상 데이터 중 지정된 화소의 계조를 나타내는 데이터 Din(x, y)에 대하여, 일종의 흔들림(fluctuation)을 부여하기 위해서, 디서값 Dither(i, j)가 가산되어, 당해 가산값이 D’(x, y)로 된다(단계 S512). 이 중, 데이터 Din(x, y)은 좌표가 (x, y)인 지정된 화소의 계조를 나타내며, 또한, 디서값 Dither(i, j)는 디서 매트릭스 중 i 행 j 열의 요소값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256 계조를 16 계조로 감색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디서 매트릭스로서, 예컨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4× 4의 매트릭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디서 매트릭스는 비교를 위한 임계값으로서 이용했지만, 제 2 실시예에서는, 계조값에 흔들림을 부여하기 위한 디서값으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양 디서 매트릭스의 성질이 약간 상위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화상 데이터로 표시되는 화상의 왼쪽 위 모퉁이를 기준 좌표 (0,0)로 하고, 또한, X 좌표의 정(正)측을 우측, Y 좌표의 정측을 하측으로 규정한 경우, 좌표(x, y)의 지정된화소에 대응하는 디서값의 배열 i, j는 x, y를 각각 [4]로 나눈나머지(잉여값)로서 정해진다. 예컨대, 지정된 화소의 좌표가 (7, 9)인 경우, i, j는 각각 [3], [1]로 정해지기 때문에, 디서값으로서 1행 3열의 [-2]가 적용된다. 기준 좌표를 (0, 0)으로 하기 때문에, 좌표(7, 9)의 화소는 좌에서부터 순서대로 1, 2, 3,..으로 세면, 8번째, 위에서 순서대로 세면 10번째가 되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다음에, 데이터 Din(x, y)에 디서값 Dither(i, j)가 가산된 데이터 D’(x, y)를 2진 표기하고, 우측으로 4 비트만큼 시프트한 값을 잠정적으로 계조 데이터 Dout(x, y)로 한다(단계 S514). 데이터 D’(x, y)를 우측으로 4 비트만큼 시프트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당해 데이터 D’(x, y)를 [16](10진 표기)으로 나누어서, 256 계조를 16 계조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계 S512, S514에서는, 최초 데이터 Din(x, y)에 디서값 Dither(i, j)를 가산한 후, 256 계조로부터 16계조로 변환한다는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행된다. 이 의사 중간조 처리에 관해서는, 추후의 설명에서 빈번히 인용하기 때문에, 단계 S510으로서 정리한다.
계속해서, 의사 중간조 처리된 계조 데이터 Dout(x, y)가,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 [n], 즉, 이미 단계 S130에서 판독한 계조값 CDX의 데이터와 같은지 여부가 판별된다(단계 S520).
계조 데이터 Dout(x, y)가 당해 계조값 [n]과 같지 않으면, 당해 계조 데이터 Dout(x, y)가 그대로 변환값으로서 출력된다.
한편, 계조 데이터 Dout(x, y)가 당해 계조값 [n]과 같으면, 또한, 단계S530에 정리되는 2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행된다. 이 2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는, 변환전에 포함되는 정보를 고려하여, 당해 계조값 [n]에 서로 인접하는 계조값중 어느 하나로 변환한다는 내용이다.
우선, 상술한 데이터 D’(x, y)를 16으로 나누었을 때의 잉여값에 동일한 디서값 Dither(i, j)를 가산한 후, 당해 가산값에 [-8]를 가산한 값을 데이터 R(x, y)로 하고(단계 S532), 다음에, 해당 데이터 R(x, y)이 [0] 이상인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534). 즉, 단계 S510의 의사 중간조 처리에 있어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 [n]으로 변환되는 데이터 D’(x, y)에 대하여, 다시 디서값 Dither(i, j)를 가산한 값이, 당해 계조값 [n]에 서로 인접하는 값 중 상측의 값에 가까운 것인지 여부가 판별된다.
이 판별 결과가 긍정적이면, 잠정적이던 데이터 Dout(x, y)가 [1]만큼 증가된다(단계 S536). 이것에 의해, 증가한 후의 계조 데이터 Dout(x, y)가 변환값으로서 출력된다.
한편, 이 판별 결과가 부정적이면, 잠정적이던 데이터 Dout(x, y)가 [1]만큼 감소된다(단계 S538). 이것에 의해, 감소된 후의 계조 데이터 Dout(x, y)가 변환값으로서 출력된다.
또한, 여기서는 하나의 화소에 착안하여, 당해 화소의 계조값의 변환 과정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실제로는, 모든 R, G, B의 화소에 대하여 변환된다. 또한, R, G, B중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색이 존재하면, 당해 색에 관해서는, 단계 S510에 있어서의 1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만을 실행하면 좋다.
이러한 화상 처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예컨대, 256 계조를 16 계조로 감색할 때에 계조값 [5]을 회피할 때, 256 계조에 있어서, 당해 계조값 [5]의 중심에 상당하는 계조값은 [88]이다. 따라서, 예 로서 계조값 [88]의 데이터가 어떻게 변환되는 지를 검토한다.
계조값 [88]에, [-8]로부터 [7]까지의 디서값이 가산되면(단계 S510), [80]부터 [95]까지의 범위로 분산된다. 이 범위는 2진 표기로 말하면, 01010000로부터 01011111까지이며, 상위 4 비트의 0101는 10진 표기로 말하면 [5]이기 때문에, 반드시 단계 S530에 있어서의 2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행된다.
여기서, [80]로부터 [95]까지의 범위는 16으로 나눈 나머지가 [0]부터 [15]까지의 범위에 상당한다. 이 나머지에, 다시 단계 S512와 동일한 디서값 [-8]으로부터 [7]까지를 가산한 후에, [-8]을 가산하면, [-16], [-14],..., [-2], [0],..., [12], [14]로 분산된다. 당해 범위 중 [-16]으로부터 [-2]까지의 범위에 관해서는 계조값 [4]의 계조 데이터로 변환되고(단계 S538), [0]로부터 [14]까지의 범위에 관해서는 계조값 [6]의 계조 데이터로 변환된다(단계 S536). 이 때문에, 256 계조에 있어서 계조값 [88]의 데이터는 16계조에 있어서 계조값 [4] 또는 [6]중 어느 하나에, 서로 확률 50%의 비율로 변환된다.
256 계조에 있어서 계조값 [88]에 근접하는 데이터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해서 생각하면, 16계조에 있어서 계조값 [4] 또는 [6]에 당해 데이터의 계조값에 따른 확률로서 변환된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으로의 변환이회피되고, 또한, 당해 계조값 부근의 계조에 관해서는, 당해 계조값에 인접하는 계조값을 이용하여 의사적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중간 계조 특성의 전체적인 밸런스가 무너지는 일도 없다.
또한, 상술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S520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이면, 2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행되지만, 디서 매트릭스에 관해서는 공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당해 디서 매트릭스를 기억하기 위한 영역이 증가하거나, 의사 중간조 처리를 위한 구성이 복잡화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디서 매트릭스를 공용하는 것이 아니고, 단계 S512에서 이용하는 디서 매트릭스의 디서값을 각각 [-8]만큼 가산한 디서 매트릭스를 별도 준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서 매트릭스를 2개 준비하면, 단계 S532의 연산에 있어서의 [-8]의 가산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실시예의 응용
상술한 제 2 실시예에서는, 1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단계 S510) 후에, 당해 처리에 의한 계조 데이터 Dout(x, y)가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인지 여부를 판별하고(단계 S520), 이 판별 결과가 긍정적일 때에 한하여, 2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단계 S530)를 실행하고, 당해 계조값에 인접하는 계조값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 처리에 대하여 도 18a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1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에 의해 감색된 계조값이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 [n]으로 되는 범위(도면에서는 파선으로 표시)에서만 2회째의 의사 중간 계조 처리가 실행되는 한편, 그 이외의 범위(도면에서는 실선으로 표시)에서는 2회째의 의사중간조 계조 처리가 실행되지 않고, 1회째의 의사 중간 계조 처리에 의한 계조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 [n]이 완전히 제외되지만,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응용예와 같이, 당해 계조값 [n]의 발생 빈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화질의 저하로서 시인될 가능성은 적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당해 계조값 [n]의 발생 빈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단계 S520에 있어서의 판별 내용을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변경하면 좋다.
즉, 감색한 후의 잠정적인 계조 데이터 Dout(x, y)가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 [n]과 같고, 또한, 입력 데이터 Din(x, y)의 계조값이 [16n + a] 이상 [16(n + 1) - a]미만의 범위 H에 포함되는 지 여부를 판별하면 좋다. 여기서, 범위 H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6계조에 있어서의 계조값 [n]에 상당하는 범위보다도 좁은 범위이며, 또한, [a]은 정의 값이고, 여유도(또는 용장도)를 나타낸다.
데이터 Din(x, y)의 계조값이 [16n] 이상 [16n+a]미만의 범위에 있을 때, 당해 데이터 Din(x, y)에 대하여 1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단계 S510)가 실시되면, 그 계조값은 [n-1] 또는 [n]로 되지만, 변경 후의 단계 S520에 따르면, 판별 결과가 부정적으로 된다. 이 때문에, 당해 계조값 [n]이 출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데이터 Din(x, y)의 계조값이 [16(n+1)-a] 이상 [16(n+1)]미만의 범위에 있을 때, 당해 데이터 Din(x, y)에 대하여 1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단계 S510)가 실시되면, 그 계조값은 [n] 또는 [n+1]로 되지만, 변경 후의 단계 S520에 따르면, 판별 결과가 부정적으로 된다. 이 때문에, 당해 계조값 [n]이 출력될 수 있다.
단, 계조값 [n]이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것은, 변경 후의 단계 S520의 판별 결과가 부정적으로 되는 상기 2예로 한정된다. 범위 H에 있는 데이터 Din(x, y)에 대하여, 1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단계 S510)가 실시되고, 그 잠정적인 계조값이 [n]일 때, 변경 후의 단계 S520에 따르면, 판별 결과가 긍정적으로 되기 때문에, 2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단계 S530)가 실행되고, 그 결과, 그 계조값은 최종적으로 [n-1]또는 [n+ 1]로 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단계 S520에 있어서의 판별 내용을 변경하면, 계조값 [n]이 출력되지만, 그 발생 빈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여기서, 단계 S520에 있어서의 판별 내용을 변경했을 때에, 계조값 [n]이 출력되는 빈도가 높으면, 여유도 [a]를 보다 작게 설정하면 좋다. 여유도 [a]를 작게 하면, 범위 H가 넓게 되고, 그 결과, 계조값 [n]의 발생 빈도가 저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계 S520에 있어서의 판별 내용을 변경하고, 또한, 여유도 [a]를 적절히 설정하면, 표시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중간 계조 특성의 전체적인 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3 실시예
상술한 제 2 실시예에서는, 1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단계 S510) 후에, 당해 처리에 의한 계조 데이터 Dout(x, y)가, 표시상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인 지 여부를 판별하고(단계 S520), 이 판별 결과가 긍정적일 때에 한하여, 2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단계 S530)를 실행하고, 당해 계조값에 인접하는 계조값 중 어느 하나로 변환했다.
이 변환 내용과 동등한 결과에 관해서는, 2 종류의 의사 중간조 처리를 준비해 두고, 입력된 데이터 Din(x, y)의 계조값의 판별에 따라서, 어느 하나의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를 이행하는 것에 의해서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에, 이러한 단계를 이행하는 제 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는, 도 3에 있어서의 단계 S150을 제외하면 동일하기 때문에, 그 동일 부분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또한 간략화하기 위해서, 모든 화소에 대하여 처리를 하기 위한 재귀적 단계나, 필요한 값의 프리셋 또는 클리어의 단계에 관해서도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 제 3 실시예에서는,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256 계조를 16 계조로 감색하는 경우에 대하여 검토한다.
도 19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중 주요부인 감색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처음에, 자연 화상이라고 판정된 화상 데이터 중 지정된 화소의 데이터 Din(x, y)의 계조값이, 의사 중간조 처리(A)를 실행한 경우에, 불량이 발생하는 계조값 [n]으로 변환될 수 있는 범위에 있는 지 여부가 판별된다(단계 S 610).
여기서, 16 계조에 있어서의 계조값 [n]은,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56계조에 있어서의 계조값이 [16n] 이상 [16(n+1)]미만의 범위에 상당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의사 중간조 처리(A)를,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1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와 마찬가지로 하면, 도 17에 도시된 디서 매트릭스의 디서값의 최대값은 [+7]이며, 최소값은 [-8]이기 때문에, 계조값이 [16n-7] 이상 [16(n+1)+8] 미만의 범위 J에 있으면, 의사 중간조 처리(A)에 의해서, 계조값 [n]으로 변환될 가능성이 있다. 즉, 단계 S610에서는, 데이터 Din(x, y)의 계조값이 [16n-7] 이상 [16(n+1)+8] 미만인지 여부가 판별된다.
데이터 Din(x, y)의 계조값이 당해 범위 J에 없으면, 의사 중간조 처리(A)에 의해서 계조값 [n]으로 변환될 가능성이 0이기 때문에, 단계 S510에 있어서, 실제로 의사 중간조 처리(A)가 실행되어, 그 처리 결과가 출력된다. 또한, 이 의사 중간조 처리(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1회째의 의사 중간 처리와 동일 내용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데이터 Din(x, y)의 계조값이 당해 범위 J에 있으면, 의사 중간조 처리(A)에서는, 계조값 [n]으로 변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것을 회피해야 하는 의사 중간조 처리(B)가 실행된다(단계 S620).
이 의사 중간조 처리(B)에서는, 우선, 데이터 Din(x, y)에 디서값 Dither 2(i, j)가 가산되어, 당해 가산값이 데이터 D2’(x, y)로 된다(단계 S622).
다음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 [n]이 기수인지 여부가 판별된다(단계 S624).
여기서, 당해 계조값 [n]이 기수일 때, 데이터 D2’(x, y)를 2진 표기하여,우측으로 5 비트만큼 시프트한 후, 좌측으로 1 비트만큼 시프트한 값을 계조 데이터 Dout(x, y)로 한다(단계 S626).
한편, 당해 계조값 [n]이 우수일 때, 데이터 D2’(x, y)부터 [16]을 감산한 값을 2진 표기하여, 우측으로 5 비트만큼 시프트한 후에, 좌측으로 1 비트만큼 시프트하여, 당해 시프트 값을 [1]만큼 증가시켜서, 계조 데이터 Dout(x, y)로 한다(단계 S628).
이 의사 중간조 처리(B)에 있어서의 각 처리의 의미 내용에 대하여 상술한다. 이 의사 중간조 처리(B)는 256 계조로 표시되는 계조 데이터 Din(x, y)을 16계조에 있어서의 본래 계조값 [n]이 아니라, 이것에 인접하는 [n-1] 또는 [n+ 1]에 중간조 처리를 수반하여 변환하는 처리이다.
이 처리에 대하여, 생각을 바꾸면, 256 계조의 데이터 Din(x, y)에, 8 계조로 변환하기 위한 디서값을 가산한 값을 구하여, 해당 가산값에 따라서 8 계조로 변환했다고 가정하고, 다음에, 8 계조로 감색한 계조값이, 16 계조에 있어서, 어떤 계조값에 상당한 지에 대한 처리와 실질적으로 같다.
이 처리에 있어서, 8 계조로 감색한 계조값이, 16계조 중 어떤 계조값에 상당한 지를 구하는 경우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 [n]이 기수인지 우수인지에 따라 나누어서 생각할 필요가 있다. 즉, 계조값 [n]이 기수일 때, 우수인 계조값 [n-1] 또는 [n+1]로 변환하면 좋고, 계조값 [n]이 우수일 때, 기수인 계조값 [n-1] 또는 [n+1]로 변환하면 좋다.
예컨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 [n]이 기수 [5]일 때, 256 계조에 있어서의 계조값 [80] 이상 [96]미만에 있는 데이터에, 8계조로 변환하기 위한 디서값을 가산했을 때, 해당 가산값은, 8 계조에 있어서의 계조값 [2] 및 [3]에 상당하는 범위로 확산한다. 만약에 해당 가산값이 계조값 [2]에 상당하는 범위이면, 해당 가산값을 16 계조의 계조값 [4]로 변환하면 좋고, 해당 가산값이 계조값 [3]에 상당하는 범위이면, 해당 가산값을 16 계조의 계조값 [6]으로 변환하면 좋다.
한편,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 [n]이 우수, 예컨대 [8]일 때, 256 계조에 있어서의 계조값 [128] 이상 [144] 미만에 있는 데이터에, 8 계조로 변환하기 위한 디서값을 가산했을 때, 해당 가산값은, 8 계조에 있어서의 계조값 [3] 및 [4]에 상당하는 범위로 확산한다(실제로는, 도 20에 도시된 디서 매트릭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당해 범위로 확산되지 않지만, 단계 S628에 있어서 가산값으로부터 [16] 만큼 감산되기 때문에, 당해 범위로 확산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안전하다). 만약에 해당 가산값이 계조값 [3]에 상당하는 범위이면, 해당 가산값을 16 계조의 계조값 [7]로 변환하면 좋고, 해당 가산값이 계조값 [4]에 상당하는 범위이면, 해당 가산값을 16 계조의 계조값 [9]으로 변환하면 좋다.
여기서, 256 계조를 단순히 8 계조로 변환하는 것이면, 디서 매트릭스의 디서값을 2배로 하면 좋다. 단, 8 계조 변환과 16 계조 변환을 혼재시켜서 생각할 때, 8 계조의 중심과 16 계조의 중심과의 엇갈림을 고려해야 한다.
예컨대, 도 22에 있어서, 16 계조에 있어서의 계조값 [8]의 중심은, 256 계조에 있어서의 계조값 [136]이지만, 8 계조에 있어서의 계조값 [4]의 중심은 256계조에 있어서의 계조값 [144]이며, 양자는 [8]만큼 상위하다.
따라서, 16 계조 변환에 이용되는 디서값을, 8 계조 변환에도 이용하는 경우에는, 디서값을 2배로 하여 [8]만큼 가산하면 좋다. 의사 중간조 처리(B)에 이용되는 디서 매트릭스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고, 그 디서값 Dither2 (x, y)는, 도 17에 도시된 디서 매트릭스의 디서값 Dither(x, y)를 2배로 하여 [8]만큼 가산한 값으로 되어 있다.
단계 S622는, 데이터 Din(x, y)에 대하여, 256 계조를 8 계조로 감색하기 위한 디서값 Dither2 (x, y)를 가산하여, 당해 가산값의 데이터 D2’(x, y)를 구하는 처리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 [n]이 기수인 경우, 256 계조의 데이터 D2’(x, y)를, 16 계조에 있어서 우수의 계조값 [n-1] 또는 [n+1]로 변환하지만, 해당 변환은, 데이터 D2’(x, y)를 2진 표기하여, 상위 3 비트를 추출하고, 또한, 최하위 비트를 강제적으로 (0)으로 하면 좋다. 단계 S626은, 이 변환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 [n]이 우수인 경우, 256 계조의 데이터 D2’(x, y)를, 16 계조에 있어서 기수의 계조값 [n-1] 또는 [n+1]로 변환하지만, 해당 변환은, 데이터 D2’(x, y)를 2진 표기하여, 상위 3 비트를 추출하고, 또한, 최하위 비트를 강제적으로 (1)으로 하면 좋다. 단계 S628은 이 변환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제 3 실시예에서는, 지정된 화소의 데이터 Din(x, y)의 계조값이, 의사 중간조 처리(A)에 의한 실행에 의해서 불량이 발생하는 계조값 [n]로 변환될 가능성이 0이면, 실제로, 의사 중간조 처리(A)가 실행되어, 당해 처리 결과가 출력되는 한편, 지정된 화소의 데이터 Din(x, y)의 계조값이, 의사 중간조 처리(A)에 의한 실행에 의해서 불량이 발생 계조값 [n]으로 변환될 가능성이 있으면, 대신에 의사 중간조 처리(B)가 실행되고, 계조값 [n-1] 또는 계조값 [n+1]이 출력된다.
따라서,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으로의 변환이 회피되고, 또한, 당해 계조값 부근의 계조에 관해서는, 당해 계조값에 인접하는 계조값을 이용하여 의사적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중간 계조 특성의 전체적인 밸런스가 무너지는 일도 없다.
또한, 상술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S512에 있어서의 디서 매트릭스(도 17참조)와 단계 S622에 있어서의 디서 매트릭스(도 20참조)는 얼핏보아서는 다르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디서값 Dither2 (x, y)는 디서값 Dither(x, y)를 2배 하여 [8]만큼 가산한 값이기 때문에, 한 쪽의 디서 매트릭스는 다른 쪽의 디서 매트릭스로부터 연산하여 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디서 매트릭스는 하나로 끝나기 때문에, 디서 매트릭스를 기억하기 위한 영역이 증가하거나, 의사 중간조 처리를 위한 구성이 복잡화하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단계 S628에서는, 데이터 D2’(x, y)부터 [16]을 감산하고 있지만, 단계 S622에 이용하는 디서 매트릭스의 디서값을 각각 [16]만큼 감산한 디서 매트릭스를 별도로 준비해도 좋다.
제 3 실시예의 응용
상술한 제 3 실시예에서는, 감색 처리시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 [n]으로의 변환이 완전히 회피되어, 그 발생율이 0으로 되지만, 상술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응용예와 같이, 당해 계조값 [n]의 발생 빈도를 작게 억제해도 좋다. 계조값 [n]으로의 변환이 행해지더라도, 그 확률이 작으면, 화질의 저하로서 시인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당해 계조값 [n]의 발생 빈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단계 S610에 있어서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으로 되는 범위 J를,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좁게하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입력 데이터 Din(x,y)의 계조값이 [16n-7+a] 이상 [16(n+1)+8-a] 미만의 범위 J’에 포함될 때만, 의사 중간조 처리(B)를 실행하면 좋다.
이와 같이 단계 S610의 판별 내용을 변경하면, 데이터 Din(x, y)의 계조값이 [16n-7] 이상 [16n-7+a] 미만의 범위 K1에 있을 때, 단계 S510의 의사 중간조 처리(A)가 실행되기 때문에, 단계 S512에 있어서 가산되는 디서값 Dither(i, j)에 의해서는, 계조값 [n]이 출력될 가능성이 있다(디서값 Dither(i, j)에 의해서는, 계조값 [n]이 출력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마찬가지로, 데이터 Din(x, y)의 계조값이 [16(n+1)+8-a] 이상 [16(n+1)+8] 미만의 범위 K2에 있을 때, 단계 S510의 의사 중간조 처리(A)가 실행되기 때문에, 가산되는 디서값 Dither(i, j)에 의해서는, 계조값 [n]이 출력될 가능성이 있다.
단, 계조값 [n]이 출력되는 것은, 데이터 Din(x, y)의 계조값이 범위 K1 또는 K2에 있고, 디서값 Dither(i, j)의 가산에 의해서, 데이터 D’(x, y)가 [16n] 이상 [16(n+1)] 미만으로 될 때문이기 때문에, 그 발생확률은 작다. 또한, 계조값 [n]의 발생 확률은, 제 2 실시예의 응용예와 마찬가지로, 여유도 [a]에 의해서 조정 가능하다.
따라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도, 단계 S610에 있어서의 판별 내용을 변경하고, 또한, 여유도 [a]를 적절히 설정하면, 표시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중간 계조 특성의 전체적인 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실시예와 제 3 실시예의 관계
제 2 실시예에서는, 입력된 데이터 Din(x, y)의 계조값을 판별하지 않고, 1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행하여, 그 결과가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 [a]일 때에 한해서, 2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행하고, 2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에 이용하는 디서값은 실질적으로, 1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에 이용하는 디서값을 오프셋하는 관계에 있다.
여기서, 1회째 및 2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행하는 것은, 제 2 실시예의 의사 중간 처리(B)를 실행하는 것, 즉, 2배의 디서값을 가산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결국,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에서는, 의사 중간 처리의 단계만 상위할 뿐이고, 알고리즘적으로는 동일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의 결과는 완전히 동일하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는, 디서값의 가산 회수가 제 3 실시예보다도 많아지지만, 계조값 [n]이 기수인지 우수인지의 판별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여러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어느 하나를 결정하면 좋다.
제 4 실시예
상술한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으로의 변환이 회피되고, 또한, 중간 계조 특성의 밸런스가 무너지는 것이 방지된다. 단, 제 2 실시예에서는, 1회째의 의사 중간 처리 후에, 처리 후의 데이터 Dout(x, y)를 판별해야 하고(단계 S520), 제 3 실시예에서는, 의사 중간 처리 (A) 또는 (B) 전에, 입력된 데이터 Din(x, y)을 판별해야 한다(단계 S610). 이 때문에, 화상 처리에 필요한 시간이 그 만큼 장기화되는 것이 걱정된다.
따라서, 표시상의 불량을 계조의 표시의 회피와 중간 계조가 양호한 재현성을 확보한 후에, 고속 처리가 기대될 수 있는 제 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 4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는, 도 2에 있어서의 단계 S150을 제외하면 동일하기 때문에, 그 동일 부분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간략화하기 위해서, 모든 화소에 대하여 처리를 하기 위한 재귀적 단계나, 필요한 값의 프리셋이나 클리어의 단계에 관해서도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 제 4 실시예에서는, 제 2 및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256 계조를 16 계조로 감색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는, 개략하면, 첫번째로,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값을, 예컨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일종의 전 처리를 실행하고, 두번째로, 당해 전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에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행하고, 세번째로, 당해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의 계조값을 예컨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일종의 후 처리를 실행하여, 당해 후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를 출력한다는 내용이다.
우선, 제 4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3a는 상기 전 처리에 있어서의 입출력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3b는 상기 전 처리, 디서 처리(의사 중간조 처리) 및 후 처리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 입력의 계조값 [N]은 16 계조에 있어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 [n]에 상당하는 범위에 있고, 256 계조의 중심값이다. 이 때문에, 입력의 계조값 [N-16], [N+16]의 각각은, 각각 16 계조에 있어서의 계조값 [n-1], [n+1]에 상당하는 범위에 있고, 256 계조의 중심값이 된다.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처리에서는, 입력 데이터의 계조값이 [N-16] 미만까지의 범위 S1일 때, 당해 계조값이 그대로 완전히 변환되고, 입력 데이터의 계조값이 [N-16] 이상으로부터 계조값 [N+16] 미만까지의 범위 T1일 때, 계조값 [N-16] 이상으로부터 계조값 [N] 미만까지의 범위로, 기울기를 절반으로하여 변환되고, 입력 데이터의 계조값이 [N+16] 이상의 범위 S2일 때, 당해 계조값을 [16]만큼 감산한 값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계조값 [n]에 상당하는 범위의 중심값을 256 계조로서 나타내는 계조값 [N]은, 도 23a 또는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 처리에 의해서 계조값 [{(N-16)+ N}/2]으로 변환된다.
다음에, 전 처리에 의해서 변환된 데이터에, 256 계조를 16 계조로 감색하는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시된다. 이 의사 중간조 처리는, 예컨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1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단계 S510)와 동일한 내용이라고 한다.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조값 [N-16]에 당해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면, 당해 계조값에 상당하는 계조값 [n-1]으로 변환된다. 256 계조에 있어서의 계조값 [N-16]은 16 계조에 있어서의 계조값 [n-1]에 상당하는 범위의 중심값이기 때문에, [-8]로부터 [7]까지의 어떠한 디서값 Dither(i, j)가 가산되었다고 해도, 변환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전 처리된 계조값 [N]에 당해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면, 당해 계조값에 상당하는 계조값 [n]으로 잠정적으로 변환된다.
단, 계조값[{(N-16)+N}/2]에 당해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면, 계조값 [n-1] 또는 [n]으로, 각각 확률 50%의 비율로 변환된다. 계조값 [{(N-16)+N}/2]은 16 계조에 있어서의 계조값 [n-1]에 상당하는 범위의 중심값과 계조값 [n]에 상당하는 범위의 중심값과의 중간값, 즉, 계조값 [n]에 상당하는 범위와 [n-1]에 상당하는 범위와의 경계값이기 때문에, [0] 미만의 디서값이 가산되면, 계조값 [n-1]에 [0] 이상의 디서값이 가산되면, 계조값 [n]으로 각각 변환되기 때문이다.
또한, 의사 중간조 처리 직후에서의 계조값 [n]은 잠정적이다.
여기서, 계조값 [n]의 출력은 회피해야 하고, 또한, 의사 중간조 처리에 의해서 계조값 [n] 이상이 되는 값은, 원래 256 계조에 있어서 [N+16] 이상의 범위에 있어서의 계조값을 [16]만큼 감산한 값에 상당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본래의 값과 정합시킬 필요도 있다.
이 때문에, 후 처리에서는, 의사 중간조 처리에 의해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계조값 [n-1] 이하 일 때, 당해 계조값을 그대로 출력하는 한편, 의사 중간조 처리에 의해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계조값 [n] 이상일 때, 당해 계조값을 [1]만큼 증가시키는 처리가 실행된다.
즉, 후 처리에서는, 의사 중간조 처리 후의 계조값이 [n-1] 이하 일 때는, 그대로 출력되는 한편, 의사 중간조 처리 후의 잠정적인 계조값이 [n] 이상이면, [1]만큼 증가되어, 당해 증가값이 출력된다.
이 때문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 [n]의 출력이 회피된다.
다음에, 이러한 원리에 근거하는 화상 처리의 구체적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이 화상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처음에, 자연 화상이라고 판정된 화상 데이터 중 지정된 화소의 데이터 Din(x, y)가 상기 전 처리에 따른 내용으로 변환되고, 데이터 Din’(x, y)로서 출력된다(단계 S710). 또한, 도 24의 단계 S710에서는, 상술한 전 처리의 변환 내용이 데이터 Din(x, y)을 입력으로 하는 함수 F1로서 표시된다.
이러한 변환은, 상기 전 처리의 내용에 적합하는 것이면, 수단은 문제되지 않는다. 예컨대, 데이터 Din(x, y)의 계조값이 도 23a에서의 범위 S1, T1, S2 중 어느 하나에 있는 지를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에 따른 연산에 의해 구해짐으로써, 상기 전 처리에 따른 변환을 달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 [n]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판독한 후에, 256 계조에 있어서의 계조값과 당해계조값에 대응한 변환값과의 관계를 미리 규정한 룩업 테이블을 RAM(34)에 작성하고, 입력된 데이터 Din(x, y)에 대응하는 값을 출력함으로써, 상기 전 처리에 따른 변환을 달성하더라도 좋다.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는 경우에, 예컨대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이 예컨대 [5]일 때, 당해 룩업 테이블의 입출력 특성은 도 2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된다.
다음에, 전 처리된 데이터 Din’(x, y)에,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시되고, 당해 처리 데이터가 데이터 Dout’(x, y)로서 잠정적으로 출력된다(단계 S510). 또한, 이 의사 중간조 처리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1회째의 의사 중간조 처리와 마찬가지다.
그리고,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 Dout’(x, y)가 상기 후 처리에 따른 내용으로서 변환되고, 데이터 Dout(x, y)로서 출력된다(단계 S720). 또한, 도 24의 단계 S720에서는, 상술한 후처리의 변환내용이 데이터 Dout’(x, y)를 입력으로 하는 함수 F2로서 표시된다.
이러한 변환은, 상기 후 처리의 내용에 적합한 것이면, 수단은 문제되지 않는다. 예컨대, 데이터 Dout’(x, y)가 계조값 [n] 이상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가 부정적이면, 데이터 Dout’(x, y)를 그대로 데이터 Dout(x, y)로서 출력하는 한편, 그 판별 결과가 긍정적이면, 데이터 Dout’(x, y)를 [1]만큼 증가시키고, 당해 증가값을 데이터 Dout(x, y)로서 출력함으로써, 상기 후 처리에 따른 변환을 달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 [n]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판독한 후에, 16 계조에 있어서의 계조값과 당해 계조값에 대응한 변환값과의 관계를 미리 규정한 룩업 테이블을 RAM(34)에 작성하고, 입력된 데이터 Dout’(x, y)에 대응하는 값을 출력함으로써, 상기 후 변환에 따른 변환을 달성하더라도 좋다.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는 경우에, 예컨대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이 예컨대 [5]일 때, 당해 룩업 테이블의 입출력 특성은 도 2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된다.
이러한 화상 처리에 의하면, 256 계조를 16 계조로 감색하는 경우에, 예컨대 계조값 [5]을 회피할 때, 256 계조에 있어서 당해 계조값 [5]의 중심에 상당하는 계조값 [88](도 25참조)은 단계 S710에 있어서의 전 처리에 의해서, 계조값 [80]으로 변환된다.
단계 S510에 있어서의 의사 중간조 처리에 있어서, 계조값 [80]에 대하여, [-8]로부터 [7]까지의 디서값 중 [0]미만의 값이 가산될 때, 16 계조에 있어서의 계조값 [4]로 변환되는 한편, [0] 이상의 값이 가산될 때, 16 계조에 있어서의 계조값 [5]로 변환된다. 이 때문에, 256 계조에 있어서의 계조값 [88]의 데이터는, 16 계조에 있어서의 계조값 [4] 또는 [5] 중 어느 하나에, 서로 확률 50%의 비율로 변환된다.
단, 이 중 계조값 [5]은, 단계 S720에 있어서의 후 처리에 의해서, 계조값 [6]로 증가되기 때문에, 결국, 256 계조에 있어서의 계조값 [88]은, 제 2 실시예와 같이, 16 계조에 있어서의 계조값 [4] 또는 [6] 중 어느 하나로, 서로 확률 50%의 비율로 변환된다.
256 계조에 있어서 계조값 [88]에 근접하는 데이터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해서 생각하면, 16 계조에 있어서 계조값 [4] 또는 [6]으로, 당해 데이터의 계조값에 따라 확률에 의해 변환된다.
따라서, 제 4 실시예에 의하면,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으로의 변환이 회피되고, 또한, 당해 계조값 부근의 계조에 관해서는, 당해 계조값에 인접하는 계조값을 이용하여 의사적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중간 계조 특성의 밸런스가 무너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 4 실시예에 의하면, 의사 중간조 처리 이외의 처리는 전 처리 및 후 처리뿐이며, 모두 상술한 바와 같이, 룩업 테이블을 이용(또는, 간단한 연산)하는 것만에 의해 달성되기 때문에, 제 2 실시예나 제 3 실시예와 비교하면, 고속 처리가 가능해진다.
제 4 실시예의 응용예
상술한 제 3 실시예에서는, 감색 처리시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 [n]으로의 변환이 완전히 회피되지만, 상술한 제 2,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응용예와 같이 당해 계조값 [n]의 발생 빈도를 작게 억제하더라도, 화질의 저하로서 시인되기 어렵다.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당해 계조값 [n]의 발생 빈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후 처리에 따른 변환 내용을 3개 준비하고, 또한, 입력되는 데이터 Din(x, y)의 값에 따라서, 어느 하나를 적용하면 좋다.
상세하게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데이터 Din(x, y)가 계조값[N-16+a] 미만까지의 범위 S3인지, 계조값 [N-16+a] 이상으로부터 계조값 [N+16-a] 미만까지의 범위 T2인지, 또는, 계조값 [N+16-a] 이상의 범위 T4 인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입력된 데이터 Din(x, y)가 범위 S3, T2, S4일 때, 의사 중간조 처리 후의 데이터에 대한 후 처리로서, 각각 도 29에 도시된 변환 내용을 적용한다. 이 변환 내용은 후 처리의 입력값(즉, 의사 중간조 처리 직후의 계조값)이 계조값 [n-1] 및 [n]만 서로 상위하고, 그 이외는 공통이다.
이 예로 말하면, 입력된 데이터 Din(x, y)로 나타내진 계조값이 [N-16] 이상 [N-16+a] 미만이고, 디서값과의 가산값이 [16n] 이상으로 된 경우와, 데이터 Din(x, y)로 나타내진 계조값이 [N+16-a] 이상 [N+16] 미만이고, 디서값과의 가산값이 [16(n+1)] 미만인 경우의 2개의 경우만, 계조값 [n]으로 변환되기 때문에, 그 발생확률은 작다. 또한, 계조값 [n]의 발생 확률은 제 2 및 제 3 실시예의 응용예와 마찬가지로, 여유도 [a]에 의해서 조정 가능하다.
따라서, 이 예에 있어서, 여유도 [a]를 적절히 설정하면, 표시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중간 계조 특성의 전체적인 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입력된 데이터 Din(x, y)로 나타낸 계조값이 [N-16] 이상 [N-16+a] 미만인 경우와, [N+16-a] 이상 [N+16] 미만인 경우에 대해서는, 전 처리에 의해서, 기울기를 절반으로 한 특성에 따라서 변환한 후에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게 되기 때문에, 기울기가 [1]인 특성에 따라서 변환한 후에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한 데이터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경우에 상당하는 범위에 대하여, 기울기 [1]하여,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제 4 실시예에서는,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이 하나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2개 이상인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계조값 [5] 및 [11]에 있어서 불량이 발생하였을 때, 전 처리에 따른 변환 내용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또한, 후 처리에 따른 변환 내용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상세하게는, 도 30에 도시된 전 처리에 따른 변환 특성에서는, 원칙으로서 기울기가 [1]이지만, 예외로서, 입력된 데이터 Din(x, y)가 계조값 [5]에 인접하는 한 쪽의 계조값 [4]에 상당하는 범위의 중심값으로부터 다른 쪽의 계조값 [6]에 상당하는 범위의 중심값까지의 범위와, 계조값 [11]에 인접하는 한 쪽의 계조값 [10]에 상당하는 범위의 중심값으로부터 다른 쪽의 계조값 [12]에 상당하는 범위의 중심값까지의 범위에 있어서, 기울기가 절반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1에 도시된 후 처리는, 입력되는 데이터 Dout’(x, y)의 계조값이 [0]로부터 [4]까지일 때, 당해 데이터 Dout’(x, y)를 데이터 Dout(x, y)로서 그대로 출력하고, 데이터 Dout’(x, y)의 계조값이 [5]로부터 [9]까지일 때, 당해 데이터 Dout’(x, y)를 [1]만큼 증가시키고, 당해 증가값을 데이터 Dout(x, y)로서 출력하고, 데이터 Dout’(x, y)의 계조값이 [10]로부터 [15]까지일 때, 당해 데이터 Dout’(x, y)를 [1]만큼 증가시킨 후에, 또한 [1]만큼 증가시켜, 당해 증가값을 데이터 Dout(x, y)로서 출력하는 변환 내용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4 실시예에서는, 전 처리의 변환 특성에 있어서의 기울기를 원칙적으로[1]의 직선으로 했지만, 감마 특성 등을 고려한 곡선하여도 좋다. 변환 특성을 곡선으로 하는 경우에는, 예외 부분의 기울기를 절반이라고 하고 또한, 변환 특성의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변환 특성(할당)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인 관점에서, 원칙으로 원점을 통과하는 기울기 [1]의 직선으로서 설명했다.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이 2 레벨 이상이더라도 좋은 점은, 상술한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예의 정리
여기까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하등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취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의 응용 및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화상 처리를 휴대 전화기에 적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휴대 정보 단말이나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 화상을 계조 표시하는 컬러 또는 흑백 LCD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또한, 화상 출력 장치는 LCD 패널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C(청록색), M(자홍색), Y(황색), Bk(흑색) 등의 잉크를 분사하여 계조 화상을 형성하는 잉크젯 프린터에 있어서도, 어떤 특정한 계조값에 있어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잉크의 입경과 분사 회수를 조합하여, 분사하는 잉크량의 제어가 행하여지지만, 어떤 특정한 계조를 표현할 때, 상기 조합이 적당하지 않은 등의 이유에 의해서 잉크 방울이 이상한 형상이 되어, 표시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잉크젯 프린터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를 적용하면,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을 표현하지 않고도 완료되므로, 또는, 당해 계조값의 발생 확률이 저하하기 때문에, 당해 잉크젯 프린터에 의해서 출력되는 화질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상 출력 장치로서는, 화소의 계조를 지시하는 계조 데이터에 따라서 화상을 표시나 형성 등을 행하는 장치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이 때문에, 화상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와, 화상의 표시나 형성 등을 행하는 장치는 동체일 필요가 없이, 독립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서버(SV)에서 다운로드한 화상 데이터에는, LCD 패널 등의 화상 출력 장치에 적합하여, 이미 감색 처리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 [n]을 약 50%의 확률로서 계조값 [n-1], [n+1]로 하면 좋다.
또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이, 예컨대 [n], [n+1]로 연속할 때에는, 이것에 인접하는 계조값 [n-1], [n+2]의 발생 확률을, 최초의 계조값에 따라 배분하면 좋다.
또한, 화상 처리의 주체는 본 발명에서는 문제되지 않는다. 예컨대, 서버(SV)이더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기(10)가 서버(SV)에서 화상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전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을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서버(SV)에 미리 송신해 두고, 서버(SV)가 휴대 전화기(10)에 배신(配信)해야 할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본 건의 화상 처리를 실행하여,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를 당해 휴대 전화기(10)가 다운로드한다고 하여도 좋다. 또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을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로서는, 당해 계조값을 직접 나타내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서버(SV)에서 휴대 전화기의 기종과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값과의 관계를 미리 기억해 두는 것이면, 당해 기종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예컨대, 화상 처리의 주체는 이동 통신망(TN)에 접속된 별도의 컴퓨터이더라도 좋다. 즉, 화상 데이터가, 당해 컴퓨터로부터 서버(SV)를 경유하여 휴대 전화기에 배신되는 것이면, 화상 처리의 주체는 당해 컴퓨터이더라도 좋고, 서버(SV) 이더라도 좋다.

Claims (22)

  1. 화소의 계조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고,
    당해 입력 데이터를, 화상 출력 장치의 계조를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특성에 따라서 변환하되,
    당해 입력 데이터가,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한 출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특정 계조값에 대응할 때, 그 전부 또는 적어도 그 일부를, 당해 특정 계조값이외의 계조값을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여, 변환한 계조 데이터를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은,
    상기 입력된 데이터에 의해 지시 가능한 계조수를, 상기 계조 데이터에 의해 규정 가능한 계조수로 감소시키는 감색(減色) 처리를 수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색 처리는,
    상기 계조 데이터가, 동일값에 집중하지 않도록 분산시키는 의사 중간조(中間調)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색 처리는,
    상기 특정 계조값에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의 전부를,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을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5. 화소의 계조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와,
    당해 입력 데이터를, 화상 출력 장치의 계조를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특성에 따라서 계조수를 감소시키고, 또한, 중간조 표현을 위한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여 변환하되,
    당해 입력 데이터가,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한 출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특정 계조값에 대응할 때, 그 전부 또는 적어도 그 일부를,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을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여, 변환한 계조 데이터를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공급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당해 입력 데이터에 제 1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와,
    당해 제 1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가, 상기 특정 계조값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의 결과가 부정적이면, 당해 제 1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를 그대로 계조 데이터로 하는 한편,
    상기 판별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당해 제 1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에 제 2 의사 중간조 처리를 더 실시하여,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을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당해 입력 데이터에 제 1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와,
    당해 제 1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가 상기 특정 계조값이고, 또한, 당해 입력 데이터가, 상기 특성에 있어서 상기 특정 계조값에 대응하는 범위의 일부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의 결과가 부정적이면, 당해 제 1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를, 당해 특정 계조값의 출력을 허용하면서, 그대로 계조 데이터로 하는 한편,
    상기 판별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당해 제 1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에 제 2 의사 중간조 처리를 더 실시하여,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을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당해 입력 데이터에 제 1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면, 당해 특정 계조값으로 변환될 수 있는 범위에 당해 입력 데이터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의 결과가 부정적이면, 당해 입력 데이터에 제 1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여 계조 데이터로 하는 한편,
    상기 판별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당해 입력 데이터에 제 2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여,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을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당해 입력 데이터에 제 1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면, 당해 특정 계조값으로 변환될 수 있는 범위의 일부에, 당해 입력 데이터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의 결과가 부정적이면, 당해 입력 데이터에 제 1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여, 당해 특정 계조값의 출력을 허용하면서, 계조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한편,
    상기 판별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당해 입력 데이터에 제 2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여,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을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특성중, 상기 특정 계조값에 대응하는 범위 외의 한쪽을 그대로 하고, 당해 범위의 기울기를 대략 절반으로 하고, 또한, 상기 범위 외의 다른쪽의 특성에 대해서는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수정된 특성에 따라서, 당해 입력 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와,
    수정된 특성에 따라서 변환된 데이터에 의사 계조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와,
    의사 계조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 중, 당해 특정 계조값 미만에 상당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그대로 계조 데이터로 하는 한편, 당해 특정 계조값 이상의 계조값에 상당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계조값을 각각 시프트하여 계조 데이터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1. 화소의 계조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고,
    의사 중간조 처리를 위해 미리 정해진 디서 메트릭스(dither matrix) 중, 상기 화소의 좌표에 따른 디서값을, 당해 입력 데이터에 가산하고,
    디서값이 가산된 데이터를,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해서 표현 가능한 계조수로 감색하고,
    감색한 데이터가,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한 출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특정 계조값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의 결과가 부정적이면, 감색한 데이터를, 그대로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출력하는 한편,
    상기 판별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감색한 데이터에 상기 디서값과 상기 감색에 따른 값을 가산하여, 당해 가산 결과에 따라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을 규정하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감색한 데이터가 상기 특정 계조값이며, 또한, 당해 입력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특정 계조값에 상당하는 범위에 있고, 당해 범위보다도 좁은 범위에 있을 때에 한하여, 상기 판별의 결과를 긍정적이라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3. 화소의 계조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고,
    당해 입력 데이터에 디서값을 가산하여, 화상 출력 장치의 표현 가능한 계조수로 감색했을 때에,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한 출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특정 계조값으로 변환될 수 있는 범위에 당해 입력 데이터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의 결과가 부정적이면, 당해 입력 데이터에 디서값을 가산하여, 당해 화상 출력 장치의 표현 가능한 계조수로 감색하여,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출력하는 한편,
    상기 판별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당해 입력 데이터에, 상기 디서값의 2배의 값과 상기 감색에 따른 값을 가산하고, 당해 가산 결과에 따라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을 규정하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당해 입력 데이터가,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한 출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특정 계조값으로 변환될 수 있는 범위보다도 더 좁은 범위에 있을 때에 한하여, 상기 판별의 결과를 긍정적이라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5. 화소의 계조를 지시하는 입력 데이터에 전(前) 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전 처리된 데이터에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에 후(後) 처리를 실시하여, 화상 출력 장치의 표현 가능한 계조수로 감색하는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 처리는,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한 출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계조값의 한쪽에 상당하는 중심값으로부터 다른 쪽에 상당하는 중심값까지의 범위를,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계조값의 한 쪽에 상당하는 중심값으로부터 당해 특정 계조값에 상당하는 중심값까지의 범위로 압축하고,
    상기 후 처리는,
    상기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가 당해 특정 계조값일 때, 그 계조값을 시프트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6. 화소의 계조를 지시하는 입력 데이터에 전 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전 처리된 데이터에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에 후 처리를 실시하여, 화상 출력 장치의 표현 가능한 계조수로 감색하는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 처리는,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한 출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계조값의 한 쪽에 상당하는 중심값으로부터 다른 쪽에 상당하는 중심값까지의 범위를,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계조값의 한 쪽에 상당하는 중심값으로부터 당해 특정 계조값에 상당하는 중심값까지의 범위로 압축하고,
    상기 후 처리는,
    상기 입력 데이터의 계조값이 상기 특정 계조값에 상당하는 중심값을 포함하는 범위에 있고, 상기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가 당해 특정 계조값일 때, 그 계조값을 시프트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7. 화소의 계조를 지시하는 입력 데이터에 전 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전 처리된 데이터에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에 후 처리를 실시하여, 화상 출력 장치의 표현 가능한 계조수로 감색하는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 처리는,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한 출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특정 계조값에 상당하는 중심값을 포함하는 범위를,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계조값의 한 쪽에 상당하는 중심값과 당해 특정 계조값에 상당하는 중심값과의 중간값을 포함하는 범위로 압축하고,
    상기 후 처리는,
    상기 입력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특정 계조값에 상당하는 중심값을 포함하는 범위에 있고, 상기 의사 중간조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가 당해 특정 계조값일 때, 그 계조값을 시프트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8. 화소의 계조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화상 출력 장치의 계조를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특성에 따라서 변환하되, 당해 입력 데이터가,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한 출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특정 계조값에 대응할 때, 그 전부 또는 적어도 그 일부를, 당해 특정 계조값 이외의 계조값을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여, 변환한 계조 데이터를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공급하는 변환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9. 화소의 계조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화상 출력 장치의 계조를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특성에 따라서 계조수를 감소시키고 또한, 중간조 표현을 위한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여 변환하되,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한 출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의 특정 계조값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는,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을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여,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공급하는 변환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0. 화상 처리 장치와 화상 출력 장치를 갖고,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화소의 계조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당해 화상 출력 장치의 계조를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특성에 따라서 계조수를 감소시키고 또한, 중간조 표현을 위한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여 변환하되,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한 출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의 특정 계조값에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는,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을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회로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서 변환된 계조 데이터에 따라서, 화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1. 화상 출력 장치에, 당해 화상 출력 장치의 계조를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한 컴퓨터에 대하여,
    화소의 계조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상기 계조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특성에 따라서 계조수를 감소시키고 또한, 중간조 표현을 위한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여 변환하되,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한 출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의 특정 계조값으로 되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는,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의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여, 변환한 계조 데이터를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화상 처리 프로그램.
  22. 화상 출력 장치에, 당해 화상 출력 장치의 계조를 규정하는 계조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한 컴퓨터에 대하여,
    화소의 계조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상기 계조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특성에 따라서 계조수를 감소시키고 또한, 중간조 표현을 위한 의사 중간조 처리를 실시하여 변환하되,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한 출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계조의 특정 계조값으로 되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는, 당해 특정 계조값에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값의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여, 변환한 계조 데이터를 당해 화상 출력 장치에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화상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2-7007138A 2000-10-03 2001-09-28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4919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03744 2000-10-03
JPJP-P-2000-00303744 2000-10-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777A true KR20020060777A (ko) 2002-07-18
KR100491942B1 KR100491942B1 (ko) 2005-05-30

Family

ID=18784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138A Expired - Lifetime KR100491942B1 (ko) 2000-10-03 2001-09-28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02879B2 (ko)
EP (1) EP1324305A4 (ko)
JP (1) JP3870899B2 (ko)
KR (1) KR100491942B1 (ko)
CN (1) CN1185616C (ko)
TW (1) TWI238368B (ko)
WO (1) WO20020297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4127B2 (ja) * 2002-03-08 2008-03-1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復号装置
KR100490405B1 (ko) * 2002-07-02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팅 시스템에 있어서 이미지의 색상 조정방법 및 이를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0520298B1 (ko) * 2003-07-26 2005-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더링 방법 및 디더링 장치
WO2005022524A2 (en) * 2003-08-26 2005-03-10 Communication Synergy Technologies Llc Content preservation
JP4103740B2 (ja) * 2003-09-10 2008-06-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05086785A (ja) * 2003-09-11 2005-03-31 Brother Ind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0612304B1 (ko) * 2004-05-18 2006-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EP1630772A1 (en) * 2004-08-25 2006-03-01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device for dithering
EP1630773A1 (en) * 2004-08-25 2006-03-01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device for dithering
JP4768344B2 (ja) * 2005-05-11 2011-09-07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CN100552753C (zh) * 2005-05-11 2009-10-21 株式会社日立显示器 显示装置
US7551179B2 (en) * 2005-08-10 2009-06-23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adjusting method
JP4484806B2 (ja) * 2005-11-30 2010-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システム、記録方法、ホスト装置、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JP5070709B2 (ja) * 2006-02-09 2012-1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制御回路及びその方法
US7777708B2 (en) 2006-09-21 2010-08-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Cross-talk correction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ATE486345T1 (de) * 2006-09-21 2010-11-15 Research In Motion Ltd Verfahren zur korrektur des übersprechens in flüssigkristallanzeigen
GB2447088A (en) 2007-03-02 2008-09-03 Forth Dimension Displays Ltd Method for adjusting a digital display signal to overcome non-ideal pixel switching distortion
JP2011061501A (ja) * 2009-09-10 2011-03-24 Sony Corp 画像信号処理装置と画像信号処理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GB2476027A (en) * 2009-09-16 2011-06-15 Sharp Kk Display privacy image processing method to emphasise features of a secondary image
EP2388773A3 (en) * 2010-05-21 2012-09-26 Seiko Epson Corporation Processing color sub-pixels
US20110285713A1 (en) * 2010-05-21 2011-11-24 Jerzy Wieslaw Swic Processing Color Sub-Pixels
JP5994276B2 (ja) * 2012-02-16 2016-09-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表示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20140063024A1 (en) * 2012-12-19 2014-03-06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Three-dimensional range data compression using computer graphics rendering pipeline
JP2014142621A (ja) * 2012-12-28 2014-08-07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
CN103885218B (zh) * 2014-03-13 2016-04-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板的检测方法及检测装置
TWI556201B (zh) * 2015-12-22 2016-11-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畫素組以及使用其之顯示裝置
JP6500884B2 (ja) * 2016-12-20 2019-04-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立体画像データ生成方法、立体画像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立体画像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
JP2018112711A (ja) * 2017-01-13 2018-07-19 シナプティ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表示ドライバ、表示装置及び画像処理回路
KR102532775B1 (ko) 2018-10-10 2023-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7200605B2 (ja) * 2018-11-02 2023-01-10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三次元形状データの生成装置、三次元造形装置、及び三次元形状データの生成プログラム
KR102659615B1 (ko) 2019-02-28 2024-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8915A (en) * 1989-04-10 1994-03-29 Cirrus Logic,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palette of many colors on a display screen having digitally-commanded pixels
US5201030A (en) * 1989-09-28 1993-04-06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thering graphic images
JP3006363B2 (ja) * 1993-08-26 2000-02-07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Pdp駆動方法
US6025818A (en) * 1994-12-27 2000-02-15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Method for correcting pixel data in a self-luminous display panel driving system
US5712657A (en) * 1995-03-28 1998-01-27 Cirrus Log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dithering
JP3354741B2 (ja) * 1995-04-17 2002-12-09 富士通株式会社 中間調表示方法及び中間調表示装置
WO1996036037A1 (en) * 1995-05-10 1996-11-14 Cagent Technologies, Inc. Video display system having by-the-line and by-the-pixel modification
US5757298A (en) * 1996-02-29 1998-05-26 Hewlett-Packard Co. Method and apparatus for error compensation using a non-linear digital-to-analog converter
JP3492083B2 (ja) * 1996-05-17 2004-02-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H10271331A (ja) * 1997-03-26 1998-10-09 Oki Data:Kk 画像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H117266A (ja) * 1997-06-17 1999-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映像表示方式およびその装置
JP3750889B2 (ja) * 1997-07-02 2006-03-0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中間調表示方法
DE69841390D1 (de) * 1997-07-24 2010-01-28 Panasonic Corp Bildanzeigevorrichtung und Bildbewertungseinrichtung
US6008794A (en) * 1998-02-10 1999-12-28 S3 Incorporated Flat-panel display controller with improved dithering and frame rate control
GB9809200D0 (en) * 1998-04-29 1998-07-01 Sharp Kk Light modulating devices
US6496194B1 (en) * 1998-07-30 2002-12-17 Fujitsu Limited Halftone display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for reducing halftone disturbances occurring in moving image portions
US6288698B1 (en) * 1998-10-07 2001-09-11 S3 Graph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ray-scale and brightness display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93008A (zh) 2003-01-22
CN1185616C (zh) 2005-01-19
JPWO2002029777A1 (ja) 2004-02-12
WO2002029777A1 (fr) 2002-04-11
EP1324305A1 (en) 2003-07-02
KR100491942B1 (ko) 2005-05-30
EP1324305A4 (en) 2006-10-11
TWI238368B (en) 2005-08-21
JP3870899B2 (ja) 2007-01-24
US20020070948A1 (en) 2002-06-13
US7202879B2 (en) 2007-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1942B1 (ko)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장치
KR100433014B1 (ko) 화상표시장치에 공급되는 화상데이터의 처리
US8385668B2 (en)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display panel driver and display device mounting the circuit
JP4198720B2 (ja) 表示装置、表示パネルドライバ、及び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JP4479709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プログラム、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並びに電子機器
US7936347B2 (en) Driving system for display device
JPH0981072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8451299B2 (en) Controller, hold-type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signal adjusting method for hold-type display device
JP2004301976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EP1881476A2 (en) Driving device of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EP2221801A1 (en) Display device
KR10045728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및 표시방법
JP2008129420A (ja) 表示装置およびコントローラドライバ
JP4010119B2 (ja) 画像表示装置に供給される画像データの処理
JP2009265260A (ja) 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US763346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US20140071153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2287709A (ja) 液晶表示装置
JP3762933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0635416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3009747B2 (ja) 文字出力方式および装置
CN116170686A (zh) 视频流抖动处理方法及其装置
JPH1097220A (ja) 液晶駆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6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6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4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501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50329

Appeal identifier: 2005101000571

Request date: 20050128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22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1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06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2060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5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317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5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5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20328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