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46533A - 오링 구조 - Google Patents

오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6533A
KR20020046533A KR1020000076768A KR20000076768A KR20020046533A KR 20020046533 A KR20020046533 A KR 20020046533A KR 1020000076768 A KR1020000076768 A KR 1020000076768A KR 20000076768 A KR20000076768 A KR 20000076768A KR 20020046533 A KR20020046533 A KR 20020046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ring groove
groove
tub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식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76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6533A/ko
Publication of KR20020046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53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링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오링의 압착면이 오링의 상측과 하측 두 부분에서만 압착면이 형성되고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유체통로의 밀폐율이 떨어지게되고, 이에의해 유체통로를 통과하는 유체, 예를들면 냉각수, 오일등의 실링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링을 링홈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관체를 상호 결합할때 상기 오링이 링홈에 완전하게 밀착 지지되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에 잘못하면 조립과정중에 오링이 링홈으로 빠지게되어 작업성이 하락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링의 내주면상에 복수개의 지지돌기를 돌출 형성시켜 오링이 링홈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링홈이 형성된 관체의 결합시 오링의 상하측 뿐만 아니라 측면으로도 면압이 발생되도록 하므로서, 결합되는 관체의 밀폐율이 향상되도록 하고, 또 관체를 결합할때 오링을 링홈에 삽입할때 지지돌기에 의해 링홈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오링이 링홈으로부터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오링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링구조{Structure of O-ring}
본 발명은 오링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결합되는 관체의 밀폐율이 향상되도록 하고, 또 관체를 결합할때 오링을 링홈에 삽입할때 지지돌기에 의해 링홈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오링이 링홈으로부터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오링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부품의 연료계, 윤활계, 냉각계, 흡기계 등에는 이동하는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오링이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오링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동그랗게 형성되고, 일정탄성을 갖도록 하기위해 고무재질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2 는 오링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서로 결합되는 제 1 관체(2)와 제 2 관체(3)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관체(3)의 결합면에는 일정크기의 링홈(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관체(2,3)의 중앙으로는 유체가 이동하기위한 유체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체(2,3)를 서로 결합시키기 전에 먼저 도 2 의 점선도시된 부분과 같이 오링(1)을 링홈(4)에 위치시킨 후 제 1 관체(2)와 제 2 관체(3)를 서로 결합시킨다.
상기 오링(1)은 초기상태에서 링홈(4)의 높이보다 살짝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되며, 제 1 관체(2)와 제 2 관체(3)가 결합될때 제 1 관체(2)에 의해 오링(1)의 상면이 눌리면서 압착되어 유체통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게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오링의 압착면이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링(1)의 상측과 하측 두 부분에서만 압착면(B)이 형성되고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유체통로의 밀폐율이 떨어지게되고, 이에의해 유체통로를 통과하는 유체, 예를들면 냉각수, 오일등의 실링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링을 링홈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관체를 상호 결합할때 상기 오링이 링홈에 완전하게 밀착 지지되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에 잘못하면 조립과정중에 오링이 링홈으로 빠지게되어 작업성이 하락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링의 내주면상에 복수개의 지지돌기를 돌출 형성시켜 오링이 링홈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링홈이 형성된 관체의 결합시 오링의 상하측 뿐만 아니라 측면으로도 면압이 발생되도록 하므로서, 결합되는 관체의 밀폐율이 향상되도록 하고, 또 관체를 결합할때 오링을 링홈에 삽입할때 지지돌기에 의해 링홈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오링이 링홈으로부터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오링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서로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관체의 링홈에 삽입되는 오링에 있어서,
상기 오링의 내주면상에 복수개의 지지돌기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오링을 보인 도면.
도 2 는 종래 오링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오링을 보인 도면.
도 4 는 도 3 의 A-A선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오링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오링 11: 지지돌기
이하,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오링(10)의 내주면상에 복수개의 지지돌기(11)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지지돌기(11)는 오링(10)을 링홈(4)에 삽입할때 링홈(4)의 일측면에 완전히 밀착되고, 또 상기 지지돌기(11)가 링홈(4)의 일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오링(10)의 타측면이 링홈(4)의 타측 내벽면에 밀착되게 된다.
오링(10)을 링홈(4)에 삽입한 초기상태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링(10)의 상측부분이 링홈(4)의 높이보다 일정높이 돌출된 상태이다.
이때, 제 1 관체(2)와 제 2 관체(3)를 결합하게되면, 오링(10)이 제 1 관체(2)에 의해 압축되어 눌리게된다.
상기 오링(10)의 초기상태가 지지돌기(11)에 의해 링홈(4) 내부에 꽉찬 상태로 존재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제 1 관체(2)가 제 2 관체(3)에 결합될때 오링(10)이 압축되면서 오링(10)의 상측, 하측, 일측면 3방향(A)으로 압착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오링(10)의 압착면(A)이 3방향에서 형성됨에 따라 그만큼 유체의 실링효과가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제 1 관체(2)를 제 2 관체(3)에 결합하고자 할때 오링(10)을 링홈(4)에 가 삽입하더라도 오링(10)의 내주면상에 돌출 형성되어있는 지지돌기(11)에 의해 오링(10)이 링홈(4) 내부에서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로 존재하게되므로 제 1 및 제 2 관체(2,3)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오링(10)이 링홈(4)으로부터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오링의 내주면상에 복수개의 지지돌기를 돌출 형성시켜 오링이 링홈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링홈이 형성된 관체의 결합시 오링의 상하측 뿐만 아니라 측면으로도 면압이 발생되도록 하므로서, 결합되는 관체의 밀폐율이 향상되도록 하고, 또 관체를 결합할때 오링을 링홈에 삽입할때 지지돌기에 의해 링홈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오링이 링홈으로부터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오링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서로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관체(2,3)의 링홈(4)에 삽입되는 오링(10)에 있어서,
    상기 오링(10)의 내주면상에 복수개의 지지돌기(11)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링구조.
KR1020000076768A 2000-12-15 2000-12-15 오링 구조 KR20020046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768A KR20020046533A (ko) 2000-12-15 2000-12-15 오링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768A KR20020046533A (ko) 2000-12-15 2000-12-15 오링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533A true KR20020046533A (ko) 2002-06-21

Family

ID=27682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768A KR20020046533A (ko) 2000-12-15 2000-12-15 오링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65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550B1 (ko) * 2008-06-11 2011-03-29 조재현 헤드레스트 인서트 슬리브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인서트 슬리브 구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9772A (ja) * 1984-10-19 1986-05-17 Fuji Seikou Kk 真空用複合シ−ル材
US4779903A (en) * 1984-12-11 1988-10-25 Agintec Ag Sealing ring
KR940018591A (ko) * 1993-01-22 1994-08-18 제임스 에프. 크레이넥 패킹장치
JPH07233887A (ja) * 1993-12-27 1995-09-05 Nikkiso Co Ltd 環状シール部材およびフランジ
KR19990018251A (ko) * 1997-08-27 1999-03-15 최정윤 금속관체용 관연결구조
JP2000104874A (ja) * 1998-09-25 2000-04-11 Fujii Gokin Seisakusho Co Ltd 可撓管継手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9772A (ja) * 1984-10-19 1986-05-17 Fuji Seikou Kk 真空用複合シ−ル材
US4779903A (en) * 1984-12-11 1988-10-25 Agintec Ag Sealing ring
KR940018591A (ko) * 1993-01-22 1994-08-18 제임스 에프. 크레이넥 패킹장치
JPH07233887A (ja) * 1993-12-27 1995-09-05 Nikkiso Co Ltd 環状シール部材およびフランジ
KR19990018251A (ko) * 1997-08-27 1999-03-15 최정윤 금속관체용 관연결구조
JP2000104874A (ja) * 1998-09-25 2000-04-11 Fujii Gokin Seisakusho Co Ltd 可撓管継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550B1 (ko) * 2008-06-11 2011-03-29 조재현 헤드레스트 인서트 슬리브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인서트 슬리브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15741A (en) Sealing ring
US6719302B2 (en) Symmetrical gasket for a pipe joint with increased surface contact
CA2688705C (en) Sealing assembly having liquid-filled seal
CA2392636A1 (en) Pipe coupling
DK0426789T3 (da) Strækslange til mindskelse af trykpulsationer
EA200200477A1 (ru) Резьб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для труб
EA200300038A1 (ru) Трубное резьб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с усиленным упором
MXPA04001058A (es) Empaque.
KR960011236A (ko) 튜브 작동식 체크 밸브를 구비하는 신속 커넥터
US5692539A (en) Check valve for liquids
US6874822B2 (en) Resinous tube
US4006922A (en) Non-threaded tubing connector
CN104105916B (zh) 连接器
KR20020046533A (ko) 오링 구조
US4949819A (en) Telescoping shock damper
CA2427972A1 (en) An improved seal
KR100826867B1 (ko) 정유량 밸브
KR200357234Y1 (ko) 파이프 이음구조
KR100683270B1 (ko) 관 연결구
JPH0716151Y2 (ja) 管継手構造
CN104033609A (zh) 密封环
CN210623867U (zh) 一种污水处理用管道密封结构
KR20160001680U (ko) 배관 연결용 센터링 유닛
JPH07269733A (ja) 環状パッキン
CN213176783U (zh) 一种防脱密封圈及采用该密封圈的管件密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08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2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