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39578A - 청소용구 - Google Patents

청소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9578A
KR20020039578A KR1020000069519A KR20000069519A KR20020039578A KR 20020039578 A KR20020039578 A KR 20020039578A KR 1020000069519 A KR1020000069519 A KR 1020000069519A KR 20000069519 A KR20000069519 A KR 20000069519A KR 20020039578 A KR20020039578 A KR 20020039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handle
support
bag
clea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중교
Original Assignee
정중교
박춘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중교, 박춘재 filed Critical 정중교
Priority to KR1020000069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9578A/ko
Publication of KR20020039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9578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동가능한 핸들 조립체를 다양한 용도의 헤드에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청소 용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서로 상이한 용도를 갖는 헤드로 구성되는 헤드 세트와; 가늘고 긴 자루와, 상기 자루의 일단에 결합되는 손잡이와, 상기 자루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체와, 헤드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체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지지구로 구성되는 핸들조립체;를 구비하여, 헤드를 핸들조립체에 대해 착탈식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랩형 걸레지지 헤드, 화장실 타일 청소용 브러쉬 헤드, 유리창 청소용 스폰지 헤드 및 고무 블레이드 헤드 등을 필요 장소에 비치하여 두고, 청소시 회전 가능한 핸들조립체만을 해당 헤드에 간단하게 교체 장착함으로서 여러가지 청소 작업을 편안한 자세에서 힘 안들이고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청소용구{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청소용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 부착 청소용구에 있어서 회동가능한 핸들 조립체를 다양한 용도의 헤드에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청소 용구에 관한 것이다.
바닥을 걸레질하는 일은 상당한 노동력을 요하는 일로, 예전에는, 사무실 등의 바닥청소시에는 자루의 단부에 다수의 긴 천이 고착되어 있는 소위 대걸레를 사용하여 그 수고를 덜 수 있었으나, 일반 가정의 방이나 마루는 바닥에 무릎꿇은 자세로 걸레질을 하여야 했으므로 특히 가정 주부들에게 있어서 걸레질은 가사노동의 큰 부분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최근에는 걸레용 천을 용이하게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가정에서도 서있는 자세에서 걸레질을 할 수 있도록 한 플랩형 대걸레가 보급되어 대부분의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보급된 플랩형 대걸레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하부에 걸레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104)가 형성되어 있는 헤드(101)의 상부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걸레용 천을 고정하는 플랩(102)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는 좌우측 핸들지지구(111a, 111b)가 한조를 이루어 체결나사(114)에 의해 나사결합되어 있다. 핸들지지구(111)의 양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핸들축삽입공(113)에는 회동체(122)의 핸들축(123)이 삽입되어 있으며, 회동체의 단부에는 자루(12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플랩형 대걸레는, 핸들축(123)을 두개가 한조를 이루는 핸들 지지구(111a, 111b)의 핸들축 삽입공(113)으로 끼우면서 핸들축의 원형돌기(124) 사이에 핸들지지구의 호형 돌출부(112)가 안착되도록 조립한 후, 양 핸들 지지구를 헤드(101)에 나사(114)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서 그 조립이 완료된다.
미설명 부호 103은 플랩 커버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플랩형 대걸레는, 걸레질을 편한 자세로 서서할 수 있도록 하며, 자루를 통해 큰힘을 가할 수 있으므로 많은 가정에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핸들 지지구가 헤드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분해하기 어려운 구조를 갖기 때문에 사용중 핸들 등이 부러지는 경우 일반적으로 헤드를 포함한 전체를 새것으로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핸들에 결합되어 있는 헤드의 특정 용도 즉, 걸레질 이외의 다은 청소 작업 예를 들어 화장실 타일 청소, 유리창 청소 등은 별도의 청소 용구를 직접 손에 들고 하여야 했다.
또한, 호형 돌출부(112)에 의해 회동체(122)의 핸들지지구(111)에 대한 임의 회전을 어느 정도는 방지하고 있으나, 회동체(122)에 대한 자루(121)의 회전은 방지할 수 없었으므로, 청소 작업중 걸레를 벽등에 세워두는 경우 헤드로 부터 핸들이 쓰러져 이를 허리를 굽혀 잡아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고정된 걸레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헤드의 하부에 돌기(104)를 형성하였으나, 걸레의 미끄러짐을 확실히 방지할 수는 없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플랩형 대걸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청소 작업에 간편하게 적용될 수 있는 다용도의 청소용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이 용이하면서도 사용중 제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회동 가능한 핸들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고정된 걸레의 미끄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플랩형 헤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핸들 부착 청소용구의 일례인 플랩형 대걸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손잡이 고정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핸들지지구를 밑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도3의 회동체와 핸들지지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3의 자루와 회동체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3의 헤드와 핸들지지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3의 플랩 설치부의 상세도.
도 9는 헤드의 용도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헤드300 : 핸들 조립체
201 : 결합공202 : 핸들 지지공
310 : 핸들 지지구330 : 회동체
315 : 탈착부316 : 걸림돌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서로 상이한 용도를 갖는 헤드로 구성되는 헤드 세트와; 가늘고 긴 자루와, 상기 자루의 일단에 결합되는 손잡이와, 상기 자루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체와, 헤드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체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지지구로 구성되는 핸들조립체;를 구비하여, 헤드를 핸들조립체에 대해 착탈식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랩형 걸레지지 헤드, 화장실 타일 청소용 브러쉬 헤드, 유리창 청소용 스폰지 헤드 및 고무 블레이드 헤드 등을 필요 장소에 비치하여 두고, 청소시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만을 해당 헤드에 간단하게 교체 장착함으로서 여러가지 청소 작업을 편안한 자세에서 힘 안들이고 할 수 있게 된다.
핸들지지구에는, 양측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단부에 걸림돌편이 형성되어 있는 탈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헤드에는, 탈착부의 걸림돌편이 삽입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핸들지지구의 걸림돌편이 헤드의 결합공에 결합됨으로서 핸들 조립체와 헤드가 견고히 결합되며, 절결부 사이의 탈착부를 손가락으로 미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결합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핸들지지구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핸들지지돌기를 형성하고, 헤드에는 상기 핸들지지돌기가 삽입되는 핸들지지공을 형성함으로서, 핸들조립체와 헤드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결합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회동체는, 중앙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회전방지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원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핸들축과, 핸들축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단부에 상기 자루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자루설치공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를 구비하며,
핸들지지구는,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과, 기판의 양측에 돌출형성되어 핸들축이 끼워지는 핸들축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측벽과, 상기 기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통공을 통해 상기 핸들축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핸들축의 회전방지돌출부와 치합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축지지구를 구비함으로서, 핸들 지지구를 하나의 몸체로 형성하면서도 핸들축을 보다 견고히 지지하고 핸들 지지구에 대한 회동체의 임의 회전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자루설치공의 외주연과 상기 원형돌기의 외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자루의 자유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부재인 오링이나 고무 부시를 설치함으로서 헤드에 대한 자루의 자세를 보다 확실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플랩형 걸레지지 헤드의 하부에 걸레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벨크로 테입을 부착을 부착하면, 종래 단순 돌기에 비해 걸레의 미끄러짐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헤드의 벨크로 테입과 결합가능한 상대편 벨크로 테입이 부착되어 있는 전용 걸레를 제공하는 경우 보다 원할한 걸레질 청소가 가능하게 되며, 플랩이 없이도 걸레의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청소시, 핸들에는 미는 힘과 당기는 힘이 교번으로 주어지게 되는 바, 자루의 자유단부에 결합되는 손잡이에 엄지와 집게 손가락의 교차부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와 집게 손가락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를 형성함으로서, 핸들을 밀고 당길 때 핸들을 보다 확실히 파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제2 안착부는 청소 용구를 걸어 놓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용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는 크게 보아, 헤드(200)와 핸들 조립체(300)로 구성된다.
헤드(200)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그 중앙부 양측에 사각형 형상의 결합공(201)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공 사이 중앙 부에는 복수개의 핸들지지공(20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을 공통으로 갖는 헤드는 그에 부가되는 청소용품의 종류에 따라, 도 3과 같이 그 상부에 탄성력에 의해 걸레용 천을 고정하는 플랩이 설치되어 있는 플랩형 걸레지지헤드(200), 도 9a 내지 도 9d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하부에 솔이 설치되어 있어 화장실의 타일 등에 묻어 있는 때나 얼룩을 닦아내는 데 사용되는 브러쉬 헤드(200a), 왁스칠이나 유리창 청소용으로 하부에 스폰지가 부착되어 있는 스폰지 헤드(200b), 타일 등을 비누 거품을 이용하여 닦아내기 위한 스테인레스제 수세미가 부착되어 있는 수세미 헤드(200c), 유리창의 물기를 긁어내리기 위한 고무 블레이드가 부착되어 있는 고무 블레이드 헤드(200d) 등으로 구분 될 수 있는 바, 몇 가지 다른 용도의 헤드를 헤드세트로 하여 하나의 핸들조립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핸들조립체(300)는, 가늘고 긴 파이프 등으로 형성된 자루(121)와, 청소용구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루의 단부에 결합되는 손잡이(341), 자루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체(330), 회동체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지지구(310)가 각각 결합되어 구성된다.
회동체(330)는, 중앙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회전방지돌출부(332)가 형성되고 양측부에는 원형돌기(335)가 형성되어 있는 핸들축(331)과, 상기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핸들축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그 단부에 상기 자루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자루설치공(334)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333)로 구성된다.
회전체의 자루설치공(334)에는 자루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자루고정구(345)가 고정나사(348) 및 너트(349)에 의해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바, 자루고정구(345)의 단부(34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도 6b와 같이 자루를 수평으로 하더라도 회전체의 몸체(333)와 간섭이 생기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자루고정구(345)에 원형 단부(346)을 형성함으로서, 침대밑과 같은 곳을 자루를 완전히 눕혀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루설치공의 외주연에 오링홈을 형성하여 자루고정구와 몸체 사이에 오링을 삽입하게 되면, 오링의 마찰력에 의해 회동체에 대한 자루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자루의 임의 회전이 방지되어 헤드에 대한 자루의 자세를 원하는 상태에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핸들지지구(310)는, 중앙에 통공(314)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311)과, 기판의 양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핸들축(331)이 끼워지는 핸들축 삽입공(313)이 길게 형성되어 있는 측벽(312)과, 상기 기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통공(314)을 통해 상기 핸들축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핸들축의 회전방지돌출부(332)와 치합되는 복수의 지지돌기(332)가 형성되어 있는 축지지구(321)로 구성되며, 회전체의 핸들축(331)을 핸들축삽입공(313)에 밀어 넣은 후, 나사(323)를 이용 기판의 하부에 축지지구(321)를 결합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핸들지지구에 대한 회동체의 결합이 완료된다.
핸들지지구와 회동체는 도 5로부터 알 수 있듯이, 핸들축의 회전방지돌출부(332)와 축지지구의 지지돌기(332)에 의해 치합하는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핸들지지구에 대한 회동체의 임의 회전이 어느 정도는 방지되나, 회동체의 핸들축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돌기(335)와 핸들지지구의 측벽(312)사이 마찰재료인 고무 부시(337)을 삽입함으로서 헤드에 대한 자루의 자세를 보다 확실하게 원하는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핸들지지구(310)의 전면에는 양측에 절결부(315)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단부에 걸림돌편(316)이 형성되어 있는 탈착부(315)가 형성되어 있으며, 기판(311) 하부에는 원형 단부를 갖는 봉상의 핸들지지돌기(318)가 형성되어 있어, 핸들지지구의 탈착부를 헤드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201)에 위치시킨 후 핸들 지지구를 위에서 눌러주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편(316)이 결합공(201)에 결합됨으로서 핸들 조립체(300)와 헤드(200)의 결합이 완료되며, 이때, 기판(311)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핸들지지돌기(318)가 핸들지지공(202)에 안착됨으로서 핸들 조립체와 헤드가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결합 강도가 향상된다.
헤드를 교체하고자 할 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부(315)를 내측으로 밀어 줌으로서 핸들 조립체와 헤드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게 되는 데, 탈착부는 그 양측에 절결부가 마련되어 캔틸레버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과도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결합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되며, 도 3의 플랩형 걸레지지헤드의 경우도 플랩(21)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탈착부를 밀어줌으로서 용이하게 결합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 했듯이 헤드는 부가되는 청소용품의 종류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가 제공될 수 있는 바, 도 3 및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랩형 걸레지지헤드(200)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플랩형 걸레지지헤드(200)는, 중앙부에 핸들 지지구 결합공(201) 및 핸들 지지공(2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216)의 탄성력에 의해 걸레용 천을 고정시키는 플랩(210)이 설치되어 있다.
플랩(21)은 대략 삼각형의 단면 구조를 가지며, 그 외측벽은 플랩커버(22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곡면으로부터 완만하게 연장될 수 있도록 곡선을 이루게 형성되어 그 중앙부에 손잡이(211)가 형성되어 있다.
플랩의 내측벽에는 플랩 지지구(2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서로 대향하는 플랩이 스프링(216)에 의해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바, 플랩 지지구(211)의 측벽에는 플랩 커버(220)의 내벽에 형성되어 있는 축고정 홈(미도시)에 의해 눌려지는 회전축(214)이 형성되어 있고, 측벽의 반대편에는 스프링(216)을 걸어주기 위한 스프링 고정구(212)가 설치되어 있으며, 플랩지지구의 하부는 회전축의 중심으로 부터 동일직경으로 형성되어 필랩지지구(211)의 하부면을 헤드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반원형의 축지지캠(213)이 형성되어 있다.
반원형 축지지캠(213)의 선단부에는 단차부(215)를 형성하여 선단부의 높이가 스프링의 축선 보다 낮게 되도록 형성하거나, 반원형 축지지캠(213)의 직선부 전체를 스프링의 축선 보다 낮게 되도록 형성함으로서, 플랩에 걸레용 천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충격 등에 의해 플랩이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랩지지구(211)의 상부에는 플랩 커버(220)가 걸림돌기(221)에 의해 설치되는 바, 플랩 커버의 상부면은 앞서 언급했듯이 플랩의 외부 곡선면과 원할하게 연결되는 곡선을 형성하며, 플랩 커버를 핸들지지구의 좌우에 약간의 간격만을 두고 설치함으로서, 플랩 커버, 플랩, 핸들지지구가 헤드 전체를 걸쳐 원만한 곡선을 이루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서 외부의 물체에의 걸림없이 원할한 청소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랩과 헤드 몸체의 맞닿는 부분에는 걸레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205)가 길게 형성되어 있는 데, 돌기(205)에 V자형 홈(206)을 형성함으로서 걸레의 빠짐이나 미끄러짐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헤드의 여러가지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9a는 헤드 몸체를 플랩형 걸레지지 헤드와 공용으로 사용하고, 하부에는 솔이 설치되어 있어 화장실의 타일 등에 묻어 있는 때나 얼룩을 닦아내는 데 사용되는 브러쉬 헤드(200a)를 나태내고 있으며, 헤드 몸체의 상부에 플랩 커버와 유사한 형태의 커버를 씌우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9b는 왁스칠이나 유리창 청소용으로 하부에 스폰지가 부착되어 있는 스폰지 헤드(200b), 도 9c는 타일 등을 비누 거품을 이용하여 닦아내기 위한 스테인레스제 수세미가 부착되어 있는 수세미 헤드(200c), 도 9는 유리창의 물기를 긁어내리기 위한 고무 블레이드(214)가 부착되어 있는 고무 블레이드 헤드(200d)를 각각 나타내는 바, 각각의 헤드를 필요한 곳에 비치하여 두고, 필요시에만 핸들 조립체를 결합하여 해당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에 의하면, 플랩형 걸레지지 헤드, 화장실 타일 청소용 브러쉬 헤드, 유리창 청소용 스폰지 헤드 및 고무 블레이드 헤드 등을 필요 장소에 비치하여 두고, 청소시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 만을 해당 헤드에 간단하게 교체 장착함으로서 여러가지 청소 작업을 편안한 자세에서 힘 안들이고 할 수 있게 되며, 핸들 지지구를 하나의 몸체로 형성하면서도 핸들축을 보다 견고히 지지하고 핸들 지지구에 대한 회동체의 임의 회전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랩형 걸레지지 헤드의 하부에 걸레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벨크로 테입을 부착을 부착함으로서, 종래 단순 돌기에 비해 걸레의 미끄러짐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으며, 헤드의 벨크로 테입과 결합가능한 상대편 벨크로 테입이 부착되어 있는 전용 걸레를 제공하는 경우 보다 원할한 걸레질 청소가 가능하게 되며, 플랩이 없이도 걸레의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손잡이에 엄지와 검지의 교차부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와 검지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를 형성함으로서, 핸들을 밀고 당길 때 핸들을 보다 확실히 파지할 수 있으므로 적은 힘으로 효과적으로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2 안착부를 이용하여 청소 용구를 쉽게 걸어 놓을 수 있으므로 청소용구를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적어도 두개 이상의 서로 상이한 용도를 갖는 헤드로 구성되는 헤드 세트와;
    가늘고 긴 자루와, 상기 자루의 일단에 결합되는 손잡이와, 상기 자루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체와, 상기 헤드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동체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지지구로 구성되는 핸들조립체;를 구비하여, 상기 헤드를 상기 핸들조립체에 대해 착탈식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지지구에는, 양측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단부에 걸림돌편이 형성되어 있는 탈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에는, 상기 탈착부의 상기 걸림돌편이 삽입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지지구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핸들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에는 상기 핸들지지돌기가 삽입되는 핸들지지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중앙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회전방지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원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핸들축과, 상기 핸들축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단부에 상기 자루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자루설치공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핸들지지구는,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양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핸들축이 끼워지는 핸들축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측벽과, 상기 기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핸들축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핸들축의 회전방지돌출부와 치합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축지지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설치공의 외주연과 상기 원형돌기의 외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상기 자루의 자유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세트중 어느 하나의 헤드에는 걸레용 천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플랩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의 하부에는 걸레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벨크로 테입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엄지와 집게손가락의 교차부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와 집게손가락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KR1020000069519A 2000-11-22 2000-11-22 청소용구 Abandoned KR20020039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519A KR20020039578A (ko) 2000-11-22 2000-11-22 청소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519A KR20020039578A (ko) 2000-11-22 2000-11-22 청소용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689U Division KR200226000Y1 (ko) 2000-11-22 2000-11-22 청소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578A true KR20020039578A (ko) 2002-05-27

Family

ID=19700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519A Abandoned KR20020039578A (ko) 2000-11-22 2000-11-22 청소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95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245B1 (ko) * 2010-09-06 2013-04-16 한경희 스팀청소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4093A (ja) * 1997-05-14 1998-12-02 Lion Corp 掃除具
KR0134019Y1 (ko) * 1996-03-05 1999-01-15 김주하 걸레의 고정 구조체
KR20000024242A (ko) * 2000-01-31 2000-05-06 김주하 청소기의 자루 고정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019Y1 (ko) * 1996-03-05 1999-01-15 김주하 걸레의 고정 구조체
JPH10314093A (ja) * 1997-05-14 1998-12-02 Lion Corp 掃除具
KR20000024242A (ko) * 2000-01-31 2000-05-06 김주하 청소기의 자루 고정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245B1 (ko) * 2010-09-06 2013-04-16 한경희 스팀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6508B2 (en) Motorized cleaning implement
CA2931655C (en) Multi-purpose cleaning implement
US6202246B1 (en) Multi-purpose scrub mop
JP2006513833A (ja) 洗浄器具
US20090094791A1 (en) Combination handle and extension handle kit for cleaning implements
US4893369A (en) Hand-held utensil for surface cleaning, mopping and the like
US20060048318A1 (en) Multi-surfaces cleaning implement
US20070119009A1 (en) Mop with insert
CA1323736C (en) Replacement sponge assembly for mops
US3753267A (en) Cleaning mop
JP2023078357A (ja) 多機能モップ付きスティッククリーナー
US20120060313A1 (en) Cleaning cloth holding structure for mopping apparatus
US20120180235A1 (en) Mop with comb structure
GB2388156A (en) Snap-fitting attachment for tubular articles
KR200226000Y1 (ko) 청소용구
KR20020039578A (ko) 청소용구
CN212816150U (zh) 拖把背附式刮铲
US5940924A (en) Removably mounted deck brush
US20170319041A1 (en) DuraLock Scrubber Attachment
KR200288566Y1 (ko) 다용도 물걸레 청소기
US11266288B2 (en) Double-handle mop
KR20210089939A (ko) 탄성복원력을 갖는 청소도구
JPH11244211A (ja) 握 柄
US20080148505A1 (en) Floor cleaning apparatus
IE63673B1 (en) Hand-held utensil for surface cleaning mopping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103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20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