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34953A - 연료탱크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연료탱크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4953A
KR20020034953A KR1020010067809A KR20010067809A KR20020034953A KR 20020034953 A KR20020034953 A KR 20020034953A KR 1020010067809 A KR1020010067809 A KR 1020010067809A KR 20010067809 A KR20010067809 A KR 20010067809A KR 20020034953 A KR20020034953 A KR 20020034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connector
gas barrier
fuel
barrier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7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0237B1 (ko
Inventor
쿠리하라카즈마사
키미사와토시히데
카토츠요시
코바야시야스토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20034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23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1Arrangement of fuel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3Single flanged joints; Fin-type joints; Single hem joints; Edge joints; Interpenetrating fingered joints; Other specific particular designs of joint cross-sec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C66/11 - B29C66/12
    • B29C66/131Single flanged joi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rigid and flanged in the joi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3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multiple and parallel or being in the form of tessellations
    • B29C66/23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multiple and parallel or being in the form of tessellations said joint lines being multiple and parallel, i.e. the joint being formed by several parallel joint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32Measures for keeping the burr form under control; Avoiding burr formation; Shaping the burr
    • B29C66/322Providing cavities in the joined article to collect the bur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3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 B29C66/532Joining single elements to the wall of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 B29C66/5324Joining single elements to the wall of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said single elements being substantially annular, i.e. of finite length
    • B29C66/53245Joining single elements to the wall of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said single elements being substantially annular, i.e. of finite length said articles being ho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 B29C66/7234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comprising a barrier layer
    • B29C66/7234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comprising a barrier layer for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04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adapted to avoid loss of fuel or fuel vapour, e.g. with vapour recover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19Valve arrangements in the ven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2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5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5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molecular weight
    • B29K2023/0683UHMWPE, i.e.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72Fuel tanks, jerry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61Venting means working at specific ti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753Control by change of position or inertia of system
    • Y10T137/0874Vent opening or closing on tipping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003Fluid separating traps or vents
    • Y10T137/3084Discriminating outlet for gas
    • Y10T137/309Fluid sensing valve
    • Y10T137/3099Float respon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증발가스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료탱크(B)와 연료탱크(B)에 접속되는 관(C)을 연통상태로 접속하는 커넥터(A)에 있어서, 커넥터(A)가 통형상부(筒形狀部)(11)와 통형상부(11)의 외주측에 구비되고 또한 연료탱크(B)의 개구(Ba)보다도 큰 면을 갖는 날밑형상부(12)를 구비한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제의 가스 배리어체(1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가스 배리어체(10)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폴리페닐렌설피드제, 리퀴드크리스탈폴리머제, 지방족 폴리케톤제, 방향족 폴리아미드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폴리아미드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이다.

Description

연료탱크용 커넥터{CONNECTOR FOR FUEL TANK}
본 발명은 연료탱크용 커넥터, 특히 연료탱크로부터의 연료증발가스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도록 한 커넥터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연료탱크(100)에는 통상적인 예로서 연료의 공급관이나, 연료로부터 생기는 가스를 안내하는 관(管)(101) 등이 상기 탱크(100)에 접속하여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각종의 관(101)은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연료탱크(100)에 구비되는 커넥터(1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도 23 및 도 24에서 나타내는 커넥터(110)는 관(101)이 접속되는 관형상부(管形狀部)(111)와, 이 관형상부(111)에 있어서 1단부측의 외주부로부터 옆쪽으로 돌출하도록 구비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탱크(100)에 있어서 개구(100a) 위를 덮도록 상기 탱크(100)면에 용착되는 날밑형상부(112)와, 상기 관형상부(111)와 반대측의 상기 날밑형상부(112)에 구비되어 있는 연료 컷오프밸브(fuel cut off valve)(113)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관형상부(111)와 날밑형상부(112)가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도시예에 관한 커넥터(110)에 있어서 상기 연료 컷오프밸브(113)는 상기 관형상부(111)에 있어서 홀(hole)에 연통하는 홀의 개구부분에 밸브시트(113a')를 구비한 밸브시트 몸체(113a)를 갖는 아래면 개구의 폴리아세탈로 이루어진 통상을 이루는 플로트실(float室)구성 상자(箱子)형상부(113b)와, 상부에 밸브 몸체부(113e)를 일체로 가짐과 동시에 상기 상자형상부(113b)내에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들어있는 플로트(113c)와, 상기 상자형상부(113b)의 아래면측의 개구를 막고, 상기 상자형상부(113b)와 함께 상기 플로트(113c)가 조립되는 플로트실을 구성하는 뚜껑(113d)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플로트(113c)의 상승에 따라서, 상기 밸브시트(113a')에 상기 플로트(113c)의 상기 밸브 몸체부(113e)가 밀착하여 밸브를 닫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110)는 상기 연료 컷오프밸브(113)에 있어서 상자형상부(113b)를 성형금형내에 삽입한 상태로 되는 플라스틱성형 등에 의해, 상기 상자형상부(113b)의 상부측을 상기 날밑형상부(112)내에 삽입된 상태로 하여 상기 상자형상부(113b)가 상기 날밑형상부(112)에 일체로 구비된 구성으로 하고 있음과 동시에, 이 상자형상부(113b)가 구비되어 있는 상기 날밑형상부(112)의 외주부분을, 상기 탱크(100)의 개구(100a)로부터 상기 상자형상부(113b)를 상기 탱크(100) 내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탱크(100)의 개구 테두리 옆쪽에 있는 당해 탱크(100) 면부(面部)에 용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커넥터(110)에 있어서는, 상기 커넥터(110)를 구성하는 날밑형상부(112)와 관형상부(111)가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탱크(100)의 개구(100a)의 개구 테두리와, 이 탱크(100)에 용착하여 구비된 커넥터(110)에 있어서 상기 상자형상부(113b)와의 사이에 구비되는 당해 커넥터(110)에 있어서 날밑형상부(112) 부분을 통하여 상기 탱크(100) 내부 등에서 생기는 연료로부터의 증발가스가 규제치 이내이기는 하지만, 상기 탱크(100) 밖으로 누출되는 것이 예상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커넥터에 있어서 예상되는 연료탱크로부터의 연료증발가스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도록 한 성형용이한 커넥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전형적인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를 연료탱크에 구비하기 전의 상태에서 당해 연료탱크의 요부와 함께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동연료 탱크에 동커넥터를 구비하기 전의 상태에서 동커넥터를 연료탱크에 첨부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커넥터를 연료탱크에 구비한 상태를 당해 연료탱크의 요부와 함께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4는 전형적인 제 2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를 연료탱크에 구비하기 전의 상태에서 당해 연료탱크의 요부와 함께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동연료탱크에 동커넥터를 구비하기 전의 상태에서 동커넥터를 연료탱크에 첨부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동커넥터를 연료탱크에 구비한 상태를 당해 연료탱크의 요부와 함께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7은 전형적인 제 3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를 연료탱크에 구비하기 전의 상태에서 당해 연료탱크의 요부와 함께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동연료탱크에 동커넥터를 구비하기 전의 상태에서 동커넥터를 연료탱크게 첨부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동커넥터를 연료탱크에 구비한 상태를 당해 연료탱크의 요부와 함께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전형적인 제 4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10과 다른 방향으로부터 동커넥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2는 동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동연료탱크에 동커넥터를 구비하기 전의 상태를 당해 연료탱크의 요부와 함께 나타내는 종단면도(도 12에 있어서 X-X선 위치에서의 단면)이고,
도 14는 동커넥터를 연료탱크에 구비한 상태를 당해 연료탱크의 요부와 함께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5는 동커넥터의 요부단면도(연료탱크에 구비되기 전의 상태)이고,
도 16은 동커넥터의 요부단면도(연료탱크에 구비된 상태)이고,
도 17은 도 10 내지 도 16과 구성의 일부를 다르게 한 커넥터의 요부단면도(연료탱크에 구비되기 전의 상태)이고,
도 18은 동커넥터의 요부단면도(연료탱크에 구비된 상태)이고,
도 19는 도 10 내지 도 16과 구성의 일부를 다르게 한 커넥터의 요부단면도(연료탱크에 구비되기 전의 상태)이고,
도 20은 동커넥터의 요부단면도(연료탱크에 구비된 상태)이고,
도 21은 도 10 내지 도 16과 구성의 일부를 다르게 한 커넥터의 요부단면도(연료탱크에 구비되기 전의 상태)이고,
도 22는 동커넥터의 요부단면도(연료탱크에 구비된 상태)이고,
도 23은 종래의 연료탱크용 커넥터를 연료탱크에 구비하기 전의 상태에서 당해 연료탱크와 함께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4는 동커넥터를 연료탱크에 구비한 상태를 당해 연료탱크의 요부와 함께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A 커넥터
B 연료탱크
Ba 개구
Bb 개구 원주테두리
Bc 개구부
Bd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
C 관
3 연료 컷오프밸브
10 가스 배리어체
11 통형상부(筒形狀部)
12 날밑형상부
50 외각(外殼) 몸체부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항의 발명을 연료탱크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탱크에 접속되는 관을 연통상태로 접속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가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측에 구비되고 또한 상기 연료탱크의 개구보다도 큰 면을 갖는 날밑형상부를 구비한 가스 배리어(gas barrier)성 합성수지제의 가스 배리어체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가스 배리어체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폴리페닐렌설피드제,
리퀴드크리스탈폴리머제,
지방족 폴리케톤제,
방향족 폴리아미드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폴리머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폴리머제,
폴리아미드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폴리머제,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이고,
더구나 상기 가스 배리어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접착성 올레핀수지,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로 덮여 있음과 동시에,
이 외각 몸체부가 당해 가스 배리어체의 날밑형상부의 선단을 덮어 상기 연료탱크의 외면부로 향하여 돌출하는 환상(環狀) 돌출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연료탱크내에 남겨진 연료로부터의 증발가스가, 당해 커넥터부분으로부터 누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일체로 외각 몸체부를 구비한 가스 배리어체를 당해 외각 몸체부에 있어서 연료탱크에 대해서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용착하여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료로부터의 증발가스의 당해 연료탱크로부터의 누출을 상기 가스 배리어체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면서, 연료탱크의 표면측 층을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한 연료탱크에 대해서 상기 외각 몸체부의 환상돌출부에 의해 용착강도를 높게 확보시킨 상태에서 커넥터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 2항의 발명을 상기 제 1항의 발명에있어서의 상기 커넥터가, 상기 가스 배리어체에 있어서 날밑형상부의 외주부를 상기 연료탱크의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에 용착하여, 상기 연료탱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특유한 장점과 함께, 연료탱크로부터의 연료증발가스의 누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3항의 발명을 상기 제 1항 또는 제 2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리어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접착성 올레핀 수지제의 외각 몸체부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이 외각 몸체부에 의해 덮여져 있지 않은 상기 가스 배리어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로 더 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특유의 장점과 함께, 상기 가스 배리어체에 대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를 보다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구비할 수 있고, 당해 커넥터를 보다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연료탱크에 용착하여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4항의 발명을, 상기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리어체의 날밑형상부의 선단측에 상기 연료탱크의 외면부로 향하여 돌출하는 환상돌출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특유의 장점과 함께, 상기 증발가스의 당해 연료탱크로부터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 상태에서의 당해 커넥터의 연료탱크에 대한 부착에 있어서 설계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5항의 발명을, 제 1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리어체의 날밑형상부의 선단측에 상기 연료탱크의 외면부로 향하여 돌출하는 환상돌출부가 구비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커넥터가, 이 가스 배리어체의 환상돌출부를 상기 연료탱크의 외면부에 용착하여 상기 연료탱크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연료로부터의 증발가스의 당해 연료탱크로부터의 누출을 상기 가스 배리어체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면서, 연료탱크의 표면측 층을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한 연료탱크에 대해서 외각 몸체부의 환상돌출부와 가스 배리어체의 환상돌출부의 쌍방에 의해 용착강도를 높게 확보시킨 상태에서 커넥터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6항의 발명을, 제 1항의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의 환상돌출부 및 가스 배리어체의 날밑형상부의 선단부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돌출부를 이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의 환상돌출부 및 가스 배리어체의 날밑형상부의 선단부의 어느 하나의 다른 쪽의 두께 내부에 넣은 상태에서, 당해 가스 배리어체의 표면에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에 있어서는 가스 배리어체의 날밑형상부의 선단측에 형성된 환상돌출부와 상기 외각 몸체부의 환상돌출부와의 일체성을 높게 확보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7항의 발명을, 제 1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리어체의 날밑형상부의 선단측에 상기 연료탱크의 외면부로 향하여, 상기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의 환상돌출부와 대략 같은 치수만큼 돌출된 환상돌출부가 구비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가스 배리어체의 환상돌출부와 상기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의 환상돌출부와의 사이에, 상기 연료탱크의 외면부측에 있어서 개방된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외각 몸체부의 환상돌출부를 가열용융시킨 때에, 이러한 용융된 환상돌출부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상기 공극에 넣을 수 있으므로, 이것에 의해 용융된 당해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넓은 범위로 눌러 넓힌 상태에서 연료탱크에 당해 환상돌출부를 용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각 몸체부의 환상돌출부를 연료탱크에 용착시킨 후에도 상기 공극이 남도록 당해 용착을 행하므로써 연료 내지 연료로부터의 증발가스에 의해 가스 배리어체가 팽윤하여도 이 남은 공극에 의해 이 팽윤분을 흡수하여, 외각 몸체부의 환상돌출부와 연료탱크와의 용착개소에 이 용착강도를 저하시키도록 한 힘이 작용되기 어렵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8항의 발명을, 제 1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리어체의 날밑형상부의 선단측에 상기 연료탱크의 외면부로 향하여 상기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의 환상돌출부보다도 돌출 치수를 작게 하도록 돌출된 환상돌출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외각 몸체부의 환상돌출부를 가열용융시킨 때에, 이러한 용융된 환상돌출부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상기 가스 배리어체의 환상돌출부의 돌출면과 연료탱크의 외면과의 사이에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용융된 당해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넓은 범위로 눌러 넓힌 상태에서 연료탱크에 당해 환상돌출부를 용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9항의 발명을, 제 1항의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로 덮여 있는 가스 배리어체의 상면측이 이 가스 배리어체의 날밑형상부의 선단측으로 단차면을 향한 단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에 있어서는, 연료 내지 연료로부터의 증발가스에 의해 가스 배리어체가 팽윤하여도 이 팽윤에 의해 생기는 힘을 상기 단차면에 접하는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의 대향내면에서 받을 수 있고, 이 팽윤에 의해 생기는 힘을 분산시켜 외각 몸체부의 환상돌출부와 연료탱크와의 용착개소에 이 용착강도를 저하시키도록 한 힘이 작용하기 어렵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0항의 발명을,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제 6항, 제 7항, 제 8항 또는 제 9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연료공급관의 접속용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특유의 장점과 함께연료로부터 생기는 증발가스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감소한 상태에서 연료공급관을 연료탱크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1항의 발명을, 상기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제 6항, 제 7항, 제 8항 또는 제 9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통기관의 접속용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특유의 장점과 함께 연료로부터 생기는 증발가스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감소한 상태에서 통기관을 연료탱크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2항의 발명을, 상기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제 6항, 제 7항, 제 8항 또는 제 9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연료 컷오프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특유의 장점과 함께 연료로부터 생기는 증발가스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감소한 상태에서 관과 연료탱크를 연료 컷오프밸브를 구비한 커넥터로 접속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전형적인 각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3은 전형적인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에서는 이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를 연료탱크(B)에 설비하기 전의 상태를, 당해 연료탱크(B)의 일부와 함께 종단면으로서 나타내고 있고, 도 2에서는 이 연료탱크용 커넥터(A)를 연료탱크(B)에 설치하기 위하여 당해 연료탱크(B)의 면에 연료탱크용 커넥터(A)를 첨부장착한 상태를 위쪽으로부터 보아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이 연료탱크용 커넥터(A)를 연료탱크(B)에 설치한 상태를, 당해 연료탱크(B)의 일부와 함께 종단면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 4∼도 6은 전형적인 제 2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에서는 이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를 연료탱크(B)에 설치하기 전의 상태를 당해 연료탱크(B)의 일부와 함께 종단면으로서 나타내고 있고, 도 5에서는 이 연료탱크용 커넥터(A)를 연료탱크(B)에 설치하기 위해 당해 연료탱크(B)의 면에 연료탱크용 커넥터(A)를 첨부장착한 상태를 위쪽으로부터 보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이 연료탱크용 커넥터(A)를 연료탱크(B)에 설치한 상태를 당해 연료탱크(B)의 일부와 함께 종단면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 7∼도 9는 전형적인 제 3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에서는 이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를 연료탱크(B)에 설치하기 전의 상태를 당해 연료탱크(B)의 일부와 함께 종단면으로서 나타내고 있고, 도 8에서는 이 연료탱크용 커넥터(A)를 연료탱크(B)에 설치하기 위해서 당해 연료탱크(B)의 면에 연료탱크용 커넥터(A)를 첨부장착한 상태를 위쪽으로부터 보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이 연료탱크용 커넥터(A)를 연료탱크(B)에 설치한 상태를 당해 연료탱크(B)의 일부와 함께 종단면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 10∼도 22는 전형적인 제 4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0 내지 도 12에서는 이러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를 다른 방향으로부터 보아 각각 나타내고 있고, 또한 도 13에서는 이러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를 연료탱크(B)에 설치하기 전의 상태를 당해 연료탱크(B)의 일부와 함께 종단면으로서 나타내고 있고, 도 14에서는 이 연료탱크용 커넥터(A)를 연료탱크(B)에 설치한 상태를 당해 연료탱크(B)의 일부와 함께 종단면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5에서는 이와 같이 연료탱크(B)에 설치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A)의 당해 연료탱크(B)에 용착되는 부분을 확대한 상태에서, 또한 도 16에서는 당해 연료탱크(B)에 용착된 이러한 부분을 확대한 상태에서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7, 도 19, 도 21에서는 도 10 내지 도 16에 나타내는 구성예와 연료탱크(B)에 용착되는 부분의 구성을 일부 다르게 한 구성예를 이해하기 쉽도록 이러한 구성예에 있어서 연료탱크(B)에 용착되는 부분을 확대한 상태에서, 또한 도 18, 도 20, 도 22에서는 당해 연료탱크(B)에 용착된 이러한 부분을 확대한 상태에서 각각 나타내고 있다.(도 18은 도 17의 구성예를 연료탱크(B)에 용착시킨 상태를, 도 20은 도 19의 구성예를 연료탱크(B)에 용착시킨 상태를, 도 22는 도 21의 구성예를 연료탱크(B)에 용착시킨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는 연료탱크(B)에 개설된개구(Ba)를 바깥측으로부터 덮도록 상기 개구(Ba)의 개구부(Bc)를 설치하여 상기 연료탱크(B)와 상기 연료탱크(B)에 접속되는 관(C)을 연통상태로 접속하는 커넥터(A)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A)가 통형상부(11)와, 상기 통형상부(11)의 외주측에 구비되고 또한 상기 연료탱크(B)의 개구(Ba)보다도 큰 면을 갖는 날밑형상부(12)를 구비한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제의 가스 배리어체(10)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가스 배리어체(10)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폴리페닐렌설피드제, 리퀴드크리스탈폴리머제, 지방족 폴리케톤제, 방향족 폴리아미드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폴리머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폴리머제, 폴리아미드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폴리머제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인 구성으로 하고 있고, 상기 연료탱크(B)내에도 남겨진 연료로부터의 증발가스가 당해 커넥터(A) 부분으로부터 누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는 전형적으로는 내연료오일성 등의 당해 연료탱크용 커넥터(A)에 요청되는 각종의 특성을 구비한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료탱크(B)에 구비되어 있는 각종의 개구(Ba)의 개구부(Bc)에 구비되어, 이 연료탱크(B)에 접속구비되는 각종의 관(C) 예컨대, 각종의 통기관이나 연료공급관 등의 당해 연료탱크(B)에 대한 접속에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는 이 커넥터(A)에 각종의 밸브기구, 예컨대 연료 컷오프밸브(3) 등을 구비하고 또한, 이들의 밸브기구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연료탱크(B)에 각종의 관(C)을 접속하는 것에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를 구성하는 가스 배리어체(10)는 당해 커넥터(A)의 구성에 적당하고, 또한 연료로부터 생겨서 상기 연료탱크(B) 안에도 남겨진 각종의 연료로부터 생기는 가스의 투과가 어려운 소재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설피드, 리퀴드크리스탈폴리머, 지방족 폴리케톤, 방향족 폴리아미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폴리아미드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어느 것에 의해 구성하고 있으면 무방하고, 이것에 의해 당해 커넥터(A)에 전형적인 가스 배리어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상기 가스 배리어체(10)를 구성하는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는 모두 연료로부터 생기는 각종 가스가 투과하기 어려운 것으로서, 그 전형적인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를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대비하여 이하의 연료투과성 시험을 동일한 조건으로 행한 바,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연료투과량에 대해서 상기 전형적인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의 연료투과량은 모두 현저하게 감소하고, 이러한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대해서 이들 전형적인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는 모두 우수한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연료투과성 시험]
상기 전형적인 각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제 시료와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제 시료를 각각 각별하게 측정대상 합성수지제 시료로서 준비함과 동시에, 이 각 측정대상 합성수지제 시료에 각각 대응하는 직경 38mm의 알루미늄컵을 준비하고,
시험약품으로서
(1) 무납 레귤러가솔린(JIS K2202 2호 상당품) …시약 1과
(2) 무납 레귤러가솔린(JIS K2202 2호 상당품) 90vol%와 에탄올 10vol%와의 혼합연료 …시약 2를 준비하고,
4.6g의 상기 시약 1을 넣은 상기 알루미늄컵과, 4.6g의 상기 시약 2를 넣은 상기 알루미늄컵을 임의로 복수개 준비함과 동시에, 1개의 알루미늄컵의 개구를 상기 준비된 측정대상 합성수지제 시료의 하나로 밀폐하도록, 상기 각각의 알루미늄컵 위에 상기 각 측정대상 합성수지제 시료를 개별적으로 재치고정하고, 60℃의 시험온도에서 48시간 경과후에 있어서 감소중량측정에 의해 11.341㎠의 투과면적의 48시간의 연료투과량을 기상법으로 측정한 연료투과성 시험(JIS Z 0208-76에 의거한 연료투과성 시험)에 있어서 표 1과 같았다.
측정대상 합성수지시료 시약 시료두께 투과량
방향족 폴리아미드제 시료{테이진아모코엔지니어플라스틱스(주)제 아모델 AT5001} 제 1시약 4.6g 0.97mm 6mg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시약{폴리플라스틱스(주)제라넥스2002} 제 1시약 4.6g 0.98mm 10mg
제 2시약 4.6g 0.98mm 8mg
에틸렌-비닐알코올공중합체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폴리머제 시약{(주)크라레제 에발XEP661} 제 1시약 4.6g 0.93mm 100mg
제 2시약 4.6g 0.93mm 94mg
폴리아미드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폴리머제 시약{동레(주)제 MC8} 제 1시약 4.6g 0.96mm 0mg
제 2시약 4.6g 0.96mm 3mg
폴리아미드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폴리머제 시료{동레(주)제 SP966} 제 1시약 4.6g 0.99mm 0mg
제 2시약 4.6g 0.99mm 14mg
고밀도 폴리에틸렌{일본폴리올레핀(주)제 KB145} 제 1시약 4.6g 0.97mm 780mg
제 2시약 4.6g 0.97mm 484mg
또한, 이 가스 배리어체(10)는 통형상부(11)와, 상기 통형상부(11)의 외주측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개구(Ba)보다도 큰 면을 갖는 날밑형상부(1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당해 연료탱크용 커넥터(A)에 필요하게 되는 다른 임의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커넥터(A)는 이러한 가스 배리어체(10)를 구성하는 통형상부(11) 및 날밑형상부(12)를 일부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형상부(1) 및 날밑형상부(2)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통형상부(1) 및 날밑형상부(2)에 연료 컷오프밸브(3) 등의 다른 구성부분을 구비하여 당해 커넥터(A)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이러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가 설치되는 연료탱크(B)는 어떠한 구성의 연료탱크(B)이어도 좋고, 예컨대 전체가 합성수지제의 연료탱크(B)나 상기 개구 원주테두리(Bb) 옆쪽의 외면부를 상기 커넥터(A)에 용착가능한 합성수지제로 하여 다른 부분을 다른 합성수지나 금속이나 또 다른 적당한 소재에 의해 구성한 연료탱크(B)로 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료탱크용 커넥터(A)는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에 있어서 날밑형상부(12)의 외주부를 상기 연료탱크(B)의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Bd)에 용착하여, 상기 연료탱크(B)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특유의 장점과 함께 연료탱크로부터의 연료증발가스의 누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료탱크용 커넥터(A)는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 전형적으로는 상기 통형상부(11)내를 제외한 상기가스 배리어체(10)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접착성 올레핀수지제의 외각 몸체부(50a)로 덮여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특유의 장점과 함께 일체로 외각 몸체부(50a)를 구비한 가스 배리어체(10)를 당해 외각 몸체부(50)에 있어서 연료탱크(B)에 대해서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용착하여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료탱크용 커넥터(A)는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접착성 올레핀수지제의 외각 몸체부(50a)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외각 몸체부(50a)로 덮여져 있지 않은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50b)로 덮여진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특유의 장점과 함께,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에 대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50b)를 보다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구비할 수 있고, 당해 커넥터(A)를 보다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연료탱크(B)에 용착하여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료탱크용 커넥터(A)는 상기 날밑형상부(12)의 선단측에 상기 연료탱크(B)의 외면부로 향하여 돌출하는 환상돌출부(12a)가 구비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특유의 장점과 함께 상기 증발가스의 당해 연료탱크(B)로부터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 상태에서의 당해 커넥터(A)의 연료탱크(B)에 대한 부착에 있어서 설계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료탱크용 커넥터(A)는 상기 커넥터(A)를 연료공급관의 접속용 커넥터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특유의 장점과 함께 연료로부터 생기는 증발가스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 상태에서, 연료공급관을 연료탱크(B)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료탱크용 커넥터(A)는 상기 커넥터(A)를 통기관의 접속용 커넥터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특유의 장점과 함께 연료로부터 생기는 증발가스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 상태에서 통기관을 연료탱크(B)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료탱크용 커넥터(A)는 상기 커넥터(A)를 연료 컷오프밸브(3)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특유의 장점과 함께 연료로부터 생기는 증발가스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 상태에서, 관(C)과 연료탱크(B)를 연료 컷오프밸브(3)를 통하여 접속할 수 있다.
(1)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
우선, 도 1∼도 3에 나타낸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도시예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는 연료탱크(B)에 각종의 관(C)을 접속하는 수단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특히 전형적인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비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로서 나타내고 있다.
이 도시예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는 연료탱크(B)에 개설된 개구(Ba)를 바깥측으로부터 덮도록 상기 개구(Ba)의 개구부(Bc)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탱크(B)와 연료탱크(B)에 접속되는 관(C)을 연통상태로 접속하는 커넥터(A)로서, 상기 커넥터(A)가 통형상부(11)와, 상기 통형상부(11)의 외주측에 구비되고, 또한 상기 연료탱크(B)의 개구(Ba)보다도 큰 면을 갖는 날밑형상부(12)를 구비한 가스 배리어성합성수지제의 가스 배리어체(10)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가스 배리어체(10)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폴리페닐렌설피드제, 리퀴드크리스탈폴리머제, 지방족 폴리케톤제, 방향족 폴리아미드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폴리아미드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폴리머제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인 구성으로 하고 있고,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각 몸체부(50)에 의해 덮인 구성,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접착성 올레핀수지제의 외각 몸체부(50a)로 덮여져 있음과 동시에, 이 외각 몸체부(50a)의 적어도 일부와, 이 외각 몸체부(50a)로 덮여져 있지 않은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50b)에 의해 덮인 구성으로 하고 있고, 이 외각 몸체부(50)에서 상기 연료탱크(B)에 용착되어 상기 연료탱크(B)내에도 남겨진 연료로부터의 증발가스가 당해 커넥터(A) 부분으로부터 누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감소하도록 하고 있다.
이 도시예에 관한 커넥터(A)는 이러한 연료탱크(B)에 각종의 관(C)을 연통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그 전형예로서 전형적인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비하여 연료탱크(B)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커넥터(A)를 나타내고 있고, 연료로부터 증발되는 가스 등을 캐니스터(canister) 등으로 이송안내함과 동시에, 연료탱크(B)내에 있는 연료액면의 변동의 경우에, 당해 연료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도시예에 관한 커넥터(A)가 구비되는 연료탱크(B)는 적어도 당해 커넥터(A)에 있어서 외각 몸체부(50)가 용착되는 탱크부분 즉, 당해연료탱크(B)에 있어서 적어도 개구 원주테두리(Bb) 옆쪽의 외면측을, 이 외각 몸체부(50)에 용착가능한 합성수지제로 된 구성으로 하고 있고, 더구나 가스 배리어층 즉, 상기 연료로부터 증발가스가 투과하기 어려운 층을 구비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료탱크(B)는 전형적으로는, 상기 연료탱크(B)를 상기 커넥터(A)와 용착시키기에 양호한 합성수지, 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에 의해 당해 연료탱크(B)의 표면측 층(Be)을 구성하고 있음과 동시에, 연료로부터 증발가스가 투과하기 어려운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Bd)의 층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고,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이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Bd)가 표면에 노출하도록 상기 개구 원주테두리(Bb)에 걸친 부분에 원주둘레 오목단부(Bf)를 구성하도록 상기 표면측 층(Be)를 제외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도시예에 관한 커넥터(A)는 홀(1e)을 구비한 통형상부(1)와, 상기 통형상부(1)의 외주측에 구비되고, 또한 상기 개구(Ba)보다도 큰 면을 갖는 날밑형상부(2)와,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연료탱크(B)의 개구(Ba)로부터 연료탱크(B)내에 상기 연료 컷오프밸브(3)에 있어서 통형상 몸체(20)를 구성하는 통부(筒部)(23)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날밑형상부(2)를 적어도 개구 원주테두리(Bb) 옆쪽을 합성수지제로 한 연료탱크(B)에 있어서 당해 합성수지제의 연료탱크(B)의 면부에 용착하여, 상기 연료탱크(B)와 상기 연료탱크(B)에 접속되는 관(C)을 상기 홀(1e)에서 연통상태로 접속시키는 커넥터(A)로 하고 있다.
또, 이 도시예에 관한 개구(Ba)는 원형의 개구(Ba)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날밑형상부(2)가 원판형상의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 날밑형상부(2)가 상기 개구(Ba)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시예에 관한 커넥터(A)는 더 구체적으로는, 일단 상방으로 향하여 돌출하도록 구비된 종방향 통형상부(1a)와, 이 종방향 통형상부(1a)의 상부측에 상기 종방향 통형상부(1a)로부터 직각으로 굴곡하여 연접되어 있는 횡방향 통형상부(1b)를 구비한 통형상부(1)와, 이 통형상부(1)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통형상부(1a)의 하부측의 외주측으로부터 옆쪽으로 튀어 나오도록 구비된 원판형상을 이루는 날밑형상부(2)를 가짐과 동시에, 이것에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비한 구성 즉, 이 날밑형상부(2)의 아래면측 즉, 상기 통형상부(1)가 구비되어 있는 쪽과 반대의 쪽에 상기 날밑형상부(2)로부터 융기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판형상부(21)와, 이 판형상부(21)의 원주테두리부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하여 돌출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원통상의 통부(23)와, 이 통부(23)의 아래단테두리에 구비되어 있는 걸림돌출부(23b)를 걸림홀(24c)에 걸어서 구비되는 뚜껑(24)과, 상기 판형상부(21)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1)의 홀(1e)에 연속하여 구비되어 있는 오목부(22)내에 구비되는 밸브시트 몸체(30)와, 이 밸브(30b)를 갖는 밸브시트 몸체(30)를 구비한 판형상부(21) 및 통부(23) 및 뚜껑(24)에 의해 구성되는 플로트실내에 이 플로트실내에 유입하는 액체의 액면레벨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자유로이 삽입되는 플로트(40)를 갖고, 이 플로트(4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있는 밸브 몸체부(40a)를, 상기 플로트(40)의 연료액면의 변동에 수반되는 밸브시트(30b)로향한 이동에 따라서, 상기 밸브시트 몸체(30)에 있어서 밸브시트(30b)에 밀착하여 상기 통형상부(1)의 홀(1e)을 막는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A)에 구비되는 가스 배리어체(10)는 연료탱크(B)내에 남겨진 가스, 전형적으로는 연료로부터 증발되는 가스의 투과를 극력 저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로서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폴리페닐렌설피드제, 리퀴드크리스탈폴리머제, 지방족 폴리케톤제, 방향족 폴리아미드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폴리아미드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로 하고 있고,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홀(1e)을 구성하는 홀(11e)을 구비한 통형상부(11)와, 이 통형상부(11)의 일단측의 외주부로부터 옆쪽으로 튀어나오도록 구비되어 있는 날밑형상부(12)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통형상부(11)는 엘보상을 이루도록 종방향 통형상부(11b)와 상기 종방향 통형상부(11b)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있는 횡방향 통형상부(11a)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 종방향 통형상부(11b)의 아래단측의 외주부로부터 옆쪽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날밑형상부(12)가 일체로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방향 통형상부(11b)의 외주부에 구비되는 날밑형상부(12)는 상기 연료탱크(B)에 있어서 개구(Ba)보다도 큰 면을 구비한 구성 즉, 이 통형상부(11)에 구비되는 날밑형상부(12)를 이 통형상부(11)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연료탱크(B)에 있어서 개구 원주테두리(Bb)의 옆쪽부로 향하여 늘어서도록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날밑형상부(12)가 원형판상으로 되어 있고, 이 날밑형상부(12)가 상기 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개구(Ba)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을 구비한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날밑형상부(12)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B)의 외면으로 향한 측, 즉 상기 통형상부(11)의 돌출측과 반대의 측에 있는 상기 날밑형상부(12)의 외주테두리부로부터 아래쪽, 즉 연료탱크(B)의 측으로 향하여 굴곡상으로, 환상돌출부(12a)를 돌출상으로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스 배리어체(10)에 있어서 아래면측 즉, 상기 통형상부(11)의 돌출측과 반대의 측에 상기 연료 컷오프밸브(3)가 일체로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연료 컷오프밸브(3)는 상부측에 판형상부(21)를 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통형상 몸체(20)와, 이 통형상 몸체(20)에 있어서 상기 판형상부(21)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밸브시트 몸체(30)와, 이 통형상 몸체(20)에 있어서 아래면 개구의 통부(23)의 아래단측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를 막는 뚜껑(24)과, 이 뚜껑(24)에 의해 막힌 통형상 몸체(20)내에 구성되는 플로트실내에 삽입되어 연료액면의 변동에 따라서, 상기 밸브시트 몸체(30)에 있어서 밸브시트(30b)의 개폐를 이루는 플로트(40)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성하는 통형상 몸체(20)는 판형상부(21)와, 이 판형상부(21)로부터 일체로 돌출상태로 구비되어 있는 통부(23)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각종의 합성수지, 전형적으로는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 예컨대 폴리아세탈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통형상 몸체(20)를 구성하는 판형상부(21)는 그 두께내에 외부로 연통하여 성형수지가 유입되는 공동부(21a)를 갖고 있음과 동시에, 그 외주테두리부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하여 상기 판형상부(21)에 일체로 상기 통부(23)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또한 판형상부(21)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기 통형상부(11)의 홀(11e)에 연통하여 상기 통형상부(11)의 개구부(11c)를 구성하는 오목부(22)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판형상부(21)에 구비되는 오목부(22)는 상기 통형상부(11)의 홀(11e)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이 홀(11e)보다도 큰 홀직경인 것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판형상부(21)의 하부측에 위쪽으로 오목하게 구비되어 있는 직경확대 오목단형상(凹段形狀) 홀부(22a)와, 이 직경확대 오목단형상 홀부(22a)의 상부측으로부터 상기 통형상부(11)측으로 향하여 구비되는 원추형상 홀부(22b)와, 이 원추형상 홀부(22b)로부터 상기 통형상부(11)의 측으로 이르도록 구비된 오목단형상 홀부(22c)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부(23)는 상기 판형상부(21)로부터 일체로 돌설상태로 구비되어 있는 아래면 개구의 통체로서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아래단테두리인 선단측의 외측부에 뚜껑(24)의 조립용의 걸림돌출부(23b)를 설치하고 있고, 더구나 그 외주벽부에 복수의 홀(23a)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통부(23)의 내벽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판형상부(21)의 측으로 향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가이드리브(23c)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통부(23)에 구비되는 홀(23a)은 플로트(40)를 삽입하고, 또한 뚜껑(24)으로 막혀지는 당해 통부(23) 안과 연료탱크(B) 안과의 사이에 있는 가스 등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통형상 몸체(20)와 상기 가스 배리어체(10)는 예컨대, 이 통형상 몸체(20)를 성형금형내에 인서트함과 동시에, 이 성형금형내에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의 성형용 합성수지를 사출 등에 의해 주입하고, 당해 통형상 몸체(20)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21a)에 대한 당해 성형용 합성수지의 충진과 함께, 이 통형상 몸체(20)에 있어서 판형상부(21)의 원주측부와, 이 판형상부(21)에 있어서 상기 통부(23)의 돌설측과 반대측에 있는 면을 당해 성형합성수지에 의해 덮도록 당해 가스 배리어체(10)를 성형하는 것에 의해, 이 통형상 몸체(20)와 상기 가스 배리어체(10)를 일체로 구성하고 있다.
즉,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가스 배리어체(10)를 상기 판형상부(21)에 있어서 상기 통부(23)의 돌설측과 반대측에 있는 면을 덮음과 동시에 상기 면으로부터 더 옆쪽으로 돌출하도록 구비하고 있는 날밑형상부(12)와, 이 날밑형상부(12)의 아래면측으로부터 상기 판형상부(21)의 원주측면을 덮도록 돌출상태로 구비하고 있는 덮개부(12b)와, 상기 판형상부(21)에 있어서 오목단형상 홀부(22c)에 연통하는 홀(11e)을 구비하도록, 상기 날밑형상부(12)의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통형상부(11)와, 상기 날밑형상부(12)의 선단측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하여 굴곡상으로 구비되어 있는 환상돌출부(12a)를 구비하도록 상기 통형상 몸체(20)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형상 몸체(20)에 일체로 구비되는 가스 배리어체(10)는 그 표면,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덮개부(12b)의 표면부와, 이 표면부로부터 상기 환상돌출부(12a)의 선단을 거쳐 상기 통형상부(11)의 개구단(11d)에 이르는 당해 가스 배리어체(10)에 있어서 표면을 외각 몸체부(50)에 의해 덮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가스 배리어체(10)에 구비되는 외각 몸체부(50)는 예컨대, 상기 통형상 몸체(20)에 상기 가스 배리어체(10)를 일체로 구비함과 동시에, 이것을 성형금형내에 인서트하여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성형에 의해 당해 가스 배리어체(10)의 표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스 배리어체(10)의 표면을 덮도록 구비되는 외각 몸체부(50)는 이 가스 배리어체(10)에 일체로 성형가능하고, 더구나 상기 연료탱크(B)에 용착가능한 합성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덮개부(12b)의 표면부와, 이 표면부로부터 상기 환상돌출부(12a)의 선단을 거쳐 상기 종방향 통형상부(11b)의 도중까지 이르는 당해 가스 배리어체(10)의 표면을 덮는 접착성 올레핀수지제 외각 몸체부(50a)와, 상기 환상돌출부(12a)를 덮고 있는 상기 접착성 올레핀 수지제 외각 몸체부(50a)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B)에 면한 면에 연속되어 있는 외주면과, 이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통형상부(11)의 개구단(11d)에 도달하는 면, 즉 당해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올레핀수지제 외각 몸체부(50a) 및 가스 배리어체(10)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표면을 덮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 외각 몸체부(50b)를 일체로 적층상태로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에 있어서 날밑형상부(12) 및 통형상부(12)에 상기 외각 몸체부(50)를 일체로 구비한 상태에서, 당해 커넥터(A)에 있어서 날밑형상부(2) 및 통형상부(1)를 구성하고 있고, 이 날밑형상부(2)의 선단부에 상기 환상돌출부(12a) 및 상기 환상돌출부(12a)를 덮는 외각 몸체부(50)에 의해 구성되는 환상돌출부(2a)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통형상 몸체(20)에 있어서 판형상부(21)의 오목부(22)에 구비되어, 상기 연료 컷오프밸브(3)의 밸브시트(30b)를 구성하는 밸브시트 몸체(30)는 상기 판형상부(21)에 대한 용착에 적당하고, 더구나 이 판형상부(21)와 함께 가스 배리어기능을 당해 커넥터(A)에도 부여하는 합성수지 즉, 연료로부터 증발되는 가스의 투과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각종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 예컨대, 폴리아세탈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플로트(40)에 있어서 밸브 몸체부(40a)를 받아 들여서 막는 밸브시트(30b)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되어 있는 홀(30a)의 홀테두리부에 구비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오목부(22)에 조립되는 형상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이 밸브시트 몸체(30)는 대략 중심부에 상기 홀(1e), (11e)에 연통하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홀(30a)을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이 홀(30a)의 중앙부를 축경(縮徑) 홀부(30a')로 하고, 이 축경홀부(30a')로부터 아래쪽을 순차 상기 홀(30a)의 아래단테두리로 향하여 직경을 확대하는 원추홀상의 밸브시트(30b)로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이 밸브시트 몸체(30)의 상부측에 상기 홀(30a)을 권취하도록 환상오목홈(30c)을 설치하고 있고, 이 환상오목홈(30c)에 의해 상기 밸브시트몸체(30)의 상부측의 중앙부에 통형상부(30d)를 형성하고 있음과 동시에, 이 통형상부(30d)를 구성하는 환상오목홈(30c)의 바깥쪽을 상부측 원판형상부(30e)로 하고, 또한 이 상부측 원판형상부(30e)보다도 하방측을 이 상부측 원판형상부(30e)보다도 큰 직경의 하부측 원판형상부(30f)로 하여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상부측 원판형상부(30e)의 외주면에 환상 씰(seal) 부재(31)를 끼워 붙인 상태에서, 이 상부측 원판형상부(30e)의 상단측을 상기 원추형상 홀부(22b)에 눌러서 또한, 상기 하부측 원판형상부(30f)의 상단면을 상기 직경확대 오목단형상 홀부(22a)에 있어서 상단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하부측 원판형상부(30f)를 상기 최아래단에 있는 직경확대 오목단형상 홀부(2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 밸브시트 몸체(30)를 상기 판형상부(21)에 용착,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통형상 몸체(20)내에 조립되는 플로트(40)는 예컨대, 폴리아세탈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통부(23)내에서 상기 가이드리브(23c)로 안내되는 연료액면의 변동에 수반하여 원활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연료액면의 변동에 수반되는 상기 밸브시트(30b)로 향한 이동의 경우에, 상기 밸브시트(30b)에 밀착하여 상기 밸브시트 몸체(30)의 홀(30a)을 막는 밸브 몸체부(40a)를 그 상단부측에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고, 그 하부측의 대략 중앙부에 위쪽으로 오목한 오목부(40b)를 갖고, 더구나 이 오목부(40b)내에 더 위쪽으로 오목한 환상오목부(40b')를 갖고, 상기 오목부(40b)내에 원형대 형상부(40c)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오목부(40b)와 상기 플로트(40)의 상단면을 연통하는 홀(40d)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이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성하는 플로트(40)를 상기 통부(23)내에 조립한 상태로 유지하는 뚜껑(24)은 원반상을 이루는 바닥 판부(24a)의 원주테두리부로부터 위쪽으로 기립하는 통상원주벽부(24b)를 갖고, 이 통상원주벽부(24b)내에 상기 통부(23)를 상기 통부(23)의 선단을 상기 바닥 판부(24a)에 접촉시키도록 받아 넣음과 동시에, 이 통부(23)에 구비되어 있는 걸림돌출부(23b)를 상기 통상원주벽부(24b)에 구비되어 있는 걸림홀(24c)의 홀 주변에 걸어서, 상기 통부(23)에 부착된 구성으로 하고 있고, 이 뚜껑(24)의 내측의 대략 중앙부에 구비되어 있는 원형대 형상부(24d)와 상기 플로트(40)에 있어서 원형대 형상부(40c)에 끼워 붙인 압축코일스프링(41)에 의해, 상기 플로트(40)를 상기 통부(23)내에 있어서 용이하게 연료액면의 변동에 따라서 부상이동할 수 있도록 조립되어 있다.
이러한 통부(23)내에 플로트(40)를 조립한 뚜껑(24)은 그 바닥 판부(24a)에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홀(24e)을 설치하고 있고, 이 통부(23)내에 대해서 연료나 가스 등이 용이하게 유출입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압축코일스프링(41)은 상기 플로트(40)가 연료액에 의해서 부력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플로트(40)의 중량과 균형을 유지하여, 이 플로트(40)가 상기 밸브 몸체부(40a)를 상기 밸브시트(30b)로부터 분리된 위치로 유지되도록 탄지(彈持)하고, 이 플로트(40)가 연료액에 의한 부력을 받는 경우에, 이 부력에 의해 상기 플로트(40)가 용이하게 떠 올라서 이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차량의 전도 등의 경우에 상기 플로트(40)를 그 부력에 대항하여 상기 플로트(40)에 있어서 밸브 몸체부(40a)를 상기 밸브시트(30b)에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외각 몸체부(50)와 가스 배리어체(10)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통형상부(1)와 날밑형상부(2)를 가짐과 동시에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커넥터(A)는 이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성하는 판형상부(21)에 상기 밸브시트 몸체(30)를 일체로 용착,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통부(23)내에 플로트(40)를 삽입하고 또한, 이 삽입플로트(40)와의 사이에 상기 압축코일스프링(41)을 개장한 상태에서, 이 통부(23)의 하부 개구에 뚜껑(24)을 조립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A)는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통부(23)측을 상기 연료탱크(B)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있는 개구부(Ba)로부터 상기 연료탱크(B)내에 끼움과 동시에, 상기 연료탱크(B)에 구비되어 있는 원주둘레 오목단부(Bf)에 노출되어 있는 상기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Bd)에, 상기 커넥터(A)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의 환상돌출부(12a)가 용착되고 또한, 연료탱크(B)에 상기 환상돌출부(2a)가 용착되도록, 이 원주둘레 오목단부(Bf)에 상기 환상돌출부(2a)를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환상돌출부(12a)를 상기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Bd)에 용착하고, 또한 상기 환상돌출부(2a)에 있어서 외각 몸체부(50)를 연료탱크(B)에 용착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커넥터(A)의 연료탱크(B)의 개구부(Bc)에 대한 부착에 의해, 상기 연료로부터의 증발가스의 당해 연료탱크(B)로부터의 누출을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A)의 연료탱크(B)에 대한 부착을, 당해 커넥터(A)의 연료탱크(B)에 대해 용착하는 것에 의해, 이 커넥터(A)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연료탱크(B)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용착에 의한 당해 커넥터(A)의 연료탱크(B)에 대한 부착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A)에 있어서 가스 배리어체(10)를 상기 연료탱크(B)에 있어서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Bd)에 용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스의 당해 연료탱크(B)로부터의 누출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료탱크(B)에 구비된 커넥터(A)에 적당한 관(C)을 접속하여 사용한다.
이 관(C)이 접속되는 당해 커넥터(A)에 있어서 통형상부(1)는 이 접속되는 관(C)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이 통형상부(1)에 있어서 횡방향 통형상부(1b)의 외주면에, 선단이 움푹 들어간 원추형상 안내부(1c)와, 이 원추형상 안내부(1c)의 정수리단으로부터 상기 횡방향 통형상부(1b)에 이르는 수직의 단차(段差) 형상면(1d)을 구비한 융기부를 복수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2) 제 2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
이어서, 도 4∼도 6에서 표시되는 제 2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도시예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는 연료탱크(B)에 각종의 관(C)을 접속하는 수단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특히 전형적인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비하여, 연료탱크(B)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커넥터(A)로 표시되어 있다.
이 도시예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는 연료탱크(B)에 개설된 개구(Ba)를 바깥측으로부터 덮도록 상기 개구(Ba)의 개구부(Bc)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탱크(B)와 상기 연료탱크(B)에 접속되는 관(C)을 연통상태로 접속하는 커넥터(A)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A)가 통형상부(11)와, 상기 통형상부(11)의 외주측에 구비되고, 또한 상기 연료탱크(B)의 개구(Ba)보다도 큰 면을 갖는 날밑형상부(12)를 구비한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제의 가스 배리어체(10)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가스 배리어체(10)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폴리페닐렌설피드제, 리퀴드크리스탈폴리머제, 지방족 폴리케톤제, 방향족 폴리아미드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폴리아미드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인 구성으로 하고 있고,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외각 몸체부(50)에 의해 덮은 구성,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의 표면을 접착성 올레핀수지제의 외각 몸체부(50a)로 덮은 구성으로 하고 있고, 이 외각 몸체부(50)에서 상기 연료탱크(B)에 용착되어 상기 연료탱크(B)내에도 남아 있는 연료로부터의 증발가스가 당해 커넥터(A) 부분으로부터 누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감소하도록 하고 있다.
이 제 2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는 당해 커넥터(A)에 구비되는 외각 몸체부(50)를 접착성 올레핀수지의 단일층으로 하여, 이 연료탱크용 커넥터(A)를 구성하는 가스 배리어체(10)에 설치된 것 이외의 구성을 상기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의 구성과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하고 있고, 동일한 방법으로 연료탱크(B)에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의 구성과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2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에 구비되는 외각 몸체부(50)는 상기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에 있어서와 동일하고, 예컨대 상기 통형상 몸체(20)에 상기 가스 배리어체(10)를 일체로 구비함과 동시에, 이것을 성형금형내에 인서트하여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성형에 의해 당해 가스 배리어체(10)의 표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스 배리어체(10)의 표면을 덮도록 구비되는 외각 몸체부(50)는 이 가스 배리어체(10)에 일체로 성형가능하고, 더구나 상기 연료탱크(B)에 용착가능한 합성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덮개부(12b)의 표면부와, 이 표면부로부터 상기 환상돌출부(12a)의 선단을 거쳐 상기 통형상부(11)의 개구단(11d)에 이르는 당해 가스 배리어체(10)의 표면을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와 일체로 되도록 덮는 접착성 올레핀수지제 외각 몸체부(50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A)는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통부(23)측을 상기 연료탱크(B)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있는 개구(Ba)로부터 상기 연료탱크(B)내에 끼움과 동시에, 상기 연료탱크(B)에 구비되어 있는 원주둘레 오목 단부(段部)(Bf)에 노출되어 있는 상기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Bd)에, 상기 커넥터(A)에 있어서상기 가스 배리어체(10)의 환상돌출부(12a)가 용착되고, 또한 연료탱크(B)에 상기 환상돌출부(2a)가 용착되도록, 이 원주둘레 오목단부(Bf)에 상기 환상돌출부(2a)를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환상돌출부(12a)를 상기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Bd)에 용착하고, 또한 상기 환상돌출부(2a)에 있어서 외각 몸체부(50)를 연료탱크(B)에 용착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A)의 연료탱크(B)의 개구부(Bc)에 대한 부착에 의해, 상기 연료로부터의 증발가스의 당해 연료탱크(B)로부터의 누출을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A)의 연료탱크(B)에 대한 부착을 당해 커넥터(A)의 연료탱크(B)에 대해 용착하는 것에 의해, 이 커넥터(A)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연료탱크(B)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용착에 의한 당해 커넥터(A)의 연료탱크(B)에 대한 부착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A)에 있어서 가스 배리어체(10)를 상기 연료탱크(B)에 있어서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Bd)에 용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스의 당해 연료탱크(B)로부터의 누출을 더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3) 제 3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
이어서, 도 7∼도 9에 표시되는 제 3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도시예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는 연료탱크(B)에 각종의 관(C)을 접속하는 수단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특히 전형적인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비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로서 나타내고 있다.
이 도시예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는 연료탱크(B)에 개설된 개구(Ba)를 바깥측으로부터 덮도록 상기 개구(Ba)의 개구부(Bc)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탱크(B)와 상기 연료탱크(B)에 접속되는 관(C)을 연통상태로 접속하는 커넥터(A)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A)가 통형상부(11)와, 상기 통형상부(11)의 외주측에 구비되고 또한 상기 연료탱크(B)의 개구(Ba)보다도 큰 면을 갖는 날밑형상부(12)를 구비한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제의 가스 배리어체(1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가스 배리어체(10)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폴리페닐렌설피드, 리퀴드크리스탈폴리머제, 지방족 폴리케톤제, 방향족 폴리아미드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폴리아미드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인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각 몸체부(50)에 의해 덮인 구성,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가스 배리어체(10)에 있어서 연료탱크(B)로 향한 측에 접착성이 있는 변형폴리올레핀 수지제의 외각 몸체부(50c)를 일체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 외각 몸체부(50c)에 있어서 연료탱크(B)에 용착으로 설치되어, 상기 연료탱크(B) 내에도 남아 있는 연료로부터의 증발가스가 당해 커넥터(A) 부분으로부터 누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감소하도록 하고 있다.
이 도시예에 관한 커넥터(A)는 이러한 연료탱크(B)에 각종의 관(C)을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그 전형예로서 전형적인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비하여 연료탱크(B)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커넥터(A)를 나타내고 있고, 연료로부터 증발되는 가스 등을 캐니스터 등으로 이송안내함과 동시에 연료탱크(B)내에 있는 연료액면의 변동의 경우에 당해 연료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도시예에 관한 커넥터(A)가 구비되는 연료탱크(B)는 적어도 당해 커넥터(A)가 용착되는 탱크부분, 즉 당해 연료탱크(B)에 있어서 적어도 개구 원주테두리(Bb) 옆쪽을 이 커넥터(A)에 용착가능한 합성수지제로 된 구성으로 하고 있고, 더구나 가스 배리어층 즉, 상기 연료로부터의 증발가스가 투과하기 어려운 층을 구비한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연료탱크(B)는 전형적으로는 상기 연료탱크(B)를 상기 커넥터(A)와 용착시키기에 좋은 합성수지,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나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에 의해서 당해 연료탱크(B)의 표면측 층(Be)을 구성하고 있음과 동시에, 연료로부터의 증발가스가 투과하기 어려운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Bd)의 층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이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Bd)가 표면에 노출하도록, 상기 개구 원주테두리(Bb)에 걸친 부분에 원주둘레 오목단부(Bf)를 구성하도록 상기 표면측 층(Be)을 제외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연료탱크(B)에 구비되는 커넥터(A)를 구성하는 가스 배리어체(10)는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통형상부(11)와, 상기 통형상부(11)의 외주측에 구비되고 또한 상기 연료탱크(B)의 개구(Ba)보다도 큰 면을 갖는 날밑형상부(12)를 구비하고, 또한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성하는 비교적 큰 지름의 통부(23)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가스 배리어체(10)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폴리페닐렌설피드제, 리퀴드크리스탈폴리머제, 지방족 폴리케톤제, 방향족 폴리아미드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폴리아미드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폴리머제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로 하고 있다.
이 도시예에 관한 가스 배리어체(10)를 구성하는 상기 통형상부(11)는 상기 날밑형상부(12)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종방향 통형상부(11b)와 상기 종방향 통형상부(11b)에 직각으로 연속되어 있는 횡방향 통형상부(11a)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날밑형상부(12)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하여 돌출하도록 돌출통형상부(11f)를 종방향 통형상부(11b)에 연통하여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 돌출통형상부(11f)의 아래단부분에 상기 통형상부(11)의 홀(11e)의 아래단부분에 구성되는 오목부로서의 밸브시트(11f')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방향 통형상부(11a)의 외주부에 구비되는 날밑형상부(12)는 상기 연료탱크(B)에 있어서 개구(Ba)보다도 큰 면을 구비한 구성 즉, 이 통형상부(11)에 구비되는 날밑형상부(12)를 이 통형상부(11)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연료탱크(B)에 있어서 개구 원주테두리(Bb)의 옆쪽부로 향하여 배치되도록 구비된 구성으로 하고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날밑형상부(12)가 원형판상으로 되어 있고, 이 날밑형상부(12)가 상기 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개구(Ba)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을 구비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날밑형상부(12)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B)의 외면으로 향한측, 즉 상기 돌출통형상부(11f)의 돌출측에 있는 상기 날밑형상부(12)의 외주테두리부로부터 아래쪽 즉, 연료탱크(B)의 측으로 향하여 굴곡상으로, 환상돌출부(12a')를 돌출상으로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가스 배리어체(10)에 있어서 아래면측 즉, 상기 돌출통형상부(11f)의 돌출측에, 상기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성하는 통부(23)를 일체로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성하는 통부(23)는 상기 날밑형상부(12)의 아래면측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하여 상기 돌출통형상부(11f)를 둘러싸도록 상기 날밑형상부(12)에 일체로 돌설상태로 구비되어 있는 아래면 개구의 통체로서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아래단테두리인 선단측의 외측부에 뚜껑(24)의 조립용의 걸림돌출부(23b)를 설치하고 있고, 더구나 그 외주벽부에 복수의 홀(23a)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통부(23)의 내벽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날밑형상부(12)측으로 향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가이드리브(23c)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통부(23)에 구비되는 홀(23a)은 플로트(40)를 삽입하고, 또한 뚜껑(24)으로 막힌 당해 통부(23) 안과 연료탱크(B) 안과의 사이에 있는 가스 등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스 배리어체(10)에 있는 상기 통부(23)의 상부측의 외주면과, 이것에 연속한 상기 날밑형상부(12)의 면과, 이 날밑형상부(12)의 면에 연속하는 상기 환상돌출부(12a')의 내측면에, 일련으로 연속하도록 외각 몸체부(50)를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에 일체로 설치하고, 이 외각 몸체부(50)를 이용하여 당해 커넥터(A)를 상기 연료탱크(B)에 용착,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도시예에 관한 외각 몸체부(50)는 상기 통부(23)의 상부외주에 구비되는 통첨부장착부(53)와, 상기 날밑형상부(12)의 아래면측에 구비되는 날밑첨부장착부(52)와, 상기 환상돌출부(12a')의 내측에 구비됨과 동시에, 이 환상돌출부(12a')보다도 더욱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구비되는 돌출부(54)를 일체로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고, 이 돌출부(54)의 선단부를 상기 연료탱크(B)에 있어서 원주둘레 오목단부(Bf)에 용착한 경우에, 상기 환상돌출부(12a')의 선단이 상기 연료탱크(B)에 있어서 외면에 밀착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A)를 구성하는 외각 몸체부(50)는 각종의 방법으로 당해 가스 배리어체(10)에 구비된다. 예컨대, 당해 가스 배리어체(10)를 성형틀내에 인서트하여 이루어지는 당해 성형틀에 대한 합성수지의 주입 등에 의해 당해 가스 배리어체(10)에 일체로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외각 몸체부(50)는 더욱 전형적으로는 당해 외각대부(50)를 접착성 있는 변성폴리올레핀수지를 사용한 외각 몸체부(50c)로 하는 것에 의해, 예컨대 상기 가스 배리어체(10)를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로 한 경우에 있어서도, 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의 가스 배리어체(10)에 당해 외각 몸체부(50c)를 확실하게 일체로 설치할 수 있고, 더구나 상기 연료탱크(B)측의 합성수지,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나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대해서도 양호하게 용착되어, 이 외각 몸체부(50c)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커넥터(A)를 상기 연료탱크(B)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 커넥터(A)를 구성하는 외각 몸체부(50)를 상기와 같이 접착성이 있는 변성폴리올레핀수지의 외각 몸체부(50c)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연료탱크(B)에 있어서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Bd)에 대해서도 당해 외각 몸체부(50)를 상태 좋게 용착하여, 당해 커넥터(A)를 상기 연료탱크(B)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외각 몸체부(50)와 상기 가스 배리어체(10)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커넥터(A)는 이 가스 배리어체(10)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11)를 커넥터(A)의 통형상부(1)로 하고, 또한 상기 외각 몸체부(50)와 가스 배리어체(10)에 의해 상기 통형상부(1)로부터 옆쪽으로 돌출하는 당해 커넥터(A)의 날밑형상부(2)로 하고, 또한 이 날밑형상부(2)의 선단측에 상기 연료탱크(B)의 측으로 돌출하는 환상돌출부(2a')를 상기 환상돌출부(12a')와 돌출부(54)에 의해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고,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날밑형상부(2)의 아래면측에 전형적인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성하는 플로트(40)는 예컨대, 폴리아세탈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통부(23)내에서 상기 가이드리브(23c)에 안내되어 연료액면의 변동에 수반하여 원활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그 상방으로 향한 이동의 경우에, 상기 밸브시트(11f')에 밀착하여 상기 홀(11e)을 막는 밸브 몸체부(40a)를 그 상단부측에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고, 그 하부측의 대략 중앙부에 상방으로 오목한 오목부(40b)를 갖고 더구나, 이 오목부(40b)내에 또한 상방으로 오목한 환상오목부(40b')를 갖고, 상기 오목부(40b)내에 원형대 형상부(40c)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음과 동시에, 이 오목부(40b)와 상기 플로트(40)의 상단면을 연통하는 홀(40d)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어서, 이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성하는 플로트(40)를 상기 통부(23)내에 조립상태로 유지하는 뚜껑(24)은 원판형상을 이루는 바닥 판부(24a)의 원주테두리부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하는 통상원주벽부(24b)를 갖고, 이 통상원주벽부(24b)내에 상기 통부(23)를 상기 통부(23)의 선단을 상기 바닥 판부(24a)에 접착시키도록 받아 넣음과 동시에, 이 통부(23)에 구비되어 있는 걸림돌출부(23b)를 상기 통상원주벽부(24b)에 구비되어 있는 걸림홀(24c)의 홀테두리에 걸어서, 상기 통부(23)에 조립된 구성으로 하고 있고, 이 뚜껑(24)의 내측의 대략 중앙부에 구비되어 있는 원형대 형상부(24d)와 상기 플로트(40)에 있어서 원형대 형상부(40c)에 끼워 붙인 압축코일스프링(41)에 의해 상기 플로트(40)를 상기 통부(23)내에 있어서 용이하게 연료액면의 변동에 따라서 부상이동할 수 있도록 조립하고 있다.
이러한 통부(23)내에 플로트(40)를 조립한 뚜껑(24)은 그 바닥 판부(24a)에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홀(24e)을 설치하고 있고, 이 통부(23)내에 대해서 연료나 가스 등이 용이하게 유출입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압축코일스프링(41)은 상기 플로트(40)가 연료액에 의해 부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플로트(40)의 중량과 균형을 유지하여, 이 플로트(40)가 상기 밸브 몸체부(40a)를 상기 밸브시트(11f')로부터 분리된 위치에 유지되도록 탄지하고, 이 플로트(40)가 연료액에 의한 부력을 받는 경우에, 이 부력에 의해서 상기 플로트(40)가 용이하게 부상이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차량의 전도 등의 경우에상기 플로트(40)를 이 플로트(40)의 부력에 대항하여 상기 플로트에 있어서 밸브 몸체부(40a)를 상기 밸브시트(11f')에 누르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외각 몸체부(50)와 가스 배리어체(10)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통형상부(1)와 날밑형상부(2)를 가짐과 동시에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커넥터(A)는 상기 통부(23)내에 플로트(40)를 삽입하고, 또한 이 삽입되는 플로트(40)와의 사이에 상기 압축코일스프링(41)을 개장한 상태에서, 이 통부(23)의 하부개구에 뚜껑(24)을 조립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커넥터(A)는 홀(11e)을 구비한 통형상부(1)와, 상기 통형상부(1)의 외주측에 구비되고, 또한 상기 개구(Ba)보다도 큰 면을 갖는 날밑형상부(2)와,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비하고, 연료탱크(B)의 개구(Ba)로부터 연료탱크(B)내에 상기 연료 컷오프밸브(3)에 있는 통부(23)측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날밑형상부(2)를 적어도 개구 원주테두리(Bb) 옆쪽을 합성수지제로 한 연료탱크(B)에 있는 당해 합성수지제의 연료탱크(B)의 면부에 용착하여, 상기 연료탱크(B)와 연료탱크(B)에 접속되는 관(C)을 상기 홀(11e)에서 연통상태로 접속시킨 커넥터(A)로 하고 있다.
또, 이 도시예에 관한 개구(Ba)는 원형의 개구(Ba)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날밑형상부(2)가 원판형상의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 날밑형상부(2)가 상기 개구(Ba)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시예에 관한 커넥터(A)는 더 구체적으로는 일단 상방으로 향하여 돌출하도록 구비된 종방향 통형상부(11b)와 이 종방향 통형상부(11b)의 상부측에, 상기종방향 통형상부(11b)로부터 직각으로 굴곡하여 연접되어 있는 횡방향 통형상부(11a)와, 밸브시트(11f')를 구성하는 돌출통형상부(11f)를 구비한 통형상부(1)와, 이 통형상부(1)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통형상부(11b)의 하부측의 외주측으로부터 옆쪽으로 튀어 나오도록 구비된 원판형상을 이루는 날밑형상부(2)를 가짐과 동시에, 이것에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비한 구성, 즉 이 날밑형상부(2)의 아래면측에 상기 날밑형상부(2)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하여 돌출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원통상의 통부(23)와, 이 통부(23)의 아래단테두리에 구비되어 있는 걸림돌출부(23b)를 걸림홀(24c)에 걸리게 하여 구비되는 뚜껑(24)과, 상기 날밑형상부(2)의 아래면측으로부터 상기 종방향 통형상부(11b)에 연통하도록 돌설되어 있음과 동시에, 선단부에 오목상으로 오목한 밸브시트(11f')를 구비한 돌출통형상부(11f)와, 이 밸브시트(11f')를 갖는 돌출통형상부(11f)를 갖는 날밑형상부(2) 및 통부(23) 및 뚜껑(24)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플로트실내에 이 플로트실내에 유입하는 액체의 액면레벨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플로트(40)를 갖고, 이 플로트(4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있는 밸브 몸체부(40a)를 연료액면의 변동에 수반되는 상기 플로트(40)의 상방이동에 따라서, 상기 돌출통형상부(11f)에 있어서 밸브시트(11f')에 밀착하여 상기 통형상부(1)의 홀(11e)을 막은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A)는 상기 통부(23)측을 상기 연료탱크(B)에 있어서 상부측으로 구비되어 있는 개구(Ba)로부터 상기 연료탱크(B)내에 끼움과 동시에, 상기 연료탱크(B)의 외면부에 상기 환상돌출부(2a')에 있어서 가스배리어체(10)의 환상돌출부(12a')를 돌출하도록 하여, 상기 연료탱크(B)에 구비되어 있는 원주둘레 오목단부(Bf)에 삽입되는 상기 환상돌출부(2a')에 있어서 외각 몸체부(50)로 이루어지는 돌출부(54)의 선단부를 상기 원주둘레 오목단부(Bf)의 면부에 용착하여 상기 연료탱크(B)에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A)의 연료탱크(B)의 개구부(Bc)에 대한 부착에 의해서, 상기 가스 배리어체(10)로 구성되는 환상돌출부(12a')가 상기 연료탱크(B)의 면에 밀착되고, 연료로부터 생기는 증발가스의 당해 연료탱크(B)로부터의 누출을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외각 몸체부(50)를 접착성을 갖는 변성 폴리올레핀수지제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스 배리어체(10)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우수한 가스 배리어를 갖는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료탱크(B)에 구비된 커넥터(A)에 적당한 관(C)을 접속하여 사용한다.
이 관(C)이 접속되는 당해 커넥터(A)에 있어서 통형상부(1)는 이 접속되는 관(C)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이 통형상부(1)에 있는 횡방향 통형상부(11a)의 외주면에, 선단이 움푹 들어간 원추형상 안내부(1c)와 이 원추형상 안내부(1c)의 정수리단으로부터 상기 횡방향 통형상부(11a)에 이르는 수직의 단차 형상면(1d)을 구비한 융기부를 복수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4) 제 4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
다음에서, 도 10∼도 18에서 표시되는 제 4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도시예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는 연료탱크(B)에 각종의 관(C)을 접속하는 수단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특히 전형적인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비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로서 표시되어 있다.
이 도시예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A)는 연료탱크(B)에 개설된 개구(Ba)를 바깥측으로부터 덮도록 상기 개구(Ba)의 개구부(Bc)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탱크(B)와 상기 연료탱크(B)에 접속되는 관(C)을 연통상태로 접속하는 커넥터(A)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A)가 통형상부(11)와, 상기 통형상부(11)의 외주측에 구비되고 또한 상기 연료탱크(B)의 개구(Ba)보다도 큰 면을 갖는 날밑형상부(12)를 구비한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제의 가스 배리어체(10)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가스 배리어체(10)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폴리페닐렌설피드제, 리퀴드크리스탈폴리머제, 지방족 폴리케톤제, 방향족 폴리아미드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폴리아미드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인 구성으로 하고 있고,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각 몸체부(50)에 의해 덮인 구성,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50d)로 덮인 구성으로 하고 있고, 상기 연료탱크(B)내에도 남아 있는 연료로부터의 증발가스가 당해 커넥터(A) 부분으로부터 누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감소하도록 하고 있다.
이 도시예에 관한 커넥터(A)는 이러한 연료탱크(B)에 각종의 관(C)을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그 전형예로서 전형적인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비하여 연료탱크(B)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커넥터(A)를 나타내고 있고, 연료로부터 증발되는 가스 등을 캐니스터 등으로 이송안내함과 동시에, 연료탱크(B)내에 있는 연료액면의 변동의 경우에 당해 연료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도시예에 관한 커넥터(A)가 구비되는 연료탱크(B)는 적어도 당해 커넥터(A)에 있어서 외각 몸체부(50)가 용착되는 탱크부분 즉, 당해 연료탱크(B)에 있어서 적어도 개구 원주테두리(Bb) 옆쪽의 외면부를, 이 외각 몸체부(50)에 용착가능한 합성수지제로 된 구성으로 하고 있고, 더구나 가스 배리어층 즉, 상기 연료로부터 증발가스가 투과하기 어려운 층을 구비한 것으로 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 연료탱크(B)는 전형적으로는 상기 연료탱크(B)를 상기 커넥터(A)와 용착시키기에 좋은 합성수지, 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에 의해 당해 연료탱크(B)의 표면측 층(Be)을 구성하고 있음과 동시에, 연료로부터의 증발가스가 투과하기 어려운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Bd)의 층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도시예에 관한 커넥터(A)는 홀(1e)을 구비한 통형상부(1)와, 상기 통형상부(1)의 외주측에 구비되고, 또한 상기 개구(Ba)보다도 큰 면을 갖는 날밑형상부(2)와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고, 연료탱크(B)의 개구(Ba)로부터 연료탱크(B)내에 상기 연료 컷오프밸브(3)에 있는 통형상 몸체(20)를 구성하는 통부(23) 측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날밑형상부(2)의 선단측을 적어도 개구 원주테두리(Bb) 옆쪽을 합성수지제로 한 연료탱크(B)에 있어서 당해 합성수지제의 연료탱크(B)의 면부에 용착하여, 상기 연료탱크(B)와 상기 연료탱크(B)에 접속되는 관(C)을 상기 홀(1e)에서 연통상태로 접속시키는 커넥터(A)로 하고 있다.
또, 이 도시예에 관한 개구(Ba)는 원형의 개구(Ba)로 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날밑형상부(2)가 원판형상의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 날밑형상부(2)가 상기 개구(Ba)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시예에 관한 커넥터(A)는 더 구체적으로는 일단 상방으로 향하여 돌출하도록 구비된 종방향 통형상부(1a)와, 이 종방향 통형상부(1a)의 상부측에 상기 종방향 통형상부(1a)로부터 직각으로 굴곡하여 연접되어 있는 횡방향 통형상부(1b)를 구비한 통형상부(1)와, 이 통형상부(1)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통형상부(1a)의 하부측의 외주측으로부터 옆쪽으로 돌출하도록 구비된 원판형상을 이루는 날밑형상부(2)를 가짐과 동시에, 이것에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비한 구성 즉, 이 날밑형상부(2)의 아래면측 즉, 상기 통형상부(1)가 구비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에 상기 날밑형상부(2)로부터 융기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판형상부(21)와, 이 판형상부(21)의 원주테두리부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하여 돌출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원통상의 통부(23)와, 이 통부(23)의 아래단테두리에 구비되어 있는 걸림돌출부(23b)를 걸림홀(24c)에 걸리게 하여 구비되는 뚜껑(24)과, 상기 판형상부(21)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1)의 홀(1e)에 연속하여 구비되어 있는 오목부(22)내에 구비되는 밸브시트 몸체(30)와, 이 밸브시트(30b)를 갖는 밸브시트 몸체(30)를 구비한 판형상부(21)및 통부(23) 및 뚜껑(24)에 의해 구성되는 플로트실내에 이 플로트실내에 유입하는 액체의 액면레벨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이 삽입되는 플로트(40)를 갖고, 이 플로트(4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있는 밸브 몸체부(40a)를 상기 플로트(40)의 연료액면의 변동에 수반하는 밸브시트(30b)로 향한 이동에 따라서, 상기 밸브시트 몸체(30)에 있어서 밸브시트(30b)에 밀착하여, 상기 통형상부(1)의 홀(1e)을 막은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A)에 구비되는 가스 배리어체(10)는 연료탱크(B)내에도 남아 있는 가스, 전형적으로는 연료로부터 증발되는 가스의 투과를 극력 저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로서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폴리페닐렌설피드제, 리퀴드크리스탈폴리머제, 지방족 폴리케톤제, 방향족 폴리아미드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폴리아미드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로 하고 있고,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홀(1e)을 구성하는 홀(11e)을 구비한 통형상부(11)와, 이 통형상부(11)의 일단측의 외주부로부터 옆쪽으로 튀어나오도록 구비되어 있는 날밑형상부(12)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통형상부(11)는 엘보상을 이루도록 종방향 통형상부(11b)를 상기 종방향 통형상부(11b)에 직각으로 연속되어 있는 횡방향 통형상부(11a)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 종방향 통형상부(11b)의 아래단측의 외주부로부터 옆쪽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날밑형상부(12)가 일체로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방향 통형상부(11b)의 외주부에 구비되는 날밑형상부(12)는 상기 연료탱크(B)에 있어서 개구(Ba)보다도 큰 면을 구비한 구성 즉, 이 통형상부(11)에 구비되는 날밑형상부(12)를 이 통형상부(11)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연료탱크(B)에 있어서 개구 원주테두리(Bb)의 옆쪽부로 향하여 늘어서도록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날밑형상부(12)가 원형판상으로 되어 있고, 이 날밑형상부(12)가 상기 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개구(Ba)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을 구비한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날밑형상부(12)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B)의 외면으로 향한 측 즉, 상기 통형상부(11)의 돌출측과 반대측에 있는 상기 날밑형상부(12)의 외주테두리부로부터 아래쪽 즉, 연료탱크(B)의 측으로 향하여 굴곡상으로 환상돌출부(12a)를 돌출한 상태로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스 배리어체(10)에 있어서 아래면측 즉, 상기 통형상부(11)의 돌출측과 반대의 측에 상기 연료 컷오프밸브(3)가 일체로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연료 컷오프밸브(3)는 상부측에 판형상부(21)를 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통형상 몸체(20)와, 이 통형상 몸체(20)에 있어서 상기 판형상부(21)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밸브시트 몸체(30)와, 이 통형상 몸체(20)에 있는 아래면 개구의 통부(23)의 아래단측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를 막는 뚜껑(24)과, 이 뚜껑(24)에 의해 막힌 통형상 몸체(20)내에 구성되는 플로트실내에 삽입되어, 연료액면의 변동에 따라서, 상기 밸브시트 몸체(30)에 있는 밸브시트(30b)의 개폐를 이루는 플로트(40)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성하는 통형상 몸체(20)는 판형상부(21)와, 이 판형상부(21)로부터 일체로 돌출한 상태로 구비되어 있는 통부(23)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각종의 합성수지, 전형적으로는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 예컨대, 폴리아세탈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통형상 몸체(20)를 구성하는 판형상부(21)는 그 두께 내에 외부로 연통하여 성형수지가 유입되는 공동부(21a)를 갖고 있음과 동시에, 그 외주테두리부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하여 상기 판형상부(21)에 일체로 상기 통부(23)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또한 판형상부(21)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기 통형상부(11)의 홀(11e)에 연통하여 상기 통형상부(11)의 개구부(11c)를 구성하는 오목부(22)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판형상부(21)에 구비되는 오목부(22)는 상기 통형상부(11)의 홀(11e)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이 홀(11e)보다도 큰 홀직경인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판형상부(21)의 하부측에 상방으로 오목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직경확대 오목단형상 홀부(22a)와, 이 직경확대 오목단형상 홀부(22a)의 상부측으로부터 상기 통형상부(11)측으로 향하여 구비되는 원추형상 홀부(22b)와, 이 원추형상 홀부(22b)로부터 상기 통형상부(11)의 측에 이르도록 구비된 오목단형상 홀부(22c)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부(23)는 상기 판형상부(21)로부터 일체로 돌설상태로 구비되어 있는 아래면 개구의 통체로서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아래단테두리인 선단측의 외측부에, 뚜껑(24) 조립용의 걸림돌출부(23b)를 설치하고 있고, 더구나 그 외주벽부에 복수의 홀(23a)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통부(23)의 내벽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판형상부(21)의 측으로 향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가이드리브(23c)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통부(23)에 구비되는 홀(23a)은 플로트(40)를 삽입하고, 또한 뚜껑(24)으로 막힌 당해 통부(23) 안과 연료탱크(B) 안과의 사이에 있어서 가스 등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통형상 몸체(20)와 상기 가스 배리어체(10)는 예컨대, 이 통형상 몸체(20)를 성형금형내에 인서트함과 동시에, 이 성형금형내에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의 성형용 합성수지를 사출 등에 의해 주입하고, 당해 통형상 몸체(20)에 있는 상기 공동부(21a)에 대한 당해 성형용 합성수지의 충진과 함께, 이 통형상 몸체(20)에 있어서 판형상부(21)의 원주측부와, 이 판형상부(21)에 있는 상기 통부(23)의 돌설측과 반대측에 있는 면을 당해 성형합성수지에 의해 덮도록, 상기 가스 배리어체(10)를 성형하는 것에 의해, 이 통형상 몸체(20)와 상기 가스 배리어체(10)를 일체로 구성하고 있다.
즉,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가스 배리어체(10)를 상기 판형상부(21)에 있어서 상기 통부(23)의 돌설측과 반대측에 있는 면을 덮음과 동시에 상기 면으로부터 더 옆쪽으로 돌출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날밑형상부(12)와, 이 날밑형상부(12)의 아래면측으로부터 상기 판형상부(21)의 원주측면을 덮도록 돌출상태로 구비되어 있는 덮개부(12b)와, 상기 판형상부(21)에 있는 오목단형상 홀부(22c)에 연통하는홀(11e)을 구비하도록, 상기 날밑형상부(12)의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통형상부(11)와, 상기 날밑형상부(12)의 선단측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하여 굴곡상으로 구비되어 있는 환상돌출부(12a)를 구비하도록, 상기 통형상 몸체(20)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형상 몸체(20)에 일체로 구비되는 가스 배리어체(10)는 그 표면,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환상돌출부(12a)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통형상부(11)의 개구단(11d)에 이르는 당해 가스 배리어체(10)에 있는 표면을 상기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외각 몸체부(50)에 의해 덮여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가스 배리어체(10)에 구비되는 외각 몸체부(50)는 예컨대, 상기 통형상 몸체(20)에 상기 가스 배리어체(10)를 일체로 구비함과 동시에, 이것을 성형금형내에 인서트하여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성형에 의해 당해 가스 배리어체(10)의 표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에 있는 날밑형상부(12) 및 통형상부(12)에 상기 외각 몸체부(50)를 일체로 구비한 상태에서, 당해 커넥터(A)에 있는 날밑형상부(2) 및 통형상부(1)를 구성하고 있고, 이 날밑형상부(2)의 선단부에 상기 환상돌출부(12a) 및 상기 환상돌출부(12a)를 덮는 외각 몸체부(50)에 의해 구성되는 환상돌출부(51)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가스 배리어체(10)를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또는 폴리아미드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로 한 커넥터(A)에있어서는, 이 가스 배리어체(10)와 상기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외각 몸체부(50)와의 일체성이 보다 양호하게 되고, 상기 연료탱크(B)에 대해서도 상태 좋게 용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통형상 몸체(20)에 있는 판형상부(21)의 오목부(22)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 컷오프밸브(3)의 밸브시트(30b)를 구성하는 밸브시트 몸체(30)는 상기 판형상부(21)에 대한 용착에 적당하고, 더구나 이 판형상부(21)와 함께 가스 배리어기능을 당해 커넥터(A)에도 부여하는 합성수지 즉, 연료로부터 증발되는 가스의 투과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각종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 예컨대, 폴리아세탈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플로트(40)에 있는 밸브 몸체부(40a)를 받아 들여 막힌 밸브시트(30b)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되어 있는 홀(30a)의 홀테두리부에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오목부(22)에 조립되는 형상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이 밸브시트 몸체(30)는 대략 중심부에 상기 홀(1e), (11e)에 연통하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홀(30a)을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이 홀(30a)의 중앙부를 축경홀부(30'a)로 하고, 이 축경홀부(30a')로부터 아래쪽을 점차 상기 홀(30a)의 아래단테두리로 향하여 직경을 확대하는 원추홀상의 밸브시트(30b)로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이 밸브시트 몸체(30)의 상부측에 상기 홀(30a)을 권취하도록 환상오목홈(30c)이 설치되어 있고, 이 환상오목홈(30c)에 의해 상기 밸브시트 몸체(30)의 상부측의 중앙부에 통형상부(30d)를 형성하고 있음과 동시에, 이 통형상부(30d)를 구성하는 환상오목홈(30c)의 바깥쪽을 상부측 원판형상부(30e)로 하고 또한, 이 상부측 원판형상부(30e)보다도 하방측을 이 상부측 원판형상부(30e)보다도 큰 직경의 하부측 원판형상부(30f)로서 구성하고 있고, 이 상부측 원판형상부(30e)의 상단측을 상기 원추형상 홀부(22b)에 눌러서 또한, 상기 하부측 원판형상부(30f)의 상단면을 상기 직경확대 오목단형상 홀부(22a)에 있어서 상단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하부측 원판형상부(30f)를 상기 최아래단으로 하는 직경확대 오목단형상 홀부(2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 밸브시트 몸체(30)를 상기 판형상부(21)에 용착, 일체로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통형상 몸체(20)내에 조립되는 플로트(40)는 예컨대, 폴리아세탈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통부(23)내에서, 상기 가이드리브(23c)에 안내되어 연료액면의 변동에 따라서 원활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연료액면의 변동에 따른 상기 밸브시트(30b)로 향한 이동의 경우에, 상기 밸브시트(30b)에 밀착하여 상기 밸브시트 몸체(30)의 홀(30a)을 막는 밸브 몸체부(40a)를 그 상단부측에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고, 그 하부측의 대략 중앙부에 위쪽으로 오목한 오목부(40b)를 갖고 더구나, 이 오목부(40b)내에 더 위쪽으로 오목한 환상오목부(40b')를 갖고, 상기 오목부(40b)내에 원형대 형상부(40c)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음과 동시에, 이 오목부(40b)와 상기 플로트(40)이 상단면을 연통하는 홀(40d)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어서, 이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성하는 플로트(40)를 상기 통부(23)내에 조립상태로 유지하는 뚜껑(24)은 원판형상을 이루는 바닥 판부(24a)의 원주테두리부로부터 위쪽으로 기립하는 통상원주벽부(24b)를 갖고, 이 통상원주벽부(24b)내에상기 통부(23)를, 상기 통부(23)의 선단을 상기 바닥 판부(24a)에 접착시키도록 받아 넣음과 동시에, 이 통부(23)에 구비되어 있는 걸림돌출부(23b)를 상기 통상주벽부(24b)에 구비되어 있는 걸림홀(24c)의 홀테두리에 걸어서, 상기 통부(23)에 조립된 구성으로 하고 있고, 이 뚜껑(24)의 내측의 대략 중앙부에 구비되어 있는 원형대 형상부(24d)와 상기 플로트(40)에 있는 원형대 형상부(40c)에 끼워 붙인 압축코일스프링(41)에 의해 상기 플로트(40)를 상기 통부(23)내에 있어서 용이하게 연료액면의 변동에 따라서 부상이동할 수 있도록 조립되어 있다.
이러한 통부(23)내에 플로트(40)를 조립한 뚜껑(24)은 그 바닥 판부(24a)에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홀(24e)을 설치하고 있고, 이 통부(23)내에 대해서 연료나 가스 등이 용이하게 유출입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압축코일스프링(41)은 상기 플로트(40)가 연료액에 의해 부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플로트(40)의 중량과 균형을 유지하여, 이 플로트(40)가 상기 밸브 몸체부(40a)를 상기 밸브시트(30b)로부터 분리된 위치에 유지되도록 탄지하고, 이 플로트(40)가 연료액에 의해 부력을 받는 경우에, 이 부력에 의해 상기 플로트(40)가 용이하게 부상이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차량의 전도 등의 경우에, 상기 플로트(40)를 그 부력에 대항하여 상기 플로트(40)에 있어서 밸브 몸체부(40a)를 상기 밸브시트(30b)에 누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외각 몸체부(50)와 가스 배리어체(10)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통형상부(1)와 날밑형상부(2)를 가짐과 동시에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커넥터(A)는 이 연료 컷오프밸브(3)를 구성하는 판형상부(21)에 상기 밸브시트 몸체(30)를 일체로 용착,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통부(23)내에 플로트(40)를 삽입하고, 또한 이 삽입되는 플로트(40)와의 사이에 상기 압축코일스프링(41)를 개장한 상태에서, 이 통부(23)의 하부개구에 뚜껑(24)을 조립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A)는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통부(23)측을 상기 연료탱크(B)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있는 개구(Ba)로부터 상기 연료탱크(B)내에 끼움과 동시에, 상기 커넥터(A)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의 환상돌출부(12a) 및 상기 환상돌출부(51)를 연료탱크(B)에 용착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커넥터(A)의 연료탱크(B)의 개구부(Bc)에 대한 부착에 의해서, 상기 연료로부터의 증발가스의 당해 연료탱크(B)로부터의 누출을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A)의 연료탱크(B)에 대한 부착을 당해 커넥터(A)의 연료탱크(B)에 대한 용착으로 하는 것에 의해, 이 커넥터(A)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연료탱크(B)에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50)에 형성된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의 날밑형상부(12)의 선단을 덮어서 상기 연료탱크(B)의 외면부로 향하여 돌출하는 환상돌출부(51)를 연료탱크에 용착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상기 연료로부터의 증발가스의 당해 연료탱크(B)로부터의 누출을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소시킨 후, 연료탱크(B)의 표면측 층(Be)을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한 연료탱크(B)에 대해서 용착강도를 높게 확보시킨 상태에서 커넥터(A)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50)의 환상돌출부(51) 및 가스 배리어체(10)의 날밑형상부(12)의 선단부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돌출부(52)를 이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50)의 환상돌출부(51) 및 가스 배리어체(10)의 날밑형상부(12)의 선단부의 어느 다른 쪽의 두께 내부에 넣은 상태에서, 당해 가스 배리어체(10)의 표면에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50)를 형성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스 배리어체(10)의 날밑형상부(12)의 선단측에 형성된 환상돌출부(12a)의 외면측에 환상홈(12c)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외각 몸체부(50)의 환상돌출부(51)의 내면측에 당해 환상홈(12c)에 들어있는 환상돌출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의 환상돌출부(12a)의 외면측에 상기 환상홈(12c)을 형성시킨 상태에서의 성형을 행한 후, 이러한 가스 배리어체(10)까지가 형성된 중간성형품을 인서트하여 상기 외각 몸체부(50)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당해 외각 몸체부(50)의 환상돌출부(51)의 내면측에 상기 환상홈(12c)에 들어있는 환상돌출부(52')를 형성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스 배리어체(10)의 날밑형상부(12)의 선단측에 형성된 환상돌출부(12a)와 상기 외각 몸체부(50)의 환상돌출부(51)와의 일체성을 높게 확보시킬 수 있다. 또한, 특히 열판용착의 열판에 의해 양 환상돌출부(12a), (51)을 함께 가열용융시키도록 하는 경우에는 양 환상돌출부(12a),(51)의 쌍방을 예정하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용융시킨 상태에서 양 환상돌출부(12a), (51)을 연료탱크(B)에 용착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돌출부(52)는 가스 배리어체(10)의 환상돌출부(12a)의 외면측에 형성시키고 있어도 좋고, 이 경우에는 상기 외각 몸체부(50)의 두께 내부에 당해 돌출부(52)가 들어간 상태에서 당해 외각 몸체부(50)가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돌출부(52)는 연료탱크(B)의 개구부(Bc)를 도는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돌출부로 구성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의 날밑형상부(12)의 선단측에 형성된 환상돌출부(12a)와, 상기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50)의 환상돌출부(51)가 대략 동일한 치수만큼 돌출되어 있다. 즉, 연료탱크(B)의 외면부측으로 향한 양 환상돌출부(12a), (51)의 돌출면(12d), (53)이 대략 동면상에 위치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가스 배리어체(10)의 환상돌출부(12a)와 상기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50)의 환상돌출부(51)와의 사이에 상기 연료탱크(B)의 외면부측에 있어서 개방된 공극(60)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의 환상돌출부(12a)에 있어서, 당해 환상돌출부(12a)의 외면측에 형성된 상기 환상홈(12c)과 이 환상돌출부(12a)의 돌출면(12d)과의 사이에 있는 외면이 당해 돌출면(12d)으로 향하여 감에 따라 점점 연료탱크(B)의 개구 원주테두리(Bb)에 가까운 방향으로 경사진 면으로 되도록 당해 환상돌출부(12a)를 형성시키고 있음과 동시에, 이 경사진 면을 향한 상기 외각 몸체부(50)의 환상돌출부(51)의 내면이 연료탱크(B)의 표면에 대략 직교한 면으로 되도록 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이러한 양면 사이에 상기 공극(60)을 환상을 이루도록 형성시키고 있다.
이 결과,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외각 몸체부(50)의 환상돌출부(51)를 가열용융시킨 경우에, 이러한 용융된 환상돌출부(50)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상기 공극(60)에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용융된 당해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넓은 범위로 눌러 넓힌 상태에서 연료탱크(B)에 당해 환상돌출부(50)를 용착시킬 수 있고, 특히 연료탱크의 표면측 층(Be)을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한 연료탱크(B)에 대한 용착강도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6에 나타난 예와 다르게,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의 날밑형상부(12)에 설치된 환상돌출부(12a)를 상기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50)의 환상돌출부(51)보다도 돌출치수를 작게 하도록 돌출시키도록 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도 17).
즉, 도 17에 표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B)의 외면부측으로 향한 상기 외각 몸체부(50)의 환상돌출부(51)의 돌출면(53)보다도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의 환상돌출부(12a)의 돌출면(12d)이 낮아지도록(요컨대, 연료탱크(B)의 외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낮아진다) 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상기 외각 몸체부(50)의 환상돌출부(51)를 가열용융시킨 경우에, 이러한 용융된 환상돌출부(51)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폴리에틸렌을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의 환상돌출부(12a)의 돌출면(12d)과 연료탱크(B)의 외면과의 사이에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용융된 당해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넓은 범위로 눌러 넓힌 상태에서 연료탱크(B)에 당해 환상돌출부(51)를 용착시킬 수 있고, 특히 연료탱크(B)의 표면측 층(Be)을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한 연료탱크(B)에 대한 용착강도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6에 표시되는 예와 다르게, 상기 외각 몸체부(50)의 환상돌출부(51)를 연료탱크(B)에 용착시킨 후에도 상기 공극(60)이 남겨지도록, 당해 용착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도 19, 도 20).
즉, 이 도 20에 표시되는 예에 있어서는, 상기 외각 몸체부(50)의 환상돌출부(51)와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의 환상돌출부(12a)의 쌍방을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연료탱크(B)의 표면측 층(Be)에 용착시킴과 동시에, 이 용착에 의해 상기 공극(60)이 없어지지 않도록 당해 공극(60)의 크기를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연료 내지 연료로부터의 증발가스에 의해 가스 배리어체(10)가 팽윤하여도 이 남겨진 공극(60)에 의해 이 팽윤분을 흡수하여, 외각 몸체부(50)의 환상돌출부(51)와 연료탱크(B)와의 용착개소에 이 용착강도를 저하시키도록 하는 힘이 작용되기 어렵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도 10 내지 도 16에 표시되는 예와는 다르게,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50)로 덮여 있는 가스 배리어체(10)의 상면측이 이 가스 배리어체(10)의 날밑형상부(12)의 선단측으로 단차면(70)을 향한 단상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21, 도 22).
즉, 이 도 22에 나타나는 예에 있어서는, 상기 외각 몸체부(50)의 환상돌출부(51)와 상기 가스 배리어체(10)의 환상돌출부(12a)의 쌍방을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연료탱크(B)의 표면측 층(Be)에 용착시킴과 동시에, 이와 같이 용착되는 가스 배리어체(10)의 상면측이 이 가스 배리어체(10)의 날밑형상부(12)의 선단측으로 단차면(70)을 향한 단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외각 몸체부(50)가 상기 단차면(70)에 접하는 대향내면(71)을 갖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에 있어서는, 연료 내지 연료로부터의 증발가스에 의해 가스 배리어체(10)가 팽윤하여도, 이 팽윤에 의해 생기는 힘을 상기 단차면(70)에 접하는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50)의 대향내면(71)에서 받을 수 있고, 이 팽윤에 의해 생기는 힘을 분산시켜 외각 몸체부(50)의 환상돌출부(51)와 연료탱크(B)와의 용착개소에 이 용착강도를 저하시키도록 한 힘을 작용하기 힘들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료탱크(B)에 구비된 커넥터(A)에, 적당한 관(C)을 접속하여 사용한다.
이 관(C)이 접속되는 당해 커넥터(A)에 있어서 통형상부(1)는 이 접속되는 관(C)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이 통형상부(1)에 있는 횡방향 통형상부(1b)의 외주면에 선단이 움푹 들어간 원추형상 안내부(1c)와, 이 원추형상 안내부(1c)의 정수리단으로부터 상기 횡방향 통형상부(1b)에 이르는 수직의 단차 형상면(1d)을 구비한 융기부를 복수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용 커넥터는 연료탱크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탱크와 연료탱크에 접속되는 관을 연통상태로 접속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측에 구비되고 또한 상기 연료탱크의 개구보다도 큰 면을 갖는 날밑형상부를 구비한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제의 가스 배리어체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가스 배리어체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폴리페닐렌설피드제, 리퀴드크리스탈폴리머제, 지방족 폴리케톤제, 방향족 폴리아미드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폴리아미드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료탱크 내에 남아 있는 연료로부터의 증발가스가 당해 커넥터 부분으로부터 누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연료탱크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탱크에 접속되는 관을 연통상태로 접속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측에 구비되고 또한 상기 연료탱크의 개구보다도 큰 면을 갖는 날밑형상부를 구비한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제의 가스 배리어체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가스 배리어체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폴리페닐렌설피드제,
    리퀴드크리스탈폴리머제,
    지방족 폴리케톤제,
    방향족 폴리아미드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폴리아미드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브렌드 폴리머제,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이고,
    더욱이, 상기 가스 배리어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접착성 올레핀수지,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로 덮여져 있음과 동시에,
    이 외각 몸체부가 당해 가스 배리어체의 날밑형상부의 선단을 덮어 상기 연료탱크의 외면부로 향하여 돌출하는 환상돌출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상기 가스 배리어체에서의 날밑형상부의 외주부를 상기 연료탱크의 가스 배리어성 합성수지에 용착하여 상기 연료탱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리어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접착성 올레핀수지제의 외각 몸체부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이 외각 몸체부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상기 가스 배리어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로 더 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리어체의 날밑형상부의 선단측에 상기 연료탱크의 외면부로 향하여 돌출하는 환상돌출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리어체의 날밑형상부의 선단측에, 상기 연료탱크의 외부면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환상돌출부가 구비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커넥터가 이 가스 배리어체의 환상돌출부를 상기 연료탱크의 외면부에 용착하여, 상기 연료탱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의 환상돌출부 및 가스 배리어체의 날밑형상부의 선단부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돌출부를, 이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의 환상돌출부 및 가스 배리어체의 날밑형상부의 선단부의 다른 쪽의 두께 내부에 넣은 상태로, 당해 가스 배리어체의 표면에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리어체의 날밑형상부의 선단측에 상기 연료탱크의 외면부로 향하여, 상기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의 환상돌출부와 대략 동일한 치수만큼 돌출된 환상돌출부가 구비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가스 배리어체의 환상돌출부와 상기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의 환상돌출부와의 사이에, 상기 연료탱크의 외면부측에서 개방된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리어체의 날밑형상부의 선단측에 상기 연료탱크의 외면부로 향하여, 상기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의 환상돌출부보다도 돌출 치수를 작게 하도록 돌출된 환상돌출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
  9.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외각 몸체부로 덮여져 있는 가스 배리어체의 상면(上面)측이, 이 가스 배리어체의 날밑형상부의 선단측으로 단차면(段差面)을 향한 단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연료공급관의 접속용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
  11.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통기관의 접속용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
  12.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연료 컷오프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
KR10-2001-0067809A 2000-11-02 2001-11-01 연료탱크용 커넥터 Expired - Lifetime KR1004902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36766 2000-11-02
JPJP-P-2000-00336766 2000-11-02
JPJP-P-2001-00050087 2001-02-26
JP2001050087 2001-02-26
JPJP-P-2001-00307115 2001-10-03
JP2001307115A JP3914733B2 (ja) 2000-11-02 2001-10-03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953A true KR20020034953A (ko) 2002-05-09
KR100490237B1 KR100490237B1 (ko) 2005-05-17

Family

ID=27345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7809A Expired - Lifetime KR100490237B1 (ko) 2000-11-02 2001-11-01 연료탱크용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733048B2 (ko)
EP (2) EP1203685B1 (ko)
JP (1) JP3914733B2 (ko)
KR (1) KR100490237B1 (ko)
CN (1) CN100376422C (ko)
DE (1) DE60117451T2 (ko)
TW (1) TW5195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5812B2 (en) * 2000-09-12 2005-07-12 Alfmeier Corporation Low permeation weldable fuel tank assembly
JP4074113B2 (ja) * 2002-03-25 2008-04-09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
DE10241286B4 (de) * 2002-09-03 2004-07-22 Rasmussen Gmbh Bauteil zum Verbinden einer Fluidleitung mit einer Öffnung eines Kunststoff aufweisenden Behälters oder zum Verschließen der Öffnung
DE10324471B3 (de) * 2003-05-30 2004-12-16 Rasmussen Gmbh Rohrartiger Stutzen
JP4178463B2 (ja) * 2003-08-04 2008-11-12 豊田合成株式会社 樹脂製コネクタ
US6966330B2 (en) 2003-08-27 2005-11-22 Alfmeier Corporation Weldring with locking arrangement for valve assembly
US20050173002A1 (en) * 2003-11-05 2005-08-11 Simendinger William H. Fiber-reinforced polymer (FRP) valve body with a polymeric l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8381928B2 (en) 2004-06-04 2013-02-26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Multilayer fuel tank with a seam having an overlay for reducing vapor permeation
US20060048816A1 (en) * 2004-09-09 2006-03-09 Brock Michael S Weldable mount for fuel system component
CN100394095C (zh) * 2004-10-22 2008-06-11 东海橡胶工业株式会社 燃料箱的熔接接头
DE102005001828A1 (de) * 2005-01-14 2006-07-27 Hydac Filtertechnik Gmbh Armatur zur Bildung eines fluidführenden Anschlusses
JP4564858B2 (ja) * 2005-02-08 2010-10-20 八千代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構造
CN100404300C (zh) * 2005-03-03 2008-07-23 八千代工业株式会社 树脂制燃料箱中部件的连接结构
US7845366B2 (en) * 2005-10-13 2010-12-07 Stant Usa Corp. Weldable mount for fuel system component
US20070163651A1 (en) * 2006-01-19 2007-07-19 Eaton Corporation Fuel tank component with weldable connector
JP4346619B2 (ja) * 2006-03-17 2009-10-21 株式会社ニフコ フィルタ装置
JP4991172B2 (ja) * 2006-03-27 2012-08-01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
US8349122B2 (en) 2006-05-24 2013-01-08 Heateflex Corporation Fusion welding fittings with weld bead cover
US7955675B2 (en) 2006-12-08 2011-06-07 Tokai Rubber Industries, Ltd. Weld joint for fuel tank
US20090230674A1 (en) * 2008-03-14 2009-09-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Fuel Port Elbow Having a Truncated Conductive Insert Tube
US20100168317A1 (en) * 2008-12-30 2010-07-01 Cahoon-Brister Kristen Poly(butylene terephthalate) compositions, methods of manufacture, and articles thereof
JP2010188991A (ja) * 2009-01-23 2010-09-02 Yachiyo Industry Co Ltd 通気規制弁装置
JP2010173467A (ja) * 2009-01-29 2010-08-12 Yachiyo Industry Co Ltd 通気制御バルブ
JP5163610B2 (ja) * 2009-07-30 2013-03-13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タンク用ユニット
US20110083772A1 (en) * 2009-10-09 2011-04-14 Sean Whelan Apparatus and methods to couple fuel delivery system components to fuel tanks
JP5463258B2 (ja) * 2010-10-14 2014-04-0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管継手
CN102758939A (zh) * 2011-04-25 2012-10-31 宁波乔士橡塑有限公司 一种真空单向阀
JP2013024288A (ja) * 2011-07-19 2013-02-04 Aisan Industry Co Ltd 燃料遮断弁
JP2014024370A (ja) * 2012-07-24 2014-02-06 Yachiyo Industry Co Ltd 中空容器及び中空容器製造装置
DE102013112407A1 (de) * 2013-11-12 2015-05-13 Veritas Ag Entlüftungsventil
JP6510839B2 (ja) * 2015-03-16 2019-05-08 住友理工株式会社 樹脂製給油口
JP6452647B2 (ja) 2016-06-09 2019-01-16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系部品
CN107719111A (zh) * 2017-09-21 2018-02-23 苏州欧迪科汽车设计有限公司 汽车油箱的阀体
CN110254214A (zh) * 2019-06-18 2019-09-20 常州恒勃滤清器有限公司 一种新型通气嘴焊接结构的塑料油箱
US12172515B2 (en) * 2020-06-15 2024-12-24 Piolax, Inc. Valv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25300C1 (ko) 1990-08-09 1992-02-20 Ems-Inventa Ag, Zuerich, Ch
US5139043A (en) 1990-08-24 1992-08-18 Ford Motor Company Weldable vapor vent valve
US5103865A (en) * 1991-07-15 1992-04-14 Ford Motor Company Integrally molded vapor vent valve
DE4214383C2 (de) 1992-04-30 1996-08-14 Inventa Ag Koextrudiertes Mehrschicht-Polymer-Rohr
JP2741650B2 (ja) 1992-08-31 1998-04-22 三菱化学株式会社 多層プラスチック燃料タンク
JPH06147045A (ja) * 1992-10-30 1994-05-27 Toyoda Gosei Co Ltd 燃料遮断装置
US5404907A (en) * 1993-02-18 1995-04-11 G. T. Products, Inc. Weldable vapor vent valve for fuel tanks
US5425470A (en) 1993-12-27 1995-06-20 Ford Motor Company Fuel tank closure
US5522417A (en) 1994-04-21 1996-06-04 Nifco Inc. Anti-spilling valve for vehicle fuel tank
JP2853572B2 (ja) * 1994-04-28 1999-02-03 豊田合成株式会社 双方向弁および燃料遮断装置
US5518018A (en) * 1994-11-14 1996-05-21 Stant Manufacturing Inc. Fuel tank venting control assembly
CA2175609C (en) 1995-05-12 2004-06-22 Hata, Nobuhiko Fuel tank
JP3618152B2 (ja) 1995-09-22 2005-02-09 ジャパンゴアテックス株式会社 液晶ポリマー層を有する中空成形品
DE19535413C1 (de) 1995-09-23 1996-10-02 Rasmussen Gmbh Rohrartiger Stutzen
US5618599A (en) 1996-02-15 1997-04-08 Ford Motor Company Multi-layer molded polymer compositions
US5944044A (en) * 1996-05-10 1999-08-31 Stant Manufacturing Inc. Tank venting control system
US6035884A (en) * 1997-09-16 2000-03-14 Stant Manufacturing Inc. Liquid fuel baffle for vent apparatus
JP2000008981A (ja) * 1998-06-17 2000-01-11 Toyoda Gosei Co Ltd 燃料遮断弁
US6288539B1 (en) * 1998-09-10 2001-09-11 Pheno Imaging, Inc. System for measuring an embryo, reproductive organs, and tissue in an animal
ES2282092T3 (es) 1999-03-04 2007-10-16 Kuraray Co., Ltd. Deposito de combustible.
JP3506034B2 (ja) * 1999-03-15 2004-03-15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遮断弁
US6405747B1 (en) * 1999-10-29 2002-06-18 Stant Manufacturing, Inc. Fuel tank vent valve with liquid carryover filter
JP2001287269A (ja) 2000-04-07 2001-10-16 Kyosan Denki Kk 樹脂部品の接合構造
US6289915B1 (en) * 2000-06-06 2001-09-18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Permeation and leak preventative design for fuel tank attachments
EP1197373A2 (en) 2000-10-10 2002-04-17 Horie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Plastic parts connected to a plastic fuel tank
JP2002114047A (ja) 2000-10-10 2002-04-16 Horie Metal Co Ltd 燃料タンクの開口部装着樹脂部品、及び該樹脂部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17451D1 (de) 2006-04-27
TW519526B (en) 2003-02-01
US20020079694A1 (en) 2002-06-27
JP2002322955A (ja) 2002-11-08
EP1291223A3 (en) 2003-04-16
DE60117451T2 (de) 2006-11-16
CN1356220A (zh) 2002-07-03
US6733048B2 (en) 2004-05-11
EP1203685A1 (en) 2002-05-08
US7090262B2 (en) 2006-08-15
EP1203685B1 (en) 2006-03-01
CN100376422C (zh) 2008-03-26
JP3914733B2 (ja) 2007-05-16
US20040056482A1 (en) 2004-03-25
EP1291223A2 (en) 2003-03-12
KR100490237B1 (ko)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0237B1 (ko) 연료탱크용 커넥터
US6408867B2 (en) Fuel cutoff valve and fuel tank
US6286539B1 (en) Fuel cutoff valve and fuel tank with fuel cutoff valve mounted thereon
US6382231B2 (en) Fuel cutoff valv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3797176B2 (ja) 燃料遮断弁
CN100513141C (zh) 燃料箱的熔接接头
JP4888370B2 (ja) 燃料遮断弁
US7955675B2 (en) Weld joint for fuel tank
US7857016B2 (en) Plastic adapter for fuel tank
EP1179445B1 (en) Plastic fuel tank having an arrangement for welding a component part in a fuel impermeable manner
JP3887273B2 (ja)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
JP2002137643A (ja)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
JP2002137642A (ja)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
US7686030B2 (en) Cut valve
US7204279B2 (en) Filling-fixture for an intake tube of a fuel tank
US20040020533A1 (en) Low permeation weldable fuel tank valve
US20230015119A1 (en) Multi-lobe seal and sealing device comprising such a seal
JP2002054519A (ja) 燃料タンク用キャップ
EP1203686B1 (en) Assembly of components for venting fuel vapor from a fuel tank
JP2006009840A (ja) 燃料遮断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5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1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2050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