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9200A -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09200A KR20020009200A KR1020000042731A KR20000042731A KR20020009200A KR 20020009200 A KR20020009200 A KR 20020009200A KR 1020000042731 A KR1020000042731 A KR 1020000042731A KR 20000042731 A KR20000042731 A KR 20000042731A KR 20020009200 A KR20020009200 A KR 200200092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chine room
- air
- blower fan
- fan
- refrigerato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title 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실의 냉각효율이 향상되고, 소비전력 및 소음이 저감된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실 방열구조는,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 및 응축기 등의 구성부품들이 설치되는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의 배면에 체결되어 상기 기계실을 개폐하고, 외부공기가 기계실 내부로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배면커버와; 상기 기계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계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회전시 공기를 흡입하는 입구부가 상기 흡입구와 대향하도록 비스듬이 설치된 송풍팬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기계실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어, 기계실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요구되는 풍량에 대한 송풍팬의 회전수를 줄일 수 있어, 소비전력을 절감하고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기계실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의 방열을 위한 냉장고의 기계실 냉각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본체의 후측 하부에는 기계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에는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부품들 중 증발기를 제외한 나머지 주요부품들이 설치되며,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기 기계실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종래의 냉장고 기계실의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C)의 일측에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압의 액체상태로 만드는 압축기(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의 일측에는 증발기(미도시)에서 열교환하여 상대적으로 고온화된 냉매의 열을 방출하는 응축기(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2) 일측에는 팬가이드(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팬가이드(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송풍팬(4)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기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팬가이드(3)의 중앙부에는 송풍팬(4)이 설치되는 통공(3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압축기(1)와 응축기(2)는 작동과정에서 열을 방출한다. 즉, 상기 압축기(1)는 냉매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응축기(2)에서는 냉매의 열을 방열하는 과정에서 열이 방출된다. 따라서 기계실(C)에 설치된 부품들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계실(C)의 일측에 송풍팬(4)이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기계실(C) 냉각에 사용되는 송풍팬(4)은 축류팬이 사용된다. 이러한 축류팬은 공기를 회전축방향으로 흡입하여, 회전축방향으로 토출시키도록 설계된 팬을 말하며, 회전시 블레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회전면 중 일측은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부가 되고, 반대편은 공기가 토출되는 출구부가 된다.
상기 송풍팬(4)은 상술한 팬가이드(3)의 통공(3a) 상에 위치하여, 공기를 토출시키는 출구부가 상기 응축기(2)와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회전축이 일측에 설치된 팬모터(5)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4)은 팬모터(5)의 구동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에 위치한 압축기(1) 및 응축기(2)를 향해 토출시킴으로써 기계실(C)의 방열을 위한 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기계실(C)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배면에 체결되는 배면커버(6)에 의해 그 내부가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배면커버(6)가 체결된 상태에서는 기계실(C) 내부는 외부와 차단되는 것이다. 상기 배면커버(6)에는 상기 송풍팬(4)의 입구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상기 송풍팬(4)의 구동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구(6a)와 반대되는 측면에는 상기 기계실(C) 내부를 유동하며 상기 부품들로부터 방출된 열을 흡수한 공기가 기계실(C)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6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기계실(C)의 냉각구조를 살펴보면, 냉장고가 가동함에 따라 상기 압축기(1) 및 응축기(2)에서 열이 발생하면, 이러한 열을 방출하기 위해 상기 송풍팬(4)이 작동하게 된다. 즉, 상기 팬모터(5)의 구동에 의해 송풍팬(4)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2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배면커버(6)의 흡입구(6a)를 통해 흡입된다. 이와 같이 흡입된 공기는 상기 응축기(2)와 압축기(1)를 차례로 거치면서 이들에서 발생한 열을 흡수하고, 상기 토출구(6b)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계실(C) 냉각구조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계실(C)의 냉각구조에 사용되는 송풍팬(4)은 축류팬이 사용되며, 이러한 축류팬은 입구부에 정면으로 대향하는 부분에 대한 흡입력이 가장 높다.
그러나 종래의 기계실(C) 내부구조에서 상기 송풍팬(4)의 설치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송풍팬(4)의 입구부가 상기 배면커버(6)의 흡입구(6a)와 수직한 방향에 놓이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팬(3)의 회전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과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방향이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송풍팬(3)의 회전수에 비해 적은 양의 공기가 흡입될 수 밖에 없어, 결과적으로 상기 송풍팬(3)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양 또한 적어지게 되므로, 그만큼 기계실(C)의 냉각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풍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송풍팬(3)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면, 상기 송풍팬(3)의 회전속도와 팬모터(4)의 과부하로 인해 소음이 상승하게 되어, 조용함을 원하는 사용자의 불만족사항이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응축기(2)의 형상은 다수번 절곡된 냉매관에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핀이 삽입된 형태의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응축기(2)를 향하여 상기 송풍팬(4)으로부터 공기가 토출되면, 공기가 상기 응축기(2)에 부딪히면서 상기와 같은 복잡한 구성에 의해 분산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응축기(2) 후방에 위치한 압축기(1)에 전달되지 못하고 상기 압축기(1) 주위로 빠져나가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상기 압축기(1)의 냉각효율에 손실로 작용하는 문제점 또한 지적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냉각효율이 향상된 냉장고의 기계실 냉각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음이 저감된 냉장고의 기계실 냉각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 기계실 구조가 도시된 개략배면도.
도 2는 종래의 냉장고 기계실 방열구조가 도시된 개략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개략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팬가이드 12 : 송풍팬
13 : 팬모터 14 : 에어가이드
15 : 배면커버 15a : 흡입구
15b : 토출구 C : 기계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실 방열구조는,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 및 응축기 등의 구성부품들이 설치되는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의 배면에 체결되어 상기 기계실을 개폐하고, 외부공기가 기계실 내부로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배면커버와; 상기 기계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계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회전시 공기를 흡입하는 입구부가 상기 흡입구와 대향하도록 비스듬이 설치된 송풍팬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기계실 내부에는 상기 송풍팬유니트의 회전에 의한 기류가 상기 구성부품들을 향해 형성되도록 안내하는 에어가이드가 설치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기계실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어, 기계실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요구되는 풍량에 대한 송풍팬의 회전수를 줄일 수 있어, 소비전력을 절감하고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하는 과정에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기계실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C)의 일측에는 기계실(C) 내부를 통과하는 기류의 유로를 형성하고, 이러한 기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팬가이드(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팬가이드(11) 일측에 압축기(1)와 응축기(2) 등의 기계부품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팬가이드(11)는 특징적으로 그 일측면이 기계실(C)의 배면을 적정 수준 대향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팬가이드(11)의 중앙부에는 통공(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11a) 상에 기계실(C)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1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송풍팬(12)은 축류팬으로서, 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회전면 중 일측이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부가 되고, 반대편이 공기가 토출되는 출구부가 된다.
상기 송풍팬(12)은 상기 팬가이드(11)의 설치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비스듬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송풍팬(12)은 회전시 입구부가 되는 부분이 일정 정도 기계실(C)의 배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12)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에 의한 흡입력이 일정 정도 기계실 배면을 향해 작용하게 된다. 상기 송풍팬(12)은 그 회전축이 상기 송풍팬(12) 일측에 설치된 팬모터(13)와 연결되어, 상기 팬모터(13)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송풍팬(12)의 출구부 정면에는 증발기(미도시)에서 열교환하여 상대적으로 고온상태인 냉매의 열을 방출시키는 응축기(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응축기(2) 또한 상기 송풍팬(12)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정면에서 받을 수 있도록 비스듬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기(2) 일측에는 냉매를 압축시켜 고압의 액체상태로 변환시키는 압축기(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2)의 양측 및 상기 응축기(2)와 압축기(1) 사이에는 상기 송풍팬(12)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기류를 안내하는 에어가이드(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14)는 상기 송풍팬(11)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응축기(2)측으로 유도하고, 상기 응축기(2)를 통과하며 분산되는 공기가 상기 압축기(1)측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기계실(C)의 배면에는 상기 기계실(C)을 개폐하는 배면커버(15)가 체결되어 있다. 상기 배면커버(15)는 체결시 그 내측면이 상기 팬가이드(11)의 일측면에 밀착되게 되며, 상기 배면커버(15) 또한 상기 팬가이드(11)에 의해 상기 송풍팬(12)의 입구부에 해당하는 부분과, 출구부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나뉘어지게 된다.
상기 배면커버(15)에는 상기 송풍팬(11)의 입구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구(15a)는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상기 팬가이드(11)가 비스듬이 설치됨으로 인해 종래에 비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면커버(15)에는 상기 송풍팬(12)의 출구부에 해당하는 부분 일측에 기계실(C) 내부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1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작동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냉장고가 가동하면, 냉기를 생성하기 위한 냉동사이클이 구현되면서, 기계실(C)에 설치된 압축기(1) 및 응축기(2) 등에서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발열하는 부품들을 냉각시키기 위해 송풍팬(12)이 가동된다. 즉, 팬모터(13)의 구동에 의해 상기 송풍팬(12)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흡입구(15a)를 통하여 외부공기가 흡입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송풍팬(12)의 입구부가 상기 흡입구(15a)를 일정 정도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도 3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송풍팬(12)의 회전에 의한 흡입력이 상기 흡입구(15a)를 향해 직접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상기 흡입구(15a)를 통해 많은 양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5a) 또한 종래에 비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공기의 흡입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상기 송풍팬(11)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12)의 출구부를 통해 상기 압축기(1)와 응축기(2)측으로 토출되게 된다. 이 때 토출된 공기는 도 3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응축기(2)에 부딪혀 상기 응축기(2)를 냉각시키며 분산되었다가, 상기 에어가이드(14)에 의해 상기 압축기(1)에 집중되도록 안내되어, 상기 압축기(1) 또한 조속히 냉각시키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상기 기계실(C)을 통과하며 열을 흡수한 공기는 상기 배면커버(15)의 토출구(15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계실(C)의 방열을 위한 송풍팬(12)을 그 회전에 의한 흡입력이 흡입구(15a)를 향해 작용하도록 설치함으로써, 기계실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켜 기계실(C)의 냉각효율이 향상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본 발명은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이 공기를 흡입하는 입구부가 흡입구를 향하도록 비스듬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의 회전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되어, 결과적으로 기계실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의 양이 많아지게 되므로, 기계실의 냉각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이 비스듬이 설치됨으로 인해, 부가적으로 흡입구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기계실 내부에 많은 양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기계실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의 양이 증가됨으로 인해, 종래와 비교했을 때 요구되는 풍량에 대한 상기 송풍팬의 회전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소비전력이 절감되는 효과와 함께, 기계실의 소음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기계실 내부에는 기계실 내부를 통과하는 기류가 효율적으로 형성될수 있도록 에어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송풍팬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기류가 열이 발생하는 부품들을 향해 집중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흡입되는 공기를 손실없이 냉각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가이드의 설치를 통해서도 기계실의 냉각효율 향상과 상기 송풍팬의 회전수 저감에 따른 소음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 및 응축기 등의 구성부품들이 설치되는 기계실과;상기 기계실의 배면에 체결되어 상기 기계실을 개폐하고, 외부공기가 기계실 내부로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배면커버와;상기 기계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계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회전시 공기를 흡입하는 입구부가 상기 흡입구와 대향하도록 비스듬이 설치된 송풍팬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 내부에는 상기 송풍팬유니트의 회전에 의한 기류가 상기 구성부품들을 향해 형성되도록 안내하는 에어가이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42731A KR20020009200A (ko) | 2000-07-25 | 2000-07-25 |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42731A KR20020009200A (ko) | 2000-07-25 | 2000-07-25 |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09200A true KR20020009200A (ko) | 2002-02-01 |
Family
ID=19679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42731A KR20020009200A (ko) | 2000-07-25 | 2000-07-25 |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09200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13948A2 (en) * | 2009-07-30 | 2011-02-03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KR101483591B1 (ko) * | 2007-09-14 | 2015-01-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KR20220162341A (ko) | 2021-06-01 | 2022-12-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가전제품 |
-
2000
- 2000-07-25 KR KR1020000042731A patent/KR2002000920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3591B1 (ko) * | 2007-09-14 | 2015-01-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WO2011013948A2 (en) * | 2009-07-30 | 2011-02-03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WO2011013948A3 (en) * | 2009-07-30 | 2011-12-08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KR20220162341A (ko) | 2021-06-01 | 2022-12-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가전제품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50118506A (ko) | 일체형 공기조화기 | |
KR100506605B1 (ko) | 냉장고 | |
KR100220727B1 (ko) | 일체형 공기조화기 | |
KR20090114044A (ko) | 냉장고 | |
KR20020009200A (ko) |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구조 | |
JP2006090297A (ja) | シロッコファン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 |
KR100186446B1 (ko) | 냉장고의 방열방법 및 그 장치 | |
KR20020013327A (ko) |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구조 | |
KR20110083913A (ko) | 냉장고 | |
KR100399323B1 (ko) | 창문형 에어컨 | |
US7930897B2 (en) | Window type air conditioner | |
KR100600713B1 (ko) | 냉장고용 원심팬 | |
KR100579572B1 (ko) | 공기조화기 | |
KR100311467B1 (ko) | 냉장고기계실의공기유로구조 | |
KR0122718Y1 (ko) |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토출장치 | |
KR100594421B1 (ko) | 냉장고 기계실의 공기순환모터 장착구조 | |
KR20050118503A (ko) | 일체형 공기조화기 | |
KR100370062B1 (ko) | 냉장고기계실의 방열구조 | |
KR20010080791A (ko) | 냉장고의 기계실 공기유동구조 | |
JP3211551B2 (ja) | 冷凍冷蔵庫 | |
WO2005040686A2 (en) | Window type air conditioner | |
KR100613497B1 (ko) | 냉장고의 냉기순환용 송풍장치 | |
KR200246910Y1 (ko) | 온수보일러용순환펌프 | |
KR100477313B1 (ko) | 공조용송풍장치의하우징구조 | |
KR200175390Y1 (ko) | 패키지 에어컨 실내기용 송풍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72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