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35444A -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5444A
KR20020035444A KR1020010068471A KR20010068471A KR20020035444A KR 20020035444 A KR20020035444 A KR 20020035444A KR 1020010068471 A KR1020010068471 A KR 1020010068471A KR 20010068471 A KR20010068471 A KR 20010068471A KR 20020035444 A KR20020035444 A KR 20020035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circuit
pixel electrode
shar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2270B1 (ko
Inventor
미야지마야스시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20035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27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4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having more than one switching element per pixe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13Storage capacitors associated with the pixel electro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7Thin-film transistors [TF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4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selection purposes, e.g. logical AND for partial upd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28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digital to analog [D/A] conversion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57Static memory circuit, e.g. flip-flo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지 회로를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정밀도를 보다 높이고, 혹은 개구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행렬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 전극, 이들 화소 전극에 대응하여 배치된 복수의 유지 회로 및 이들 유지 회로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선을 포함하고, 유지 회로가 유지하는 데이터에 부합한 전압이 화소 전극에 공급되어 표시를 행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전원선은 행렬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유지 회로에서 공용됨과 함께, 행렬 중 다른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유지 회로에서 공용되어 있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ACTIVE MATRIX TYP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소에 대응하여 복수의 유지 회로가 설치된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표시 장치는 휴대 가능한 표시 장치, 예를 들면 휴대 텔레비전, 휴대 전화 등이 시장의 필요성에 의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여 표시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저소비 전력화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도 6은 종래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에서의 일 화소 전극의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다. 절연성 기판(도시하지 않음) 상에 게이트 신호선(51), 드레인 신호선(61)이 교차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교차부 근방에 이들 신호선(51, 61)에 접속된 선택 화소 선택 TFT(65)가 설치되어 있다. 선택 화소 선택 TFT(65)의 소스(65s)는 액정(21)의 화소 전극(1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화소 전극(17)의 전압을 1필드 기간 동안 유지하기 위한 보조 용량(85)이 설치되어 있고, 이 보조 용량(85)의 한쪽의 단자(86)는 선택 화소 선택 TFT(65)의 소스(65s)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전극(87)에는 각 화소 전극에 공통인 전위가 인가되어 있다.
여기서, 게이트 신호선(51)에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면, 선택 화소 선택 TFT(70)는 온 상태로 되어, 드레인 신호선(61)으로부터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화소 전극(17)에 전달됨과 함께, 보조 용량(85)에 유지된다. 화소 전극(17)에 인가된영상 신호 전압이 액정(21)에 인가되고, 그 전압에 따라 액정(21)이 배향된다. 이러한 화소 전극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LCD를 구현할 수 있다.
종래의 LCD는 동화상, 정지 화상에 관계없이 표시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LCD에 정지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예를 들면 휴대 전화의 액정 표시부의 일부에 휴대 전화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의 잔량 표시로서, 건전지의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구성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정지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도 동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게이트 신호로 선택 화소 선택 TFT(65)를 온 상태로 하여 영상 신호를 각 화소 전극에 재기입할 필요가 발생하였다.
그 때문에, 게이트 신호 및 영상 신호 등의 구동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드라이버 회로 및 그 드라이버 회로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신호를 발생하는 외부 LSI는 항상 동작하기 때문에, 항상 큰 전력을 소비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한정된 전원밖에 구비하고 있지 않은 휴대 전화 등에서는 그 사용 가능한 시간이 짧아지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각 화소 전극에 스태틱 메모리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가 특개평8-194205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 공보의 일부를 인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특개평8-194205호에 개시되어 있는 유지 회로를 갖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의 평면 회로 구성도이다. 게이트 신호선(51)과 참조선(52)은 행 방향으로, 드레인 신호선(61)은 열 방향으로 각각 복수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 회로(54)와 화소 전극(17) 사이에는 TFT(53)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 회로(54)에 유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를 행함으로써, 게이트 드라이버(50), 드레인 드라이버(60)를 정지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것이다.
도 8은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이다. 기판 상에 화소 전극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화소 전극(17) 사이에는 지면 좌우 방향으로 게이트 신호선(51)이 배치되며, 지면 상하 방향으로 드레인 신호선(61)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게이트 신호선(51)과 평행하게 참조선(52)이 배치되고, 게이트 신호선(51)과 드레인 신호선(61)의 교차부에 유지 회로(54)가 설치되며, 유지 회로(54)와 화소 전극(17) 사이에는 스위치 소자(53)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 회로(54)는 2단 인버터(55, 56)를 정귀환시킨 형태의 메모리, 즉 스태틱 메모리(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를 디지털 영상 신호의 유지 회로로서 이용한다. 특히 SRAM은 DRAM과 달리, 데이터의 유지에 리프레시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적합하다.
여기서, 스태틱 메모리에 유지된 2치 디지털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 소자(53)는 참조선 Vref와 화소 전극(17) 사이의 저항치를 유지 회로(54)의 출력에 맞게 제어하여, 액정(21)의 바이어스 상태를 조정하고 있다. 한편, 공통 전극에는 교류 신호 Vcom을 입력한다. 본 장치는 이상적으로, 정지 화상과 같이 표시 화상에 변화가 없으면, 메모리에 대한 리프레시는 불필요하다.
그러나, 유지 회로(54)에 스태틱 RAM을 이용하면, 유지 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수는 4개 혹은 6개로 많아져 회로 면적이 커지게 된다. 그와 같은 스태틱 RAM을 화소 전극(17) 사이에 배치하면, 화소 전극(17)의 면적이 작아지게 되어 액정 표시 장치의 개구율이 저하되거나, 하나의 화소 사이즈를 크게 해야만 하므로 고정밀화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지 회로를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정밀도를 보다 높이고, 혹은 개구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행렬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 전극, 이들 화소 전극에 대응하여 배치된 복수의 유지 회로 및 이들 유지 회로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선을 포함하고, 유지 회로가 유지하는 데이터에 부합한 전압이 화소 전극에 공급되어 표시를 행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전원선은 행렬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유지 회로에서 공용됨과 함께, 행렬 중 다른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유지 회로에서 공용되어 있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유지 회로를 갖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 각 행마다 전원선을 배치하는 것에 비해 전원선의 개수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어 화소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고정밀한 액티브 매트릭스 표시 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행렬 형상으로 배치된 화소 전극과, 행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게이트 신호선과, 열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드레인 신호선을 포함하고, 화소 전극은 게이트 신호선으로부터의 주사 신호에 의해 선택됨과 함께 드레인 신호선으로부터영상 신호가 공급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 게이트 신호선으로부터 입력되는 주사 신호에 의해 선택된 화소 전극에 드레인 신호선으로부터의 영상 신호에 부합한 신호를 공급하는 제1 표시 회로와, 소정의 전압이 공급되며, 게이트 신호선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부합하여 드레인 신호선으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유지하는 유지 회로를 포함하고, 이 유지 회로로부터의 신호에 부합한 신호를 표시 전극에 공급하는 제2 표시 회로와, 회로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표시 회로를 선택적으로 드레인 신호선에 접속하기 위한 회로 선택 회로를 포함하고, 유지 회로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선은 행렬의 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 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유지 회로에서 공용됨과 함께, 행렬의 다른 방향에 인접하는 복수의 화소에서 공유되어 있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및 제2 표시 회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 각 행마다 전원선을 배치하는 것에 비해 전원선의 개수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어 화소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고정밀한 액티브 매트릭스 표시 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하와 같다. 즉, 유지 회로 각각에는 행렬의 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다른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적어도 2개의 구동 전원선이 접속되고, 구동 전원선 중 적어도 1개는 행렬의 다른 방향에 인접하는 복수의 화소에서 공유되어 있다.
또한, 유지 회로 각각에는 행렬의 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다른 참조 전압을 공급하는 적어도 2개의 참조 전원선이 접속되며, 유지 회로는 유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참조 전압을 선택하여 화소 전극에 공급하고, 참조 전원선이 중 적어도 1개는 행렬의 다른 방향에 인접하는 복수의 화소에서 공유되어 있다.
또한, 공유되는 전원선은 모든 유지 회로에 대하여 동일한 전압을 공급한다. 또한, 공유되는 전원선은 행렬의 다른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 사이 부근에 배치되고, 행렬의 다른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에서의 유지 회로의 배치는 행렬의 다른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 사이를 축 혹은 중심으로 하여 공유되는 전원선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평면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평면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평면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액정 표시 장치의 1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7은 종래의 유지 회로를 갖는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8은 종래의 유지 회로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의 1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7 : 화소 전극
40, 43 : 회로 선택 회로
70 : 화소 선택 회로
85 : 보조 용량
110 : 유지 회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시 장치를 액정 표시 장치에 응용한 경우의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다.
액정 표시 패널(100)에는 절연 기판(10) 상에 복수의 화소 전극(17)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드라이버(50)에 접속된 복수의 게이트 신호선(51)이 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들 게이트 신호선(5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드레인 신호선(61)이 배치되어 있다.
드레인 신호선(61)에는 드레인 드라이버(60)로부터 출력되는 샘플링 펄스의 타이밍에 기초하여 샘플링 트랜지스터 SP1, SP2, …, SPn이 온 상태로 되어, 데이터 신호선(62)의 데이터 신호(아날로그 영상 신호 또는 디지털 영상 신호)가 공급된다.
게이트 드라이버(50)는 임의의 게이트 신호선(51)을 선택하고, 이것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한다. 선택된 행의 화소 전극(17)에는 드레인 신호선(61)으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공급된다.
이하, 각 화소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게이트 신호선(51)과 드레인 신호선(61)의 교차부 근방에는 P채널형 회로 선택 TFT(41) 및 N채널형 회로 선택 TFT(42)로 이루어진 회로 선택 회로(40)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회로 선택 TFT(41, 42)의 각 드레인은 드레인 신호선(61)에 접속됨과 함께, 이들 각 게이트는 회로 선택 신호선(88)에 접속되어 있다. 회로 선택 TFT(41, 42)는 선택 신호선(88)으로부터의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어느 한쪽이 온 상태로 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로 선택 회로(40)와 쌍을 이루어 회로 선택 회로(43)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회로 선택 회로(40, 43)는 각각의 트랜지스터가 상보적으로 동작하면 되고, P채널, N채널은 반대로 되어도 물론 무방하다. 또한, 회로 선택 회로(40, 43)는 어느 한쪽만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통상 동작 모드인 아날로그 영상 신호 표시(풀 컬러 동화상 대응)와 메모리 동작 모드인 디지털 영상 표시(저소비 전력, 정지 화상 대응)를 선택하여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회로 선택 회로(40)에 인접하여, N채널형 화소 선택 TFT(71) 및 N채널형 TFT(72)로 이루어진 화소 선택 회로(70)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화소 선택 TFT(71, 72)는 각각 회로 선택 회로(40)의 회로 선택 TFT(41, 42)와 캐스케이드(cascade)로 접속됨과 함께, 이들 게이트에는 게이트 신호선(51)이 접속되어 있다. 화소 선택 TFT(71, 72)는 모두 게이트신호선(51)으로부터의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동시에 온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유지하기 위한 보조 용량(85)이 설치되어 있다. 보조 용량(85)의 한쪽 전극은 화소 선택 TFT(71)의 소스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쪽 전극은 공통의 보조 용량선(87)에 접속되어, 바이어스 전압 Vsc가 공급되어 있다. 또한, 화소 선택 TFT(71)의 소스는 회로 선택 TFT(44) 및 컨택트(16)를 통해 화소 전극(17)에 접속되어 있다. 게이트 신호에 의해 화소 선택 TFT(70)의 게이트가 개방되면, 드레인 신호선(61)으로부터 공급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는 컨택트(16)를 통해 화소 전극(17)에 입력되어, 화소 전압으로서 액정을 구동한다. 화소 전압은 화소 선택 TFT(71)의 선택이 해제되고, 다음에 다시 선택될 때까지의 1필드 기간 동안 유지되어야 하지만, 액정의 용량만으로는 화소 전압은 시간 경과와 함께 점차로 저하되어 1필드 기간 충분히 유지되지 않는다. 그로 인해, 그 화소 전압의 저하가 표시 얼룩으로서 나타나 양호한 표시가 얻어지지 않게 된다. 그래서, 화소 전압을 1필드 기간 동안 유지하기 위해 보조 용량(85)을 설치하고 있다.
이 보조 용량(85)과 화소 전극(17) 사이에는 회로 선택 회로(43)의 P채널형 TFT(44)가 설치되고, 회로 선택 회로(40)의 회로 선택 TFT(41)과 동시에 온 오프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로 선택 TFT(41)가 온 상태로 되어, 아날로그 신호를 수시로 공급하여 액정을 구동하는 동작 모드를 통상 동작 모드, 혹은 아날로그 동작 모드라고 한다.
또한, 화소 선택 회로(70)의 TFT(72)와 화소 전극(17) 사이에는 유지 회로(110)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 회로(110)는 정귀환된 두 개의 인버터 회로와 신호 선택 회로(120)로 이루어지고, 디지털 2치를 유지하는 스태틱 메모리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신호 선택 회로(120)는 2개의 인버터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를 선택하는 회로로서, 2개의 N채널형 TFT(121, 122)로 구성되어 있다. TFT(121, 122)의 게이트에는 2개의 인버터로부터의 상보적인 출력 신호가 각각 인가되고 있기 때문에, TFT(121,122)는 상보적으로 온 오프 상태로 된다.
여기서, TFT(122)가 온 상태로 되면 교류 구동 신호(신호 B)가 선택되고, TFT(121)가 온 상태로 되면 그 대향 전극 신호 VCOM과 동등한 교류 구동 신호(신호 A)가 선택되어, 선택 회로(43)의 TFT(45)를 통해 액정(21)의 화소 전극(17)에 공급된다. 회로 선택 TFT(42)가 온 상태로 되어, 유지 회로(110)에 유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를 행하는 동작 모드를 메모리 모드 혹은 디지털 동작 모드라 한다.
전술한 구성을 요약하면, 화소 선택 소자인 화소 선택 TFT(71) 및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유지하는 보조 용량(85)으로 이루어진 회로(아날로그 표시 회로)와, 화소 선택 소자인 TFT(72), 2치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유지하는 유지 회로(110)로 이루어진 회로(디지털 표시 회로)가 하나의 화소 전극 내에 설치되고, 또한, 이들 2개의 회로를 선택하기 위한 회로 선택 회로(40, 43)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액정 패널(100)의 주변 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액정 패널(100)의 절연성 기판(10)과는 별도의 기판인 외장 회로 기판(90)에는 패널 구동용LSI(9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외장 회로 기판(90)의 패널 구동용 LSI(91)로부터 수직 스타트 신호 STV가 게이트 드라이버(50)에 입력되고, 수평 스타트 신호 STH가 드레인 드라이버(60)에 입력된다. 또한 영상 신호가 데이터선(62)에 입력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구성을 갖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 통상 동작 모드(아날로그 동작 모드)의 경우
모드 신호에 기초하여 아날로그 표시 모드가 선택되면, LSI(91)는 데이터 신호선(62)에 아날로그 신호를 공급하는 상태로 설정됨과 함께, 회로 선택 신호선(88)의 전위가 「L」이 되어, 회로 선택 회로(40, 43)의 회로 선택 TFT(41, 44)가 온 상태로 되고, 회로 선택 TFT(42, 45)가 오프 상태로 된다.
또한, 수평 스타트 신호 STH에 기초하는 샘플링 신호에 따라 샘플링 트랜지스터 SP가 순차적으로 온 상태로 되어, 데이터 신호선(62)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드레인 신호선(61)에 공급된다.
또한, 수직 스타트 신호 STV에 기초하여, 게이트 신호가 게이트 신호선(51)에 공급된다.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화소 선택 TFT(71)가 온 상태로 되면, 드레인 신호선(61)으로부터 아날로그 영상 신호 An.Sig가 화소 전극(17)에 전달됨과 함께, 보조 용량(85)에 유지된다. 화소 전극(17)에 인가된 영상 신호 전압이 액정(21)에 인가되고, 그 전압에 따라 액정(21)이 배향됨으로써 액정 표시를 구현할 수 있다.
이 아날로그 표시 모드에서는, 수시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에 기초하여 액정을 수시로 구동하기 때문에, 풀 컬러의 동화상을 표시하는 데 적합하다. 단, 외장 회로 기판(90)의 LSI(91), 각 드라이버(50, 60)에는 이들을 구동하기 위해, 전력이 지속적으로 소비되고 있다.
(2) 메모리 동작 모드(디지털 표시 모드)의 경우
모드 신호에 기초하여 디지털 표시 모드가 선택되면, LSI(91)는 영상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상위 1비트를 추출한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 신호선(62)에 출력하는 상태로 설정함과 함께, 회로 선택 신호선(88)의 전위가 「H」로 된다. 이에 따라, 회로 선택 회로(40, 43)의 회로 선택 TFT(41, 44)는 오프 상태로 됨과 함께, 회로 선택 TFT(42, 45)는 온 상태로 되기 때문에, 유지 회로(110)가 유효한 상태로 된다.
또한, 외장 회로 기판(90)의 패널 구동용 LSI(91)로부터, 게이트 드라이버(50) 및 드레인 드라이버(60)에 스타트 신호 STH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 샘플링 신호가 순차적으로 발생하고, 각각의 샘플링 신호에 기초하여 샘플링 트랜지스터 SP1, SP2, …, SPn이 순서대로 온 상태로 되어 디지털 영상 신호 D.Sig를 샘플링하여 각 드레인 신호선(61)에 공급한다.
여기서 제1행, 즉 게이트 신호 G1이 인가되는 게이트 신호선(51)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게이트 신호 G1에 의해 게이트 신호선(51)에 접속된 각 화소 전극의 각 화소 선택 TFT(72)가 1수평 주사 기간 동안 온 상태로 된다. 제1행 제1열의 화소 전극에 주목하면, 샘플링 신호 SP1에 의해 샘플링된 디지털 영상 신호 S11이 드레인 신호선(61)에 입력된다. 그리고 선택 화소 선택 TFT(72)가 게이트 신호에 의해 온 상태로 되면, 그 디지털 신호 D.Sig가 유지 회로(110)에 입력되어, 2개의 인버터에 의해 유지된다.
이 인버터에서 유지된 신호는 신호 선택 회로(120)에 입력되고, 이 신호 선택 회로(120)에서 신호 A 또는 신호 B를 선택하며, 그 선택한 신호가 화소 전극(17)에 인가되고 그 전압이 액정(21)에 인가된다.
이렇게 해서 1행째의 게이트 신호선으로부터 최종 행의 게이트 신호선까지 주사함으로써, 1화면분(1필드 기간)의 스캔, 즉 모든 도트 스캔이 종료되어 1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서, 1화면이 표시되면, 게이트 드라이버(50) 및 드레인 드라이버(60) 및 외장형의 패널 구동용 LSI(91)로의 전압 공급을 정지하여 이들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유지 회로(110)에는 항상 구동 전압 VDD, VSS를 공급하여 구동하고, 또한 대향 전극 전압을 대향 전극(32)에, 각 신호 A 및 B를 선택 회로(120)에 공급한다.
즉, 유지 회로(110)에는 그의 구동을 위한 구동 전압 VDD, VSS를 공급하고, 대향 전극에는 대향 전극 전압 VCOM을 인가하고, 액정 표시 패널(100)이 노멀 화이트(NW)인 경우에는, 신호 A에는 대향 전극 전압과 동등한 전위의 교류 구동 전압을 인가하고, 신호 B에는 액정을 구동하기 위한 교류 전압(예를 들면 60㎐)을 인가할 뿐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1화면분을 유지하여 정지 화상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게이트 드라이버(50), 드레인 드라이버(60) 및 외장형의 패널 구동용 LSI(91)에는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 때, 드레인 신호선(61)에 H 레벨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유지 회로(110)에입력된 경우에는, 신호 선택 회로(120)에서 제1 TFT(121)에는 「L」이 입력되기 때문에 제1 TFT(121)는 오프 상태로 되고, 다른쪽의 제2 TFT(122)에는 「H」가 입력되기 때문에 제2 TFT(122)는 온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신호 B가 선택되어 액정에는 신호 B의 전압이 인가된다. 즉, 신호 B의 교류 전압이 인가되고, 액정이 전계에 의해 상승하기 때문에, NW의 표시 패널에서는 표시로서는 흑 표시로서 관찰할 수 있다.
드레인 신호선(61)에 L 레벨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유지 회로(110)에 입력된 경우에는, 신호 선택 회로(120)에서 제1 TFT(121)에는 「H」가 입력되기 때문에 제1 TFT(121)는 온 상태로 되고, 다른쪽의 제2 TFT(122)에는 「L」이 입력되기 때문에 제2 TFT(122)는 오프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신호 A가 선택되어 액정에는 신호 A의 전압이 인가된다. 즉, 대향 전극(32)과 동등한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전계가 발생하지 않아 액정은 상승되지 않기 때문에, NW의 표시 패널에서는 표시로서는 백 표시로서 관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화면분을 기입하고 그것을 유지함으로써 정지 화상으로서 표시할 수 있지만, 그 경우에는 각 드라이버(50, 60) 및 LSI(91)의 구동을 정지하기 때문에, 그 만큼 저소비 전력화가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유지 회로(110)는 1비트만을 유지하지만, 물론 유지 회로(110)를 다중 비트화하면, 메모리 동작 모드에서 계조 표시를 행할 수도 있고, 유지 회로(110)를 아날로그 값을 기억하는 메모리로 하면, 메모리 동작 모드에서의 풀 컬러 표시도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액정 표시 패널(100)로 풀 컬러의 동화상 표시(아날로그 표시 모드의 경우)와 저소비 전력의 디지털 계조 표시(디지털 표시 모드의 경우)라는 2종류의 표시를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레이아웃에 대하여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회로 선택 회로의 P채널 회로 선택 TFT(41), 화소 선택 회로의 N채널 화소 선택 TFT(71), 회로 선택 회로의 P채널 TFT(44)가 직렬로 접속되고, 화소 전극(17)에 컨택트(16)를 통해 접속됨과 함께 보조 용량(8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N채널 회로 선택 TFT(42), N채널 화소 선택 TFT(72), 유지 회로(110), 회로 선택 회로의 N채널 TFT(45)가 컨택트(16)를 통해 화소 전극(17)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은 모두 화소 전극(17)에 중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각 화소에 배치되는 회로 구성은 각 화소에서 거의 마찬가지지만, 열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끼리의 회로 배치는 거의 서로의 화소 사이를 축으로 한 선대칭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도 2의 1열째의 화소에서는 화소 상단에 게이트 신호선(51)이 배치되고, 화소의 하반부에 유지 회로(11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의 2열째의 화소에서는 화소의 하단에 게이트 신호선(51)이 배치되고, 화소의 상반부에 유지 회로(110)가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3열째의 화소에서는 게이트 신호선(51)을 상단에, 유지 회로(110)를 하반부에 배치한 1열째의 화소와 마찬가지의 배치로 된다.
유지 회로(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SRAM이다. 그리고 유지 회로(110)에는높고 낮은 2종류의 구동 전원선(LVDD, LVSS)과, 높고 낮은 2종류의 참조 전원선(신호 A, 신호 B)으로 하여 합계 4개의 전원선이 접속되어 있다. 이들 전원선은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게이트 신호선(51)이나, 보조 용량선(87) 등과 마찬가지로 그 행의 각 화소에서 공용되어 있다. 이상은 각 화소의 회로 배치에서 공통되는 점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화소의 회로 레이아웃이 다르다. 각 화소의 회로 레이아웃은 열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끼리 선대칭으로 레이아웃되어 있다. 그리고, 열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의 유지 회로(110)끼리가 이들 4개의 전원선을 사이에 두고 상호 근접하여 배치되고, 4개의 전원선은 양쪽의 유지 회로(110)에서 공통으로 되어 있다. 즉, 각각의 전원선은 2행의 화소에 1개의 비율로 배치되고, 2행의 화소에 대응하는 모든 유지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원선을 각 행마다 배치하는 것에 비해 절반으로 삭감할 수 있다. 유지 회로(110)를 갖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는 화소마다 설치되는 회로가 많기 때문에, 회로의 구성 요소를 삭감하는 것은 화소 면적의 축소에 직결된다. 따라서, 유지 회로를 갖는 표시 장치를 고정밀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신호선(51)은 각 행에서 서로 다른 타이밍으로 온 상태로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행에 걸쳐 공유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 공유되는 4개의 전원선은 유지 회로(110)의 구동 전압이나 참조 전압을 공급하는 선으로서, 그 화소의 선택, 비선택이나 그 화소의 표시 내용(백, 흑)에 관계없이, 모든 화소의 유지 회로(110)에 공통되어 인가되는 전압을 계속해서 공급한다. 따라서 복수의 행에 걸쳐 공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마찬가지의 이유로,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가 컬러 표시를 행하는 타입이라도, 전원선을 인접 화소끼리 공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열 방향으로 동일색이 배열되는 스트라이프 배열뿐만 아니라, RGB 각각이 교대로 배치되는 델타 배열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4개의 전원선과 화소 전극(17)의 레이아웃 상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서 열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 GS1, GS2의 경계 부분을 나타내는 레이아웃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화소 GS1, GS2에 의해 공유된 전원선(19)(도 2에서는 유지 회로(110)의 SRAM에 공급되는 전원선 LVDD)은 한쪽의 화소, 예를 들면 화소 GS2에 중첩되어 연장됨과 동시에, 그 도중에서 화소 GS1, GS2의 방향으로 각각 분기하여, 각 컨택트(18, 18)를 통해 각각의 SRAM을 구성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각 소스(110S, 110S)에 접촉된다.
이러한 레이아웃에서는 화소 GS2의 화소 전극(17)과 전원선(19) 사이에는 절연막을 통해 기생 용량이 형성된다. 그 기생 용량이 화소 GS1의 화소 전극(17)과 전원선(19) 사이에 형성되는 기생 용량에 비해 매우 커지기 때문에, 기생 용량의 화소 전극(17, 17)에 대한 영향이 일정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기생 용량의 영향이 1화소 걸러 발생하고, 화면 상에서는 가로줄이나 세로줄로 나타나 표시 품질이 저하되게 된다.
그래서, 전원선(19)이 화소 전극(17)과 중첩되지 않는 측의 화소 GS1에서,분기한 전원선(19)이 화소 전극(17) 상에 확장되어 이루어진 중첩 영역(20)을 형성함으로써, 화소 전극(17)과 전원선(19) 사이의 기생 용량을 증대시켜, 인접하는 화소 GS2가 갖는 기생 용량과의 균형을 취하여 기생 용량의 영향을 없애고 있다. 여기서, 전원선(19)이 확장된 중첩 영역(20)을 형성함으로써, 인접하는 화소 GS1, GS2에 대하여, 화소 전극(17)과 전원선(19) 사이에 형성되는 기생 용량치를 같게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원선(19)은 유지 회로(110)의 고전압측의 구동 전원선(LVDD)에 한정되지 않고, 참조 전원선(신호 A, 신호 B), 유지 회로(110)의 저전압측의 구동 전원선(LVSS), 신호 B를 전달하는 참조 전원선 중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전술한 레이아웃에서는, 전원선(19)은 화소 전극(17) 상에 중첩됨으로써 직접적으로 용량 결합하고 있지만, 반드시 화소 전극(17) 상에 중첩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TFT의 소스와 화소 전극(17) 사이를 중간 전극층을 개재하여 접속하고 있는 경우와 같이, 전원선(19)은 중간 전극층을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화소 전극(17)과 용량 결합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전술한 전원선(19)이 화소 전극(17) 상에 확장되어 이루어진 중첩 영역(20)에 대해서도, 반드시 화소 전극(17) 상에 중첩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상기한 바와 같은 중간 전극층 상에 중첩되어 있으면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LCD는 반사형 LCD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반사형 LCD로서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한쪽의 절연성 기판(10) 상에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섬처럼 격리된 반도체층(11)이 배치되고, 그 위에 게이트 절연막(12)이 피복되어 배치되어 있다. 반도체층(11)의 상측에서 게이트 절연막(12) 상에는 게이트 전극(13)이 배치되고, 이 게이트 전극(13)의 양측에 위치하는 하층인 반도체층(11)에는 소스 및 드레인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13) 및 게이트 절연막(12) 상에는 이들을 피복하고 있는 층간 절연막(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드레인 및 소스에 대응한 위치에는 컨택트가 형성되어 있고, 이 컨택트를 통해 드레인은 화소 선택 TFT(71)에 접촉되고, 소스는 컨택트(16)를 통해 화소 전극(17)에 접속되어 있다. 평탄화 절연막(15) 상에 형성된 각 화소 전극(17)은 알루미늄(Al) 등의 반사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각 화소 전극(17) 및 평탄화 절연막(15) 상에는 액정(21)을 배향하는 폴리이미드 등으로 이루어진 배향막(20)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쪽의 절연성 기판(30) 상에는 적(R), 녹(G), 청(B)의 각 색을 나타내는 컬러 필터(31), ITO(Indium Tin Oxide) 등의 투명 도전성막으로 이루어진 대향 전극(32) 및 액정(21)을 배향하는 배향막(33)이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컬러 표시로 하지 않은 경우에는 컬러 필터(31)는 불필요하다.
이렇게 해서 형성된 한쌍의 절연성 기판(10, 30)의 주변을 접착성 밀봉재로 접착하고, 그로 인해 형성된 공극에 액정(21)이 채워져 있다.
반사형 LCD에서는, 도 4에서 점선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절연성 기판(30)측으로부터 입사된 외부광이 화소 전극(17)에 의해 반사되어 관찰자(1)측으로 출사되어, 표시를 관찰할 수 있다.
반사형 LCD에서는 광이 화소 전극(17)에 투과하지 않기 때문에, 화소 전극(17)의 아래에 어떠한 소자가 배치되어 있어도 개구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리고, 큰 면적을 필요로 하는 유지 회로(110)를 화소 전극(17)의 아래에 배치함으로써, 화소의 간격을 통상의 LCD와 동등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모든 구성을 화소 전극의 아래에 배치할 필요는 없고, 일부의 구성을 화소 전극 사이에 배치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평면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는 RGB 각 색의 화소가 정렬되어 배치된 스트라이프 배열이고, 각각의 화소 전극(17)에는 RGB 중 어느 하나의 컬러 필터가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고, 이들을 참조 부호 17R, 17G, 17B로서 나타낸다. RGB 각각의 화소는 도 2와 마찬가지의 회로를 갖고, 각각의 화소에서 그 화소의 데이터를 유지 회로(110)에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특징적인 점은, 화소 전극(17)의 레이아웃과, 유지 회로나 선택 회로, 보조 용량 등의 회로 레이아웃이 일치하고 있지 않는 점이다. 이 점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화소 전극(17R)에 주목한다. 화소 전극(17R)은 도 5에서 좌측 단부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구조이다. 화소 전극(17R)과 그 회로를 접속하는 컨택트는 참조 부호 16R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회로 선택 TFT(41R, 44R), 화소 선택 TFT(71R)가 직렬로 접속되고, 그 일부는 인접 화소인 화소 전극(17G)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보조 용량(85R), 유지 회로(110R)도 화소 전극(17G)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화소 전극(17G)은 컨택트(16G)를 통해 대응하는 회로에 접속되어 있고, 회로 선택 TFT(41G), 화소 선택 TFT(71G), 보조 용량(85G), 유지 회로(110G)는 인접 화소인 화소 전극(17R)에 중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화소 전극(17R, 17G)에 대응하는 회로는 게이트 신호선(51)을 공유하고, 게이트 신호선 상의 한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호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하,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7B)에 대응하는 회로는 또한 그의 인접하는 화소 전극(도시하지 않음)으로 연장된다. 이 화소를 화소 전극(17R')이라고 하면, 화소 전극(17R')에 대응하는 회로는 반대로 화소 전극(17B)에 중첩된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얻어지는 장점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예를 들면 RGB 3색을 하나의 픽셀로 하고, 이 픽셀을 거의 정사각형으로 사용한다고 하면, RGB 개개의 화소는 3 : 1로 세로 길이의 직사각형이 된다. 일반적으로 스트라이프 배열의 RGB 개개의 화소는 한 방향으로 긴 사각형이 된다. 그와 같은 가늘고 긴 사각형의 화소 전극(17)의 아래에 레이아웃에 맞게 유지 회로(110) 등을 배치하려고 하면, 회로의 설계가 곤란해진다. 그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화소 전극(17)의 레이아웃과 회로의 레이아웃이 다르기 때문에, 번거로운 배선의 우회 등이 불필요해져 스페이스 효율이 높아지게 되어, 유지 회로가 필요로 하는 면적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유지 회로를 갖는 LCD의 경우, 1화소의 최소 면적은 주로 유지 회로가 차지하는 면적이 지배적이기 때문에, 유지 회로를 축소하는 것은 LCD의 고정밀화에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회로를 게이트 신호선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함으로써 얻어지는 장점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인접 화소끼리 영역을 서로 공유하는 경우, 화소마다 회로 내의 레이아웃을 조정할 필요가 생기지만, 인접 화소끼리 점대칭으로 배치하면, 하나의 화소의 회로를 설계하고, 그 회로를 좌우 대칭하여 설계할 수 있어 회로 설계의 효율이 좋다. 단, 도 5에서 화소 상하단에 도시한 4개의 전원선으로의 결선은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회로 레이아웃을 점대칭으로 하지 않고 평행하게 이동하였다고 하면, 인접 화소끼리의 게이트 신호선은 상호 거리를 두고 배치할 필요가 생기어, 게이트 신호선을 각 행에 2개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회로를 대칭으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게이트 신호선은 각 행에 1개면 되므로,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유지 회로(110)는 화소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되고, 열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끼리의 유지 회로(110)는 전원선(VDD, VSS, 신호 A, 신호 B)을 사이에 두고 근접 배치되며, 이들 4개의 전원선을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행마다 전원선을 배치하는 것에 비해 전원선을 절반으로 삭감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실시예에서는 4개의 전원선을 인접 화소에서 공유하였지만, 모든 전원선을 반드시 공유시킬 필요는 없다. 4개의 전원선을 바로 근처에 인접하여 배치하면, 유지 회로(110)에 접속하기 위해 각 전원선으로부터 열 방향으로 분기시킨 배선은 모두 다른 3개의 전원선과 교차되기 때문에, 기생 용량이 발생한다. 또한, 1개의 전원선을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레이아웃의 유지 회로(110)와 보조용량(85) 사이 등에 배치한 경우가, 전체적으로 볼 때, 레이아웃의 효율이 좋은 경우로서 상정된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4개의 전원선 중에서 임의의 전원선을 공유하면 된다.
상기 제1, 제2 실시예에서 전원선을 공유한 결과, 회로 배치는 완전한 선대칭, 점대칭으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각 전원선과 화소 전극(17)에서 형성하는 기생 용량이 화소끼리 서로 다른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화소끼리의 신호 지연이 서로 다르게 되어, 표시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 기생 용량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 공유하는 전원선이 2n개(n은 자연수)이면, 각각의 화소에 n개씩 중첩하여 배치하고, 공유하는 전원선이 2n+1개이면, 각각의 화소에 n개씩 중첩하여 배치하고, 1개의 전원선을 화소 사이에 배치하면 된다.
상기 제1, 제2 실시예에서, 4개의 전원선(VDD, VSS, 신호 A, 신호 B)은 행 방향으로 연장되고, 열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끼리 공용하도록 설명하였지만, 도 1의 회로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열 방향으로 신장하여 배치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각 화소의 회로 배치를 열 사이를 축으로 한 선대칭으로 하여 전원선을 공유하여, 제1,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제2 실시예와 같이 스트라이프 배열인 경우, 열 방향으로 배선을 신장하는 레이아웃적인 여유가 적다. 따라서, 전원선은 행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레이아웃한 쪽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반사형 LCD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투과형 LCD 에 적용하고, 투명한 화소 전극과 유지 회로를 중첩하여 배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그러나 투과형 LCD에서는 금속 배선이 배치되어 있는 부분은 차광되기 때문에, 개구율의 저하를 피할 수 없다. 또한, 투과형 LCD에서 화소 전극의 아래에 유지 회로를 배치하면, 투과하는 광에 의해 유지 회로나 선택 회로의 트랜지스터가 오동작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모든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상에 차광막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투과형 LCD에서는 개구율을 높게 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것에 대하여, 반사형 LCD는 화소 전극의 아래에 어떠한 회로가 배치되어도 개구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이, 관찰자측과 반대측에 소위 백 라이트를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백 라이트를 점등시키기 위한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유지 회로를 갖는 LCD의 주된 목적이 소비 전력의 삭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표시 장치로서는 백 라이트가 불필요하여 저소비 전력화에 적합한 반사형 LCD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유기 EL 표시 장치나 LED 표시 장치 등의 다양한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는 화소 전극에 대응한 유지 회로를 갖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로서, 유지 회로에 접속되는 전원선은, 예를 들면 행 방향으로 연장되고, 행 방향으로 배열되는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유지 회로에서 공용됨과 함께, 열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 전극에대응하는 유지 회로에서 공용되고 있기 때문에, 각 행마다 전원선을 배치하는 것에 비해 전원선의 개수를 절반으로 삭감할 수 있어 화소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도가 보다 높은 유지 회로를 갖는 액티브 매트릭스 표시 장치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공유되는 전원선은 모든 유지 회로에 대하여 동등한 전압을 공급하기 때문에, 행 방향 및 열 방향에 걸쳐 공유할 수 있다.
특히, 공유되는 전원선은 행렬의 다른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 사이 부근에 배치되고, 행렬의 다른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에서의 유지 회로의 배치는 행렬의 다른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 사이를 축 혹은 중심으로 하여 공유되는 전원선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공유된 전원선으로부터 유지 회로에 접속하는 배선을 짧게 할 수 있는 등, 레이아웃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행렬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에 대응하여 배치된 복수의 유지 회로, 상기 유지 회로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선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 회로가 유지하는 데이터에 부합한 전압이 상기 화소 전극에 공급되어 표시를 행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은 행렬 중의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유지 회로에서 공용됨과 함께, 행렬 중의 다른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유지 회로에서 공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
  2. 행렬 형상으로 배치된 화소 전극과, 행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게이트 신호선과, 열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드레인 신호선을 포함하고,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게이트 신호선으로부터의 주사 신호에 의해 선택됨과 함께 상기 드레인 신호선으로부터 영상 신호가 공급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신호선으로부터 입력되는 주사 신호에 의해 선택된 화소 전극에 상기 드레인 신호선으로부터의 영상 신호에 부합한 신호를 공급하는 제1 표시 회로와,
    소정의 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게이트 신호선으로부터 입력되는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드레인 신호선으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유지하는 유지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회로로부터의 신호에 부합한 신호를 상기 표시 전극에 공급하는 제2 표시 회로와,
    회로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표시 회로를 선택적으로 상기 드레인 신호선에 접속하기 위한 회로 선택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회로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선은, 행렬 중의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유지 회로에서 공용됨과 함께, 행렬 중의 다른 방향에 인접하는 복수의 화소에서 공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회로의 각각에는 행렬 중의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다른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적어도 2개의 구동 전원선이 접속되고,
    상기 구동 전원선 중의 적어도 1개는 행렬의 다른 방향에 인접하는 복수의 화소에서 공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호 인접하는 화소에서 공유된 상기 구동 전원선을 한쪽의 화소의 화소 전극에 용량 결합시킴과 함께, 상기 구동 전원선이 다른쪽의 화소의 화소 전극에 용량 결합하도록 확장된 영역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 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호 인접하는 화소에서 공유된 상기 구동 전원선을 한쪽의 화소의 화소 전극 상에 중첩시킴과 함께, 상기 구동 전원선을 다른쪽의 화소의 화소 전극 상에 확장시켜 이루어진 중첩 영역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 표시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회로의 각각에는 행렬 중의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다른 참조 전압을 공급하는 적어도 2개의 참조 전원선이 접속되고,
    상기 유지 회로는 유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참조 전압을 선택하여 상기 화소 전극에 공급하고,
    상기 참조 전원선 중의 적어도 1개는 행렬 중의 다른 방향에 인접하는 복수의 화소에서 공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호 인접하는 화소에서 공유된 상기 참조 전원선을 한쪽의 화소의 화소 전극에 용량 결합시킴과 함께, 상기 참조 전원선이 다른쪽의 화소의 화소 전극에 용량 결합하도록 확장된 영역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 표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호 인접하는 화소에서 공유된 상기 참조 전원선을 한쪽의 화소의 화소 전극 상에 중첩시킴과 함께, 상기 참조 전원선을 다른쪽의 화소의 화소 전극 상에 확장시켜 이루어진 중첩 영역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 표시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되는 전원선은 모든 유지 회로에 대하여 동일한 전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되는 전원선은 상기 행렬 중의 다른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 사이 부근에 배치되고,
    상기 행렬 중의 다른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에서의 상기 유지 회로의 배치는, 상기 행렬 중의 다른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 사이를 축으로 하여 혹은 중심으로 하여 상기 공유되는 전원선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
KR10-2001-0068471A 2000-11-06 2001-11-05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4722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37078 2000-11-06
JP2000337078 2000-11-06
JPJP-P-2001-00310626 2001-10-05
JP2001310626A JP4017371B2 (ja) 2000-11-06 2001-10-05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444A true KR20020035444A (ko) 2002-05-11
KR100472270B1 KR100472270B1 (ko) 2005-03-08

Family

ID=26603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471A Expired - Lifetime KR100472270B1 (ko) 2000-11-06 2001-11-05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17371B2 (ko)
KR (1) KR100472270B1 (ko)
CN (1) CN1369872A (ko)
TW (1) TW52900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604A (ko) * 2014-12-24 2016-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20160142941A (ko) * 2015-06-03 2016-1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9778B2 (ja) 2002-08-07 2006-10-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回路、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4077567A (ja) 2002-08-09 2004-03-11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521277B1 (ko) 2003-02-05 2005-10-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애노드전극층을 전원공급층으로 사용한 평판표시장치 및그의 제조방법
JP3925467B2 (ja) * 2003-06-20 2007-06-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2005099714A (ja) 2003-08-29 2005-04-14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5162807B2 (ja) * 2003-08-29 2013-03-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737587B2 (ja) * 2004-06-18 2011-08-03 奇美電子股▲ふん▼有限公司 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5199638B2 (ja) * 2007-10-16 2013-05-1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JP5131092B2 (ja) * 2008-08-28 2013-01-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398897B2 (ja) * 2012-12-11 2014-01-2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7169203B2 (ja) * 2019-01-16 2022-11-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10459175A (zh) * 2019-08-09 2019-11-1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7272191B2 (ja) * 2019-09-05 2023-05-12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液晶デバイス、波長選択光スイッチ装置、及び、液晶デバイスの画素検査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604A (ko) * 2014-12-24 2016-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20160142941A (ko) * 2015-06-03 2016-1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2270B1 (ko) 2005-03-08
CN1369872A (zh) 2002-09-18
JP2002207442A (ja) 2002-07-26
JP4017371B2 (ja) 2007-12-05
TW529001B (en) 200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2133B1 (ko) 표시 장치
US7948461B2 (en) Image display device
EP3637402B1 (en) Display device
EP1204089B1 (en)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with pixels comprising both analog and digital storage
KR100472270B1 (ko)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
KR20030031207A (ko) 펜타일 매트릭스 패널의 데이터배선 구조
CN1333298C (zh) 显示装置
US7701520B2 (en) Liquid crystal panel and display device with data bus lines and auxiliary capacitance bus lines both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US7173589B2 (en) Display device
KR100472269B1 (ko)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
KR100470843B1 (ko)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
US7038642B2 (en) Display device
KR20040055414A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방법
KR100469192B1 (ko)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
KR20040055336A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방법
US20030214472A1 (en) Display circuit structure for liquid crystal display
JP2007094262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2162947A (ja) 表示装置
JP3711006B2 (ja) 表示装置
JP2002090777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KR20040055338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2002091365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KR20050001789A (ko) 액정표시패널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20505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