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36225A - 피부질환 보호-치료용 생체막 - Google Patents

피부질환 보호-치료용 생체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6225A
KR20020036225A KR1020000066305A KR20000066305A KR20020036225A KR 20020036225 A KR20020036225 A KR 20020036225A KR 1020000066305 A KR1020000066305 A KR 1020000066305A KR 20000066305 A KR20000066305 A KR 20000066305A KR 20020036225 A KR20020036225 A KR 20020036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microbial
fish
biofilm
extract
bio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6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윤
여인호
김은애
신혜윤
Original Assignee
이종윤
(주) 하판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윤, (주) 하판바이오텍 filed Critical 이종윤
Priority to KR1020000066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6225A/ko
Publication of KR20020036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22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2/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B2/7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B2/72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2/729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B2/7295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2/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B2/7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B2/72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2/729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B2/733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로부터 추출한 물질을 이용하여 피부질환에 효과가 있는 생체막 제조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어류의 종류는 점액성 표피를 갖는 어류전체나 또는 어류껍질만을 수집하여 유기산 또는 유기산과 유기용매를 함유하는 수용액(분해액)에서 분해한 후 원심분리하여 수집한 상층액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생체막은 천연의 성분이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각종 미생물에 대한 항균성을 나타내므로 상처 및 미생물감염부위 등에 피부보호-치료제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피부질환 보호-치료용 생체막{Biomembrane Dressing for Healing Dermal Wound and Infection}
본 발명은 점액성 표피를 갖는 물고기 전체 또는 껍질을 유기산으로 용해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항균성물질을 함유한 생체막에 관한 것이다.
항생물질이 함유된 생체막은 피부상처 치료용 반창고 및 붕대를 만드는 산업적 이용이 가능하다. 현재, 잘 알려진 시판품은 죤슨 앤 죤슨(Johnson & Johnson)사의 얇은 스트립(strip), 패치(patch), 스포트(spot)와 콜게이트-팔몰리브 컴퍼니(Colgate-Palmolive Co.)의 큐리티 큐러드(curity curad) 오우취리스(ouchless) 반창고이다. 이들은 합성 폴리머(polymer)로 형성되어 있고, 합성 바이오폴리머(biopolymer)의 기질과 하이알루로닉 산(hyaluronic acid), 더마탄 설페이트(dermatan sulfate), 알기닉 산(alginic acid), 키토산(chitosan)등과 같은 생물체에서 추출한 고분자 유기물을 혼합하여 제조한것(미국특허 5,876,744), 멤브레인/겔 기질에 생리활성 물질을 첨가한 것(미국특허 5,705,485; 5,833,078)등이 있다.
이 외에도, 생물체에서 추출한 고분자 물질을 이용하여 박막 조성 기질로 사용한 대표적인 예는 콜라겐(collagen), 젤라틴(gelatin), 셀룰로스(cellulose), 키토산(chitosan)등이 있는데, 이 중 콜라겐과 키토산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미국특허 5,883,078; 5,897,821; 4,452,906; 4,572,906).
그러나,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전형적인 붕대는 섬유질의 가제이며, 반창고의 경우 일회용으로서 플라스틱 테이프(plastic tape)에 접착제를 처리한 부분과 환부와 접촉하는 부분이 섬유질 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물과의 접촉시 쉽게 떨어지며 장시간 부착시에는 피부 표면에 자국을 남기거나, 알레르기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섬유질 막에 항생작용을 발현할 수 있는 물질을 처리한 막도 시판되고 있으나, 사용하기 쉬운 반면 지혈효과가 없고, 물의 침투시 감염가능성이 높으며, 투명하지 않아 환부의 진행을 관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런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박막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본 발명은 점액성 표피를 갖는 물고기 전체 또는 껍질을 유기산으로 용해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항균성물질을 함유한 생체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미꾸라지표피 추출물의 크로마토그래피
도 2a는 미꾸라지표피 추출물의 대장균에 대한 항균성
도 2b는 미꾸라지표피 추출물의 마이크로코커스 류테우스에 대한 항균성
도 2c는 미꾸라지표피 추출물의 칸디다 트로피칼리스에 대한 항균성
도 3은 미꾸라지표피 추출물로 제조된 생체막의 마이크로코커스 류테우스에 대한 항균성
도 4는 장어표피 추출물의 크로마토그래피
도 5a는 장어표피 추출물의 대장균에 대한 항균성
도 5b는 장어표피 추출물의 마이크로코커스 류테우스에 대한 항균성
도 5c는 장어표피 추출물의 칸디다 트로피칼리스에 대한 항균성
도 6a는 장어표피 추출물의 제조된 생체막의 대장균에 대한 항균성
도 6b는 장어표피 추출물의 제조된 생체막의 마이크로코커스 류테우스에 대한 항균성
도 6c는 장어표피 추출물의 제조된 생체막의 칸디다 트로피칼리스에 대한 항균성
앞에서 기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점액성 표피의 어류를 유기산과 물로 구성된 분해액 또는 유기산, 물 및 유기용매로 구성된 분해액으로 분해한 후 고형물을 제거하여 수득되는 추출물로 제조되는 항균성 생체막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어류 또는 상기 어류의 표피를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유기산이나 유기용매가 함유된 유기산에 담가 교반하여 표피를 완전히 용해시킨다. 교반시간은 원재료의 상태나 처리온도 등에 따라 변화될 것이지만 대략 15 ~ 60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작업의 편의와 효율을 위해 상기 어류 또는 그 표피를 적절한 크기로 분쇄하여 용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재료의 저장보관이나 분쇄를 위해 원재료를 동결하여 두는 것도 가능하다. 표피가 완전히 용해되면 원심분리하여 고형물을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항균성 물질이 함유된 생체막형성 물질을 얻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점액성 표피를 갖는 어류란 담수어, 해수어를 막론하고 비늘이 없으면서(메기) 표피가 점액성 물질로 싸여 있거나, 비늘이 체표면에 깊이 파묻혀있는 원린(元鱗: 둥근비늘: cycloid)을 가지고 있으면서 표피가 점액성 물질로 싸여있는 어류를 말한다. 여기에는 바다장어, 뱀장어, 미꾸라지, 미꾸리, 메기 등 다양한 어류가 해당되겠지만, 원재료 입수의 편의성을 고려할 때, 상기 어류는 장어, 또는 미꾸라지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어류는 물고기 전체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작업의 편의와 효율을 위해서 표피만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해액은 유기산이 1 ~ 10%(v/v)인 수용액이며, 필요에 따라 분해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유기용매를 첨가할 수도 있다. 첨가되는 유기용매는 20 ~ 80%(v/v) 함량인 것이 좋다. 상기 유기산은 초산, 개미산 또는 젖산이고, 상기 유기용매는 친수성 유기용매로서 에틸알콜 또는 아세토나이트릴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해액의 사용량은 어류 생체량에 대하여 5 ~ 15배(w/v)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표피를 분해하고 원심분리하여 고형물을 제거하더라도 분해액 내에 지방성분이 용해되어 있을 수가 있다. 지방 함유량이 많아 아래에서 설명될 생체막 제조시에 지방 미립자에 의해 생체막의 물리적 특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분해액에 클로로포름 또는 다이에틸에테르를 가하여 현탁시킨 후 일정시간 방치하여 분해액 및 클로로포름 또는 다이에틸에테르가 상분리되면 클로로포름 또는 다이에틸에테르 분획을 분리제거함으로써 분해액 내의 지방성분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균성 검증결과, 이러한 방식으로 얻은 추출물은 유독성 미생물인 대장균(E. coli), 마이크로코커스 류테우스(Micrococcus luteus) 및 칸디다 트로피칼리스(Candida tropicalis)에 대하여 항균성을 보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항균성 추출물을 동결건조하고 분쇄하여 식품보존제, 항생제, 연고제 등의 소재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항균성 추출물을 적절히 농축하면 점성이 높은 액상형태가 되므로 이를 항균성 접착제, 무좀치료용 항균성 도포제, 상처 보호용 항균성 도포제 등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앞에서 기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항균성 추출물로 제조되는 항균성 생체막을 제공한다.
즉, 상기 항균성 추출물을 유리 또는 플라스틱 평판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항균성 생체막을 얻게 된다. 제조된 생체막의 탈리가 용이하도록 디메칠실래인(dichlorodimethylsilane)으로 처리한 프라스틱이나 아크릴용기에 부어 무균상태의 클린벤치 내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조되는 생체막의 물리적·생물학적 성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0.5 ~ 2.0%(v/v)의 글리세롤, 0.2 ~ 2.0%(w/v)의 젤라틴 또는 PVA(polyvinyl alcohol), 0.03 ~ 0.14%(w/v)의 키토산을 첨가할 수 있다. 글리세롤은 생체막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며, 젤라틴 또는 PVA는 생체막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키토산은 생체막의 물리적 특성을 다소 저하시키지만 키토산에 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항균성 검증결과, 이러한 방식으로 얻은 생체막은 유독성 미생물인 대장균(E. coli), 마이크로코커스 류테우스(Micrococcus luteus) 및 칸디다 트로피칼리스(Candida tropicalis)에 대하여 항균성을 보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본 발명에 의한 생체막은 천연물질이며 항균성이 있을 뿐 아니라 아주 투명한 형태의 것이다. 따라서, 이를 피부질환 치료 및 보호용 커버제, 화상 치료용 보호용 커버제, 무좀 치료용 밴드 등의 형태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 미꾸라지 표피추출물의 항균성분석
미꾸라지를 구입하여 24시간 천연수에 방치하여 오물질 및 미꾸라지의 성장수질에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항생물질을 제거하였다. 50 g의 생 미꾸라지를 동결시킨 다음 직경이 약 1 ~ 3cm 정도 되도록 분쇄하여 추출용 원재료로 하여, 초산이 5%(v/v)(0.88M) 함유된 수용액을 분해액으로 하였다. 원재료에 대하여 10배(w/v)인 500ml의 분해액을 가하고 분쇄한 원재료 조직이 완전히 분해될 때까지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분해가 완료되면 209 ×g에서 30분동안 원심분리하여 고형물을 제거하였다. 이때 얻어진 상층액은 450ml이었으며, 건물량은 0.78g/100ml 이었다. 이렇게 수집한 상층액은 4℃에 보관하면서 필요한 경우에 꺼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라이시스 존 에쎄이(lysis zone assay) 방법으로 상기 방법에서 수득한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먼저 상기 미꾸라지 추출물을 세파덱스(Sephadex) LH-20으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각 분획에 대해 항균성 작용을 검증하였다. 대장균과 마이크로 코커스 류테우스는 LB-agarose 배지에 칸디다 트로피칼리스는 potato dextrose 배지에 최종균수가 2×105cfu/ml 되도록 섞어 만든다. 굳힌 배지에 0.3㎝크기의 구멍을 뚫고 상기 분획을 4㎕씩 주입하여 물질이 배지에 스며들도록 실온에서 1시간 방치 후 30℃에서 24시간 배양하여 항균성물질에 의해 균의 성장이 저해되어 생성된 클리어 존을 관찰하였다.
도 1에 미꾸라지 추출물을 세파덱스 LH-20으로 크로마토그래피한 결과 그래프를 도시하였으며, 도 2에 라이시스 존 어쎄이 결과 사진을 도시하였다.
도 2a ~2c에서 볼 수 있듯이 수개 ~ 수십개의 구멍 주위로 커다란 클리어존이 형성된 것으로 보아 본 발명에 의한 미꾸라지 추출물(의 분획물)은 상기 균주들에 대해 강력한 항균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미꾸라지표피 추출물을 재료로 제조된 생체막이 마이크로코커스 류테우스에 대해 항균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 장어표피추출물의 항균성 분석
장어의 껍질을 직경이 약 1 ~ 3cm 정도 되도록 분쇄하여 추출용 원재료로 하였다. 50g의 원재료에 초산이 5%(v/v)(0.88M) 함유된 수용액으로 된 분해액 400ml를 가하고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분해하였다. 분해가 완료되면 209 ×g에서 30분동안 원심분리하여 고형물을 제거하였다. 상층액에 함유된 지방성분 및 현탁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80ml의 크로로포름(chloroform)을 가하고 흔들어 주어 용액을 완전히 섞은 다음, 30분간 원심분리(209×g)한 후 두 용매를 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취한다. 장어추출물층의 잔류 크로로포름을 제거하기 위해 60℃에서 감압증발시켜 350㎖의 장어추출물을 얻는다. 이때, 건물량은 2g/100㎖이었다. 이렇게 수집한 상층액은 4℃에 보관하면서 필요한 경우에 꺼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라이시스 존 에쎄이(lysis zone assay) 방법으로 상기 방법에서 수득한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먼저 상기 장어 추출물을 세파덱스(Sephadex) G-25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각분획을 분리하였다(도시 생략). 대장균과 마이크로코커스 류테우스는 LB-agarose 배지에, 칸디다 트로피칼리스는 potato dextrose 배지에 최종균수가 2×105cfu/ml 되도록 섞어 만든다. 굳힌 배지에 0.3㎝크기의 구멍을 뚫고 상기 분획을 4㎕씩 주입하여 물질이 배지에 스며들도록 실온에서 1시간 방치 후 30℃에서 24시간 배양하여 항균성물질에 의해 균의 성장이 저해되어 생성된 클리어 존을 관찰하였다.
도 4에 장어추출물을 세파덱스 G-25로 크로마토그래피한 결과 그래프를 도시하였고, 도 5에 라이시스 존 에쎄이 결과 사진을 도시하였다.
도 5a ~ 5c에서 볼 수 있듯이 수개 ~ 수십개의 구멍 주위로 커다란 클리어존이 형성된 것으로 보아 본 발명에 의한 장어 추출물(의 분획물)은 상기 균주들에 대해 강력한 항균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 생체막의 제조 및 생체막의 항균특성 분석
실시예 1 ~ 2에서 수득된 추출물에 글리세롤 0.5%(v/v)를 첨가하여, 디메틸실레인(dichlorodimethylsilane)으로 처리한 플라스틱 용기에 부은 다음, 무균상태를 유지하는 클린벤치내에서 건조시켰다. 시간 경과에 따라 수분과 유기산이 증발하면 합성수지막과 유사한 형태의 투명막이 형성되었다. 생체막의 물리적 성질을 개선시키기 위해 젤라틴(gelatin) 및 PVA 각각 0.2%(v/v), 키토산(chitosan)0.03%(v/v)를 첨가할 수 있다. 제조된 생체막의 항균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라이시스 존 에쎄이(lysis zone assay) 방법을 적용하였다. 대장균과 마이크로코커스 류테우스는 LB-agarose 배지에, 칸디다 트로피칼리스는 potato dextrose 배지에 최종균수가 2×105cfu/ml 되도록 섞어 만든다. 굳힌 배지에 제조된 생체막이 0.6㎝되도록 원형으로 절취 후 상기 배지에 일정간격으로 얹고, 30℃에서 24시간배양 후 생체막의 항균성 물질에 의해 균들의 성장이 저해되어 생성된 클리어존을 관찰하였다. 첨부된 도 5와 도 6에 각각 실시예1 ~ 2에 의한 추출물로 제조된 생체막을 사용하여 라이시스 존 에쎄이 실험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을 첨부하였다.
도 6a∼6c에서 장어표피추출물로 제조된 생체막이 상기 균주들에 대해 항균력을 보임을 나타내었다. 도에서 볼 수 있듯이, 각 추출물과 마찬가지로 각 추출물을 재료로 하여 제조된 생체막이 상기 균주들에 대해 강력한 항균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점액성 표피를 갖는 어류전체나 어류껍질을 유기산이 함유된 유기용매에서 분해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항균성 추출물과 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성 생체막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추출물 및 생체막은 천연의 성분이며,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각종의 미생물에 대해 항균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식품보존제, 피부보호-치료제 등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점액성 표피의 어류를 유기산이 함유된 수용액으로 분해한 후 고형물을 제거하여 수득된 추출물을 평판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생체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는 장어, 미꾸라지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생체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초산, 개미산, 젖산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생체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에틸알콜 또는 아세토나이트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생체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 제거 후 클로로포름 또는 다이에틸에테르로 지방성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생체막.
  6. 제 1항에 있어서,
    그리세롤, 키토산, 젤라틴 또는 PVA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생체막.
KR1020000066305A 2000-11-09 2000-11-09 피부질환 보호-치료용 생체막 KR200200362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305A KR20020036225A (ko) 2000-11-09 2000-11-09 피부질환 보호-치료용 생체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305A KR20020036225A (ko) 2000-11-09 2000-11-09 피부질환 보호-치료용 생체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225A true KR20020036225A (ko) 2002-05-16

Family

ID=19697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305A KR20020036225A (ko) 2000-11-09 2000-11-09 피부질환 보호-치료용 생체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622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763Y1 (ko) * 2008-09-24 2011-05-30 백동호 수면 방해 제어기기.
KR101460669B1 (ko) * 2012-11-23 2014-11-11 주식회사 뉴메디온 점액을 분비하는 어류로부터 수득한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7069365A1 (en) 2015-10-21 2017-04-27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rtificial biomembrane using silk matrix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1044A2 (en) * 1993-04-21 1994-10-26 Kabushiki Kaisha Sangi Collagen membranes
US5420248A (en) * 1991-07-04 1995-05-30 Coletica Unpigmented fish skin, particularly from flat fish, as a novel industrial source of collagen, extraction method, collagen and biomaterial thereby obtained
EP0672750A1 (en) * 1994-03-17 1995-09-20 Ab Vickers Limited Collagen finings and preparation thereof
US5658594A (en) * 1986-12-22 1997-08-19 Al-Hassan; Jassim M. Method of producing wound healing preparation
US5698228A (en) * 1995-06-26 1997-12-16 Hokkaido Government Wound healing composition using squid chitin and fish skin collagen
JP2000050811A (ja) * 1998-08-11 2000-02-22 Ihara Suisan Kk 魚類コラ−ゲンの製造方法
KR20000048428A (ko) * 1998-12-31 2000-07-25 로렌스 베어 어류 젤라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8594A (en) * 1986-12-22 1997-08-19 Al-Hassan; Jassim M. Method of producing wound healing preparation
US5420248A (en) * 1991-07-04 1995-05-30 Coletica Unpigmented fish skin, particularly from flat fish, as a novel industrial source of collagen, extraction method, collagen and biomaterial thereby obtained
EP0621044A2 (en) * 1993-04-21 1994-10-26 Kabushiki Kaisha Sangi Collagen membranes
EP0672750A1 (en) * 1994-03-17 1995-09-20 Ab Vickers Limited Collagen finings and preparation thereof
US5698228A (en) * 1995-06-26 1997-12-16 Hokkaido Government Wound healing composition using squid chitin and fish skin collagen
JP2000050811A (ja) * 1998-08-11 2000-02-22 Ihara Suisan Kk 魚類コラ−ゲンの製造方法
KR20000048428A (ko) * 1998-12-31 2000-07-25 로렌스 베어 어류 젤라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763Y1 (ko) * 2008-09-24 2011-05-30 백동호 수면 방해 제어기기.
KR101460669B1 (ko) * 2012-11-23 2014-11-11 주식회사 뉴메디온 점액을 분비하는 어류로부터 수득한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7069365A1 (en) 2015-10-21 2017-04-27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rtificial biomembrane using silk matrix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5427B2 (en) Sericin-containing material,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650273B1 (ko) 무세포 진피의 가교 및 생체 이식 또는 삽입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Muthukumar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biosheet impregnated with Macrotyloma uniflorum extract for burn/wound dressings
RU2438681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сухого порошка из дождевых червей
KR101429522B1 (ko) 태반유래 세포외기질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치유용 지지체
Thomas Medicinal use of terrestrial molluscs (slugs and snail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ir role in the treatment of wounds and other skin lesions
CN117534748B (zh) 一种美容养颜鱼胶原蛋白肽的制备方法
AU698986B2 (en) Cutaneous rejuvenating and healing product, method for its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Wei et al. Enzymatic one-pot preparation of carboxylmethyl chitosan-based hydrogel with inherent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for accelerating wound healing
KR100315381B1 (ko) 키토산 마이크로플레이크와 그 제조방법
CN106344954A (zh) 一种生物抗菌细菌纤维素敷料及其制备方法
CN104474573A (zh) 一种生物敷膜及制备方法
JPS58170721A (ja) 親水性バイオポリマ−コポリエレクトロライト
WO2018200372A1 (en) Skin-protective hydrogel wound dressing
KR20020036225A (ko) 피부질환 보호-치료용 생체막
RU273313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иокомпозита с регенерационными свойствами на основе гидрогеля бактериальной целлюлозы
KR101365065B1 (ko) 창상 치료용 감귤 유래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겔 및 이를 함유하는 드레싱 제재
CN107693771B (zh) 含有鲶鱼体表抗菌肽和活性多糖的促进创口愈合组合物
CN111298185B (zh) 一种山茶油茶籽粕抗菌多肽医用敷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US5773034A (en) Cutaneous rejuvenating and healing product, method for its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Hegde et al. Chitosan: An in-depth analysis of its extraction, applications, constraints, and future prospects
CN107469133A (zh) 新型功能敷料
KR102283047B1 (ko) 피부 주름 개선, 보습, 항산화 및 염증 완화 효과가 증가된 진피, 후박, 현호색, 아선약의 에탄올 추출 조성물
RU2219954C2 (ru) Повязка для лечения ран
KR20050087175A (ko) 초음파를 이용한 키토산-젤라틴-알진 스폰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128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