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14818A - 해수 중의 엄빌리컬용 스테인레스강의 용도 - Google Patents

해수 중의 엄빌리컬용 스테인레스강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4818A
KR20020014818A KR1020017016330A KR20017016330A KR20020014818A KR 20020014818 A KR20020014818 A KR 20020014818A KR 1020017016330 A KR1020017016330 A KR 1020017016330A KR 20017016330 A KR20017016330 A KR 20017016330A KR 20020014818 A KR20020014818 A KR 20020014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ilical
tube
umbilicals
tubes
tempera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6078B1 (ko
Inventor
칸가스파시
Original Assignee
레나르트 태퀴스트
산드빅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나르트 태퀴스트, 산드빅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레나르트 태퀴스트
Publication of KR20020014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07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tubular bodies
    • C21D8/1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tubular bodie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16L9/19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Metal Extraction Processes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약품 주입액용 수송 튜브로서, 하이드로릭 플루이드로 충전되는 튜브를 위해, C 최대 0.05%, Si 최대 0.8%, Mn 0.30-1.5%, Cr 28.0-30.0%, Ni 5.80-7.40%, Mo 2.00-2.50%, N 0.30-0.40%, Cu 최대 1.0%, W 최대 2.0%, S 최대 0.010%, 30-70% 페라이트 및 나머지는 오스테나이트로 정의된 조성을 가진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 합금의 용도 또는 적용 엄빌리컬에서의 다른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수 중의 엄빌리컬용 스테인레스강의 용도{USE OF A STAINLESS STEEL FOR UMBILICALS IN SEAWATERS}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강 합금의 용도, 더 한정하면 해저에 배치하기 위한 튜브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한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강 합금의 용도, 더 한정하면 해양에서 석유 및 가스 매장물 개발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 튜브 적용에서 재료는 공격적인 클로라이드 환경에서의 부식 특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및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고, 피로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튜브로 수송되어야하는 수압유체의 형태에 대한 양립성이 우수해야 한다. 이 적용을 위한 튜브는 이음매없는 고온 압출 튜브와 같이 제조된다.
도 1은 해수면 상에 닻을 내린 플랫폼으로부터 나와 해저에 놓인 통상의 엄빌리컬 튜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SAF 2507 및 본 발명에 따른 재료의 변형조절 피로특성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해저에서 석유를 추출할 때에는 해저로부터 석유 매장물까지 구멍을 뚫는다. 해저에, 원유를 처리하고 사용가능한 산물 또는 반가공 산물로 정제하는 장치까지, 원유의 유동 및 연속 수송 제어를 위한 장치가 설치된다. 해저 장치에는,특히, 죔/압력/유속 등을 제어하는 밸브, 및 화학약품을 유정으로 주입할 수 있는 튜브로의 연결장치가 있다. 메틸알콜은 흔히 원유가 응고하여 생산파이프가 원치않게 중단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주입하여 사용된다.
해저 장치의 밸브 및 연결장치는 플랫폼, 생산선박 또는 해수면 또는 육지의다른 장치으로부터 수압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조종된다. 일명 엄빌리컬(탯줄)은 조종 장치과 해저의 장치들을 연결한다. 해저에 놓인, 예를 들어, 상이한 추출장소의 두 해저장치 사이에 놓인 엄빌리컬의 일부는 해양 움직임에 대해 단지 비교적 미미한 크기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적 엄빌리컬이라고 불린다. 해수와 해수면 사이에 위치한 엄빌리컬의 일부는 동적 엄빌리컬이라 불리고, 해수 및 해수면의 움직임에 매우 큰 연장 효과를 받는다. 이러한 움직임의 예로는 해류, 플랫폼/생산선박의 움직임 및 파도가 있다.
도 1은 해수면(3) 상에 닻을 내린 플랫폼(2)으로부터 나와 해저에 놓인 통상의 엄빌리컬 튜브(1)를 나타낸다. 이 엄빌리컬에서, 다수의 튜브(4)는 수력 및 전기적 제어를 위해, 메틸알콜과 같은 화학약품을 주입하기 위한 중앙 튜브와 함께 튜브 다발로 모아진다. 엄빌리컬은 해저 장치의 용도에 따라 배치가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중앙에 메틸알콜을 주입하기 위해 더 큰 튜브가 있고, 그 둘레에 더 얇은 튜브가 감긴다. 종종 엄빌리컬 튜브를 모으고, 그 전체를 배치 및 설치하기 위해 플라스틱 커버(6)가 사용된다.
엄빌리컬 튜브에서 튜브(4,5)에 가장 필요한 것은 내부식성 및 기계적 특성이다. 튜브 재료는 튜브의 외면을 둘러싼 해수에 대해 내부식성이 있어야 하고, 해수는 스테인레스강에 대해 부식작용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이 특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 재료는 오일 스프링에 주입되어야 하는 부식액에 대해 내부식성이 커야한다. 이 물질은 유체를 오염시키지 않고 수압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수압유체에 대해 양립할 수 있어야 한다. 반드시 존재하는 불순물은 해저 제어 장치에서 기능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용된 튜브 재료의 기계적 특성은 적용 엄빌리컬 튜브에서 매우 중요하다. 석유 추출 장소는 상당히 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엄빌리컬의 동적 부분이 길어져 무거워진다. 플랫폼이나 수상 생산선박은 이 무게를 운반해야 하고, 엄빌리컬이 더 가볍게 만들어지면, 사용가능한 네트 리프트는 엄빌리컬을 들어올리는 것과는 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한정된 배치로 엄빌리컬의 중량을 줄이는 두 가지 다른 방법이 있다. 더 가벼운 재료를 선택하거나, 밀도는 같고 항복점 및 장력이 더 높은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다. 고강도 재료를 선택하면 벽이 더 얇은 튜브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엄빌리컬의 총 질량이 감소할 수 있다. 추출 장소인 바다가 깊을수록, 재료의 엄빌리컬 미터 당 총 중량이 더 중요해진다.
우수한 부식 특성 및 고강도 이외에 피로 강도 특성도 우수해야한다. 이것은 특히 해수 및 해상 장치의 움직임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 엄빌리컬의 동적 부분과 관련된다.
엄빌리컬에 대한 일반적인 필요조건은 하기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Fe 함량: 35-55%
PRE(Cr+3.3Mo+16N): 최소 40
장력 항복점 Rp0.2min=650MPa.
장력 강도 Rm=800-1000MPa.
신장 A5 최소 25%
ASTM G48A에 따른 시험 온도 최소 50℃
ASTM G48B에 따른 시험 온도 최소 35℃
용접성
우수한 내피로성
지금까지 가장 흔히 사용되는 엄빌리컬용 재료는 산드빅 SAF 2507이라는 상표로 시판되고, UNS S32750이라는 이름으로 표준화된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이다. 지금까지 이 재료는 내부식성 및 강도에 대한 필요조건을 잘 충족시키는 것으로 입증되어 왔다. 이 강합금은 유럽 특허 EP-A-220141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놀랍게도, 중요한 합금 성분인 Cr, N의 함량 및 초 이중 합금을 얻기 위한 Mo의 적정 함량을 늘리고, 이음매없는 튜브로 고온 압출한 후, 필요한 최종 크기로 냉압연하고, 마지막으로 정확하게 선택된 수준의 온도에서 어닐링함으로써, 증가된 장력 항복점 및 증가된 장력 강도을 가지고, 동시에 우수한 연성 및 우수한 피팅 부식 특성을 유지하는 튜브 재료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엄빌리컬 튜브로 적용 및 비교 실험하기 위한 이러한 종류의 재료는 하기에 상세히 나타낸다.
실시예 1
시험 재료는 170kg 빌릿을 주조하고, 이것들을 직경 126mm의 원형 막대로 고온 단조하고, 48 x 5 mm 크기의 이음매없는 튜브로 고온 압출하고, 31 x 3 mm 크기로 냉간압연하여 제조하였다. 최종 어닐링은 1040℃에서 수행하고, 5분 동안 유지시킨 후 물로 급냉하였다. 조성은 표 1에 나타내었다. 이 합금들은 비교예로서 고려되며, USA 특허 제 5582656호로도 공지된 이러한 재료가 일반적으로 문제가 되는 당해 적용의 필요조건을 따르지 않는다는 것과,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상기한 적용에 대한 필요조건을 얻기 위해 제조시 특정 요건을 가질 필요가 있는 최적화된 변형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재료는 ASTM G48C에 따라 6% FeCl에서 피팅 부식을 시험하였고, 출발 온도는 40℃이고, 피팅 부식이 시작될 때까지 5℃ 간격이었다. 이것이 처음 발생했을 때의 온도를 임계 피팅 부식 온도(Critical Pitting Corrosion Temperature, CPT)라고 한다.
신장 시험도 실온에서 실시하였다. 시험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AOD-제조, 고온 압출, 직경이 126mm인 원형막대로 열간압연, 이음매없는 튜브를 33.2 x 3.5 mm 크기로 압출 및 15.2 x 1.2 mm 크기로 냉간압연하여 재료를 제조하였다. 두가지 상이한 온도, 1020℃ 및 1060℃에서 어닐링하고, 2분간 유지한 후 물로 급냉하였다.
이 재료의 조성은 표 3에 나타내었다. 이 재료의 조성은 본 특허 출원의 범위 내에 있다.
시험 재료의 조성, 중량%
C Si Mn P S Cr Ni Mo N Ca
0.021 0.27 0.90 0.016 0.001 28.80 6.62 2.20 0.38 0.0026
이 재료를 일부는 인공 해수에서 증가된 퍼텐셜로(표 4 참조), 일부는 종종 고합금 스테인레스강 재료의 수용시험에 사용되는 6% FeCl3에서(표 5 참조) 피팅 부식에 대해 시험하였고, ASTM G48 표준으로 구체화하였다. 이 시험에서, 재료는 이의 최종 형상으로 시험하였고, 즉, 필그림 단계 압연 밀에서 압연 및 어닐링하였고, 어닐링 후에는 표면 스트립연마하였다. 시험하기 전에는 내면 및 외면을 더 연마시키지 않았다. 이 결과로부터 이 형상의 재료는 SAF 2507에 대한 이들의 정렬에서 확실히 피팅 부식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이한 최종 어닐링 온도(1020℃ 및 1060℃)를 가진 재료의 +600mV SCE에서 인공 해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엄빌리컬 튜브의 임계 피팅 부식 온도.
시험 CPT(℃)1 CPT(℃)2 CPT(℃)3 CPT(℃)4 CPT(℃)5 CPT(℃)6 CPT(℃)평균 S(℃)
1(1060℃) 75 75 70 75 75 70 73 3
2(1020℃) 65 65 70 65 65 70 67 3
상이한 최종 어닐링 온도(1020℃ 및 1060℃)를 가진 재료의 6% FeCl3(ASTM G48 시험)에서의 엄빌리컬 튜브의 임계 피팅 부식 온도(CPT).
시험 CPT(℃)시험1 CPT(℃)시험2
1(1060℃) 75 75
2(1020℃) 65 65
내경의 크기가 약 10-20 mm인 튜브가 일반적으로 엄빌리컬에 사용된다. 이러한 크기의 강 등급 SAF 2507에서, 650MPa의 장력 항복점 및 850MPa의 장력 강도는 보증될 수 있는 이러한 값들로 사용되므로, 엄빌리컬 상의 설계 계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관련된 상기 강 등급에서 대응 방법으로 제조한 튜브들은 대응 크기와 함께, 놀랍게도 최소 25%의 보유 연성 A와 함께 850MPa 이상의 장력 항복점 및 1000MPa 이상의 장력 강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5 참조).
신장의 최소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1020℃의 최종 어닐링 온도와는 달리, 1060℃의 최종 어닐링 온도는 신장을 위한 최소 요건이 필요조건에 따를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결과는 동일한 적용에서 SAF 2507 튜브에 비해, 튜브 벽을 거의 20-25%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배치내에 12개의 튜브를 가진 2km의 엄빌리컬에 대해, 벽두께를 그렇게 감소시킨다는 것은 총중량이 상당히 많이 감소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1060℃의 어닐링 온도보다 1020℃의 어닐링 온도가 더 바람직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임계 피팅 내부식성은 1060℃에서 어닐링된 재료에서 더 높고, 장력 시험에서 신장 평균도 1060℃에서 어닐링된 재료에서 가장 높았다. 특히, 1020℃에서 어닐링된 재료는 본 발명의 엄빌리컬 재료에 대한 필요조건인 25% 이상의 신장 요건을 통과한 것이 확인될 수 있다. 재료에 대한 적당한 어닐링 온도는 106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40-1080℃의 범위이다.
튜브 재료는 기본 재료로서 유사 조성을 가진 0.8mm TIG-와이어를 가지고 버트에 용접하였다. 용접 하에 보호 가스로서 Ar+3%N2를 사용하였다. 충전 재료에대한 조성은 표 7에 나타내었다.
용접 시험에 사용된 TIG-와이어의 조성.
C Si Mn P S Cr Ni Mo N
0.013 0.23 1.15 0.018 0.001 29.49 8.03 2.51 0.30
출발 온도 40℃ 및 5℃ 간격으로 재료를 ASTM G48C에 따라 장력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튜브 재료에 대해 두 상이한 어닐링 온도를 가진 버트-용접 튜브의 장력 시험 및 피팅 부식 시험 결과(ASTM G48C에 따른 임계 피팅 부식 온도).
CPT(℃) RPO2(MPa) Rm(MPa) A5(%)
1020℃ 40℃ 873 1056 15.3
1060℃ 42.5℃ 859 1057 16.4
재료에 대한 변형조절 피로특성을 연구하고, 다른 고합금 스테인레스강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사인곡선 파장 형태로 부하를 변화시켜 변형을 조절하고 신장 평균 속도를 5x10-3S-1로 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최종 어닐링 및 적용 엄빌리컬 튜브를 위해 잘 최적화된 나머지에 가장 적합한 재료는 C 최대 0.05%, Si 최대 0.8%, Mn 0.30-1.5%, Cr 28.0-30.0%, Ni 5.80-7.40%, N 0.30-0.40%, Cu 최대 1.0%, W 최대 2.0%, S 최대 0.010%, 및 나머지Fe 및 일반적으로 생기는 불순물로 한정된 조성을 가져야 하고, Fe의 함량은 30-70%이고, 나머지는 오스테나이트이다. 최종 냉간압연 후에, 1040-1080℃에서 3-10분 동안 튜브를 최종 어닐링하고, 물로 급냉하였다.
본 발명의 강은 SAF 2507과 동일한 범위의 피로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형조절 피로특성은 재료에서 변형 피로가 일어나기 전에 얼마나 많이 얼마나 자주 재료가 신장되는지를 나타낸다. 엄빌리컬 튜브는 길게 용접되고, 드럼에 감긴 후에 엄빌리컬로 감기기 때문에, 엄빌리컬이 사용되기 전에 다수의 작업 주기가 수행되는 곳에서 어떤 소성 변형이 일어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시작된 변형 피로에 대한 데이터는, 엄빌리컬 튜브에서 변형 피로의 결과로 파손될 위험이 거의 없다는 것을 명시한다.
상기 분석에 따르면, 강은 엄빌리컬 튜브로 적용하기에 알맞은 뛰어난 특성을 포함한다. 이 재료는 PRE-수가 커서 해수 중에서 내부식성이 높고, 엄빌리컬의 상이한 튜브로 수송되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유체와 양립할 수 있다. 재료의 고강도로 인해 오늘날 이 적용에서 가장 통상적인 재료인 SAF 2507에 비해 벽 두께가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엄빌리컬에서 중량을 줄이는 것은 깊은 바다에서 석유를 채굴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일이고, 점점 더 일반화되고 있다.
튜브의 접합용접은 만족스럽게 작동하는데, 이것은 상기 엄빌리컬이 생산될 수 있기 위한 요건이다. 피로특성은 피로 파손이 감소된 변형에 대한 위험이 거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Claims (5)

  1. 화학약품 주입액용 수송 튜브로서, 수압유체로 충전되는 튜브를 위한, C 최대 0.05%, Si 최대 0.8%, Mn 0.30-1.5%, Cr 28.0-30.0%, Ni 5.80-7.40%, Mo 2.00-2.50%, N 0.30-0.40%, Cu 최대 1.0%, W 최대 2.0%, S 최대 0.010%, 30-70% 페라이트 및 나머지는 오스테나이트로 정의된 조성을 가진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 합금의 용도 또는 적용 엄빌리컬에서의 다른 용도.
  2. 제 1항에 있어서,
    750MPa 이상의 이음매없는 튜브의 장력 항복점 및 동시에 25% 이상의 신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금의 용도.
  3. 제 1항에 있어서,
    850MPa 이상의 이음매없는 튜브의 장력 항복점 및 동시에 25% 이상의 신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금의 용도.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 튜브의 형상이 서로 단접되고, 원통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금의 용도.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가 고온압출 후 냉간압연하고 1040-1080℃의 온도에서 3-10분의 유지시간 동안 어닐링시킨 후 물로 급냉시킨 이음매없는 튜브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금의 용도.
KR1020017016330A 1999-06-21 2000-06-13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 합금으로 제조된 엄빌리컬 Expired - Fee Related KR1007060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902346A SE9902346L (sv) 1999-06-21 1999-06-21 Användning av en rostfri stållegering såsom umbilicalrör i havsmiljö
SE9902346-7 1999-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818A true KR20020014818A (ko) 2002-02-25
KR100706078B1 KR100706078B1 (ko) 2007-04-11

Family

ID=20416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330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6078B1 (ko) 1999-06-21 2000-06-13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 합금으로 제조된 엄빌리컬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6689231B1 (ko)
EP (1) EP1214457B1 (ko)
JP (1) JP4808878B2 (ko)
KR (1) KR100706078B1 (ko)
AT (1) ATE278048T1 (ko)
AU (1) AU775477B2 (ko)
BR (1) BR0011689A (ko)
CA (1) CA2377398C (ko)
DE (1) DE60014407T2 (ko)
ES (1) ES2230119T3 (ko)
HK (1) HK1047604A1 (ko)
MX (1) MXPA01013329A (ko)
NO (1) NO332573B1 (ko)
NZ (1) NZ516142A (ko)
RU (1) RU2247171C2 (ko)
SE (1) SE9902346L (ko)
WO (1) WO2000079017A1 (ko)
ZA (1) ZA20011015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351B1 (ko) * 2002-07-30 2004-12-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체결력과 고착방지성이 우수한 패스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3530A1 (en) 1999-05-27 2000-12-07 Sandvik Ab; (Publ) Surface modification of high temperature alloys
SE514816C2 (sv) * 2000-03-02 2001-04-30 Sandvik Ab Duplext rostfritt stål
SE524951C2 (sv) * 2001-09-02 2004-10-26 Sandvik Ab Användning av en duplex rostfri stållegering
GB2395539B (en) * 2002-11-20 2005-08-17 Coflexip Umbilical
SE527175C2 (sv) * 2003-03-02 2006-01-17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Duplex rostfri ställegering och dess användning
FR2875285B1 (fr) * 2004-09-13 2006-11-03 Technip France Sa Canalisations flexibles a conduites multiples preservees de la corrosion
SE528782C2 (sv) * 2004-11-04 2007-02-13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Duplext rostfritt stål med hög sträckgräns, artiklar och användning av stålet
NO2456948T3 (ko) * 2009-07-23 2018-03-24
CN103443318B (zh) * 2011-03-24 2015-11-25 新日铁住金株式会社 奥氏体系合金管及其制造方法
JP5924256B2 (ja) * 2012-06-21 2016-05-2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食性に優れた油井用高強度ステンレス鋼継目無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13110743B4 (de) * 2013-09-27 2016-02-11 Böhler Edelstahl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uplexstahles
GB2525609B (en) 2014-04-28 2017-04-19 Acergy France SAS Riser system with gas-lift facility
RU2698235C1 (ru) * 2016-09-02 2019-08-23 ДжФЕ СТИЛ КОРПОРЕЙШН Двухфазная нержавеющая сталь и способ её изготовления
GB2554087B (en) * 2016-09-19 2020-01-01 Equinor Energy As Sacrificial anode protection of a subsea umbilical
MX2019008238A (es) 2017-01-10 2019-09-13 Jfe Steel Corp Acero inoxidable dúplex y método para la producción del mismo.
US11339900B2 (en) 2017-02-13 2022-05-24 Webco Industries, Inc. Work hardened welds and methods for same
EP4425025A1 (en) 2017-02-13 2024-09-04 Webco Industries, Inc. Work hardened welds and methods for same
EP3752654B1 (en) * 2018-02-15 2025-02-12 Alleima Tube AB New duplex stainless steel
JP7277484B2 (ja) * 2018-06-15 2023-05-19 エービー サンドビック マテリアルズ テクノロジー 二相ステンレス鋼ストリップ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CN110284056B (zh) * 2019-06-17 2021-02-09 南阳汉冶特钢有限公司 一种耐腐蚀海洋平台用钢板及其生产方法
WO2020260299A1 (en) * 2019-06-24 2020-12-30 Ab Sandvik Materials Technology A laying head pipe
CN113798727A (zh) * 2020-06-12 2021-12-17 江苏立新合金实业总公司 高强合金钢焊丝及其制备方法
WO2025012182A1 (en) * 2023-07-07 2025-01-16 Alleima Tube Ab A duplex stainless steel and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13157A (en) * 1974-10-28 1978-06-07 Langley Alloys Ltd Corrosion resistant steels
SE453838B (sv) 1985-09-05 1988-03-07 Santrade Ltd Hogkvevehaltigt ferrit-austenitiskt rostfritt stal
SU1571099A1 (ru) * 1988-08-05 1990-06-15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черной металлургии им.И.П.Бардина Коррозионно-стойка сталь
JPH04198456A (ja) * 1990-11-28 1992-07-17 Nippon Steel Corp 自動車モール材用フェライト・オーステナイト2相ステンレス鋼
JP3227734B2 (ja) * 1991-09-30 2001-11-1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耐食二相ステンレス鋼とその製造方法
SE501321C2 (sv) * 1993-06-21 1995-01-16 Sandvik Ab Ferrit-austenitiskt rostfritt stål samt användning av stålet
US5584656A (en) * 1995-06-28 1996-12-17 The Scott Fetzer Company Flexible impeller for a vacuum cleaner
JPH09262685A (ja) * 1996-03-29 1997-10-07 Sumitomo Metal Ind Ltd ステンレス鋼の接合方法
NO303917B1 (no) * 1996-09-05 1998-09-21 Alcatel Kabel Norge As Undersjöisk ledning omfattende et antall fluid/gass-förende stålrö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351B1 (ko) * 2002-07-30 2004-12-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체결력과 고착방지성이 우수한 패스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77398A1 (en) 2000-12-28
AU775477B2 (en) 2004-08-05
CA2377398C (en) 2009-12-15
SE9902346D0 (sv) 1999-06-21
ZA200110151B (en) 2003-07-30
RU2247171C2 (ru) 2005-02-27
EP1214457A1 (en) 2002-06-19
RU2002100638A (ru) 2004-01-20
US6689231B1 (en) 2004-02-10
JP4808878B2 (ja) 2011-11-02
WO2000079017A1 (en) 2000-12-28
DE60014407T2 (de) 2005-03-03
KR100706078B1 (ko) 2007-04-11
AU5860500A (en) 2001-01-09
NO20003197L (no) 2000-12-22
HK1047604A1 (zh) 2003-02-28
NO332573B1 (no) 2012-11-05
SE513235C2 (sv) 2000-08-07
NZ516142A (en) 2004-01-30
EP1214457B1 (en) 2004-09-29
MXPA01013329A (es) 2002-08-20
BR0011689A (pt) 2002-03-05
DE60014407D1 (de) 2004-11-04
ATE278048T1 (de) 2004-10-15
JP2003502506A (ja) 2003-01-21
ES2230119T3 (es) 2005-05-01
SE9902346L (sv) 2000-08-07
NO20003197D0 (no) 2000-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14818A (ko) 해수 중의 엄빌리컬용 스테인레스강의 용도
CA2397592C (en) Duplex stainless steel
US11408049B2 (en) Cold rolled steel wire, method and reinforcement of flexible conduits
Francis et al. Effects of cathodic protection on duplex stainless steels in seawater
Galakhova et al.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SCC testing of corrosion‐resistant alloys
Woollin et al. Hydrogen embrittlement stress corrosion cracking of superduplex stainless steel
Woollin et al. Avoiding hydrogen embrittlement stress cracking of ferritic austenitic stainless steels under cathodic protection
EP2228578A1 (en) High nitrogen stainless steel wire for flexible pipe
Asahi et al. Pipe production technology and properties of X120 linepipe
Shitamoto et al. Effect of full-and small-scale reeling simulation on mechanical properties of weldable 13Cr seamless line pipe
Wilms et al. Cracking behavior of 17Cr OCTG in mildly sour production environments
Plesiutschnig et al. Alloy A975 resistant to severe sour environments and to hydrogen embrittlement
Kivisäkk et al. UNS N08935–a New Versatile Grade for O&G
Caron et al. Sour Gas and Hydrogen Embrittlement Resistance of High-Strength UNS N07022 Alloy for Oil and Gas Applications
Gittos et al. Failure of an AISI 8630-Mod low alloy steel to C-Mn steel dissimilar metal weld, made using nickel alloy UNS N06625 welding consumables
JP2009174217A (ja) 拡管性に優れる油井用ステンレス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Tadama et al. The Superiority of Super 13Cr Stainless Steels Alloys over the other Corrosion Resistance Alloys (CRAs) in the Oil and Gas Industry: A Review
Schmidt et al. Non-standard HIC and SSC testing under more severe test conditions
Ovbije STATE OF STUDY ON THE ELASTIC AND PLASTIC BEHAVIOUR OF STEEL IN CONTACT WITH SOUR WELLBORE FLUID
Pohjanne et al. Crevice corrosion induced SSC of 25Cr tungsten alloyed super duplex stainless steel tubing exposed to H2S/CO2 sour environment
Miyasaka et al. Full Scale Evaluation of OCTG and Line Pipes in High Pressure Sour Environments
An et al. Super Duplex/Duplex Stainless Steel Umbilical Tube Resistance to HISC
Estberger et al. High Alloy Duplex Stainless Steel For Cost-Effective Subsea Developments
Rafael Reyes et al. Study of the Corrosion Performance of High Mechanical Strength Alloys Submerged Under Lake Maracaibo Brackish Water
JPH02205658A (ja) 耐h↓2s性および耐海水腐食性に優れた二相ステンレス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506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6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4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4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