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08060A - 여과기 - Google Patents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8060A
KR20020008060A KR1020010043095A KR20010043095A KR20020008060A KR 20020008060 A KR20020008060 A KR 20020008060A KR 1020010043095 A KR1020010043095 A KR 1020010043095A KR 20010043095 A KR20010043095 A KR 20010043095A KR 20020008060 A KR20020008060 A KR 20020008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medium
medium
connecting member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4232B1 (ko
Inventor
이또고이찌
아라이다까시
가모히데오
Original Assignee
교산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산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산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08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8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2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B01D35/0273Filtering elements with a horizontal or inclined rotation or symmetry axis submerged in tank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4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with cartridges made of a piece of unitary material, e.g. filter paper
    • B01D27/06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with cartridges made of a piece of unitary material, e.g. filter paper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34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by the filter structure, e.g. honeycomb, mesh or fibr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50Filters arranged in or on fuel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여과기는, 적어도 대향하는 2 면을 형성하는 여과재 (濾材) 와, 이 여과재에 의해 에워싸이고, 액체가 머무는 내부공간과, 이 내부공간와 외부를 연결시키는 내부공간의 액체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연결부재로 이루어지고, 액체가 감재 (憾材) 를 통과함으로써 액체중의 이물을 제거하고, 이물이 제거된 액체를 연결부재를 통하여 송출한다. 그리고, 상기 여과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여과기{FILTER}
본발명은, 여과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용의 연료탱크내에 설치되는 인탱크식 연료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자동차용의 연료탱크내에 설치되는 인탱크식 연료여과기의 관련기술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본발명은, 이 인탱크식 연료여과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6 은 자동차에 탑재되는 연료탱크이며, 이 연료탱크 (1) 내에는, 연료분사장치 (4) 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펌프 (3) 가 배치된다. 또한 이 연료펌프 (3) 의 상류측인 연료흡입측에는, 연결부재 (7) 를 통하여 연료여과기 (2) 가 장착되어 있다.
도 17 은, 이 연료여과기 (2) 를 상세하게 나타낸다. 연료여과기 (2) 는, 연결부재 (7) 를 통하여 연료펌프 (3) 에 연결됨과 동시에, 이 연료여과기 (2) 의 타단은, 연료탱크 (1) 의 저벽 (9) 에 맞닿아 있고, 이것에 의해 연료가 저위 (低位) 로 되어도 충분히 연료를 빨아 올릴 수 있다.
이 연료여과기 (2) 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구멍이 뚫린 메쉬 (mesh) 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여과재 (5) 와, 그 내부에 배치되는 프로텍터 (6) 로 이루어진다. 이프로텍터 (6) 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여과재 (5) 끼리의 밀착을 방지한다.
이러한 인탱크식 연료여과기 (2) 는, 내부에 프로텍터 (6) 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여과재 (5) 끼리의 밀착을 방지하고, 내부공간 (8) 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연료여과기 (2) 의 여과재 (5) 를 연료탱크 (1) 의 저벽 (9) 에 밀착하여 설치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연료여과기 (2) 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프로텍터 (6) 를 형성한 분만큼 중량이 무겁게 되고, 또한 코스트가 높게된다.
프로텍터 (6) 의 강성을 이용하여 연료여과기 (2) 를 연료탱크 (1) 의 저벽(9) 에 밀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여과재 (5) 가 마모하기 쉽고, 내구성의 면에서 난점이 있었다. 또한, 펌프의 진동이 프로텍터를 통하여 전달되고, 이음으로서 인체에 불쾌감을 주고 있었다.
또한, 프로텍터 (6) 로서 합성수지의 성형품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연료에 침적하였을 때에 휘어짐 등의 변형이 생기고, 이 변형에 의해 여과재 (5) 도 변형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여과재 (5) 의 내구성을 떨어뜨리고 있었다.
또, 프로텍터 (6) 의 각부분이 연료탱크 (1) 의 저벽에 접촉하는 부분에서 여과재 (5) 를 문질러, 그 마모를 빠르게 하여 파손할 염려가 있었다.
또한, 여과면적이 한정된 것 뿐만아니라 여과면적을 크게하여 수명의 증대를 도모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어떻게 하여도 대형화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발명의 목적은, 상기 인탱크식 연료여과기와 같은 액체용 여과기가 갖는 결점을 개선하여, 저코스트이며, 내구성이 높고,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 여과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발명의 제 1 의 상태인 여과기는, 적어도 대향하는 2면을 형성하는 여과재와, 상기 여과재에 의해 에워싸이고, 액체가 머무는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결시키는 내부공간의 액체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연결부재로 이루어지고, 액체가 여과재를 통과함으로써, 액체중의 이물을 제거하고, 이물이 제거된 액체를 연결부재를 통하여 송출한다. 그리고, 상기 여과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복수개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프로텍터가 없어도 충분한 내부공간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여과면적을 증대할 수 있다.
도 1 은 본발명의 실시예 1 의 여과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Ⅱ-Ⅱ선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발명의 실시예 1 의 여과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발명의 실시예 2 의 여과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발명의 실시예 2 의 여과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발명의 실시예 3 의 여과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발명의 실시예 3 의 변형여과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발명의 실시예 4 의 여과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발명의 실시예 4 의 여과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 은 본발명의 실시예 5 의 여과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 은 본발명의 실시예 5 의 변형여과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 는 본발명의 실시예 6 의 여과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 은 본발명의 실시예 7 의 여과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 는 본발명의 실시예 8 의 여과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 는 본발명의 실시예 8 의 변형여과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 은 관련기술인 인탱그식 연료여과기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 은 관련기술인 인탱크식 연료여과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탱크 2 : 연료여과기
3 : 연료펌프 4 : 연료분사장치
5 : 여과재 6 : 프로텍터
7 : 연결부재 8 : 내부공간
9 : 저벽 10 : 연료여과기
11 : 상측여과재 12 : 하측여과재
13 : 연결부재 14 : 내부공간
15,16 : 요철 17,18 : 딤플
30 : 둘레가장자리 35 : 완충제
도 1, 도 2 및 도 3 은, 본원발명의 실시예 1 에 관련되는 여과기를 나타낸다. 도 1 은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Ⅱ-Ⅱ선의 단면도, 도 3 은 평면도이다.
본발명을 인탱크식 연료여과기로서 설명하면,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의 연료여과기 (10) 는, 연결부재 (13) 를 통하여 연료탱크내에 설치되는 연료펌프의 상류측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료여과기 (10) 는, 상측여과재 (11) 및 하측여과재 (12) 로 이루어지고, 양 여과재는, 여과지 (濾紙) 또는 부직포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양 여과재 (11,12) 의 둘레 가장자리부 (30) 는, 초음파 용융접착 또는 전기 용융접착 응의 용융접착 수단에 의해 용융접착, 또는, 접착제등에 의해 접착되고, 그 내부에 내부공간 (14) 을 형성한다.
상기 양 여과재 (11,12) 에는, 절곡 등의 수단에 의해 복수개의 요철 (15,16) 이 형성됨과 동시에, 도 1 및 도 2 로부터 명확하듯이 양 요철 (15,16) 의 내방향측 선단부 (15',16') 의 맞닿음 개소는 단지 맞닿하는 것만으로도 되지만, 보다 강고하게 하기 위해서는, 열용융접착 또는 접착제 등으로 결합한다. 그런데, 본원 명세서중에서의 용어 「접합」은, 단지 맞닿음 및 열용융접착 등의 결합을 포함하는 용어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측여과재 (11) 의 중심부에는, 요철이 없는 중앙내부공간 (14') 이형성됨과 동시에, 이 중앙내부공간 (14') 의 상측여과재 (11) 에는, 연결부재 (13) 가 열용융접착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되고, 그 연결부재 (13) 의 타단은, 연료펌프에 연결된다.
또, 상기 양 요철 (15,16) 의 내측 선단부 (15',16') 의 어긋남각은 90도로서 도시하고 있지만, 여과기내부에 침입한 모든 연료가, 연결부재 (13) 가 연결되는 중앙 내부공간 (14') 까지 흐를 수 있는 범위로 그 교차각도를 작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양 요철 (15,16) 의 내외측 선단부 (15',16') 는, 평면에서 보아 직선이지만, 곡선 또는 지그재그형상이어도 되고, 여과재의 형상에 관해서도 직사각형에 한정되는 일없이 정방형, 원형 등의 형상이어도 된다.
또, 상기 부직포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레이온, 유리, 아세테이트 등을 이용한 원료섬유와, 표면에 저융점의 수지, 예를 들면 변성폴리에스테르, 변성폴리에테렌, 변성폴리프로필렌 등을 코팅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레이온, 유리, 아세테이트등으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이용한 접착섬유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연료여과기 (10) 는, 여과지 또는 부직포 만으로 형성하였다고 하여도 강고한 것으로 되고, 또한 요철을 복수개형성하는 것에 의해 그 표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요철에 의해 내부공간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여과재 (11,12) 전체로부터 내부공간 (14) 에 침입한 연료는, 빠르게 중앙 내부공간 (14') 으로 흐르고, 결과적으로 연료펌프의 흡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여과재 (12) 의 요철의 외측선단부의 복수 개소에는, 굳어진 접착제, 플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완충제 (35) 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여과재 (12) 와 연료탱크의 저벽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하측여과재 (12) 가 직접연료탱크의 저벽에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하측여과재 (12) 의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하고 있다. 또, 이 완충제 (35) 는,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에 관련하는 여과기를 나타낸다. 도 4 는, 도 5 의 Ⅳ-Ⅳ선의 단면도, 도 5 는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 2 는, 실시예 1 의 복수개의 요철 대신에 복수개의 딤플을 채용한 것이며, 그 외에 대해서는, 실시예 1 과 같다.
즉, 여과지 또는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평판상의 여과재에 대하여 돌기물로 가압하는 등의 수단에 의해 원추형상의 함몰인 복수개의 딤플 (17,18) 을 형성하여, 그 직사각형형상의 여과재를 상측여과재 (11) 및 하측여과재 (12) 로서 이용한다.
그리고, 일방의 여과재 (11(12)) 의 딤플 (17(18)) 의 선단부 (17'(18')) 가 타방의 여과재 (12(11)) 의 내면에 맞닿도록 포개고, 둘레가장자리부 (30) 는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맞닿음부에 열용융접착 또는 접착제 등을 실시하여, 그것들의 개소를 결합한다.
또, 상기 맞닿음부를 몇 개소, 또는 어떠한 방향에 형성하였다고 하여도, 도5 로부터 명확하듯이 내부공간 (14) 에 침입한 모든 연료는, 원활하게 중앙 내부공간 (14') 을 통하여 연결부재 (13) 로 흐른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내부공간 (14) 은 약간 작게 되지만, 소형이며 튼튼한 여과기가 얻어진다.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에 관련하는 여과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 3 은, 실시예 2 와 같이 복수개의 딤플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한쪽의 여과재 만에 복수개의 딤플을 형성한 것이고, 그 외에 대해서는, 실시예 2 와 같다.
도 6 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상측여과재 (11) 에 복수개의 딤플 (17) 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딤플 (17) 의 선단부 (17') 를 하측여과재 (12) 의 내면에 맞닿게 하여, 필요에 따라서 상기 맞닿음부와 둘레가장자리부 (30) 를 열용융접착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한다.
또한, 도 7 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하측여과재 (12) 에 복수개의 딤플 (18) 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딤플 (18) 의 선단부 (18') 를 상측여과재 (11) 의 내면에 맞닿게 하여, 둘레가장자리부 (30) 는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맞닿음부를 열용융접착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한다.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실시예 2 의 것과 비교하여 강도적으로는 약간 뒤떨어지지만, 내부공간을 보다 넓게 할 수가 있다.
도 8 및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 4 에 관련하는 여과기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9 의 Ⅷ-Ⅷ선의 단면도, 도 9 는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 4 는, 실시예 2 와 같이 복수개의 딤플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딤플선단부의 맞닿음부에 대해서 다르고, 그외에 대해서는, 실시예 2 와 같다.
즉, 상측여과재 (11) 및 하측여과재 (12) 에 동수 및 대략 동일형상의 딤플 (17,18) 을 거의 동일위치에 형성하여, 그것들 딤플 (17,18) 의 선단부 (17',18') 를 맞닿게 하여, 둘레가장자리부 (30) 는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맞닿음부를 열용융접착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여과기 (10) 로서의 높이는 높게 되지만, 실시예 2, 3 과 비교하여 내부공간 (14) 을 크게 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5 에 관련하는 여과기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 5 는, 상측여과재 (11) 및 하측여과재 (12) 의 형상을 연결부재 (13) 를 대략 중심으로 한 원형으로 함과 동시에, 상기 양 여과재 (11,12) 의 적어도 일방에 복수개의 요철을 방사형상으로 형성한다.
도 10 의 실시예는, 상측여과재 (11) 및 하측여과재 (12) 를 동일형의 대략 원형으로 하고, 그 중심부에 연결부재 (13) 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측여과재 (11) 만에 방사형상으로 복수개의 요철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측여과재 (11) 에 형성하는 요철중, 내측선단부 (17') 는, 도 4 및 도 6 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같이 하측여과재의 내면에 맞닿고, 필요에 따라서 열용융접착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된다. 또, 둘레가장자리부 (30) 는, 열용융접착 등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도 11 의 실시예는, 상측여과재 (11) 및 하측여과재 (12) 를 동일형의 거의 원형으로 하고, 그 중심부에 연결부재 연결부재 (13) 를 배치함과 동시에, 하측여과재 (12) 만에 방사형상으로 복수개의 요철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측여과재 (12) 에 형성하는 요철중, 내측선단부 (18') 는, 도 4 및 도 7 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같이 상측여과재의 내면에 맞닿고, 필요에 따라서 열용융접착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되고, 둘레가장자리부 (30) 는 열용융접착 등에 의해 결합된다.
또, 이 실시예 5 는, 상측여과재 (11) 및 하측여과재 (12) 의 적어도 한편에 복수개의 요철을 방사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양 여과재 11 및 12 의 동일위치에 동일형상으로 동일수의 요철을 형성하여, 그것들 요철의 내측선단부 (17',18') 를 맞닿게 한 것이어도 되고, 또한 양 여과재의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정방형, 직사각형 또는 연료탱크의 탑재에 맞춘 형상 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실시예 1 에서의 띠형상통로 (33) 가 없어도, 특히 상측여과재 (11) 에 요철을 형성하는 것에서는 그 요철의 외측선단부가 상기 띠형상통로 (33) 와 동일한 기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내부공간14에 침입한 공기는, 원활하게 중앙 내부공간을 통하여 연결부재 (13) 로 흐른다.
도 12 는, 본원발명의 실시예 6 에 관련하는 여과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는 2장의 여과재를 접합한 것이었지만, 이 실시예 6은, 1장의 여과재를 접어 접합시킨 것에 특징이 있으며, 그외는 실시예 1 과 같다.
즉, 1장의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여과재를 그 중앙의 접음부 (31) 에서 접고, 다른 3변의 둘레가장자리부 (30) 를 초음파용융접착 또는 전기용융접착 등의 열용착수단에 의해 용융접착하여, 그 내부에 내부공간 (14) 을 갖는 여과기 (10) 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측여과재 (11) 및 하측여과재 (12) 에 상당하는 개소에 미리 요철을 형성하여 놓지만, 양 여과재의 요철의 방향은, 실시예 1 과 같이 90도 어긋나 교차하고 있다. 또한, 상측여과재 (11) 의 중앙부에는, 요철이 없는 중앙내부공간 (14') 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중앙내부공간 (14') 에는 연결부재 (13) 가 연결되고, 상측여과재 (11) 의 길이방향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요철이 없는 띠형상통로 (33)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 6 은, 상측여과재 (11) 및 하측여과재 (12) 에 요철을 형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요철 대신에 도 4 내지 도 9 에 나타내는 딤플 (17) 로 이루어지는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여과기 (10) 의 조립을 쉽게 함과 동시에, 그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3 은, 본원발명의 실시예 7 에 관련하는 여과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 7 은, 1장의 여과재를 접어 접합하고, 또한 그 개소에 배치한 것에 특징이 있고, 여과재에 관해서는 실시예 1 과 같다.
즉, 1장의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여과재를 그 중앙의 접음부 (31) 에서접고, 다른 3변의 둘레가장자리부 (30) 를 초음파용융접착 또는 전기용융접착 등의 열용착수단에 의해 용융접착하여, 그 내부에 내부공간 (14) 을 갖는 여과기 (10) 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측여과재 (11) 및 하측여과재 (12) 에 상당하는 개소에 미리 요철을 형성하여 두지만, 양 여과재의 요철의 방향은, 90도 어긋나 교차하고 있다. 또한, 상측여과재 (11) 의 길이방향에는 요철이 없는 띠형상통로 (33) 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음부 (31) 에 연결부재 (13) 를 결합하기 위한 개구 (32) 가 천공되고, 상기 개구 (32) 에 연결부재 (13) 를 삽입하여, 열용융접착 또는 접착제등에 의해 결합한다.
또, 이 실시예 7 은, 상측여과재 (11) 및 하측여과재 (12) 에 요철을 형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요철 대신에 도 4 내지 도 9 에 나타내는 딤플 (17) 로 이루어지는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실시예 6 과 같이 여과기 (10) 의 조립을 쉽게 함과 동시에, 또한 여과기 (10) 에 대한 연결부재 (13) 의 장착을 쉽게 하여, 그 제조비용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예 8 에 관련하는 여과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 8 은, 여과재를 부직포로 만들고, 그 여과재의 외측표면에 메쉬스크린을 접합한 것이고, 그외에 대해서는, 실시예 1 과 같다.
여과재를 부직포로 만드는 경우의 부직포의 일례에 관해서는, 실시예 1 에서 설명하였듯이, 원료섬유와 표면에 저융점수지를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접착섬유를 혼합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령 이러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이용하였다고 하여도 내구성에 관해서는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는 것이 있었다.
그 때문에, 도 14 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부직포로부터 여과재를 만들 때에, 미리 부직포의 표면에 보강재 또한 여과재기능을 갖는 메쉬스크린34과 접합하여 두고, 그 후 요철 (15,16) 을 형성하여, 상측여과재 (11) 및 하측여과재 (12) 를 만들고, 양 여과재의 요철 (15,16) 이 90도 어긋나 교차하도록 포개어, 둘레가장자리부 (30) 는 물론, 필요에 따라서 양 여과재 (11,12) 의 맞닿음부인 요철의 내측선단부 (15',16') 를 열용융접착 등에 의해 결합한다.
메쉬스크린 (34) 은, 합성수지제의 것으로, 다공 (多孔) 을 갖도록 거칠게 짠 것이어도 되고, 또는 엷은 평판상의 것에 다수가 구멍을 뚫은 것이어도 된다.
또, 상측여과재 (11) 의 길이방향에는 실시예 1 과 같이 요철이 없는 띠형상통로 (33)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5 의 실시예는, 여과재를 부직포로 만들어, 하측여과재 (12) 의 외측표면에만 메쉬스크린 (34) 을 결합한다.
즉, 상측여과재 (11) 및 하측여과재 (12) 에 요철 (15,16) 을 형성하여, 그것들을 실시예 1 과 같이 90도 어긋나 교차하도록 포개어, 둘레가장자리부 (30) 는 물론, 필요에 따라서 양 여과재 (11,12) 를 열용융접착 등에 의해 결합하지만, 둘레가장자리부 (30) 의 결합에 있어서, 하측여과재 (12) 의 외측표면에 메쉬스크린(34) 을 포개어, 둘레가장자리부 (30) 를 열용융접착 함과 동시에 메쉬스크린 (34) 도 결합한다.
또, 도 14, 15 의 실시예에서는, 상측여과재 (11) 의 길이방향에는 실시예 1 과 동잃게 요철이 없는 띠형상통로 (33) 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특히 연료탱크의 저벽에 닿는 하측여과재 (12) 의 외측표면의 마모를 저감할 수 있어, 그 내구성을 증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자동차용 연료탱크 내에 설치되는 인탱크식 연료여과기를 예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인탱크식 연료여과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여과기는, 적어도 대향하는 2면을 형성하는 여과재와, 상기 여과재에 의해서 에워싸이고, 액체가 머무는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결시켜 내부공간의 액체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연결부재로 이루어고, 액체가 여과재를 통과함으로써 액체중의 이물을 제거하고, 이물이 제거된 액체를 연결부재를 통하여 송출한다. 상기 여과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복수개의 요철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여과재의 요철은, 그 선단부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선형상으로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프로텍터가 없어도 충분한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여과면적을 증대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펌프에 의한 흡인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상은, 상기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이어도 되며, 이 구성에 의하면, 내부공간의 연료 및 공기가 연결부재에 향하서 원활하게 흐르고, 특히 공기가 내부에 체류하는 일이 없으므로, 연료펌프에 의한 흡인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향하는 2면의 여과재에 각각 복수개의 요철이 형성되고, 그들 요철의 내측선단부 끼리 접합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대향하는 2면의 여과재에 형성한 요철선단부는, 평면에서 보아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더욱 여과면적을 증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측여과재와 하측여과재가 일체적으로 되기 때문에, 전체의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재의 요철은, 딤플이어도 되고, 상기 딤플의 선단부는 타방의 여과재의 내면에 접합하거나, 선단부끼리를 접합하기도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딤플을 예컨대 평판형상의 여과재의 표면에 돌기물을 눌러 부쳐 만듬으로써, 절곡하여 요철을 만드는 것에 비교하여 그 제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재는, 2장을 결하던지, 또는 1장을 접어 결합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여과기의 제조를 간소화할 수가 있고, 또한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재가, 여과지, 부직포 또는 부직포와 메쉬스크린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여과기를 경량화할 수 있고, 그 제조를 간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스크린은, 요철을 형성하기 전의 여과재 표면에 접합시켜 여과기를 형성하거나, 또는, 여과재 결합시에 동시에 결합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여과기의 내구성 및, 메쉬스크린도 여과기능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전체로서의 여과기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연료탱크의 저벽에 가압부착된 여과재의 외주를 상기 메쉬스크린이 커버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의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가, 원료섬유와 접착섬유를 혼합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여과재의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여과기의 내구성 및 가공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가, 상측의 여과재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여과재의 높이 방향에 플렉시블리티를 갖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하측여과재의 전체를 연료탱크의 저벽에 맞닿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탱크내의 연료가 얼마 남지 않게 되어도 확실히 연료를 빨아올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가, 여과재의 측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여과재의 용융접착시에 동시에 연결부재를 여과재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과재에 대한 연결부재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재에 공기가 머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내부공간의 연료 및 공기가 연결부재에 향하여 원활하게 흐르고, 특히 공기가 내부에 체류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연료펌프에 의한 흡인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하측의 여과재에 완충제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하측여과재가 직접 연료탱크의 저벽에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하측여과재의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하여, 그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다.

Claims (23)

  1. 적어도 대향하는 2면을 형성하여, 액체가 (여과재를) 통과함으로써 액체중의 이물을 제거하는 여과재 (11,12):
    상기 여과재 (11,12) 에 의해서 에워싸이고, 상기 여과재 (11,12) 에 의해서 이물이 제거된 액체가 머무는 내부공간 (14): 및
    상기 내부공간 (14) 과 외부를 연결시켜, 내부공간의 액체를 외부로 송출하는 연결부재 (13) 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 (11,12) 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복수개의 요철 (15,16) 이 형성되어 있는 여과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의 일방의 면 (11) 에 형성된 내부에 돌출형성되는 볼록부 (15) 는, 상기 여과재의 타방의 내면 (12) 에 맞닿아 있는 여과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 (11,12) 의 요철 (15,16) 은, 그 선단부가 평면으로 보아 대략 선형상인 여과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상은, 상기 연결부재 (13) 를 중심으로 방사형상으로 형성된 여과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2면의 여과재 (11,12) 에 각각 복수개의 요철 (15,16) 이 형성되고, 그들 선형상의 선단부 (15',16') 는, 평면에서 보아 교차하는 여과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2면의 여과재 (11,12) 에 각각 복수개의 요철 (15,16) 의 내측 선단부 (15',16') 끼리가 접하는 여과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 (11,12) 의 요철은, 딤플 (17,18) 인 여과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의 일방의 면 (11) 에 형성된 상기 딤플 (17) 의 선단부 (17') 는, 타방의 여과재의 내면에 접하고 있는 여과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2면의 여과재 (11,12) 에 상기 딤플 (17,18) 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들의 선단부 (17',18') 끼리가 접하고 있는 여과기.
  10. 제 1 항, 제 2 항,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는, 제 1 면을 갖는 제 1 여과재 (11) 와, 그 제 1 면과 대향하는 제 2 면을 갖는 제 2 여과재 (12) 를 갖고, 상기 제 1 여과재 (11) 와 상기 제 2여과재 (12) 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여과기.
  11. 제 1 항, 제 2 항,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 (11,12) 는, 1장의 여과재를 접어서, 서로 대응하는 2면을 형성하는 여과기.
  12. 제 1 항, 제 2 항,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 (11,12) 가, 여과지로 이루어지는 여과기.
  13. 제 1 항, 제 2 항,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 (11,12) 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여과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원료섬유와 접착섬유를 혼합한 부직포인 여과기.
  15. 제 1 항, 제 2 항,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 (11,12) 가 부직포와 메쉬스크린 (34) 으로 이루어지는 여과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스크린 (34) 은, 요철 (15,16) 을 형성하기 전의 여과재표면에 접합하는 여과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스크린 (34) 은, 여과재 (11,12) 결합시에 동시에 결합하는 여과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원료섬유와 접착섬유를 혼합한 부직포인 여과기.
  19. 제 1 항, 제 2 항,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가, 상측의 상측의 여과재 (11) 와, 하측의 여과재 (12) 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 (13) 가, 상측의 여과재 (15)에 설치되어 있는 여과기.
  20. 제 1 항, 제 2 항,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13) 가, 여과재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여과기.
  21. 제 1 항, 제 2 항,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에, 상기 내부공간 (14) 의 공기를, 상기 연결부재 (13) 에 배출하는 통로 (33) 가 형성되어 있는 여과기.
  22. 제 1 항, 제 2 항,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가, 상측의 여과재 (11) 와, 하측의 여과재 (12) 로 이루어지고,하측여과재 (16) 의 외측표면에 완충제 (35) 가 형성되어 있는 여과기.
  23. 제 1 항, 제 2 항,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가 연료펌프의 상류측에 형성되어 있는 여과기.
KR1020010043095A 2000-07-18 2001-07-18 여과기 KR100774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17980 2000-07-18
JP2000217980A JP2002028408A (ja) 2000-07-18 2000-07-18 濾過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060A true KR20020008060A (ko) 2002-01-29
KR100774232B1 KR100774232B1 (ko) 2007-11-07

Family

ID=18713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095A KR100774232B1 (ko) 2000-07-18 2001-07-18 여과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82599B2 (ko)
EP (1) EP1174170B1 (ko)
JP (1) JP2002028408A (ko)
KR (1) KR100774232B1 (ko)
CN (1) CN1201846C (ko)
DE (1) DE60130409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002B1 (ko) * 2007-06-19 2009-02-27 (주) 코리아 인바이텍 용수여과기의 부식 방지용 여과스크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6619A (ja) * 2001-10-29 2003-05-07 Kyosan Denki Co Ltd 燃料用濾過器
JP2004218607A (ja) * 2003-01-17 2004-08-05 Nifco Inc 燃料用フィルタ装置
JP4233406B2 (ja) * 2003-07-10 2009-03-04 株式会社ニフコ 燃料用フィルタ装置
DE10333185A1 (de) 2003-07-22 2005-02-24 Robert Bosch Gmbh Flacher Kraftstofffilter
JP4219850B2 (ja) * 2004-04-23 2009-02-04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及びサクションフィルタ
US20060081520A1 (en) * 2004-10-15 2006-04-20 Lord Richard B Pump and strainer for a pool cover
RU2281144C1 (ru) * 2005-01-11 2006-08-10 ЗАО "Кондор-Эко" Фильтр
DE102005061604B4 (de) * 2005-12-22 2013-09-19 Webasto Ag Kraftstoffentnahmesystem für ein Zusatzheizgerät, Zusatzheizgerät und Kraftfahrzeug mit einem solchen Kraftstoffentnahmesystem
DE102006027032A1 (de) * 2006-06-08 2007-12-13 Carl Freudenberg Kg Taschenförmiges Filterelement
JP2009018306A (ja) * 2008-08-22 2009-01-29 Nifco Inc 燃料用フィルタ装置
JP4456168B1 (ja) * 2008-11-05 2010-04-28 シャープ株式会社 フィルター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節装置
DE102009052123A1 (de) * 2009-11-05 2011-05-12 Mann + Hummel Gmbh Filterelement, Filt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ilterelements
JP5893854B2 (ja) * 2011-06-02 2016-03-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US8372278B1 (en) * 2012-03-21 2013-02-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iquid fuel strainer assembly
JP2016516910A (ja) * 2013-03-14 2016-06-09 イメリーズ ミネラルズ リミテッド 複合構造体
JP6363793B2 (ja) * 2014-05-22 2018-07-25 クス フィルトレーシ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ソックス型フィルタを通過する流路を維持するための濾過媒体の形成
GB2530815A (en) * 2014-09-30 2016-04-06 Eaton Technologies Ip Gmbh & Co Kg Filter element and filter unit
WO2016114132A1 (ja) * 2015-01-15 2016-07-21 株式会社デンソー サクションフィルタ及び燃料供給装置
JP6520680B2 (ja) * 2015-01-15 2019-05-29 株式会社デンソー サクションフィルタ及び燃料供給装置
WO2017017894A1 (ja) * 2015-07-29 2017-02-02 株式会社デンソー サクションフィルタ及び燃料供給装置
JP6265200B2 (ja) * 2015-07-29 2018-01-24 株式会社デンソー サクションフィルタ及び燃料供給装置
JP6319281B2 (ja) * 2015-09-03 2018-05-09 株式会社デンソー サクションフィルタ及び燃料供給装置
US20170080361A1 (en) * 2015-09-18 2017-03-23 Delavan Inc Strainers
DE102015221903A1 (de) * 2015-11-06 2017-05-11 Robert Bosch Gmbh Filtermodul sowie Spritzgussform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iltermoduls
JP6380363B2 (ja) * 2015-12-17 2018-08-29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ポンプユニット
KR102178858B1 (ko) * 2019-09-25 2020-11-13 주식회사 코아비스 연료펌프용 스트레이너
US20230024886A1 (en) * 2021-07-14 2023-01-2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Fish screen for suction strainer
CN114109678B (zh) * 2021-11-04 2023-04-18 轻骑集团江门光速摩托车有限公司 一种立式燃油过滤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69243A (en) * 1945-12-15 1951-09-25 Purolator Products Inc Filter
US2726184A (en) * 1952-11-01 1955-12-06 Purolator Products Inc Method of providing seals for filters
BE631987A (ko) * 1962-05-07
US3480149A (en) * 1967-03-08 1969-11-25 Gen Motors Corp Flat casing filter device
GB1303629A (ko) * 1969-02-08 1973-01-17
US3747772A (en) * 1971-05-21 1973-07-24 Parker Hannifin Corp Filter
US3867294A (en) * 1973-05-09 1975-02-18 Pall Corp Cylindrical filter elements with improved side seam seal
US4033881A (en) * 1975-01-06 1977-07-05 Pall Corporation Multilayer paper sheet filter cartridges
US4410427A (en) * 1981-11-02 1983-10-18 Donaldson Company, Inc. Fluid filtering device
US4452619A (en) * 1982-06-18 1984-06-05 Donaldson Company, Inc. Pleated filter element having integral pleat spacers
US4600511A (en) * 1984-08-20 1986-07-15 Allomatic Industries, Inc. Two-layer fluid filter with spacer
US4804466A (en) * 1985-08-08 1989-02-14 Allomatic Industries, Inc. Fluid filter with internal spacer
US4701197A (en) * 1986-10-07 1987-10-20 Allied Corp. Molded panel filter
US4869816A (en) * 1987-11-24 1989-09-26 Magna International (Canada) Inc. Transmission fluid filter joint
US5055187A (en) 1988-05-27 1991-10-08 Kyosan Denki Kabushiki Kaisha Fuel filter incorporated in a fuel tank
KR0125196Y1 (ko) * 1992-07-15 1998-09-15 이또오 히로미 전동 연료펌프의 필터
US5630940A (en) * 1993-04-01 1997-05-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ilter device for the filtration of fluids
US5584988A (en) * 1993-11-11 1996-12-17 Nissan Motor Co., Ltd. Filter for in-tank fuel pump
JP3068743B2 (ja) * 1994-03-24 2000-07-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フィルター装置
US5527569A (en) * 1994-08-22 1996-06-18 W. L. Gore & Associates, Inc. Conductive filter laminate
EP0743445B1 (en) * 1995-05-17 1998-09-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el strainer
DE29609750U1 (de) * 1996-06-04 1996-11-28 Filtertek, S.A., Plailly Kraftstoff-Filter
KR100321381B1 (ko) * 1997-10-02 2002-08-21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연료펌프의필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002B1 (ko) * 2007-06-19 2009-02-27 (주) 코리아 인바이텍 용수여과기의 부식 방지용 여과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30409D1 (de) 2007-10-25
DE60130409T2 (de) 2008-06-12
CN1201846C (zh) 2005-05-18
EP1174170A2 (en) 2002-01-23
US20020017485A1 (en) 2002-02-14
JP2002028408A (ja) 2002-01-29
CN1334133A (zh) 2002-02-06
EP1174170B1 (en) 2007-09-12
KR100774232B1 (ko) 2007-11-07
US6582599B2 (en) 2003-06-24
EP1174170A3 (en) 200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4232B1 (ko) 여과기
KR20030035979A (ko) 연료용 여과기
JP2000246026A (ja) 押出メッシュ付き深層媒体式槽内燃料フィルタ
EP0783914B1 (en) Filter element for air cleaner
JP2004218607A (ja) 燃料用フィルタ装置
US6706183B2 (en) Filter
US8784656B2 (en) Preliminary filter for a fuel delivery unit
US20020073662A1 (en)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787604B2 (ja) 流体流れを濾過するためのフィルタ構造体
US20210086114A1 (en) Strainer for fuel pump
JP2009257318A (ja) 燃料供給装置
JP2003117315A (ja) 濾過器
JP3046268B2 (ja) 燃料ポンプのフィルタ装置
JP2003126618A (ja) 濾過器
JP7309952B2 (ja) 燃料用フィルタ
JP2005075059A (ja) 濾過器
KR100431668B1 (ko) 석션 필터 및 그 제조방법
CN222427404U (zh) 折叠式过滤介质、过滤元件、过滤装置以及运输工具
JP2002248310A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
CN211343185U (zh) 车用燃油滤网
JP3703022B2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
JP3775267B2 (ja) エアクリーナエレメント用ひだ密着防止部材及びエアクリーナエレメント
KR20140118352A (ko) 높은 가요성을 가진 자동차 연료펌프용 연료필터
KR19990036827A (ko) 연료펌프의 필터장치
JP2004041964A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流体用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5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7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