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368Y1 - 철근 받침대 - Google Patents

철근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68Y1
KR200200368Y1 KR2020000013443U KR20000013443U KR200200368Y1 KR 200200368 Y1 KR200200368 Y1 KR 200200368Y1 KR 2020000013443 U KR2020000013443 U KR 2020000013443U KR 20000013443 U KR20000013443 U KR 20000013443U KR 200200368 Y1 KR200200368 Y1 KR 2002003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slab
support
present
bar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4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조
구자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종합건축사무소 동일건축
주식회사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종합건축사무소 동일건축, 주식회사나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종합건축사무소 동일건축
Priority to KR20200000134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3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슬래브는 물론 온통기초 슬래브의 철근 설치공사시 상하단 철근의 간격 및 상하 피복두께의 유지를 위한 철근 받침대(bar spac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부 철근을 받치는 플라스틱 부분과 상부 철근을 받치는 철재 부분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받침대로 상, 하단 철근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부 철재 부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슬래브 두께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상부 철재 부분의 형상을 달리하여 철근 받침대로서의 역할뿐만아니라 콘크리트 타설시 소용 타설높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벨 측정용 철근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슬래브의 상면에 상접하여 하부 철근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 철근 받침부재; 및 상기 하부 철근 받침부재에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부 철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부 철근 받침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철근 받침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철근 받침대{BAR SPACER}
본 고안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슬래브는 물론 온통기초 슬래브의 철근 설치공사시 상하단 철근의 간격 및 상하 피복두께의 유지를 위한 철근 받침대(bar spac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부 철근을 받치는 플라스틱 부분과 상부 철근을 받치는 철재 부분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받침대로 상, 하단 철근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부 철재 부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슬래브 두께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상부 철재 부분의 형상을 달리하여 철근받침대로서의 역할뿐만아니라 콘크리트 타설시 소요 타설높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철근 받침대(bar spacer)란 배근된 철근과 콘크리드와의 피복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철근과 거푸집 사이에 설치하여 일정한 높이로 철근을 받쳐두도록 하는 간격재를 말하는데,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 받침대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일반 바닥 슬래브용으로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콘크리트로 만든 것이 주류를 이루었고, 온통기초판과 같이 두꺼운 슬래브에는 철근으로 특수 제작된 받침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이 두 경우 모두 상하부 철근용 받침대가 별개로 되어 있어 철근 한 개마다 받침대 한 개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하부 철근 받침대는 별 문제가 없으나 상부철근 받침대는 높이가 높아져 불가피하게 세장하게 되고, 작업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고 있다 하더라도 연관 공정작업, 예를 들어 전기배관 작업시에 작업원의 부주의로 철근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쓰러지는 예가 많아 상부 철근이 아래로 처지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세심한 공사관리를 시행한다 해도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가해지는 충격과 과도한 진동기(바이브레이터) 사용에 따른 충격으로 인한 상부 철근 받침대의 쓰러짐을 방지하기가 매우 곤란하여 슬래브 구조체 공사의 주요 하자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더욱이 종래의 철근 받침대는 상하부 철근용이 별도로 되어 있어 설치작업이 불편하며 이로 인해 생산성 향상을 제약하고 작업원의 부주의로 인해 받침대 설치를 누락하기도 쉽다.
또한 슬래브의 두께를 정확하게 시공하기 위하여는 콘크리트 타설시에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슬래브 주변에 타설 높이를 나타내는 별도의 표식을 설치하고 있어 부가적 작업을 필요로 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슬래브 철근 받침대는 정확한 상하부 철근사이의 간격 및 피복유지라는 고유의 기능을 발휘하는데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어서 공사관리의 어려움과 생산성 저하를 피할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 내력저하로 인한 균열의 발생 등 빈번한 문제를 일으켜 왔고 보강공사로 인하여 국가경제에 막대한 낭비를 가져오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배관공사와 같은 연관 공정의 작업시나 콘크리트 타설시에 철근 받침대의 전도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철근의 처짐등으로 인한 상하부 철근간의 간격 및 슬래브내의 위치 변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철근 받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나의 받침대가 상하철근을 동시에 받치도록 하여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철근 받침대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슬래브 두께 변화에 따라 받침대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제품 생산시에 단가상승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 받침대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 철근 받침부 2 : 상부 철근 받침부
11a, 11b, 11c : 다리 12a, 12b, 12c, 12d : 벽체
13 : 자립부 21 : 걸림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슬래브의 상면에 상접하여 하부 철근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 철근 받침부재; 및 상기 하부 철근 받침부재에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부 철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부 철근 받침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철근 받침대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1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철근 받침대는 하나의 받침대로 상하부 철근을 동시에 받칠 수 있으면서 공사중 전도에 대한 우수한 안정성을 유지하고, 슬래브의 두께 변화에 따라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철근 받침부(1)와 하부 철근 받침부(1)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일체화된 상부 철근 받침부(2)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부 철근 받침부(1)는 플라스틱 수지로된 삼발이 모양을 하고 있으며, 삼발이 구조를 형성하는 각각의 다리(11a, 11b, 11c)는 서로서로 벽체(12a, 12b, 12c, 12d)로 연결되어 있고, 다리 사이를 연결하는 벽체(12a, 12b, 12c, 12d) 의 하단부는 오목하게 파여져 있어서 바닥 거푸집과의 접촉을 줄임으로써 전도에 대하여 보다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벽체(12a, 12b, 12c, 12d)로 연결하는 것은 벽체(12a, 12b, 12c, 12d)와 벽체(12a, 12b, 12c, 12d) 사이에 유통공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시에 공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삼발이 구조를 형성하는 다리(11a, 11b, 11c)중에서 두 개의 다리(11a, 11b)에는 구멍이 있는데, 각각의 구멍에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굵기의 철사로 되어 있는 상부 철근 받침부(2)의 하부 양측이 각각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삼발이 구조를 형성하는 다리(11a, 11b, 11c)중에서 나머지 다리(11c)의 상단은 하부철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벽체(12a, 12b, 12c)보다 더 돌출되어 있는데 이렇게 함으로 돌출부가 하부철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턱을 형성하여 하부 철근이 지지될 때 하부 철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벽체(12c)의 외측면에는 하부 철근 받침부(1)의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립부(13)가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된 자립부(13)의 하면은 슬래브 상면에 상접하여 하부 철근 받침부(1)를 지지하여 넘어짐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상부 철근 받침부(2)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굵기의 철사로 되어 있는데, 그 형상은 M자형을 이루고 있고, 상부 중앙에는 상부 철근을 받칠 수 있는 받침홈(21)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 철근 받침부(2)의 하부 양측은 각각 하부 철근 받침부(1)의 다리 구멍(14a, 14b)에 인입되어 고정되며, 그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상부 철근 받침부(2)가 하부 철근 받침부(1)의 다리에 인입되어 고정되면서 상부 철근 받침부(2)는 하부 철근과 직교하는 상부 철근을 받치게 된다.
이렇게 되면 하나의 받침대로 상하부 철근을 동시에 받친다는 이점이 있으며, 그 이외에도 전도에 대하여 보다 큰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즉, 하부 철근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전도는 하부철근이 억제하는 기능을 하므로써 받침대 자체의 안정성에 철근들이 2차적인 보완기능을 하게 되어 종래의 받침대에 비할 수 없이 높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슬래브의 상하 철근의 배치는 엇배치 일 수도 있고 일렬 배치일 수도 있는데 받치는 상하 철근이 직교하게 되므로 어느 경우에도 받침대의 위치 때문에 철근의 위치에 변화가 발생할 염려가 없게 된다. 또한 받침부분의 폭에 여유를 두어 철근이 완벽한 직선이 아니더라도 약간의 오차는 수용할 수 있으므로 실용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
또한, 일반적인 건출물의 슬래브 두께는 12cm에서 15cm 사이가 되는데 이 경우에는 동일한 하부 철근 받침부(1)에 상부 철근 받침부(2)의 길이만 조절하면 되므로 제품의 생산원가 측면에서 유리하다.
도면에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받침대의 사시도로서, 상부 철근 받침부의 상부중에서 한측이 다른 측보다 상향 돌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상부 철근 받침부(2)의 상부중에서 한측이 다른 측보다 상향 돌출되어 있는 것은 한측을 슬래브 두께만끔 높게함으로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 높이를 정 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표식의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전기배관공사와 같은 연관 공정의 작업시나 콘크리트 타설시에 전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하 슬래브의 피복을 정확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하나의 받침대가 상하철근을 동시에 받치도록 하여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시공하중으로 인한 파손이 일어나지 않도록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슬래브 두께 변화에 따라 받침대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제품 생산시에 단가상승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슬래브의 상면에 상접하여 하부 철근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 철근 받침부재; 및
    상기 하부 철근 받침부재에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부 철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부 철근 받침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철근 받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철근 받침부재는,
    슬래브의 상면에 상접하여 있으며, 원통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는 다수의 다리; 및 상기 다리와 다리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보다 상기 다리의 높이가 더 높도록 구현되어 상기 하부 철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턱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받침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철근 받침 부재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굵기의 철사로 구성되고, 중간에 상기 상부 철근을 지지할 수 있도록 걸림홈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하부 철근 받침대의 다리에 구비된 홀에 양단이 인입되어 상기 하부 철근 받침대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받침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철근 받침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벽체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하부 철근 받침부재를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자립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받침대.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철근 받침 부재는,
    상기 걸림홈 일측의 높이가 타설 높이를 나타내도록 구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받침대.
KR2020000013443U 2000-05-12 2000-05-12 철근 받침대 Expired - Fee Related KR2002003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443U KR200200368Y1 (ko) 2000-05-12 2000-05-12 철근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443U KR200200368Y1 (ko) 2000-05-12 2000-05-12 철근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8Y1 true KR200200368Y1 (ko) 2000-10-16

Family

ID=19655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443U Expired - Fee Related KR200200368Y1 (ko) 2000-05-12 2000-05-12 철근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286B1 (ko) * 2006-08-28 2007-11-08 삼광선재 주식회사 철근 받침대 제조방법 및 철근 받침대
KR20240069089A (ko) 2022-11-11 2024-05-20 (주)비케이철강 슬래브의 상부철근 고임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286B1 (ko) * 2006-08-28 2007-11-08 삼광선재 주식회사 철근 받침대 제조방법 및 철근 받침대
KR20240069089A (ko) 2022-11-11 2024-05-20 (주)비케이철강 슬래브의 상부철근 고임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47363C (zh) 用于浇铸混凝土的带附件的金属模
KR200200368Y1 (ko) 철근 받침대
KR101211334B1 (ko) 강재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 연결 구조
KR102093711B1 (ko) 다기능 철근결속장치
KR100891347B1 (ko) 슬래브 거푸집의 지지구조
KR101828341B1 (ko) 판형벽체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00019807A (ko) 안장pc블럭을 이용한 역t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JP7453837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配筋構造および鉄筋施工方法
KR20070077204A (ko) 콘크리트 슬래브 거푸집용 삼중폐단면강 및 이를 통한거푸집의 설치구조
KR102155645B1 (ko) 정위치 배근이 가능한 pc 데크용 거푸집과 이를 이용한 pc 데크의 제작방법 및 그 pc 데크
KR200351989Y1 (ko) 피씨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장치
CN215366862U (zh) 预制t梁端头的胎膜装置
KR101064752B1 (ko) 콘크리트 슬래브 타설용 데크
KR0127135Y1 (ko) 콘크리트몰탈타설기준대를 가진 철근받침대
KR200203624Y1 (ko) 슬라브용 철근 스페이서
CN106400681A (zh) 一种辅助桥梁支座下钢板安装的装置
KR20220010299A (ko) 유로폼을 이용한 슬라브 시공방법 및 시스템
KR200413169Y1 (ko) 슬라브용 레벨 스페이서
KR200494576Y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JPH0671654U (ja) スペーサ
KR200409957Y1 (ko) 피씨플레이트
KR200182616Y1 (ko) 철근 받침대
CN211974358U (zh) 一种用于提升墙、柱模板垂直度的装置
KR200210972Y1 (ko) 철근 받침대
KR200193383Y1 (ko) 철근 간격 유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51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8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5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01017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28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