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15388A - 4-비페닐아세트산을 함유하는 패치 - Google Patents

4-비페닐아세트산을 함유하는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5388A
KR20020015388A KR1020027001037A KR20027001037A KR20020015388A KR 20020015388 A KR20020015388 A KR 20020015388A KR 1020027001037 A KR1020027001037 A KR 1020027001037A KR 20027001037 A KR20027001037 A KR 20027001037A KR 20020015388 A KR20020015388 A KR 20020015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plaster
biphenylacetic acid
weight
styre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1748B1 (ko
Inventor
아까자와미쯔지
이노오가쯔유끼
야마지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아까자와 쇼조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까자와 쇼조,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까자와 쇼조
Publication of KR20020015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74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용매에서 난용성인 4-비페닐아세트산에 2종류 이상의 용해제를 사용함으로써, 접착성 기재로부터의 4-비페닐아세트산의 방출성 및 방출지속성이 개선되고, 피부자극성이 저감된 소염진통작용을 가진 패치를 제공한다. 본 패치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5-50 중량%, N-메틸-2-피롤리돈 0.05-20 중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0.1-20 중량% 및 4-비페닐아세트산 0.1-20 중량%를 필수성분으로 함유한다.

Description

4-비페닐아세트산을 함유하는 패치{PATCH CONTAINING 4-BIPHENYLACETIC ACID}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진통제인 4-비페닐아세트산의 투여방법에 있어서, 일찍부터 겔 제제가 전신성의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 개발되어 임상적으로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겔제제에는 몇가지 단점이 있는데 투여시에 의복을 더럽히고, 자주 투여하여야 하고, 투여량이 조절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4-비페닐아세트산을 함유하는 습포제(cataplasm)가 개발되어(일본특허 공개 (평)3 (1991) 193728호 공보), 시판되었다.
이와 같이 개발된 습포제는 점착력과 활성성분의 효과의 지속성에 있어서 거의 만족스러운 제제이다. 그러나 지속적인 점착력과 유효성분의 지속성에 대해 더 많은 향상이 요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습포제는 점착력 한계등의 문제가 있어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재로 유성 테이프를 사용하는 플라스터가 제안되었다(일본특허 공개 (평)4 (1992) 321624호 공보)
상기의 플라스터에서는 크로타미톤이 4-비페닐아세트산의 용매로 사용된다. 그러나 크로타미톤 중 4-비페닐아세트산의 용해도는 약 7% 정도이고 소량의 용매 사용은 4-비페닐아세트산을 용해시키는데 불충분하다. 게다가 혼련된 기재에서 4-비페닐아세트산의 결정석출이 발견되고 결과적으로 유효성분의 흡수성과 지속성이 감소된다. 이에 반해서 용매로 많은 양의 크로타미톤을 사용하는 경우에 몇가지 문제가 발생하는데 기재의 점착력 감소로 피부에 기재가 잔존하고 피부 자극이 발생하는것과 같은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예의연구한 결과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N-메틸-2-피롤리돈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필수 성분으로하는 접착성 기재 중 4-비페닐아세트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플라스터가 한번에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는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플라스터와 비교하여, 접착성 기재로부터의 유효성분인 4-비페닐아세트산의 방출성, 약효의 지속성이 개선되고, 또한 피부자극이 저감된, 안전성이 높은 4-비페닐아세트산 함유 플라스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접착성 기재중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N-메틸-2-피롤리돈,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4-비페닐아세트산을 필수 성분으로 하며, 소염진통제로 사용되는 플라스터(plaster)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실험예 3의 결과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플라스터를 쥐에 적용하여 혈중농도를 측정한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플라스터에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양은 5-5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이다.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양이 5 중량% 미만일 때는 접착성 기재의 응집력이 달성될 수 없고 접착성 기재는 방출시 피부에 남아있다. 반대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양이 50 중량%를 초과할 때는 접착성 기재의 응집력이 크고, 점착력이 감소하거나 혹은 혼련 작업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용해제로서 N-메틸-2-피롤리돈의 양이 0.05-2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이다. N-메틸-2-피롤리돈의 양이 0.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N-메틸-2-피롤리돈은 용해제로서 작용하지 않고, 20 중량% 초과하는 경우에는 접착성 기재의 응집력이 감소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상온에서 액체 내지 반고형상의 것이다. 상기의 폴리에틸렌 글리콜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 폴리에틸렌 글리콜 1500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양은 0.1-2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10 중량%이다.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양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성 기재로부터 4-비페닐아세트산이 지속적으로 방출되지 않는다. 반대로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양이 20 중량% 초과하는 경우 기재와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상용성이 불충분하게 된다.
N-메틸-2-피롤리돈과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배합 중량비는 1:0.1 내지 1:5, 더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3이다. N-메틸-2-피롤리돈에 대한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배합비가 0.1 미만인 경우에는 N-메틸-2-피롤리돈에 대한 4-비페닐아세트산의 용해도는 증가하고, 기재로부터 4-비페닐아세트산의 매우 빠른 방출이 일어나고, 4-비페닐아세트산의 지속적인 방출이 어렵다. 반대로 N-메틸-2-피롤리돈에 대한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배합비가 5를 초과하는 경우 기재로부터 4-비페닐아세트산의 많은 방출이 어렵다.
다른 한편으로 4-비페닐아세트산의 양은 0.1-2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5-10 중량%이다. 4-비페닐아세트산의 양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유효성분의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4-비페닐아세트산의 양이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유효성분의 요구 약리 효과가 그 이상 증가하지 않고 따라서 유효성분의 낭비가 된다.
통상적인 플라스터에 사용되는 다른 제제형 성분을 본 발명의 플라스터에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유동 파라핀, 라놀린 등의 연화제,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예를들어, Arkon:Arakawa Chemical Industries, Co.), 테르펜 수지(예를들어, YS Resin:Yasuhara Resin Co.), 수소첨가 로진 글리세린 에스테르(예를들어, Ester Gum:Arakawa Chemical Industries,Co.) 등의 점착부여제,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등의 항산화제, 산화티탄, 이산화규소 등의 충진제, l-멘톨, 박하유, 노닐산 바닐릴아미드, 캡사이신 등의 자극제를 들 수 있다.
본 플라스터에 사용되는 지지체(backing)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연화제, 용해제등의 흡착이 없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 플라스터의 지지체는 신축성이 있는 혹은 신축성이 없는 직포 혹은 부직포 및 합성수지가 더 바람직하다.
본 플라스터에 사용되는 라이너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종이 등이 있다. 라이너는 필요하다면 박리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규소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플라스터는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즉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연화제와 점착부여제, 항산화제와 충진제를 혼합하고 교반기에서 150-200℃에서 가열용해시키고, 상기의 혼합물에 4-비페닐아세트산, N-메틸-2-피롤리돈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혼합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잘 교반하여 균질한 접착성 물질을 수득한다. 이 경우에 4-비페닐아세트산, N-메틸-2-피롤리돈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혼합용액의 첨가는 80-120℃의 온도범위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정 다음으로, 생성된 접착성 물질은 50-300g/m2중량으로 라이너상에 도포하고 지지체를 적층시킨다. 이어서 이와같이 수득한 지지체를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여 본 발명의 플라스터를 생성시킨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5-50 중량%의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0.05-20 중량%의 N-메틸-2-피롤리돈, 0.1-20 중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0.1-20 중량%의 4-비페닐아세트산을 필수성분으로 함유하는 플라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는 N-메틸-2-피롤리돈과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배합 중량비가 1:0.1내지 1:5의 범위에 있는 플라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온에서 액체 내지 반고형상인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사용하는 플라스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플라스터에서는 난용성인 4-비페닐아세트산의 용해제로 지금까지 시험된적이 없는 N-메틸-2-피롤리돈과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혼합용액을 사용하고, 접착성 기재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에 의해 4-비페닐아세트산은 접착성 기재에 용해될 수 있고 장기간에 걸쳐 기재에서 4-비페닐아세트산이 안정하게 방출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 결과로 N-메틸-2-피롤리돈 단독을 용해제로 사용할 때 기재에서 4-비페닐아세트산의 용해도가 매우 우수하였다. 그러나 투여 직후 기재로부터 4-비페닐아세트산의 빠른 방출, 소위 집중 방출 현상(burst releasing phenomenon)이 발생하고 따라서 플라스터로부터 4-비페닐아세트산의 지속적인 방출이 어렵다.
다른 한편으로 용해제로 폴리에틸렌 글리콜 단독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재에서 4-비페닐아세트산의 용해도는 충분하지 않고 4-비페닐아세트산의 결정석출이 일어나, 기재로부터의 4-비페닐아세트산의 방출은 불충분하다.
그러므로 4-비페닐아세트산에 대한 용해제로 N-메틸-2-피롤리돈과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병용하면 4-비페닐아세트산은 접착성 기재에서 완전히 용해될 수 있고 투여후 4-비페닐아세트산의 빠른 방출이 조절될 수 있다.
게다가 4-비페닐아세트산의 용해제로서의 N-메틸-2-피롤리돈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액의 피부 자극의 정도는 매우 낮고 따라서 본 발명의 플라스터는 매우 낮은 피부 자극과 뛰어난 높은 안전역을 가진다.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를 들어 더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 플라스터의 약리학적 활성이 변하지 않는 한, 적당하다고 간주되는 경우에는 세부사항이 삭제, 추가, 또는 치환될 수 있다. 상기의 변화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내에서 커버된다.
또한,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되지 않은 경우에 "부"는 "중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1 내지 4
상기에 언급된 플라스터 제조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플라스터를 하기의 성분으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1
성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50.0 부
(상품명:CARIFLEX TR-1107)
N-메틸-2-피롤리돈 0.5 부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0.5 부
4-비페닐아세트산 0.5 부
부틸히드록시톨루엔 2.0 부
유동 파라핀 46.5 부
합계 100.0 부
실시예 2
성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5.0 부
(상품명:CARIFLEX TR-1111)
N-메틸-2-피롤리돈 5.0 부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5.0 부
4-비페닐아세트산 5.0 부
부틸히드록시톨루엔 2.0 부
유동 파라핀 21.5 부
폴리부텐 15.0 부
점착부여제(로진 에스테르) 30.0 부
경질무수규산 1.0 부
l-멘톨 0.5 부
합계 100.0 부
실시예 3
성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0.0 부
(상품명:CARIFLEX TR-1111)
N-메틸-2-피롤리돈 15.0 부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10.0 부
4-비페닐아세트산 8.0 부
부틸히드록시톨루엔 2.0 부
유동 파라핀 25.0 부
점착부여제(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30.0 부
합계 100.0 부
실시예 4
성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25.0 부
(상품명:CARIFLEX TR-1111)
N-메틸-2-피롤리돈 3.0 부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00 5.0 부
4-비페닐아세트산 4.0 부
부틸히드록시톨루엔 2.0 부
유동 파라핀 31.0 부
점착부여제(로진 에스테르) 30.0 부
합계 100.0 부
비교예 1
성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50.0 부
(상품명:CARIFLEX TR-1107)
유동파라핀 46.0 부
부틸히드록시톨루엔 2.0 부
크로타미톤 1.0 부
4-비페닐아세트산 1.0 부
합계 100.0 부
소정량의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연화제 및 항산화제를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질소 기류하에 110-200℃에서 60분간 가열교반하여 용해물을 얻는다. 이어서, 유효성분과 크로타미톤의 혼합물을 상기 용해물에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20분동안 더 교반하여 균일 혼합물을 얻는다. 이어서 도공기에서 임의의 두께로 지지체에 상기의 혼합물을 도포하고 라이너를 적층시킨다. 이어서 상기의 지지체를 원하는 크기로 잘라 비교예 1의 플라스터를 얻는다.
비교예 2
성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26.0 부
(상품명:CARIFLEX TR-1107)
유동파라핀 49.5 부
부틸히드록시톨루엔 2.0 부
점착부여제(로진 에스테르) 15.0 부
(상품명:KE-311)
크로타미톤 2.5 부
4-비페닐아세트산 5.0 부
합계 100.0 부
소정량의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연화제,점착부여제 및 항산화제를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질소 기류하에 110-200℃에서 60분간 가열교반하여 용해물을 얻는다. 그리고 나서 유효성분과 크로타미톤의 혼합물을 상기 용해물에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20분동안 더 혼합하여 균일한 물질을 얻는다. 그 후 임의의 두께로 지지체에 균일한 물질을 도포하고 라이너를 적층시킨다. 이어서 상기의 지지체를 원하는 크기로 잘라 비교예 2의 플라스터를 얻는다.
비교예 3
성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25.0 부
(상품명:CARIFLEX TR-1107)
유동파라핀 52.0 부
부틸히드록시톨루엔 2.0 부
점착부여제(로진 에스테르) 5.0 부
(상품명:KE-311)
크로타미톤 15.0 부
4-비페닐아세트산 1.0 부
합계 100.0 부
상기 성분에 따라, 비교예 3의 플라스터를 비교예 2에 기술한 제조 방법에 따라 얻는다.
비교예 4
성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5.0 부
(상품명:CARIFLEX TR-1111)
부틸히드록시톨루엔 2.0 부
유동파라핀 28.0 부
점착부여제(로진 에스테르) 30.0 부
폴리부텐 15.0 부
N-메틸-2-피롤리돈 5.0 부
4-비페닐아세트산 5.0 부
합계 100.0 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연화제, 점착부여제, 항산화제 및 충진제등을 150-200℃하에 교반기에서 용해시키고, 4-비페닐아세트산과 N-메틸-2-피롤리돈을 상기의 혼합물에 첨가해서 균일한 물질을 얻는다. 이경우 4-비페닐아세트산과 N-메틸-2-피롤리돈의 혼합물 첨가는 80-12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한다. 이어서 비교예 4의 플라스터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상기의 균일한 물질로부터 얻는다.
비교예 5
성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5.0 부
(상품명:CARIFLEX TR-1111)
부틸히드록시톨루엔 2.0 부
유동파라핀 23.0 부
점착부여제(로진 에스테르) 30.0 부
폴리부텐 15.0 부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10.0 부
4-비페닐아세트산 5.0 부
합계 100.0 부
상기 성분에 따라서 비교예 5의 플라스터를 비교예 4에 기술한 제조 방법에 따라 얻는다. 비교예 5에서는 비교예 4의 N-메틸-2-피롤리돈 대신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용해제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플라스터의 피부자극성 시험, 접착성 기재에서의 결정관찰, 약물방출성시험을 비교예의 플라스터와 비교한다. 그 결과를 하기에 기술한다.
시험예 1:토끼에서의 피부일차자극성 시험
일본 백색(암컷) 토끼 아홉마리를 하나의 시험군으로 사용한다. 토끼의 등부위를 제모하고, 제모 부위중 4부분(좌우측에 각각 2부분)을 적용부위로 한다. 우측 2부분을 건상부분(healthy portion), 좌측 2부분을 손상부분(damaged portion)으로 한다. 손상 부분에 쥐의 피부를 바늘을 사용해서 #형으로 절단해서 손상시킨다. 각플라스터(2.5cm×2.5cm크기를 가짐:실시예 1,실시예 2, 비교예 2 및 비교예 3에서 제조한 것)를 피부에 적용한다. 적용한 플라스터를 접착성 테이프로 고정시키고 플라스터의 이동을 막기위해 보호제로 덮는다.
플라스터를 24시간후에 떼어내고, 피부자극 반응을 플라스터의 제거 후 1,24,48 및 72시간의 시점에서 관찰한다.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Draize 판정기준에 따라 피부자극반응을 평가하고, 피부일차자극지수(P.I.I)를 플라스터의 제거 후 1 및 48시간에 얻은 판정가로 산출한다.
각 플라스터의 안전성을 표 2에 기재된 안전성 평가구분을 이용해 평가하고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Draize 판정기준
관찰 항목과 그 정도
홍반과 가피형성 변화없음···············0매우 가벼운 홍반···········1(거의 인지 되지않음)분명한홍반··············2중간 정도내지 강한 홍반·······3가벼운 가피형성과 심한홍반······4(심부까지 확장된 손상동반)
부종형성 변화없음···············0매우 가벼운 부종···········1(거의 인지되지 않음)가벼운부종··············2(부종의 분명한 외형을 가짐)중간 정도의 부종···········3(1mm높이로 부음)심한 부종··············4(1mm이상의 높이로 붓고 다른 부위에 확장됨)
안전성평가구분
P.I.I 안전성 구분
P.I.I=0 자극없음
0<P.I.I<2 약한 자극
2≤P.I.I<5 중간정도 자극
5≤P.I.I 강한 자극
시험된 플라스터 피부 상태 플라스터 박리후 자극반응의 평균점수 P.I.I 안전성평가 구분
홍반 부종
1시간 48시간 1시간 48시간
실시예1 건상손상 0.2 0.00.3 0.2 0.0 0.00.0 0.0 0.2 약한 자극
실시예2 건상손상 0.8 0.20.8 0.5 0.0 0.00.0 0.0 0.6 약한 자극
비교예3 건상손상 2.7 1.73.2 2.5 0.2 0.00.7 0.3 2.8 중간정도의 자극
표 3의 결과로부터 명백한 것처럼 본 발명의 플라스터에는 문제 되는 피부 자극이 없다.
시험예 2 : 결정관찰시험
각 플라스터의 접착성 기재를 준비된 슬라이드(slide) 위에 얇게 펴고 접착성 기재에서 4-비페닐아세트산의 외형을 편광현미경(Nikon OPTIPHOTO 02-POL)으로 관찰했다.
하기 표 4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시험한 플라스터 결정의 유무
실시예2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5
상기의 결과에서 분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플라스터에서 나타나는 4-비페닐아세트산의 결정은 없다.
시험예 3 : 쥐에서의 혈중농도측정시험
위스타(Wistar) 쥐(5-6주령의 수컷)의 등부위를 제모하고, 비정상적인 피부를 가지지 않은 5마리의 쥐를 이 시험에서 하나의 시험군으로 사용한다.
각 플라스터(2×3cm2크기를 가짐:실시예 2 및 비교예 2, 비교예 4, 비교예 5에서 제조됨)를 제모한 피부에 적용한다. 혈액 샘플을 플라스터 적용후 0, 2, 8 및 24시간에 0.5ml씩 채혈하고, 4-비페닐아세트산의 양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로 측정한다.
그림 1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림 1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명백한 것처럼, 본 발명의 플라스터는 접착성 기재로부터 유효성분을 고농도로 지속적으로 장기간동안 방출한다.
피부 자극의 정도가 감소한 것 뿐만아니라, 유효성분의 방출성과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약물학적 효과의 지속성이 통상적인 플라스터와 비교하여 향상된 것을 상기의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플라스터는 높은 안전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에 언급된 것처럼, 본 발명의 플라스터에서 4-비페닐아세트산의 용해제로 N-메틸-2-피롤리돈과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사용하기 때문에, 피부 자극의 정도가 감소한 것 뿐만아니라, 접착성 기재로부터의 유효성분의 방출성과 유효성분의약물학적 효과의 지속성이 통상적인 플라스터와 비교하여 향상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플라스터는 높은 안전성을 가지고 있다.

Claims (3)

  1.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5-50 중량%, N-메틸-2-피롤리돈 0.05-20 중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0.1-20 중량% 및 4-비페닐아세트산 0.1-20 중량%를 필수성분으로 함유하는 플라스터(plaster).
  2. 제 1 항에 있어서, N-메틸-2-피롤리돈과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배합 중량비가 1:0.1-1:5인 플라스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온에서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액체 내지 반고형상인 플라스터.
KR1020027001037A 2000-06-01 2001-05-31 4-비페닐아세트산을 함유하는 패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7217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64496 2000-06-01
JP2000164496A JP4648518B2 (ja) 2000-06-01 2000-06-01 4−ビフェニル酢酸含有貼付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388A true KR20020015388A (ko) 2002-02-27
KR100721748B1 KR100721748B1 (ko) 2007-05-25

Family

ID=18668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037A Expired - Fee Related KR100721748B1 (ko) 2000-06-01 2001-05-31 4-비페닐아세트산을 함유하는 패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094421B2 (ko)
EP (1) EP1300143B1 (ko)
JP (1) JP4648518B2 (ko)
KR (1) KR100721748B1 (ko)
CN (1) CN1170530C (ko)
AT (1) ATE359066T1 (ko)
AU (1) AU775131B2 (ko)
CA (1) CA2380128C (ko)
DE (1) DE60127839T2 (ko)
DK (1) DK1300143T3 (ko)
ES (1) ES2280371T3 (ko)
TW (1) TW577737B (ko)
WO (1) WO20010917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4881B2 (ja) 2003-03-18 2011-01-19 久光製薬株式会社 非ステロイド系消炎鎮痛剤含有貼付剤
CN1929827A (zh) * 2004-01-14 2007-03-14 拉维法姆实验室股份有限公司 包含至少一种脂肪酸的用于二氢吡啶类钙拮抗剂的经皮递送装置
WO2006092829A1 (ja) * 2005-02-28 2006-09-08 Teikoku Seiyaku Co., Ltd. フルルビプロフェン含有外用貼付剤
CN1989955B (zh) * 2005-12-29 2010-12-15 北京德众万全医药科技有限公司 联苯乙酸巴布剂
JP5078303B2 (ja) * 2006-09-15 2012-11-21 東光薬品工業株式会社 消炎鎮痛クリーム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4879928B2 (ja) 2008-03-25 2012-02-22 帝國製薬株式会社 ケトプロフェンリジン塩を含有する水性貼付剤
JP5564241B2 (ja) 2009-12-15 2014-07-30 帝國製薬株式会社 フェルビナク含有経皮吸収製剤
US9833417B2 (en) 2010-11-02 2017-12-05 Teikoku Seiyaku Co., Ltd. Felbinac-containing external patch
JP6309892B2 (ja) * 2012-06-20 2018-04-11 株式会社 メドレックス 薬剤と有機溶媒と親油性膏体基剤と粉体を配合した貼付製剤組成物
WO2018124089A1 (ja) 2016-12-28 2018-07-05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US11872320B2 (en) 2021-02-25 2024-01-16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Method for treating osteoarthriti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9197A (en) * 1988-03-04 1998-02-17 Noven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opical administration of pharmaceutically active agents
US5262165A (en) * 1992-02-04 1993-11-16 Schering Corporation Transdermal nitroglycerin patch with penetration enhancers
JP2839164B2 (ja) 1989-12-25 1998-12-16 帝國製薬株式会社 消炎鎮痛貼付剤
JP3723229B2 (ja) * 1991-03-12 2005-12-07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外用貼付剤
JP3541849B2 (ja) * 1991-04-19 2004-07-14 久光製薬株式会社 消炎鎮痛貼付剤
FR2717689B1 (fr) * 1994-03-28 1996-07-05 Lhd Lab Hygiene Dietetique Système matriciel transdermique d'administration d'un oestrogène et/ou un progestatif à base de copolymère styrène-isoprène-styrène.
AU685673B2 (en) * 1994-09-16 1998-01-22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Patch for external use
JP3496169B2 (ja) * 1994-10-17 2004-02-09 大協薬品工業株式会社 硬膏剤及びその製造法
ES2308789T3 (es) * 1996-12-06 2008-12-0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Parche que contiene felbinaco.
JPH10218793A (ja) * 1997-02-03 1998-08-18 Nichiban Co Ltd 経皮吸収型消炎鎮痛用テープ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316560A (ja) * 1997-05-21 1998-12-02 Toko Yakuhin Kogyo Kk 貼付剤
JP3665473B2 (ja) * 1998-04-28 2005-06-29 東芝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書類データ処理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342130A (ja) 2001-12-11
EP1300143A1 (en) 2003-04-09
CA2380128C (en) 2009-07-07
WO2001091743A1 (fr) 2001-12-06
CN1170530C (zh) 2004-10-13
CA2380128A1 (en) 2001-12-06
ATE359066T1 (de) 2007-05-15
CN1380830A (zh) 2002-11-20
ES2280371T3 (es) 2007-09-16
KR100721748B1 (ko) 2007-05-25
US7094421B2 (en) 2006-08-22
TW577737B (en) 2004-03-01
DE60127839T2 (de) 2008-01-17
JP4648518B2 (ja) 2011-03-09
EP1300143B1 (en) 2007-04-11
AU6067301A (en) 2001-12-11
DE60127839D1 (de) 2007-05-24
EP1300143A4 (en) 2005-12-07
DK1300143T3 (da) 2007-07-09
AU775131B2 (en) 2004-07-15
US20020173736A1 (en) 200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42472B1 (en)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patches for external use containing 4-biphenylylacetic acid
CA2414239C (en) Analgesic anti-inflammatory patch for topical application
US9308187B2 (en) Adhesive patch comprising diclofenac sodium
CA2525470C (en) External patch containing estrogen and/or progestogen
JPH1135458A (ja) ジクロフェナクナトリウム含有油性外用貼付製剤
JP4627945B2 (ja) 経皮吸収製剤
KR100721748B1 (ko) 4-비페닐아세트산을 함유하는 패치
KR100525610B1 (ko) 펠비나크 함유 점착제
JP5584379B2 (ja) 経皮吸収促進剤、及びそれを含む貼付剤
US6620430B2 (en) Plaster containing felbinac
JP2001039864A (ja) フェルビナク含有貼付剤
JP3495733B2 (ja) フェルビナク含有貼付剤
CA2397546C (en) External plaster
JP2887548B2 (ja) 使用性の改善された含水性皮膚外用貼付剤
KR101819247B1 (ko) 펠비낙 함유 경피 흡수 제제
JPH033168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4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