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44268A - 깨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치료용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깨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치료용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4268A
KR20020044268A KR1020000073268A KR20000073268A KR20020044268A KR 20020044268 A KR20020044268 A KR 20020044268A KR 1020000073268 A KR1020000073268 A KR 1020000073268A KR 20000073268 A KR20000073268 A KR 20000073268A KR 20020044268 A KR20020044268 A KR 20020044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skin
cosmetic composition
ag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봉철
Original Assignee
양봉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봉철 filed Critical 양봉철
Priority to KR1020000073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4268A/ko
Publication of KR20020044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26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공 확대, 주름살, 피부 노화와 같은 증상치료에 유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발명으로서, 피부에 있어서 모공수축, 주름살 방지 및 탄력성 있는 피부를 얻기 위하여 깨잎을 주성분으로 하고, 포공영, 목통, 백복령, 택사, 백작약, 상백피, 계피, 계지, 감국, 유근피, 백출 및 백하수오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이 임의로 배합된 복합 생약 추출물을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기제와 혼합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깨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SKIN AGING COMPRISING EXTRACTS FROM SESAMUM INDICUM DC}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깨잎, 포공영, 목통, 백복령, 택사, 백작약, 상백피, 계피, 계지, 감국, 유근피, 백출 및 백하수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이 임의로 배합된 복합 생약 추출물들의 혼합액으로 이루어진 피부 모공수축작용,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살 방지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깨잎을 포함한 복합 생약 추출물들의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화장품으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체내의 제기관을 기온 및 습도 변화와 자외선 등 외부 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받는 끊임없는 물리적, 화학적 자극은 피부 기능을 저하시키고 피부의 노화현상을 촉진시키게 되는데 피부의 노화는 또한 피부 구성성분의 전체적인 악화를 수반하여, 결과적으로 피부가 쉽게 갈라지게 된다. 섬유 아세포의 감소 및 이 세포의 활성도 손상은 피부 노화 프로세스 중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노화현상을 방지하고 보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종래 각종 동물, 식물, 미생물들로부터 얻은 생리활성물질들이 강화된 화장품을 사용함으로써 피부의 고유기능을 유지시키고 피부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 왔었다. 그러나 기존의 화장품 원료들은 그 효능이 미흡하거나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독성이 상대적으로 적고 자연친화적인 주름 방지 및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라디칼 소거 작용을 갖는 식물에 대한 탐색과정을 거쳐 수종의 식물들이 피부 노화 및 주름살 방지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그 예로서, 한국특허공개 번호 제 1994-35688호에는 삼백초 추출물을 함유한 라디칼 소거제가 공개되었고, 한국특허공개번호 제 1994-36642호에는 꿩의 비름속 식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라디칼 소거제가 공개되었으며, 한국특허공개번호 제 1997-58952호에는 율피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주름개선 화장료가 공개되었고, 한국특허공개번호 제 1997-15702호에는 잠용유를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등이 공개되었으나, 현재까지 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한 조성물의 피부 모공 수축작용,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발명자는 여러 가지 식물들을 대상으로 하여 탁월한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방지효과를 나타내는 생약들을 검색한 결과, 깨잎 추출물의 효능을 발견하고 나아가 포공영, 목통, 백복령, 택사, 백작약, 상백피, 계피, 계지, 감국, 유근피, 백출 및 백하수오와 같은 식물 추출물을 배합한 결과, 동등 내지 보다 탁월한 피부 모공 수축작용,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효능을 나타냄을 발견하고 이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모공 수축작용, 피부 주름살 방지작용 및 피부 노화 방지효과가 탁월한 들깨 또는 참깨의 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한 화장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피부 모공 수축작용,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효과가 탁월한 포공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한 화장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피부 모공 수축작용,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효과가 탁월한 목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한 화장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피부 모공 수축작용,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효과가 탁월한 백복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한 화장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피부 모공 수축작용,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효과가 탁월한 택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한 화장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피부 모공 수축작용,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효과가 탁월한 백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한 화장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깨잎 추출물에 포공영, 목통, 백복령, 택사, 백작약, 상백피, 계피, 계지, 감국, 유근피, 백출 및 백하수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이 배합된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모공수축작용,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깨잎 추출물 60 내지 80 중량% 및 포공영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깨잎 추출물 40 내지 7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및 목통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깨잎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목통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백복령 추출물 10 내지 30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깨잎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 목통 추출물 10내지 30 중량%, 백복령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택사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깨잎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 포공영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목통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 백복령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택사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및 백작약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깨잎 추출물 15 내지 3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목통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백복령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택사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백작약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및 상백피 추출물이 20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깨잎 추출물 15 내지 3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목통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백복령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택사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백작약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및 상백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깨잎 추출물 15 내지 3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목통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백복령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택사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백작약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상백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및 계피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깨잎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목통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복령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택사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작약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상백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계피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 및 계지 추출물 5 내지 15 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깨잎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목통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복령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택사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작약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상백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계피 추출물 15 내지 25 중량%, 계지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및 감국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깨잎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목통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복령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택사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작약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상백피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계피 추출물 15 내지 25 중량%, 계지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감국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및 유근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깨잎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목통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복령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택사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작약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상백피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계피 추출물 15 내지 25 중량%, 계지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감국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유근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및 백출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깨잎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목통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복령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택사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작약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상백피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계피 추출물 10 내지 25 중량%, 계지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감국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유근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백출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및 백하수오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살 방지에 효과적인 생약을 검색한 결과, 놀랍게도 깨잎 추출물이 탁월한 효능이 있음을 밝혀내고 또한 추가로 포공영, 목통, 백복령, 택사, 백작약, 상백피, 계피, 계지, 감국, 유근피, 백출 및 백하수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이 배합된 복합 생약 추출물이 탁월한 피부 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살 방지 효과가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깻잎에는 들깨(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의 잎인 백소엽(白蘇葉)과 참깨(Sesamun indicumDC)의 잎인 호마엽(胡麻葉) 두종류가 존재하는데, 백소엽은 중국원산이나 국내에서 재배 또는 야생에서 자라며 한방에서는 객담, 변비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지금까지 알려진 구성성분은 리놀렌 산, 팔미틴 산 등이며, 호마엽은 전국에서 재배되며 한방에서는 토혈, 외음부소양증 등의 질환 치료에 사용하며, 지금까지는 알려진 성분으로는 페달린(pedain) 등이 보고된 바 있다.
본원에서 정의하는 깨잎은 백소엽 또는 호마엽 모두를 포함한다.
포공영(浦公英)은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H.)의 뿌리가 달린 전초로서, 전국의 야지, 길가 등에 흔히 자라며 한방에서는 임파선염, 급성 기관지염, 위염, 간염, 요로감염 등 각종 장기의 염증 치료에 사용하며, 임상적으로는 항균작용 및 임부의 유선분비촉진작용 등이 알려진 바가 있으며, 그 분리성분으로는 타락솔(taraxol), 타락세롤(taraxerol), 아미린(Amyrin), 콜린(Choline) 등의 화합물 등이 분리 보고된 바 있다.
목통(木通)은 으름덩굴(Akebia quinata(THUNB) DENCE)의 목질경(木質莖)으로서, 산기슭의 숲속에 자라며 황해도 이남에 분포하는 식물로서, 소변혼탁, 수종, 부종, 빈뇨, 배뇨곤란, 유즙불통(乳汁不通)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임상에서는 이뇨작용 및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지금까지 알려진 성분으로는 아케보시드(Akeboside) 11종, 베툴린(betulin), 미오이노시톨(myoinositol) 등이 분리보고된 바 있다.
백복령(白茯笭)은 소나무과 나무뿌리에 기생하는 균핵으로서(Poria cocos(SCHW.) WOLF.), 한국 및 중국각지에서 자생하며, 한방에서는 뇨혼탁, 건망증, 소변불리(小便不利), 소갈증, 타박상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며, 임상에서는 이뇨작용, 항균작용, 장관이완작용 등이 보고되었으며 그 함유성분들로는 파키만(pachyman), 파키민 산(pachymic acid) 등이 보고되어 있다.
택사(澤瀉)는 질경이 택사(Alisma plantago-aquaticaL.)의 괴경(塊莖)으로서, 한방에서는 구갈, 수종, 임질, 혈뇨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임상에서는 이뇨작용 및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
백작약(白芍藥)은 백작약(Paeonia japonica(MAKINO) MIYABE)의 뿌리로서 한방에서는 월경불순, 협통(脇痛), 현훈(眩暈)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임상에서는 진경작용, 혈압강하작용, 진통, 진정작용 및 항염, 항궤양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알려진 분리성분으로는 파에오니플로린(Paeoni florin), 안식향산 등이 보고되어 있다.
상백피(桑白皮)는 뽕나무(Morus albaL.)의 코르크층을 제거한 근피(根皮)이며, 마을 부근에서 흔히 자라며 전국에서 재배되며 한방에서는 토혈, 황달, 각기(脚氣), 빈뇨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임상에서는 이뇨작용, 혈압강하작용 등이 알려져 있으며, 지금까지 알려진 성분으로는 움벨리페론(Umbelliferone), 스코폴레틴(Scopoletin), 모루신(morusin), 멀베린(Mulberrin) 등이 보고된 바 있다.
계지(桂枝)는 육계나무(Cinnamomum loureiriiNEES)의 햇가지로서, 한방에서는 두통, 근육경련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임상에서는 항균작용, 항바이러스작용, 항이뇨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
계피(桂皮)는 생달나무(Cinnamomum japonicumSIEB)의 가지껍질로서 한방에서는 하리복통, 구토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알려진 성분으로는 펠렌드렌, 유게놀 등이 보고되어 있다.
감국은 야생국화(Chrysanthemum indicumL.)의 전초 및 뿌리로서 한방에서는 단독(丹毒), 농가진(膿痂疹), 디프테리아, 폐염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임상에서는 혈압강하작용, 항바이러스작용 및 항균작용 등이 보고된 바 있으며 알려진 성분으로는 아카세틴-7-람노시드(Acacetin-7- rhamnoside), 크리산테민(Chrysanthemin), 정유 등이 분리보고된 바 있다.
백출(白朮)은 큰꽃 삽주(Atractylodes vmacrocephalaKOIDZ)의 근경으로서 전국에서 자생하며, 한방에서는 식욕부진, 관절염, 황달, 태기불안(胎氣不安)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알려진 성분으로는 아트락틸론(atractylone), 아트락틸롤 (atractylol) 등이 분리보고된 바 있다.
하수오(何首烏)는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THUNB)의 괴경으로서, 한방에서는 강정강장제, 완하제, 치질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며, 임상에서는 신경강화작용,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동맥경화억제작용, 항균작용이 보고된바 있으며, 분리성분으로는 크리소파놀(chrysophanol) 및 에모딘(emodin) 등의 안트라퀴논류가 분리보고된 바 있다.
본 발명의 생물 추출물들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들어, 음건 건조하여 세절한 깨잎을 물 또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저급알콜, 바람직하게는 90% 메탄올을 가하고 5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5℃에서 15분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추출물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추출물 중에 깨잎 추출물은 피부노화 및 주름방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추가적으로 포공영, 목통, 백복령, 택사, 백작약, 상백피, 계피, 계지, 감국, 유근피, 백출 및 백하수오 추출물을 배합한 복합 생약 추출물로 실험한 결과, 피부 모공수축작용, 주름살 방지작용 및 항노화작용의 상승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였다.
복합 생약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이 추출물은 깨잎 추출물 60 내지 80 중량% 및 포공영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 또는 깨잎 추출물 40 내지 7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및 목통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 또는 깨잎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목통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백복령 추출물 10 내지 30중량%; 또는 깨잎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 목통 추출물 10내지 30 중량%, 백복령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택사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또는 깨잎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 포공영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목통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 백복령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택사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및 백작약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 또는 깨잎 추출물 15 내지 3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목통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백복령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택사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백작약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및 상백피 추출물이 20 내지 30 중량%; 또는 깨잎추출물 15 내지 3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목통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백복령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택사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백작약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및 상백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또는 깨잎 추출물 15 내지 3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목통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백복령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택사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백작약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상백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및 계피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 또는 깨잎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목통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복령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택사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작약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상백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계피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 및 계지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또는 깨잎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목통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복령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택사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작약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상백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계피 추출물 15 내지 25 중량%, 계지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및 감국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또는 깨잎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목통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복령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택사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작약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상백피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계피 추출물 15 내지 25 중량%, 계지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감국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및 유근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또는 깨잎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목통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복령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택사 추출물 1 내지 10중량%, 백작약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상백피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계피 추출물 15 내지 25 중량%, 계지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감국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유근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및 백출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또는 깨잎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목통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복령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택사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작약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상백피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계피 추출물 10 내지 25 중량%, 계지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감국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유근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백출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및 백하수오 추출물 1 내지 10 중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깨잎 추출물 또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통상의 화장품 제조용 기제물질과 혼합하여 피부 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 및 주름살 방지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깨잎 단독 또는 포공영, 목통, 백복령, 택사, 백작약, 상백피, 계피, 계지, 감국, 유근피, 백출 및 백하수오 추출물들과의 배합 추출물은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0.001 중량% 내지 20.00 중량 %를 사용한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기제물질은 에멀젼 상에서는 정제수, 1가 또는 다가 알콜 지방 및 오일, 계면 활성제 등이고 기타로 착향제 및 착색료, 방부제 등이다. 가용화 상태에서는 정제수, 계면 활성제, 1가 및 다가 알콜 등이며 에멀젼 상과 같이 착향제 및 착색료, 방부제 등을 사용한다.
피부 화장료에서 크림, 로션은 각각 V/O 에멀젼, O/W 에멀젼으로 제조할 수있고, 이때 사용되는 유화제의 종류는 음이온 형태, 양이온 형태, 비이온 형태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과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것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깨잎 추출물의 제조
한국 서울특별시 종암동에 위치한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깨잎 500g을 음건 및 세절한 후, 90% 에탄올 500ml를 넣고 환류장치를 통하여 얻어진 90% 에탄올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건조물 12g을 얻었다.
실시예 2 내지 13: 실시예 1에 기재된 깨잎 추출물의 추출방법으로 얻어진 포공영, 목통, 백복령, 택사, 백작약, 상백피, 계피, 계지, 감국, 유근피, 백출 및 백하수오 추출물을 각각 동결건조시켜 건조물 15, 18, 20, 23, 15, 22, 20, 15, 16, 20, 21, 23g 씩을 얻었다.
실시예 14 내지 25: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 생약 추출 건조물들 배합하였다.
생약실시예 깨잎 포공영 목통 백복령 택사 백작약 상백피 계피 계지 감국 유근피 백출 백하수오
14 74.2 25.8
15 55.0 19.1 25.9
16 44.6 15.5 22.4 18.8
17 37.6 13.1 17.7 15.82 15.84
18 29.1 10.1 13.71 12.3 12.3 22.65
19 22.1 7.7 10.4 9.3 9.3 17.2 23.9
20 16.1 5.6 7.6 6.8 6.8 12.5 17.3 27.3
21 14.0 4.8 6.6 5.9 5.9 10.9 15.1 23.8 12.7
22 12.4 4.3 5.8 5.2 5.2 9.6 13.4 21.1 11.3 8.0
23 10.3 3.5 4.8 4.3 4.3 7.9 11.0 17.4 9.3 6.6 17.4
24 9.8 3.4 4.6 4.1 4.1 7.6 10.6 16.7 8.9 6.4 16.7 4.2
25 9.4 3.2 4.4 3.9 3.9 7.3 10.1 15.9 8.5 6.0 15.9 4.0 4.5
(단위 중량%)
구성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에 얻어진 건조물 0.05
카르보머(Carbomer) 940 0.3
트리에탄올 아민 0.3
스테아린 3.0
세틸알콜 2.0
자기-에멀젼능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3.0
대두유 10.0
라놀린 알콜 2.0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4.0
세틸 및 스테아릴 2-에틸헥산노에이트 4.0
퍼하이드로스쿠알렌 3.0
정제수 적량
총 계 100
실시예 26: 크림 1의 제조
크림은 다음의 조성에 따른다.
이 크림을 제조하기 위하여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보존제인 퍼하이드로스쿠알렌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용상을 80℃로 가열하고; 여기에 카르보머 940을 분산시키고; 이것을 트리에탄올아민으로 중화시켰다. 80℃로 가열하여 균질화시킨, 나머지 지질상 성분들을 격렬하게 교반시키면서 상기 중화된 수용상에 가하였다. 실시예 1의 건조물을 물 10g에 분산시키고 40℃하에서 교반하면서 크림에 투입하였다.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시켰다.
실시예 27 내지 38: 크림 2 내지 13의 제조
실시예 14내지 25로부터 얻어진 건조 배합물들로 실시예 26의 크림 1의 실시예1의 건조물을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6과 동일한 방법으로 크림 2 내지 13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9
하기에는 건강한 자원자들을 대상으로 본 크림제들을 사용한 후에 나타난 피부노화 방지 및 치료효과에 관한 것이다.
a) 조장숙 (여자)
효 과
처음에 오돌토돌한게 일어 났는데 오히려 그 부위에 많이 바르니까 없어지고 피부가 좋아져 10여일째 바르고 있음.
b) 성민교 (여자)
거주지 : 서울 강북
효 과
열흘정도 바른 결과 검버섯이 엷어지고 눈 밑 주름이 엷어짐.
c) 김정희 (여자, 25세)
거주지 : 경남 삼천포
효 과
2주 정도 바르니 모공 수축이 되는 것을 확실히 느껴지며, 피부가 맑아진 느낌이 들며 여드름 같은 경우 더 커지면서 빨리 없어진다.
d) 박유경 (여자)
거주지 : 전남 담양
효 과
거친 피부가 부드러워졌다.
깨잎 단독 또는 포공영, 목통, 백복령, 택사, 백작약, 상백피, 계피, 계지, 감국, 유근피, 백출 및 백하수오 추출물들과의 배합 추출물은 효과적으로 피부 노화를 방지하고 피부 모공 확대 및 피부의 주름살 생성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

Claims (20)

  1. 깨잎(Rubus coreanusMIQ)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화장품학적으로 적용가능한 기제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진 피부 모공 수축작용,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2. 포공영(Taraxacum platycarpumH.)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화장품학적으로 적용가능한 기제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진 피부 모공수축작용,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3. 목통(Akebia quinata(THUNB) DENC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화장품학적으로 적용가능한 기제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진 피부 모공수축작용,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4. 백복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화장품학적으로 적용가능한 기제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진 피부 모공수축작용,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5. 택사(Alisma plantago-aquaticaL.)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화장품학적으로 적용가능한 기제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진 피부 모공수축작용, 피부 노화방지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6. 백작약(Paeonia japonica(MAKINO) MIYAB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화장품학적으로 적용가능한 기제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진 피부 모공수축작용,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깨잎 추출물에 포공영, 목통, 백복령, 택사, 백작약, 상백피, 계피, 계지, 감국, 유근피, 백출 및 백하수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이 배합된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모공수축작용,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7에 있어서,
    복합 생약 추출물이 깨잎 추출물 60 내지 80 중량% 및 포공영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진 피부 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7에 있어서,
    복합 생약 추출물이 깨잎 추출물 40 내지 7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및 목통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진 피부 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 7에 있어서,
    복합 생약 추출물이 깨잎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목통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백복령 추출물 10 내지 30중량%로 이루어진 피부 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 7에 있어서,
    복합생약 추출물이 깨잎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 목통 추출물 10내지 30 중량%, 백복령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택사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진 피부 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 7에 있어서,
    복합생약 추출물이 깨잎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 포공영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목통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 백복령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택사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및 백작약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 7에 있어서,
    복합 생약 추출물이 깨잎 추출물 15 내지 3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목통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백복령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택사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백작약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및 상백피 추출물이 20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14. 제 7에 있어서,
    복합생약 추출물이 깨잎 추출물 15 내지 3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목통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백복령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택사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백작약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및 상백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15. 제 7에 있어서,
    복합 생약 추출물이 깨잎 추출물 15 내지 3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목통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백복령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택사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백작약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상백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및 계피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16. 제 7에 있어서,
    복합 생약 추출물이 깨잎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목통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복령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택사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작약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상백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계피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 및 계지 추출물 5 내지 15 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17. 제 7에 있어서,
    복합생약 추출물이 깨잎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목통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복령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택사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작약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상백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계피 추출물 15 내지 25 중량%, 계지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및 감국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18. 제 7에 있어서,
    복합 생약 추출물이 깨잎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목통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복령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택사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작약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상백피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계피 추출물 15 내지 25 중량%, 계지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감국 추출물 1내지 10 중량% 및 유근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19. 제 7항에 있어서,
    복합 생약 추출물이 깨잎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목통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복령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택사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작약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상백피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계피 추출물 15 내지 25 중량%, 계지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감국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유근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및 백출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20. 제 7항에 있어서,
    복합 생약 추출물이 깨잎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포공영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목통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복령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택사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백작약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상백피 추출물 5 내지 20 중량%, 계피 추출물 10 내지 25 중량%, 계지 추출물 5 내지 15 중량%, 감국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유근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백출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및 백하수오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모공수축작용,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살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00073268A 2000-12-05 2000-12-05 깨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치료용 화장료조성물 Ceased KR200200442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268A KR20020044268A (ko) 2000-12-05 2000-12-05 깨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치료용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268A KR20020044268A (ko) 2000-12-05 2000-12-05 깨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치료용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268A true KR20020044268A (ko) 2002-06-15

Family

ID=27679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268A Ceased KR20020044268A (ko) 2000-12-05 2000-12-05 깨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치료용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426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40181C (zh) * 2004-11-19 2007-10-03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一种奶牛中草药促奶剂
KR20100067696A (ko) * 2008-12-12 2010-06-22 (주)아모레퍼시픽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05314B1 (ko) * 2013-04-09 2014-06-13 정길동 스킨로션 제조방법
JP2015017048A (ja) * 2013-07-10 2015-01-29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皮膚のしわ形成防止・改善剤、ヒアルロン酸生成促進剤、コラーゲン生成促進剤及びmmp阻害剤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4818A (ko) * 1986-10-31 1988-06-27 김주천 한약제를 이용한 피부 미용제의 제법
JPS6442411A (en) * 1987-08-11 1989-02-14 Inabata Koryo Co Ltd Cosmetic composition
KR920002109A (ko) * 1990-07-05 1992-02-28 김만경 미백 화장원료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KR950007824A (ko) * 1993-09-16 1995-04-15 민광율 한방 피부미용제의 제조방법
JPH07215884A (ja) * 1993-12-08 1995-08-15 Amino Atsupu Kagaku:Kk Tnf産生抑制作用を有するシソ抽出液
JPH10279428A (ja) * 1997-04-01 1998-10-20 Nisshin Oil Mills Ltd:The 化粧料
KR20000010275A (ko) * 1998-07-31 2000-02-15 성재갑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00264828A (ja) * 1999-03-17 2000-09-26 Nof Corp 保湿化粧料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4818A (ko) * 1986-10-31 1988-06-27 김주천 한약제를 이용한 피부 미용제의 제법
JPS6442411A (en) * 1987-08-11 1989-02-14 Inabata Koryo Co Ltd Cosmetic composition
KR920002109A (ko) * 1990-07-05 1992-02-28 김만경 미백 화장원료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KR950007824A (ko) * 1993-09-16 1995-04-15 민광율 한방 피부미용제의 제조방법
JPH07215884A (ja) * 1993-12-08 1995-08-15 Amino Atsupu Kagaku:Kk Tnf産生抑制作用を有するシソ抽出液
JPH10279428A (ja) * 1997-04-01 1998-10-20 Nisshin Oil Mills Ltd:The 化粧料
KR20000010275A (ko) * 1998-07-31 2000-02-15 성재갑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00264828A (ja) * 1999-03-17 2000-09-26 Nof Corp 保湿化粧料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40181C (zh) * 2004-11-19 2007-10-03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一种奶牛中草药促奶剂
KR20100067696A (ko) * 2008-12-12 2010-06-22 (주)아모레퍼시픽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05314B1 (ko) * 2013-04-09 2014-06-13 정길동 스킨로션 제조방법
JP2015017048A (ja) * 2013-07-10 2015-01-29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皮膚のしわ形成防止・改善剤、ヒアルロン酸生成促進剤、コラーゲン生成促進剤及びmmp阻害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44266A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EP0993822B1 (en) Ceramide production-accelerating agent
KR100564108B1 (ko)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CN104606106A (zh) 天然植物纳米乳浴液
KR100891986B1 (ko) 생약 추출물과 생약 분말을 함유하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0633380B1 (ko) 특정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020044268A (ko) 깨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치료용 화장료조성물
KR940001125B1 (ko) 국화추출물을 함유하는 티로시나제 저해제 조성물
KR102177613B1 (ko)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2103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06821937A (zh) 植物纳米乳浴液
KR10216853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231244A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CN105816663A (zh) 一种具有营养抗衰作用的中药组合物、面霜及其制备方法
KR100466862B1 (ko)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950007046B1 (ko) 생약함유 화장수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44267A (ko)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치료용 화장품 조성물
KR20240089120A (ko)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5222B1 (ko) 모낭충 제거, 냄새 제거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40709B1 (ko) 발모용 키트
KR101037017B1 (ko) 한약재를 이용한 피부미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미용비누
KR101081585B1 (ko) 광나무 및 원추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38536B1 (ko) 7종 천연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05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11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12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7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3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