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23527A -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3527A
KR20020023527A KR1020000055836A KR20000055836A KR20020023527A KR 20020023527 A KR20020023527 A KR 20020023527A KR 1020000055836 A KR1020000055836 A KR 1020000055836A KR 20000055836 A KR20000055836 A KR 20000055836A KR 20020023527 A KR20020023527 A KR 20020023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air conditioner
grill
blower fan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55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3527A/ko
Publication of KR20020023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52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벽면에 고정되는 섀시와; 상기 섀시와 열교환기 사이에 위치되고, 복수개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축에 의해 연결된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양측과 상기 송풍팬과 송풍팬을 연결하는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섀시와 함께 열교환기 및 송풍팬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섀시의 전방에 결합되고, 복수개로 분리된 전면 프레임과; 상기 전면 프레임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흡입구가 형성된 복수개의 흡입 그릴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보다 더 많은 공기를 흡입되어 대용량의 공기조화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송풍팬이 뒤틀리거나 처지게 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전면 프레임과 흡입 그릴을 일체형으로 사출하기 곤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내부 부품 중 일부의 고장시 상기 전면 프레임 중에서 일부만을 개방하여 수리하면 되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A multi-division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실내 공기를 쾌적한 조건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흡입공기를 처리하여 건물 또는 방에 공급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개의 송풍팬이 일렬로 배치되고, 전면 프레임과 흡입그릴이 복수개로 분리된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크게 일체형(window type)과 분리형(seperate type 또는 split type)이 있다.
상기한 일체형과 분리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고, 분리형은 실내측에 냉각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측에 방열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간을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 중 분리형은 크게 냉각기능을 수행하는 실내기와, 방열 및 압축기능을 수행하는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를 서로 연결시키는 냉매배관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한 종래의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벽면에 고정되는 섀시(20)와; 상기 섀시(20)와 함께 열교환기(49)와 송풍팬(40)과 모터(42)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섀시(20)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면에 흡입구(12)가 형성되고, 전면 하부에 토출구(14)가 형성된 전면 프레임(10)과; 상기 전면 프레임(1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흡입구(32)가 형성된 흡입그릴(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섀시(20)의 전방에는 1개의 송풍팬(40)이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는데, 상기 송풍팬(40)은 상기 섀시(20)의 전면에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 지지부(2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송풍팬(40)의 전방과 상측에는 열교환기(49)가 굽은 모양으로 위치되며, 상기 열교환기(49)의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49)에서 흘러내리는 응축수를 수거할 수 있도록 상부에 응축수 받이부(44)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토출구(14)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풍향을 조절하는 루버(45a)와 상기 토출구(14)로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풍향을 조절하는 베인(46b)이 설치되는 토출그릴(45)이 위치된다.
상기 전면 프레임(10)에는 상기 흡입그릴(30)의 흡입구(32)와 전면 프레임(10)의 흡입구(12)를 통해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된 공기 중에서 부피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복수개의 에어필터(36)와, 상기 에어필터(36)를 통과한 공기중의 먼지를 이온화하여 제거하는 복수개의 집진기(38)가 각각 장착된다.
상기 섀시(20)에는 송풍팬(4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팬(40)의 일측에는 송풍팬(40)을 구동시키기 위한 상기 모터(42)가 연결되며, 상기 모터(42)의 전방측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위한 각종 전장부품(미도시)이 설치되는 제어부(46)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는, 상기 흡입구(12,32)를 통해 흡입된 실내의 공기가 열교환기(49)를 통과하면서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되고, 이렇게 냉각된 공기는 송풍팬(40)을 통과한 후 유로부(22)에 안내되며 상기 토출구(14)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1개의 송풍팬(40)을 사용하는 종래의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조는, 대용량의 공기조화 시스템에 적용되도록 설계할 경우 상기 송풍팬(40)과 열교환기(49)의 길이나 수를 늘려야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여러 가지 작동불량 및 고장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송풍팬(40)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어지면 송풍팬(40)의 제조가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그 자체 무게로 인하여 중간 부분이 처지거나 파손될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길이가 긴 송풍팬(40)은 회전시 처짐 등으로 인해 작동이 매우 불안정해지는 동시에 유로부(22)나 응축수 받이부(44)와의 접촉에 의해 파손될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열교환기(49)의 길이가 길어지면 그 자체 무게 때문에 열교환기(49)가 처지게 되고, 이렇게 상기 열교환기(49)가 처지면 송풍팬(40)과 열교환기(49)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서로 접촉될 가능성이 높아질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열교환기(49) 및 송풍팬(40)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상기 흡입그릴(30) 및 전면 프레임(10)도 그 길이를 늘려야 하는데, 그 일체형으로의 사출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흡입그릴(30) 및 전면 프레임(10)이 일체형으로 길게 사출되더라도, 상기 에어필터(36)를 청소해야 하거나, 상기 집진기(38)의 고장으로 인해 그 수리작업을 위해 상기 흡입그릴(32)을 개폐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 흡입그릴(3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개폐작업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46)에 내장된 전장부품이나 모터(42)의 고장시 그 수리를 위해서 상기 흡입그릴(30) 및 전면 프레임(10) 전체를 상기 섀시(20)에서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개의 송풍팬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송풍팬의 처짐을 방지할수 있으며, 대용량의 공기조화기의 적용되도록 전면 프레임 및 흡입 그릴이 복수개로 분리된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개의 흡입그릴과 전면 그릴을 설치하여 그 일체형으로의 사출이 용이하지 못한 점을 해소하고, 에어필터의 청소 및 집진기의 수리작업이 용이해진 편리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B-B선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섀시 52: 베이스
53: 절곡부 54: 하부판
56: 유로부 57: 가이드부
60: 전면 프레임 62: 좌측 커버
64: 우측 커버 65: 흡입구
66: 가이드 67: 좌측 전면그릴
68: 중앙측 전면그릴 69: 우측 전면그릴
70: 흡입그릴 74: 좌측 흡입그릴
76: 중앙측 흡입그릴 78: 우측 흡입그릴
79a: 에어 필터 79b: 집진기
90a: 제 1 송풍팬 90b: 제 2 송풍팬
92: 모터 93: 베어링
94: 회전축 100: 열교환기
100a: 제 1 열교환부 100b: 제 2 열교환부
102: 냉매배관 104: 응축수 받이부
105: 드레인 호스 106: 토출구
108: 토출그릴 108a: 루버
108b: 베인 110: 지지수단
120: 중앙 지지부재 124: 제 1 지지부
126: 제 2 지지부 130: 좌측 지지부재
140: 우측 지지부재 146: 모터 지지부재
148: 제어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벽면에 고정되고, 전방에 열교환기가 위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하측에 고정되는 하부판과, 상기 베이스의 전면으로 이동된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부로 구성된 섀시와; 상기 섀시와 열교환기 사이에 위치되고, 복수개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축에 의해 연결된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양측과 상기 송풍팬과 송풍팬을 연결하는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섀시와 함께 열교환기 및 송풍팬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섀시의 전방에 결합되는 전면 프레임과; 상기 전면 프레임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그릴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선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벽면에 고정되고, 전방에 열교환기(100)가 위치되는 베이스(52)와. 상기 베이스 하측에 고정되는 하부판(54)과, 상기 베이스(52)의 전면으로 이동된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부(56)로 구성된 섀시(50)와; 상기 섀시(50)와 열교환기(100) 사이에 위치되고, 복수개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축(94)에 의해 연결된 송풍팬(90a,90b)과; 상기 송풍팬(90a,90b)의 양측과 상기 송풍팬(90a)과 송풍팬(90b)을 연결하는 상기 회전축(94)을 지지하는 지지수단(110)과; 상기 섀시(50)와 함께 열교환기(100) 및 송풍팬(90a,90b)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섀시(50)의 전방에 결합되는 전면 프레임(60)과; 상기 전면 프레임(6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흡입구(72)가 형성된 흡입 그릴(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100)는 상기 흡입그릴(70)의 전면에 형성된 흡입구(72)에 나란하도록 형성된 제 1 열교환부(100a)와 상기 제 1 열교환부(100a)의 상끝단부에서 상기 섀시(50)의 상끝단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 2 열교환부(100b)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열교환부(100a)의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100)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를 수거할 수 있도록 상부에 응축수 받이부(104)가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섀시(50)의 하부와 함께 토출구(106)를 형성하는 토출 그릴(108)이 위치된다.
상기 토출 그릴(108)에는 상기 토출구(106)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풍향을 조절하는 루버(108a)와 상하풍향을 조절하는 베인(108b)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52)는 그 전면에 상기 유로부(56)와 지지수단(110)이 고정되고, 그 하부에 경사지게 절곡된 절곡부(53)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53)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100)의 냉매를 실외기(미도시)로 수송하기 위한 냉매배관(102)과 상기 응축수 받이부(104)에 수거된 응축수을 상기 실내기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호스(105)의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판(54)이 수평하게 고정된다.
상기 유로부(56)는 상기 열교환기(100)를 통과하여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베이스(52)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열재로 구성되고, 상기 토출구(106)를 통해 공기조화기 외부로 적절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그 전면 중앙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가이드부(57)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송풍팬(90a,90b)은 상기 유로부(56)의 전방에 횡방향으로 일렬로 설치되고, 상기 유로부(56)의 전방 좌측에 상기 지지수단(11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송풍팬(90a)과, 상기 유로부(56)의 전방 우측에 상기 지지수단(11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송풍팬(90b)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송풍팬(90a)과 제 2송풍팬(90b)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면이 상기 회전축(94)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 1 송풍팬(90a)과 제 2 송풍팬(90b)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 1 송풍팬(90a)과 제 2 송풍팬(90b)을 일체로 회전시키는 모터(92)가 연결된다.
상기 지지수단(110)은 상기 제 1 송풍팬(90a)의 우측과 제 2 송풍팬(90b)의 좌측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축(9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앙 지지부재(120)와, 상기 제 1 송풍팬(90a)의 좌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측 지지부재(130)와, 상기 제 2 송풍팬(90b)의 우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우측 지지부재(140)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 지지부재(120)와 좌측 지지부재(130)와 우측 지지부재(140)는 그 각각이 상기 섀시(50)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중앙 지지부재(120)와 좌측 지지부재(130)와 우측 지지부재(140)는 그 각각의 전면이 상기 제 1 열교환부(100a)의 좌측과 중앙과 우측을 지지하고, 그 각각의 상면이 상기 제 2 열교환부(100b)의 좌측과 중앙과 우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열교환부(100a) 및 제 2 열교환부(100b)의 측단면과 동일 모양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94)에는 베어링(93)이 장착되고, 상기 중앙 지지부재(120)는 후면이 상기 섀시(50)의 전면에 고정되고, 전면(126a)에 상기 베어링(93)이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제 1 고정홈(126b)이 형성된 제 1 지지부(126)와, 상기 제 1 지지부(126)의 전면에 복개되고, 상기 베어링(93)을 지지할 수 있도록 후면(124a)에 상기 베어링(93)이 고정되는 반원형의 제 2 고정홈(124b)이 형성된 제 2 지지부(12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 지지부재(140)의 옆에는 상기 모터(92)를 수용하기 위한 모터 수용부(144)가 형성되는데, 상기 모터 수용부(144)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우측 지지부재(140)의 우측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모터 지지부재(146)가 상기섀시(70)에 고정된다.
상기 모터 수용부(144)의 전방에는 일측이 상기 모터 수용부(144)를 커버하고, 타측에 상기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위한 각종 전장부품(미도시)이 설치되는 제어부(148)가 고정된다.
상기 전면 프레임(60)은 상기 열교환기(100) 및 지지수단(110)을 보호하도록 상기 섀시(50)의 양측에 고정되는 좌측 커버(62) 및 우측 커버(64)와, 상기 좌측 커버(62) 및 우측 커버(64)의 사이에 고정되고, 상면에 흡입구(65)가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90a,90b)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공기조화기 내로 유입된 공기 중의 먼지를 거르는 에어필터(79a)와 공기중의 먼지를 이온화하여 쾌적한 공기를 제공하는 집진기(79b)가 장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66)가 형성된 복수개의 전면그릴(67,68,69)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그릴(67,68,69)은 상기 좌측 커버(62)에 전면 우측과 상면 우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섀시(50)의 상끝단부와 상기 토출 그릴(108)의 상부에 고정되는 좌측 전면그릴(67)과, 상기 우측 커버(64)의 전면 좌측과 상면의 좌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섀시(50)의 상끝단부와 상기 토출 그릴(108)의 상부에 고정되는 우측 전면그릴(69)과, 상기 좌측 전면그릴(67)과 우측 전면그릴(69)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섀시(50)의 상끝단부와 상기 토출 그릴(108)의 상부에 고정되는 중앙측 전면그릴(68)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좌측 전면그릴(67)과, 우측 전면그릴(69)은 동일 모양과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좋고, 나아가 가로방향의 길이가 다른 타 공기조화기의 전면그릴과호환될 수 있도록 타 공기조화기(미도시)의 전면그릴(미도시)과도 동일 모양과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 그릴(70)은 상기 전면그릴(67,68,69)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좌측 전면 그릴(67)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좌측 전면 그릴(67)과 그 가로방향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된 좌측 흡입 그릴(74)과, 상기 중앙측 전면 그릴(68)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중앙측 전면 그릴(68)과 그 가로방향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된 중앙측 흡입 그릴(76)과, 상기 우측 전면 그릴(69)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우측 전면 그릴(69)과 그 가로방향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된 좌측 흡입 그릴(7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모터(92)가 구동되면 상기 제 1 송풍팬(90a)과 제 2 송풍팬(90b)은 일체로 회전하게 되고, 실내측의 공기는 상기 흡입그릴(74,76,78)의 흡입구(72)와 상기 전면그릴(67,68,69)의 흡입구(65)를 통해 상기 공기조화기 내측으로 흡입된다. 상기 흡입구(65,72)를 통과한 공기중의 부피가 큰 이물질은 상기 에어 필터(79a)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상기 에어필터(79a)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상기 집진기(79b)를 통과하면서 깨끗한 공기로 정화된다. 상기 에어필터(79a) 및 집진기(79b)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00)에 의해 열교환 된 다음 상기 유로부(56)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토출구(106)를 통해 실내측으로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팬(90a,90b)이 복수개 설치되어 송풍팬이 1개만 설치될 때보다 더 많은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 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전면그릴(67,68,69)과 흡입그릴(74,76,78)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복수개가 설치되어 대용량의 공기조화기에 적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그릴(74,76,78) 중 일부만을 회전시켜 상기 에어 필터(86)의 청소 작업 및 집진기(89)의 고장으로 인한 수리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우측 커버(84)를 분리하면 상기 제어부(148)와 모터 수용부(144)가 개방되므로 상기 제어부(146) 내에 취부된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위한 각종 전장부품 및 모터(92)의 수리시 그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 지지부재(120)가 상기 송풍팬(90a,90b)의 회전축(94)과 상기 열교환기(100)를 지지하므로, 열교환기(100)의 길이가 늘어나고, 복수개의 송풍팬(90a,90b)이 설치되어도 그 처짐이나 그로 인한 파손 염려가 없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복수개의 송풍팬을 설치하여 보다 더 많은 공기를 흡입할 수 있고, 상기 송풍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고정하여 송풍팬이 처지거나 그 회전축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 지지부재와 좌측 지지부재와, 우측 지지부재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상기 복수개의 송풍팬의 설치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흡입그릴로 분할하고, 전면 프레임을 복수개로 분할하여 흡입그릴과 전면 프레임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때 그 사출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점을 해결할 수 있고, 상기 전면그릴에 장착되는 에어필터 및 집진기의 청소작업이 용이하며, 상기 복수개의 흡입그릴과 전면그릴 중 일부는 가로방향의 길이가 상기 공기조화기보다 더 작은 소형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과 공용화가 가능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적절한 공급 및 자원절약의 차원에서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및 제어부 내부의 전장부품의 고장으로 인해 상기 공기조화기의 우측을 개방시켜야 할 때 상기 우측 커버만을 개방시킴에 따라 상기 흡입그릴과 전면 프레임 모두을 개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송풍팬을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전면 프레임을 복수개로 분리하며, 상기 흡입그릴을 복수개로 구성함에 따라 상기 섀시도 그 길이를 늘려야 하는데, 상기 섀시를 베이스와 하부판과 유로부로 분리하여 상기 섀시를 일체형으로 길게 사출하기 곤란한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벽면에 고정되고, 전방에 열교환기가 위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하측에 고정되는 하부판과, 상기 베이스의 전면으로 이동된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부로 구성된 섀시와; 상기 섀시와 열교환기 사이에 위치되고, 복수개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축에 의해 연결된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양측과 상기 송풍팬과 송풍팬을 연결하는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섀시와 함께 열교환기 및 송풍팬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섀시의 전방에 결합되는 전면 프레임과; 상기 전면 프레임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그릴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복수개의 송풍팬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앙 지지부재와, 상기 송풍팬의 좌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측 지지부재와, 상기 송풍팬의 우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우측 지지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베어링이 장착되고, 상기 중앙 지지부재는 후면이 상기 섀시의 전면에 고정되고, 전면에 상기 베어링이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제 1 고정홈이 형성된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의 전면에 복개되고, 상기 베어링을 지지할 수 있도록 후면에 상기 베어링이 고정되는 제 2 고정홈이 형성된 제 2 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은 상기 열교환기 및 지지수단을 보호하도록 상기 섀시의 양측에 고정되는 좌측 커버 및 우측 커버와, 상기 좌측 커버 및 우측커버의 사이에 고정되고, 상면에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공기조화기 내로 유입된 공기 중의 먼지를 거르는 에어필터와 공기중의 먼지를 이온화하여 쾌적한 공기를 제공하는 집진기가 장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가 형성된 복수개의 전면그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그릴은 상기 좌측 커버의 전면 우측과 상면 우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섀시의 상끝단에 고정되는 좌측 전면그릴과, 상기 우측커버의 전면과 상면의 좌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섀시의 상끝단에 고정되는 우측 전면그릴과, 상기 좌측 전면그릴과 우측 전면그릴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섀시의 상끝단부에 고정되는 중앙측 전면그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그릴은 상기 전면 그릴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00055836A 2000-09-22 2000-09-22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20023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836A KR20020023527A (ko) 2000-09-22 2000-09-22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836A KR20020023527A (ko) 2000-09-22 2000-09-22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527A true KR20020023527A (ko) 2002-03-29

Family

ID=19690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836A KR20020023527A (ko) 2000-09-22 2000-09-22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352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2204A (zh) * 2017-09-04 2018-02-1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壁挂式空调室内机
CN107702205A (zh) * 2017-09-06 2018-02-1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立式空调室内机
CN107747761A (zh) * 2017-08-31 2018-03-0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壁挂式空调室内机
CN114508842A (zh) * 2020-11-17 2022-05-17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风道组件以及空调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47761A (zh) * 2017-08-31 2018-03-0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壁挂式空调室内机
CN107747761B (zh) * 2017-08-31 2019-12-3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壁挂式空调室内机
CN107702204A (zh) * 2017-09-04 2018-02-1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壁挂式空调室内机
CN107702204B (zh) * 2017-09-04 2019-10-0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壁挂式空调室内机
CN107702205A (zh) * 2017-09-06 2018-02-1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立式空调室内机
CN114508842A (zh) * 2020-11-17 2022-05-17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风道组件以及空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3532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20023527A (ko)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031568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90022106A (ko) 공기조화기
JP3235948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10077071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상부 공기 토출 플랩 구동장치
KR20020023531A (ko)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20023530A (ko)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20023529A (ko)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20023528A (ko) 다분할식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8001662U (zh) 空调室内机
CN1443973A (zh) 多分解式分离型空调的室内机
KR100236342B1 (ko) 컨버터블형 공기조화기
KR100234036B1 (ko) 공조기의 필터 장착구조
KR100234971B1 (ko) 공기조화기의 배수 및 지지장치
KR10050525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17622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865089B1 (ko) 공기조화기
KR100371851B1 (ko) 천정형 공기조화기
CN1278086C (zh) 多分解式分离型空调的室内机
KR0139366Y1 (ko) 공기조화기의 전선고정장치
KR20020036413A (ko)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케이스 구조
KR200162658Y1 (ko)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모터 와이어 고정장치
KR2003004346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161983Y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