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00934A -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0934A
KR20020000934A KR1020000034466A KR20000034466A KR20020000934A KR 20020000934 A KR20020000934 A KR 20020000934A KR 1020000034466 A KR1020000034466 A KR 1020000034466A KR 20000034466 A KR20000034466 A KR 20000034466A KR 20020000934 A KR20020000934 A KR 20020000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polypropylene resin
resin composition
weight
fl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식
홍종수
허만생
정원범
Original Assignee
유현식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식,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현식
Priority to KR1020000034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0934A/ko
Priority to PCT/KR2001/001064 priority patent/WO2001098408A1/en
Priority to AU66375/01A priority patent/AU6637501A/en
Publication of KR20020000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93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3/2279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ntimon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3/2279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ntimony
    • C08K2003/2282Antim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28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08L23/286Chlorinated polyeth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고도의 난연성을 나타내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특정 비율의 유기계 난연제 및 무기계 난연제 및 안티몬 화합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은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면서 1/32인치의 얇은 두께에서도 UL94 난연도 5V급의 고도의 난연성을 발휘하며, 이러한 성능이 요구되는 전기용품 및 자동차부품, 건축자재, 내부장식재 등을 제조하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FRAME-RETARDANT POLYPROPYLENE RESIN COMPOSOTION}
본 발명은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고도의 난연성을 나타내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특정 비율의 유기계 난연제 및 무기계 난연제 및 안티몬 화합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우수한 가공특성, 내약품성, 내후성, 고접동성의 특성으로 인해 사출성형품, 필름, 블로우 성형품의 형태로 자동차, 건축재료, 전기부품 등의 분야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나, 본래 인화성 물질이어서 난연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각종 유기계 또는 무기계 난연제가 첨가된다.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난연화에는 유기계 또는 무기계 난연제와 삼산화 안티몬의 병용 첨가에 의한 방법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로서는 브롬계난연제로서 데카브로모디페닐에테르, 비스(펜타브로모페닐)에탄 등을 가함으로서 수득한 조성물(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공평8-120126, 특공평7-76640), 테트라브로모 비스페놀A계 또는 테트라브로모 비스페놀S계 난연제를 가함으로서 수득한 조성물(일본공개특허공보 특공평8-302102),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알루미늄 또는 하이드로탈사이트와 같은 함수 무기화합물을 폴리프로필렌수지에 가함으로써 수득한 조성물(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53-92855호, 제 54-29350호, 제 54-77658호, 제 56-26954호, 제 57-87462호 및 제 60-110738호), 용융지수가 0.01∼2.0인 폴리에틸렌, 할로겐 화합물(예:데카브로모디페닐 에테르 또는 도데카클로로-도데카하이드로메타노디벤조사이클로옥텐) 및 분말 활석, 고령토, 천청석, 실리카 및 규조암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무기충전재를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가함으로써 수득한 조성물(일본 특허공보 제 55-30739호) 및 암모늄 포스페이트(또는 아민포스페이트), 환구조에 =C=O(또는 =C=S 또는 =NH)가 삽입된 질소 화합물과 알데하이드와의 반응 생성물 또는 1,3,5-트리아진 유도체의 올리고머(또는 중합체)를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가함으로써 수득한 조성물(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52-146452호 및 제 59-147050호) 등이 있다.
그러나 난연성이 높은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수산화 마그네슘과 같은 무기화합물을 가함으로써 제조된 조성물은 성형성이 저하되고 데카브로모 페닐계 화합물을 폴리프로필렌에 가함으로써 수득한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성형성은 그리 나쁘지 않으나 조성물의 내충격강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아니라, 상기의 조성물들은 얇은 두께에서의 UL 서브젝트(Subject) 94(언더라이트스 래보러토리스 인코포레이션(Underwrites Laboratories Incorporation)의 “기계부품용 플라스틱 물질에 대한 연소성 시험”중 수직 연소시험을 기준으로 한 시험(이후, "UL94 수직연소시험"으로 약칭된다) 결과 1/32인치(inch)두께에서 V-0급의 난연성을 수득할 수는 있지만, 5V급의 높은 난연성을 수득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성물은 1/32 인치의 두께에서 5V급의 고도의 난연성과 내충격성, 그리고 내열성이 동시에 요구되는 부품에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난연성 수지조성물이 갖는 결점을 해결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유기할로겐계 난연제와 난연상승화제로서 안티몬 화합물 및 무기계 난연제로서 수산화마그네슘을 첨가하고, 내충격개질제 및 난연조제로서 염소화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내충격성, 고내열성 및 박막두께에서 5V급 난연성을 갖는 고도로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은 (A) 폴리프로필렌 수지 31∼61중량%, (B) 유기할로겐 난연제 13∼35중량%, (C) 삼산화안티몬 3∼21중량%, (D) 수산화마그네슘 3∼30중량%, (E) 염소화폴리에틸렌 2∼15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된「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 중합단위를 50중량%이상 함유한 프로필렌 올레핀 블록공중합체 및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A)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펜텐, 1-헵텐, 1-옥텐 및 1-데센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화합물 하나 또는 상기 그룹중에서 선택된 화합물 둘 이상의 혼합물과 폴리프로필렌과의 결정성 공중합체가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용융흐름지수가 0.1∼60g/10분, 바람직하게는 0.3∼40g/10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용융흐름지수가 0.1g/10분 미만인 경우 사출성형시 성형압력이 과중하게 되고, 성형체 표면에 플로우마크가 발생하고, 외관상의 결점을 가지게 되며, 60g/10분을 초과하는 경우 성형제품의 내충격성이 급격히 낮아지고, 발화성 용융물이 쉽게 낙화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입체규칙성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이라면,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해 어떤 폴리프로필렌이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13C-NMR(핵자기 공명 스펙트럼)로 측정한 아이소탁틱 펜타드 분율이 0.80∼0.99, 바람직하게는 0.85∼0.99, 특히 바람직하게는 0.90∼0.99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이 적당하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A)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배합량은 31∼61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35∼58중량%이다. 이 배합량이 31중량% 미만이면 얻어지는 수지조성물의 내열성은 우수하지만 성형가공성, 내충격성이 뒤떨어지고, 또 61중량%를 초과한 경우는 성형가공성, 내충격성은 양호하지만, 내열성과 난연성이 뒤떨어져서 내열성 및 난연성, 그리고 내충격성이 동시에 요구되는 재료에 이용할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B) 브롬계 난연제는 브롬함유율이 30중량% 이상이며, 하기 일반식 (I)로 나타난다.
(I)
(식중, R은 산소 또는 탄소원자수 1~6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i 및 j는 0∼5의 정수이다.)
상기 식에서, 알킬렌기로서는 메틸렌기 바람직하다. 또한 브롬계 난연제는의 배향량이 13중량% 미만이면 난연효과가 충분하기 않아 UL94의 5V급 난연성을 수득하기 곤란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브롬계 난연제(B)의 배합량이 35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을 손상시키며, 특히, 내충격성, 인장강성이 저하되고, 또한 전기 특성도 저하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난연조제로서 사용되는 (C) 삼산화안티몬은 일반적인 시판품이 사용가능하다. 삼산화안티몬은 분말상이지만, 그 평균입경이 0.2∼5.0㎛이 바람직하다. 배합량은 전체조성물을 기준으로 3∼21중량%이다. 삼산화안티몬의 배합량이 3중량% 미만인 경우 브롬계 난연제와의 상승효과가 미미하여 UL94 5V급 난연성을 수득할 수 없으며, 21중량%를 초과할 경우 브롬계 난연제와의 상승효과에 필요한 함량이 초과하여 더이상의 난연상승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며, 내충격성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삼산화안티몬(C)과 브롬계 난연제(B)는 난연성에 있어서상승작용을 나타내고, 삼산화안티몬의 배합량은 브롬계 난연제의 1/6∼2/1의 량으로 난연효과가 최대로 된다.
본 발명에서 무기계 난연제로서 사용되는 (D) 수산화마그네슘은 조성물중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수지조성물이 연소시 브롬계 난연제와 삼산화인티몬과의 상승작용과 함께, 무기계 난연제인 수산화마그네슘은 흡열반응으로 수지의 연소시 나타나는 반응생성열을 흡수하여 수증기 형태로 분해되므로 난연성이 고도로 향상되며, 또한 연소시 발화성 용융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UL94 연소성 시험에서 5V급의 난연도에서 규정하는 드립(Drip)성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수산화마그네슘은 그 배합량이 전체 수지조성물에 대하여 3∼30중량%가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3중량% 미만인 경우 수지의 연소시 발생되는 발생열을 충분히 흡수하기 곤란하여 난연상승효과가 미미하고, 또한 용융물이 낙하될시 드립을 방지하는 효과가 미미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배합량이 3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될시 수지의 유동성이 저하되고, 내충격성 및 인장강도 등 기계적 물성이 열세하며, 또한 성형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무기계 난연제는 실란(silane)계 커플링제 또는 스테아레인산 금속으로 표면처리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면처리가 되지 않은 것을 사용시 조성물의 내충격성등의 기계적물성이 열세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E) 염소화폴리에틸렌는 수소의 일부를 염소로 치환한 폴리에틸렌이고, 이렇게 염소로 치환된 폴리에틸렌은 폴리에틸렌 고유의 성질보다는 고무의 형태로 기능을 하여 이를 배합한 수지조성물에 내충격 개질제 및 난연제로서 동시에 효과를 가져온다. 상기 염소화에틸렌은 수지조성물의 내충격성을 개선하는 것과 동시에 수지조성물내의 할로겐 함량을 부여하여 수지조성물의 난연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충격보강재 및 난연보조제로 사용되는 염소화 폴리에틸렌은 염소함량이 20∼50% 정도인 것이 적당하며, 그 배합량은 전체 수지조성물을 기준으로 2∼15중량%가 필요하다. 염소화폴리에틸렌중의 염소함량이 20% 미만인 경우 내충격성 향상에 기여하는 정도가 미미하며, 50%를 초과하는 경우 염소화폴리에틸렌 자체의 열안정성이 낮아 가공시 열분해가 쉽게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염소화폴리에틸렌의 배합량이 2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충격보강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이와 반대로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열안정성이 심하게 저하된다.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조성물에는 강성 등의 기계특성 및 내열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 여러 가지 첨가제를 사용한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판산형의 활석, 실리카, 클레이, 카올린, 유리섬유, 탄산칼슘 등의 충전제, 운모 등의 충전제를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무기물 충전재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병용 사용도 가능하다.
상기의 각 성분을 혼합하고 혼련한 것에 의해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재료를 제조하고 이것을 사출성형, 압출성형 등 임의의 성형법으로 성형한 것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은 브롬계 난연제와 난연상승화제로서 삼산화안티몬이 배합된 상태에서, 무기계 난연제로서 수산화마그네슘이 내열성 뿐만 아니라 난연상승화제로 작용하며, 여기에 내충격제 및 난연제로 염소화폴리에틸렌이 배합됨으로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면서도 UL94 5V급의 고도의 난연성을 수득함으로서 이러한 고기능성의 수지조성물로 된 성형체는 전기전자부품, 자동차, 건축재료로 사용하기에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은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즉, 지정된 양의 (A) 폴리프로필렌 수지, (B) 상기 일반식 (I)의 구조를 같는 브롬계 난연제, (C) 삼산화안티몬, (D) 무기계 난연제로서 수산화마그네슘, (E) 염소화폴리에틸렌 및 상기한 여러 가지 첨가제를 교반·혼합장치[예:헨셀(Hensel)혼합기(상표명), 슈퍼 혼합기 또는 텀블러 혼합기]에 충전시키고, 상기 화합물을 1∼10분동안 교반·혼합시키고, 180∼270℃의 온도에서 압연기 또는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및 혼련시켜 펠렛을 수득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자세하게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정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측정방법
1) 아이조드(Izod) 충격강도
사출성형된 성형품의 두께는 3.2mm이며, ASTM의 D256 시험규격을 수행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다.
2) 열변형온도
길이가 127.0mm이고 폭이 12.7mm이고 두께가 6.4mm인 시험시편을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성형시키고, ASTM의 D648 시험규격중 4.6kgf의 하중하에서의 방법에 의해 수행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다.
3) 난연성
UL 서브젝트 94(언더라이트스 래보러토리스 인코포레이션)의 “기계부품용 플라스틱 물질의 연소성 시험” 수직연소시험을 수직상(5V) 및 수평 평판시험에서 수행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다. 사용된 시험편의 두께는 1/32인치이다.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수지로서 용융지수(2.16kg의 하중하 230℃에서 10분 동안의 용융수지의 용융 유동량)가 3g/10분인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4.4kg, 브롬계 난연제로서 비스(펜타브로모페닐)에탄[상품명:S-8010, 미국 알버메일 (Albermale)사] 2.1kg, 삼산화안티몬[상품명: SW, 일성안티몬사] 700g, 무기계 난연제로서 수산화마그네슘[상표명: Kisuma5A, 일본 큐와케미컬(Kyowa chemical)사] 2.0kg, 염소화폴리에틸렌[상품명:Tyrin 3611P, 다우케미컬사] 800g 및 첨가제로서 스테아르산 칼슘 10g을 헨셀 혼합기(상표명)에 충전시키고 3분동안 교반·혼합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구경이 30mm인 압출기를 사용하여 180∼260℃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및 비교예 1∼4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브롬계 난연제 및 수산화마그네슘의 배합량을 표 1에 나타낸 함량비율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성분들을 헨셀 혼합기(상표명)에 충전시키고, 교반·혼합시킨 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에서 수득한 펠렛들을 100℃에서 3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실린더의 최대온도가 230℃로 고정된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성형시켜, 난연성 및 기계적 물성을 시험하기 위한 일정 시험편을 제조한 후, 난연성, 기계적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내용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4의 경우, 아이조드 충격강도 및 내열변형 온도가 높고, UL94 난연도 5V급의 고도의 난연물성을 보유하였다. 그러나 비교예 1∼4의 경우는 내충격성, 내열도, 5V급 난연성을 동시에 달성하지 못하였다.
실시예 5
폴리프로필렌수지로서 용융지수(2.16kg의 하중하 230℃에서 10분 동안의 용융수지의 용융 유동량)가 3g/10분인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4.1kg, 브롬계 난연제로서 비스(펜타브로모페닐)에탄[상품명:S-8010, 미국 알버메일사] 2.1kg, 삼산화안티몬[상품명: SW, 일성안티몬사] 1.0kg, 무기계 난연제로서 수산화마그네슘[상표명: Kisuma5A, 일본 큐와케미컬사] 2.0kg, 염소화폴리에틸렌 [상품명:Tyrin 3611P, 다우케미컬사] 800g 및 첨가제로서 스테아르산 칼슘 10g을 헨셀 혼합기(상표명)에 충전시키고 3분동안 교반·혼합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구경이 30mm인 압출기를 사용하여 180∼260℃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8 및 비교예 5∼7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브롬계 난연제 및 삼산화안티몬, 수산화마그네슘, 그리고 염소화폴리에틸렌의 배합량을 각각 표 1에 나타낸 함량비율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에서와 동일한 성분들을 헨셀 혼합기(상표명)에 충전시키고, 교반·혼합시킨 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5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8 및 비교예 5∼7에서 수득한 펠렛들을 100℃에서 3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실린더의 최대온도가 230℃로 고정된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성형시켜, 난연성 및 기계적 물성을 시험하기 위한 일정 시험편을 제조한 후, 난연성, 기계적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내용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6∼8의 경우, 아이조드 충격강도 및 내열변형 온도가 높고, UL94 난연도 5V급의 고도의 난연물성을 보유하였다. 그러나 염소화폴리에틸렌의 배합량이 2중량% 미만인 비교예 5의 경우 난연성에 기여한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여 5V급의 난연성을 수득할 수 없으며, 15중량%을 초과한 비교예 6의 경우는 난연성은 5V급을 달성할 수 있으나 내열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시예 9
폴리프로필렌수지로서 용융지수(2.16kg의 하중하 230℃에서 10분 동안의 용융수지의 용융 유동량)가 3g/10분인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4.4kg, 브롬계 난연제로서 데카브로모 페닐에테르[상품명:S-102E, 미국 알버메일사] 2.1kg, 삼산화안티몬[상품명: SW, 일성안티몬사] 700kg, 무기계 난연제로서 수산화마그네슘[상표명: Kisuma5A, 일본 큐와케미컬사] 2.0kg, 염소화폴리에틸렌 [상품명:Tyrin 3611P, 다우케미컬사] 800g 및 첨가제로서 스테아르산 칼슘 10g을 헨셀 혼합기(상표명)에 충전시키고 3분동안 교반·혼합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구경이 30mm인 압출기를 사용하여 180∼260℃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9
폴리프로필렌의 함량과 브롬계 난연제로서 표 1에 나타낸 난연제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에서와 동일한 성분들을 헨셀 혼합기(상표명)에 충전시키고, 교반·혼합시킨 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9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9에서 수득한 펠렛들을 100℃에서 3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실린더의 최대온도가 230℃로 고정된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성형시켜, 난연성 및 기계적 물성을 시험하기 위한 일정 시험편을 제조한 후, 난연성, 기계적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내용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9의 경우, 아이조드 충격강도 및 내열변형 온도가 높고, UL94 난연도 5V급의 고도의 난연물성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브롬계난연제가 테트라브로모 비스페놀A계 또는 테트라브로모 비스페놀S계와 같은 상기 일반식 (I)이 아닌 난연제를 사용한 경우는 5V급의 난연성을 수득할 수가 없다.
표 1 (단위:100g)
(주)
성분(A):폴리프로필렌 수지[BJ300(상품명):삼성종합화학(주) 제조]
성분(B)-1:브롬계 난연제, 비스(펜타브로모페닐)에탄[상품명:S-8010, 미국 알버메
일사]
성분(B)-2:브롬계 난연제, 데카브로모 페닐에테르[상품명:S-102E, 미국
알버메일사]
성분(B)-3:브롬계 난연제, 테트라브로모 비스페놀A-비스(2,3-디브로모프로필 에테
르)[상품명:PE68, 미국 그레이트 레이크스(Great lakes)사]
성분(B)-4:브롬계 난연제, 테트라브로모 비스페놀S계[상품명:Nonnen52, 일본 마루
비쉬(Marubishi)케미컬사]
성분(C):삼산화안티몬[상품명: SW, 일성안티몬사]
성분(D)-1:수산화마그네슘[상품명: Kisuma5A, 일본 큐와(Kyowa)케미컬사]
성분(D)-2:탈크[상품명:KCN5200, 코쉬사]
성분(E):염소화폴리에틸렌[상품명:Tyrin 3611P, 다우케미컬사]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은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면서 1/32인치의 얇은 두께에서도 UL94 난연도 5V급의 고도의 난연성을 발휘하며 이러한 성능이 요구되는 전기용품 및 자동차부품, 건축자재, 내부장식재 등을 제조하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Claims (5)

  1. (A) 폴리프로필렌 수지 31∼61중량%, (B) 유기할로겐 난연제 13∼35중량%, (C) 삼산화안티몬 3∼21중량%, (D) 수산화마그네슘 3∼30중량%, (E) 염소화폴리에틸렌 2∼15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수지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펜텐, 1-헵텐, 1-옥텐 및 1-데센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과 폴리프로필렌과의 결정성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수지의 용융흐름지수는 0.1∼60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유기할로겐계 난연제는 다음의 일반식 (I)의 구조를 갖는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I)
    (식중, R은 산소 또는 탄소원자수 1~6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i 및 j는0∼5의 정수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삼산화안티몬의 평균입경은 0.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1020000034466A 2000-06-22 2000-06-22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Ceased KR2002000093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466A KR20020000934A (ko) 2000-06-22 2000-06-22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PCT/KR2001/001064 WO2001098408A1 (en) 2000-06-22 2001-06-22 Flame-retardant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U66375/01A AU6637501A (en) 2000-06-22 2001-06-22 Flame-retardant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466A KR20020000934A (ko) 2000-06-22 2000-06-22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934A true KR20020000934A (ko) 2002-01-09

Family

ID=19673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466A Ceased KR20020000934A (ko) 2000-06-22 2000-06-22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20000934A (ko)
AU (1) AU6637501A (ko)
WO (1) WO200109840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098B1 (ko) * 2000-12-13 2003-04-08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으로 코팅된 수산화 마그네슘, 그의 제조방법및 그를 포함하는 난연 복합 폴리프로필렌
KR20150034195A (ko) * 2012-06-27 2015-04-02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난연성 중합체 발포체를 포함하는 물품
KR20170031081A (ko) 2016-12-26 2017-03-20 김성화 생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난연수지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200071900A (ko) * 2018-12-11 2020-06-22 한화토탈 주식회사 강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69095B (zh) * 2007-12-28 2013-01-30 上海普利特复合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阻燃型聚丙烯组合物
CN115232400A (zh) * 2022-08-11 2022-10-25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增韧阻燃pp母粒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7295B2 (ja) * 1980-06-16 1984-09-08 株式会社トクヤマ ポリオレフイン組成物
JPS61176647A (ja) * 1985-01-31 1986-08-08 Tokuyama Soda Co Ltd 難燃性ポリオレフイン組成物
CA2099573A1 (en) * 1991-11-04 1993-05-05 Edward A. Myszak, Jr.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JPH0859902A (ja) * 1994-08-19 1996-03-05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3621232B2 (ja) * 1997-07-03 2005-02-16 タキロン株式会社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成形体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098B1 (ko) * 2000-12-13 2003-04-08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으로 코팅된 수산화 마그네슘, 그의 제조방법및 그를 포함하는 난연 복합 폴리프로필렌
KR20150034195A (ko) * 2012-06-27 2015-04-02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난연성 중합체 발포체를 포함하는 물품
US11661488B2 (en) 2012-06-27 2023-05-30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rticle comprising a flame retardant polymeric foam
KR20170031081A (ko) 2016-12-26 2017-03-20 김성화 생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난연수지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200071900A (ko) * 2018-12-11 2020-06-22 한화토탈 주식회사 강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98408A1 (en) 2001-12-27
AU6637501A (en) 200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5900B1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EP1907473B1 (en) Flame retardant polymeric compositions
KR920008525B1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334159B1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JP2002322322A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KR102548685B1 (ko)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020000934A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US4006114A (en) Flame retardant polypropylene compositions
KR100796730B1 (ko) 내 블루밍성이 우수한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H10195254A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KR100808721B1 (ko) 난연성 및 열가소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3648032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
JPH01193347A (ja) 難燃性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KR100375662B1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100399833B1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3801656B2 (ja) 難燃性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2000103910A (ja) ポリオレフィン系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KR20030000462A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745320B1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702977B1 (ko) 광택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050068620A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7536646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KR100801823B1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100528082B1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_
JP2541708B2 (ja) 難燃性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10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04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10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204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