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23532A -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3532A
KR20020023532A KR1020000055841A KR20000055841A KR20020023532A KR 20020023532 A KR20020023532 A KR 20020023532A KR 1020000055841 A KR1020000055841 A KR 1020000055841A KR 20000055841 A KR20000055841 A KR 20000055841A KR 20020023532 A KR20020023532 A KR 20020023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hassis
heat exchanger
blower fan
blowing f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도윤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55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3532A/ko
Publication of KR20020023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53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5Cross-flow or tangential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송풍팬과 모터가 복수개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송풍팬 모두를 회전시켜 보다 더 많은 양의 공기를 흡입하여 대용량의 공기조화기에 필요한 공기 흡입량을 얻을 수 있고, 섀시의 전면 중앙측에 상기 송풍팬을 지지하는 중앙측 지지부재를 두어 상기 송풍팬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은 공기 흡입량을 필요로 하는 때에는 복수개의 송풍팬 중의 일부만을 회전시켜 에너지를 절약하는 등 실내 조건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An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개의 송풍팬이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지지수단을 갖추며, 상기 송풍팬이 개별적으로 회전되도록 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쾌적한 조건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흡입공기를 처리하여 건물 또는 방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크게 일체형(window type)과 분리형(seperate type 또는 split type)이 있다.
상기한 일체형과 분리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고, 분리형은 실내측에 냉각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측에 방열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간을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 중 분리형은 크게 냉각기능을 수행하는 실내기와, 방열 및 압축기능을 수행하는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를 서로 연결시키는 냉매배관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한 종래의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벽면에 고정되는 섀시(20)와; 상기 섀시(20)와 함께 열교환기(49)와 송풍팬(40)과 모터(42)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섀시(20)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면에 흡입구(12)가 형성되고, 전면 하부에 토출구(14)가 형성된 전면 프레임(10)과; 상기 전면 프레임(1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흡입구(32)가 형성된 흡입그릴(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섀시(20)의 전방에는 1개의 송풍팬(40)이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는데, 상기 송풍팬(40)은 상기 섀시(20)의 전면에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 지지부(2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송풍팬(40)의 전방과 상측에는 열교환기(49)가 굽은 모양으로 위치되며, 상기 열교환기(49)의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49)에서 흘러내리는 응축수를 수거할 수 있도록 상부에 응축수 받이부(44)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토출구(14)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풍향을 조절하는 루버(45a)와 상기 토출구(14)로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풍향을 조절하는 베인(46b)이 설치되는 토출그릴(45)이 위치된다.
상기 전면 프레임(10)에는 상기 흡입그릴(30)의 흡입구(32)와 전면 프레임(10)의 흡입구(12)를 통해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된 공기 중에서 부피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복수개의 에어필터(36)와, 상기 에어필터(36)를 통과한 공기중의 먼지를 이온화하여 제거하는 복수개의 집진기(38)가 각각 장착된다.
상기 섀시(20)에는 송풍팬(4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팬(40)의 일측에는 송풍팬(40)을 구동시키기 위한 상기 모터(42)가 연결되며, 상기 모터(42)의 전방측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위한 각종 전장부품(미도시)이 설치되는 제어부(46)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는, 상기 흡입구(12,32)를 통해 흡입된 실내의 공기가 열교환기(49)를 통과하면서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되고, 이렇게 냉각된 공기는 송풍팬(40)을 통과한 후 유로부(22)에 안내되며 상기 토출구(14)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1개의 송풍팬(40)을 사용하는 종래의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조는, 대용량의 공기조화 시스템에 적용되도록 설계할 경우 상기 송풍팬(40)과 열교환기(49)의 길이를 늘려야 하는데, 상기 송풍팬(40)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어지면 송풍팬(40)의 제조가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그 자체 무게로 인하여 중간 부분이 처지거나 파손될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길이가 긴 송풍팬(40)은 회전시 처짐 등으로 인해 작동이 매우 불안정해지는 동시에 유로부(22)나 응축수 받이부(44)와의 접촉에 의해 파손될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열교환기(49)의 길이가 길어지면 그 자체 무게 때문에 열교환기(49)가 처지게 되고, 이렇게 상기 열교환기(49)가 처지면 송풍팬(40)과 열교환기(49)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서로 접촉될 가능성이 높아질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개의 송풍팬 및 모터를 구비하여 보다 더 많은 공기를 흡입하여 대용량의 공기조화기에 필요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고, 대용량의 공기조화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송풍팬의 처짐 및 그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많은 양의 열교환된 공기를 필요로 할 때는 송풍팬의 전부를 회전시키고, 적은 양의 열교환된 공기를 필요로 할 때는 송풍팬 중 일부만을 회전시켜, 에너지를 절약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B-B선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좌측 송풍팬과 우측 송풍팬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섀시 52: 베이스
54: 하부판 56: 유로부
60: 전면 프레임 62: 좌측 커버
64: 우측 커버 65: 흡입구
67: 좌측 전면그릴 68: 중앙측 전면그릴
69: 우측 전면그릴 70: 흡입그릴
72: 흡입구 74: 좌측 흡입그릴
76: 중앙측 흡입그릴 78: 우측 흡입그릴
79a: 에어 필터 79b: 집진기
91: 좌측 송풍팬 92: 제 2 송풍팬
93: 제 1 베어링 94: 제 2 베어링
95: 베어링 지지부재 96: 좌측 모터
97: 우측 모터 100: 열교환기
100a: 제 1 열교환부 100b: 제 2 열교환부
102: 냉매배관 104: 응축수 받이부
105: 드레인 호스 106: 토출구
108: 토출그릴 108a: 루버
108b: 베인 110: 지지수단
120: 중앙측 지지부재 124: 제 1 지지부
126: 제 2 지지부 130: 좌측 지지부재
136: 모터 지지부재 140: 우측 지지부재
146: 모터 지지부재 148: 제어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벽면에 고정되고, 전방에 열교환기가 위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하측에 고정되는 하부판과, 상기 베이스의 전면으로 이동된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부로 구성된 섀시와; 상기 열교환기와 섀시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일렬로 위치되고 양끝단에 회전축이 연결된 좌,우측 송풍팬과; 상기 좌,우측 송풍팬의 각각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좌,우측 송풍팬의 각각에 연결된 좌,우측 모터와; 상기 열교환기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좌,우측 송풍팬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섀시의 전면에 위치되는 지지수단과; 상기 섀시와 함께 열교환기 및 송풍팬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섀시의 전방에 결합된 전면 프레임과; 상기 전면 프레임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그릴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선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좌측 횡류팬과 우측 횡류팬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벽면에 고정되고, 전방에 열교환기(100)가 위치되는 섀시(50)와; 상기 열교환기(100)와 섀시(50)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일렬로 위치되고 양끝단에 회전축(91a,91b,92a,92b)이 연결된 좌,우측 송풍팬(91,92)과; 상기 좌,우측 송풍팬(91,92)의 각각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좌,우측 송풍팬(91,92)의 각각에 연결된 좌,우측 모터(96,97)와; 상기 열교환기(100)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좌,우측 송풍팬(91,9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섀시(50)의 전면에 위치되는 지지수단(110)과; 상기 섀시(50)와 함께 열교환기(100) 및 좌,우측 송풍팬(91,92)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섀시(50)의 전방에 결합된 전면 프레임(60)과; 상기 전면 프레임(6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그릴(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섀시(50)는 전체적으로 평판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실내기의 후면을 형성하는 베이스(52)와. 상기 실내기(54)의 하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열교환기(100)에 연결되어 냉매를 실외기(미도시)로 수송하는 냉매배관(102)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판(54)과, 상기 열교환기(100)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베이스(52)의 전면에 직접 이동됨을 방지하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부(56)로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100)는 상기 흡입그릴(70)에 형성된 흡입구(72)에 나란하도록 형성된 제 1 열교환부(100a)와 상기 제 1 열교환부(100a)의 상끝단부에서 상기 섀시(50)의 상끝단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 2 열교환부(100b)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열교환부(100a)의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100)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를 수거할 수 있도록 상부에 응축수 받이부(104)가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섀시(50)의 하부와 함께 토출구(106)를 형성하는 토출 그릴(108)이 위치된다.
상기 응축수 받이부(104)에는 응축수 받이부(104)에 수거된 응축수를 실내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호스(105)가 연결되고, 상기 냉매배관(102)과 드레인 호스(105)는 상기 섀시(50)의 좌측과 우측을 통해 실내기 외부로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냉매배관(102)과 드레인 호스(105)가 실내기의 좌측으로 연장되는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52)와 하부판(54)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실내기의 좌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토출 그릴(108)에는 상기 토출구(106)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풍향을 조절하는 루버(108a)와 상하풍향을 조절하는 베인(108b)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좌측 송풍팬(91)은 상기 유로부(56)의 전방 좌측에 횡방향으로 위치되고, 그 좌끝단에 연결된 회전축(91a)은 상기 좌측 모터(96)에 연결되며, 그 우끝단에 연결된 회전축(91b)은 상기 지지수단(11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좌측 송풍팬(91)의 우끝단에 연결된 회전축(91b)의 끝단에는 제 1 베어링(93)이 연결된다.
상기 우측 송풍팬(92)은 상기 유로부(56)의 전방 우측에 상기 좌측 송풍팬(91)과 일렬로 위치되고, 그 우끝단에 연결된 회전축(92a)은 상기 우측 모터(97)에 연결되며, 그 좌끝단에 연결된 회전축(92b)은 상기 좌측 송풍팬(91)의 우끝단에 연결된 회전축(91b)과 함께 상기 지지수단(110)에 지지된다.
상기 우측 송풍팬(92)의 좌끝단에 연결된 회전축(92b)의 끝단에는 제 2 베어링(94)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베어링(93)과 제 2 베어링(94)은 상기 섀시(50)의 전방중앙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어링(93)과 제 2 베어링(94)은 양측에 끼움홈(95a)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베어링(93)과 제 2 베어링(94)이 측방향에서 끼움되는 베어링 고정부재(95)에 고정된다.
상기 좌,우측 모터(96,97)는 상기 지지수단(100)과의 사이에 상기 좌,우측 모터(96,97)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수단(100)과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모터 지지부재(136,146)에 지지되어 상기 좌측 모터(96)는 좌측 송풍팬(91)을 회전시키고, 우측 모터(97)는 우측 송풍팬(92)을 회전시키며, 상기 좌측 송풍팬(91)과 우측 송풍팬(92)은 개별적으로 회전된다.
상기 지지수단(110)은 상기 좌,우측 송풍팬(91,9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좌측 송풍팬(91)과 우측 송풍팬(92) 사이에 위치되는 중앙측 지지부재(120)와, 상기 좌,우측 송풍팬(91,92)의 끝단에 연결된 회전축(91a,92a)이 관통되어 상기 좌,우측 모터(96,97)의 각각에 연결될 수 있도록 관통홀(130a,140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섀시(50)의 전면 좌측과 우측에 위치되는 좌,우측 지지부재(130,140)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측 지지부재(120)는 후면이 상기 섀시(50)의 전면에 고정되고, 전면(126a)에 상기 좌측 송풍팬(91)의 우끝단에 연결된 회전축(91b)과 상기 우측 송풍팬(92)의 좌끝단에 연결된 회전축(92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제 1 지지홈(126b)이 형성된 제 1 지지부(126)와, 상기 제 1 지지부(126)의 전면에 복개되고, 후면(124a)에 상기 좌측 송풍팬(91)의 우끝단에 연결된 회전축(91b)과 상기 우측 송풍팬(92)의 좌끝단에 연결된 회전축(92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제 2지지홈(124b)이 형성된 제 2 지지부(124)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지지홈(126b)과 제 2 지지홈(124b)은 상기 베어링 고정부재(95)의 외둘레면을 둘러싸서 고정할 수 있도록 그 각각이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 보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지지홈(126b)과 제 2 지지홈(124b)에는 상기 베어링 고정부재(95)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됨을 방지하도록 끼움돌기(126c)가 상기 베어링 고정부(95)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지지부재(95)는 그 외둘레면을 따라 상기 끼움돌기(126c)가 삽입될 수 있도록 끼움홈(95b)이 형성된다.
상기 좌측 지지부재(130)는 일측이 상기 열교환기(10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좌측 모터(96)측으로 유입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좌측 모터(96)와 좌측 송풍팬(91) 사이에 위치되는 격벽부(132)와, 상기 좌측 모터(96)의 일측을 지지하는 좌측 모터 지지부(134)로 구성되며, 상기 좌측 모터 지지부(134)와 상기 모터 지지부재(136)는 상기 좌측 모터(96)를 수용한다.
상기 우측 지지부재(140)는 일측이 상기 열교환기(10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우측 모터(97)측으로 유입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우측 모터(97)와 우측 송풍팬(92) 사이에 위치되는 격벽부(142)와, 상기 우측 모터(97)의 일측을 지지하는 우측 모터 지지부(144)로 구성되며, 상기 우측 모터 지지부(144)와 상기 모터 지지부재(146)는 상기 우측모터(97)을 수용한다.
여기서, 상기 좌,우측 지지부재(130,140)와 제 2 지지부(124)는 그 전면이 상기 제 1 열교환부(100a)를 지지하고, 그 상면이 제 2 열교환부(100b)를 지지할수 있도록 상기 제 1 열교환부(100a)와 제 2 열교환부(100b)의 단면과 동일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기(100)가 횡방향으로 길이가 늘어나더라도 열교환기(100) 중앙부의 처짐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좌측 모터(96)와 우측 모터(97)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방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위한 전장부품(미도시)이 내장되는 제어부(148)가 위치된다.
상기 전면 프레임(60)은 상기 열교환기(100) 및 좌,우측 지지부재(130,140)를 보호하도록 상기 섀시(50)의 양측에 고정되는 좌측 커버(62) 및 우측 커버(64)와, 상기 좌측 커버(62)에 전면과 상면의 우측에 위치되고 상면에 흡입구(65)가 형성된 좌측 전면그릴(67)과, 상기 우측 커버(64)의 전면과 상면의 좌측에 위치되고 상면에 흡입구(65)가 형성된 우측 전면그릴(69)과, 상기 좌측 전면그릴(67)과 우측 전면그릴(69) 사이에 위치되고 상면에 흡입구(65)가 형성된 중앙측 전면그릴(68)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 그릴(70)에는 상기 송풍팬(91,9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내기 내로 유입된 공기 중의 먼지를 거르는 에어필터(79a)와 공기중의 먼지를 이온화하여 쾌적한 공기를 제공하는 집진기(79b)가 설치되고, 상기 좌측 전면 그릴(67)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측 흡입 그릴(74)과, 상기 중앙측 전면 그릴(68)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앙측 흡입 그릴(76)과, 상기 우측 전면 그릴(69)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측 흡입 그릴(7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좌측 모터(96)가 구동되면 실내측의 공기는 상기 흡입구(65,72)를 통해 실내기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에어 필터(79a)에 의해 부피가 큰 먼지가 걸러지며, 상기 집진기(79b)에 의해 깨끗한 공기로 정화된 다음, 상기 열교환기(100)에 의해 열교환된 후 상기 유로부(56)의 좌측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토출구(106)를 통해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 모터(97)가 구동되면 상기 좌측 모터(96)를 구동시킨 것과 같이 실내측의 공기는 상기 흡입구(65,72)를 통해 실내기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에어 필터(79a)에 의해 부피가 큰 먼지가 걸러지며, 상기 집진기(79b)에 의해 깨끗한 공기로 정화된 다음, 상기 열교환기(100)에 의해 열교환 된 후 상기 유로부(56)의 우측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토출구(106)를 통해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좌측 모터(96)와 우측모터(97)를 동시에 구동시키면 상기 좌측 송풍팬(91)과 우측 송풍팬(92) 모두에 의해 더 많은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 할 수 있으므로, 많은 공기를 열교환 시킬때는 상기 좌측 모터(96)와 우측모터(97) 모두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좌측 모터(96)와 우측모터(97) 중의 일부만을 구동시켜 많은 공기 흡입량이 필요하지 않은 때에 전력 사용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측 송풍팬(91)과 우측 송풍팬(92)은 그 일끝단에 연결된 회전축(91b,92b)에 상기 제 1 베어링(93)과 제 2 베어링(94)이 연결되고, 상기 제 1 베어링(93)과 제 2 베어링(94)은 베어링 지지부재(95)에 고정되며, 상기 베어링 지지부재(95)는 상기 제 1 지지부(126)와 제 2 지지부(124) 사이에 고정되므로, 상기 좌측 송풍팬(91)과 우측 송풍팬(92)이 처지거나 휘지 않고 원할하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좌측 커버(82)와 우측 커버(84)를 분리하면 상기 제어부(148)나 좌,우측 모터(96,97)가 개방되므로 상기 제어부(146) 내에 내장된 전장부품이나 좌,우측 모터(96,97)의 수리작업을 위해 상기 전면 프레임(80)과 흡입 그릴(70) 전부를 개방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송풍팬과 모터가 복수개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송풍팬 모두를 회전시켜 보다 더 많은 양의 공기를 흡입하여 대용량의 공기조화기에 필요한 공기 흡입량을 얻을 수 있고, 섀시의 전면 중앙측에 상기 송풍팬을 지지하는 중앙측 지지부재를 두어 상기 송풍팬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은 공기 흡입량을 필요로 하는 때에는 복수개의 송풍팬 중의 일부만을 회전시켜 에너지를 절약하는 등 실내 조건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벽면에 고정되고, 전방에 열교환기가 위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하측에 고정되는 하부판과, 상기 베이스의 전면으로 이동된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부로 구성된 섀시와; 상기 열교환기와 섀시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일렬로 위치되고 양끝단에 회전축이 연결된 좌,우측 송풍팬과; 상기 좌,우측 송풍팬의 각각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좌,우측 송풍팬의 각각에 연결된 좌,우측 모터와; 상기 열교환기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좌,우측 송풍팬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섀시의 전면에 위치되는 지지수단과; 상기 섀시와 함께 열교환기 및 송풍팬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섀시의 전방에 결합된 전면 프레임과; 상기 전면 프레임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그릴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좌,우측 송풍팬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좌측 송풍팬과 우측 송풍팬 사이에 위치되는 중앙측 지지부재와, 상기 좌,우측 송풍팬의 끝단에 연결된 회전축이 관통되어 상기 좌,우측 모터의 각각에 연결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섀시의 전면 좌측과 우측에 위치되는 좌,우측 지지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측 지지부재는 후면이 상기 섀시의 전면에 고정되고, 전면에 상기 좌측 송풍팬의 우끝단에 연결된 회전축과 상기 우측 송풍팬의 좌끝단에 연결된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제 1 지지홈이 형성된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의 전면에 복개되고, 후면에 상기 좌측 송풍팬의 우끝단에 연결된 회전축과 상기 우측 송풍팬의 좌끝단에 연결된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제 2 지지홈이 형성된 제 2 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모터는 상기 지지수단과의 사이에 상기 좌,우측 모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수단과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모터 지지부재에 지지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00055841A 2000-09-22 2000-09-22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200235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841A KR20020023532A (ko) 2000-09-22 2000-09-22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841A KR20020023532A (ko) 2000-09-22 2000-09-22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532A true KR20020023532A (ko) 2002-03-29

Family

ID=19690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841A KR20020023532A (ko) 2000-09-22 2000-09-22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353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570A (ko) * 2002-01-02 2003-07-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룸 에어컨의 팬 구동 장치
KR100684599B1 (ko) * 2006-08-16 2007-02-22 신코시스템(주) 무정전 모터 전력 제어장치
KR101403607B1 (ko) * 2012-12-28 2014-06-05 김규준 와인셀러용 에어컨 실내기
WO2022001845A1 (zh) * 2020-06-28 2022-01-06 滁州普创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电视柜冷暖空调
CN114688609A (zh) * 2022-04-20 2022-07-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送风装置及空调器
WO2022252677A1 (zh) * 2021-06-01 2022-12-08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壁挂式空调器
WO2022252682A1 (zh) * 2021-06-01 2022-12-08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壁挂式空调器
WO2023082684A1 (zh) * 2021-11-09 2023-05-1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及其室内机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570A (ko) * 2002-01-02 2003-07-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룸 에어컨의 팬 구동 장치
KR100684599B1 (ko) * 2006-08-16 2007-02-22 신코시스템(주) 무정전 모터 전력 제어장치
KR101403607B1 (ko) * 2012-12-28 2014-06-05 김규준 와인셀러용 에어컨 실내기
WO2022001845A1 (zh) * 2020-06-28 2022-01-06 滁州普创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电视柜冷暖空调
WO2022252677A1 (zh) * 2021-06-01 2022-12-08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壁挂式空调器
WO2022252682A1 (zh) * 2021-06-01 2022-12-08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壁挂式空调器
WO2023082684A1 (zh) * 2021-11-09 2023-05-1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及其室内机
CN114688609A (zh) * 2022-04-20 2022-07-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送风装置及空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310111A (zh) 空调器室内机
KR20020023532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0128426U (zh) 落地式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20040092471A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실외기 설치 시스템
KR20020026725A (ko) 환기 장치가 구비된 공기 조화기
KR20020023527A (ko)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3193134B2 (ja) 空気調和機
KR100784841B1 (ko) 투인원 초슬림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3572249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H06109302A (ja) 空調換気扇
KR10037131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2212406A (zh) 空调机组及调节组件
KR20020023531A (ko)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29914B1 (ko)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22543962U (zh) 空调室内机
EP1680629B1 (en) Ventilator
KR100707468B1 (ko) 코너형 공기조화기
KR20020023529A (ko)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22543961U (zh) 空调室内机
CN221005233U (zh) 风管式空调的室内机及风管式空调
KR20020023528A (ko)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3586810U (zh) 一种应用于小微型数据中心的换风扇
KR20020023530A (ko)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3273035U (zh) 新风机
KR200191341Y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