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0153A - Method of receiving orders by automatically issuing reference numbers, and terminal for receiving orders - Google Patents
Method of receiving orders by automatically issuing reference numbers, and terminal for receiving ord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00153A KR20020000153A KR1020017011719A KR20017011719A KR20020000153A KR 20020000153 A KR20020000153 A KR 20020000153A KR 1020017011719 A KR1020017011719 A KR 1020017011719A KR 20017011719 A KR20017011719 A KR 20017011719A KR 20020000153 A KR20020000153 A KR 200200001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rder
- reception
- terminal
- user
- user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8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8707 rearrang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523 data manag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24 Flood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011 method of pay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84 transportation and deli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이용자 단말(1)에 인터넷(2)을 매개로 접속된 1차 및 2차 접수 서버(3, 4)를 갖추고, 1차 접수 서버(3)에 있어서는 복수의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상품구입 또는 서비스제공의 주문을 위한 요구를 차례로 접수하고, 이 요구순서번호를 서로 동일하지 않은 정리번호로 변환하여 이용자 단말(1)로 반송하여 그 화면상에 표시시킨다. 2차 접수 서버(4)에 있어서는, 정리번호가 정시된 단말(1)로부터 반송된 정리번호를 참조하여 이용자 단말(1)로부터의 주문을 접수 처리하고, 그 접수 처리의 결과를 이용자 단말(1)로 반송하여 단말(1)의 화면상에 표시시킨다.The primary and secondary reception servers 3 and 4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 via the Internet 2 are provided, and the primary reception server 3 purchases goods or provides services from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 request for an order is received in order, and these request sequence numbers are converted into mutually identical arrangement numbers, returned to the user terminal 1, and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secondary reception server 4, an order from the user terminal 1 is received with reference to the clearance number returned from the terminal 1 in which the clearance number is indicated, and the result of the reception processing is returned to the user terminal 1. )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
Description
일반적으로, 소비자에 의한 각종 상품의 구입이나 서비스 제공의 예약주문은 가게 앞이나 접수창구 혹은 전화 등으로의 신청수속에 의해 행해진다. 더욱이, 최근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각종 주문을 행하는 방법도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중이다.In general, a reservation order for the purchase of various goods by a consumer or the provision of a service is performed by the application procedure in front of a store, a reception window, or a telephone. Moreover, in recent years, methods for placing various orders using the Internet are also rapidly spreading.
이들 주문의 접수시에 갯수에 제한이 있는 상품(제품)에 대해 한정 갯수 이상의 신청이 있는 경우에는, 추첨 또는 선착순에 따라 상품을 구입하는 이용자가 선택된다. 설비나 물품 등을 대여하는 서비스(예컨대, 콘서트나 영화티켓, 여객기의 좌석, 각종 물품의 임대, 호텔 등)에 대해 서비스가능한 허용량을 넘는 신청이 있는 경우에는, 서비스의 제공을 받는 이용자가, 예컨대 선착순에 따라 선택된다. 서비스 제공자의 시간을 점유하는 서비스(예컨대, 이발관, 미용원, 개인 카운셀러등)에 대해 서비스가능한 허용량을 넘는 신청이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If there are more applications than the limited number of products (products) with a limited number at the time of accepting these orders, a user who purchases the products in lottery or first-come, first-served order is selected. If there is an application exceeding the allowable amount for the service (e.g., concert or movie ticket, seat of passenger plane, rental of various goods, hotel, etc.) for renting equipment or goods, the user who receives the service is provided, for example. The selection is based on a first come, first served basis. The same is true if there is an application that exceeds the allowable allowance for services that occupy the time of the service provider (eg, barber shop, beauty salon, personal counselor, etc.).
전화나 인터넷으로 선착순에 따라 신청을 접수하는 경우, 접수 개시시각이 미리 설정된다. 그래서, 이용자는 상품을 확실히 구입하고, 또는 보다 희망에 가까운 서비스 제공을 받고자 하기 때문에, 접수 개시시각으로 된 순간에 전화접수센터나 인터넷상의 접수 서버(WWW 서버)에 억세스하려고 시도한다. 이 때문에, 접수 개시시각에 전화접수번호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인터넷상에서 정보원의 소재지를 나타내는 영숫자 기호예)로의 억세스가 쇄도한다.When an application is accepted on a first-come, first-served basis by telephone or the Internet, the reception start time is set in advance. Therefore, the user tries to access the telephone reception center or the reception server (WWW server) on the Internet at the moment when the user arrives at the reception start time because he or she wants to purchase the product reliably or to receive a more desired service. For this reason, access to a telephone reception number or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that represents the location of an information source on the Internet floods with the reception start time.
이들 억세스에 성공한 이용자와, 전화접수센터나 인터넷상의 접수 서버(이하, 이것들을 총칭하여 주문 접수단말이라 칭함)의 사이에서는, 이용자가 희망하는 좌석을 지시하거나, 지불방법을 지정하거나 하는 대화적인 일련의 수속이 행해진다. 따라서, 한 사람의 이용자가 전화회선을 점유하는 시간이나, 인터넷을 경유하여 희망하는 주문내용에 대해 송신하는 시간이 길어진다. 이에 따라, 주문 접수단말에 쇄도하고 있는 억세스를 잘 다루는 능력이 저하하기 때문에, 이용자는 주문을 접수받을 때까지 긴 시간 기다리게 되거나, 혹은 많은 횟수의 억세스를 시행하지 않으면 안된다.An interactive series of instructing the user's desired seat or specifying a payment method between a user who has successfully accessed these services and a reception server on a telephone reception center or the Internet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n order reception terminal). Procedure of is performed. Therefore, the time required for one user to occupy the telephone line or the desired order contents via the Internet becomes long. As a result, the user's ability to handle the access rushing to the order receiving terminal deteriorates, so the user must wait a long time until the order is received or perform a large number of accesses.
주문 접수단말로 이용자로부터의 억세스가 접수될지 안될지는, 이용자가 전화를 다이얼해 버린 순간, 혹은 인터넷상에서 이용자 단말로부터 URL을 송신한 순간의 접수창구의 혼잡상태에 강하게 의존하고 있다. 그 혼잡상태는 시시각각으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억세스한 순번에 이용자의 주문이 접수된다고는 한정할 수 없고, 불공평이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다.Whether or not access from the user is accepted by the order reception terminal strongly depends on the congestion state of the reception window at the moment when the user dials the telephone or when the URL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on the Internet. Since the congestion state is changing from time to time, it is not always limited to accepting a user's order in order of access, and often there is an inequality.
예컨대,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용자(A, B, C, D)가 차례로 주문 접수단말에 대해 억세스를 행한다고 하자. 주문 접수단말이 이용자(A)의 주문을 접수하고 있는 동안에 억세스를 시행한 이용자(B, C)로부터의 주문은 접수되지 않는다(×표가 주문을 접수받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이용자(A)의 주문수속이 종료했을 때 우연히 억세스한 이용자(D)로부터의 주문이, 먼저 억세스한 이용자(B, C)로부터의 주문보다 먼저 접수되어 버린다. 이용자(D)로부터의 주문처리중에 재차 B 및 C가 억세스하고 있지만, 이것도 실패로 끝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3, it is assumed that the users A, B, C, and D sequentially access the order receiving terminal. Orders are not accepted from the users B and C who have accessed while the order receiving terminal is accepting the order of the user A (x indicates that the order is not received). When the user A's order procedure is completed, the order from the user D accidentally accessed is accepted before the order from the user B or C previously accessed. B and C access again during the processing of the order from the user D, but this also fails.
도 23의 예에서는, 간단하게 하기 위해 주문 접수단말을 1개로 한정하고 있지만, 실제 주문 접수는 복수의 전화회선 또는 복수의 억세스 요구를 동시에 접수가능한 접수 서버에 의해 처리되고 있다. 그러나, 1개의 전화회선이나 서버가 처리할 수 있는 프로세스의 수는 유한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이용자에 대해 긴 대기시간을 강요하거나, 순서가 역전되는 경우는 여전히 일어날 수 있다. 이들 문제는 한 사람의 이용자에 대한 주문처리에 요하는 시간이 긴 것에 원인이 있다.In the example of FIG. 23, for the sake of simplicity, only one order reception terminal is limited, but the actual order reception is processed by a reception server that can simultaneously accept a plurality of telephone lines or a plurality of access requests. However, since the number of processes that a single telephone line or server can handle is finite, it can still occur when the user places a long waiting time or reverses the sequence as described above. These problems are caused by the long time required for order processing for a single use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에 대해 긴 대기시간을 강요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상품구입이나 서비스 제공의 주문을 접수할 수 있는 주문 접수방법 및 주문 접수단말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der receiving method and an order receiving terminal capable of efficiently accepting an order for purchasing a product or providing a service without forcing a long waiting time for the user.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효율적인 주문 접수 처리를 선착순으로 행하는 것을 보증하는 주문 접수방법 및 주문 접수단말을 제공함에 있다.Furthermor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der receiving method and an order receiving terminal which ensure that such efficient order receiving processing is performed on a first-come, first-served basis.
본 발명은 주로 인터넷 또는 전화를 이용하여 각종 상품의 구입이나 서비스 제공의 주문을 접수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되는 주문접수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inly relates to a method for accepting an order for purchasing various goods or providing a service using the Internet or a telephone, and an order receiving terminal device used in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동 실시형태에서의 주문 접수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flow of order acceptance processing in the embodiment;
도 3은 동 실시형태에서의 1차 접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차트,3 is a flowchart showing the flow of the primary reception processing in the embodiment;
도 4는 동 실시형태에서의 1차 접수 처리시의 이용자 단말상의 표시화면예를 나타낸 도면,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screen on a user terminal at the time of the first reception process in the embodiment;
도 5는 동 실시형태에서의 1차 접수 처리시의 이용자 단말상의 다른 표시화면예를 나타낸 도면,Fig. 5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display screens on a user terminal at the time of the first reception processing in the embodiment;
도 6은 동 실시형태에서의 1차 접수 처리시의 이용자 단말상의 다른 표시화면예를 나타낸 도면,Fig. 6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display screens on the user terminal at the time of the first reception processing in the embodiment;
도 7은 동 실시형태에서의 1차 접수 처리시의 이용자 단말상의 다른 표시화면예를 나타낸 도면,FIG. 7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display screen example on the user terminal at the time of the first reception process in the embodiment; FIG.
도 8은 동 실시형태에서의 1차 접수 처리시의 접수순 번호로부터 정리번호로의 변환규칙의 예를 나타낸 도면,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rsion rule from a reception order number to a rear door number in the first reception processing in the embodiment;
도 9는 2차 접수에 있어서 정리번호를 속인 경우에 대한 설명도,9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the case of deceiving a rearranging number in the second reception;
도 10은 동 실시형태에서의 2차 접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차트,10 is a flowchart showing a flow of secondary reception processing in the embodiment;
도 11은 동 실시형태에서의 2차 접수 처리시의 이용자 단말상의 표시화면예를 나타낸 도면,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screen on a user terminal at the time of secondary reception processing in the embodiment;
도 12는 동 실시형태에서의 2차 접수 처리시의 이용자 단말상의 다른 표시화면예를 나타낸 도면,Fig. 12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display screens on a user terminal at the time of secondary reception processing in the embodiment;
도 13은 동 실시형태에서의 2차 접수 처리시의 이용자 단말상의 다른 표시화면예를 나타낸 도면,Fig. 13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display screens on a user terminal at the time of secondary reception in the embodiment;
도 14는 동 실시형태에서의 2차 접수 처리시의 이용자 단말상의 다른 표시화면예를 나타낸 도면,Fig. 14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display screens on the user terminal at the time of secondary reception processing in the embodiment;
도 15는 동 실시형태에서의 2차 접수 처리시의 이용자 단말상의 다른 표시화면예를 나타낸 도면,FIG. 1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display screens on a user terminal during secondary reception processing in the embodiment; FIG.
도 16은 동 실시형태에서의 2차 접수 처리시의 이용자 단말상의 다른 표시화면예를 나타낸 도면,Fig. 16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display screens on the user terminal at the time of secondary reception processing in the embodiment;
도 17은 동 실시형태에서의 2차 접수 시간대의 다른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7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setting method of the second reception time slot in the embodiment;
도 18은 동 실시형태에서의 2차 접수 시간대의 다른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8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setting method of the secondary reception time slot in the embodiment;
도 19는 동 실시형태에서의 2차 접수 시간대의 다른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9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setting method of the second reception time slot in the embodiment;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블록도,2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블록도,2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블록도,2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종래의 주문 접수 시스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blem of the conventional order receiving system.
본 발명에 따르면, 주문 접수는 2단계로 나누어진다. 제1단계에서는, 제1주문 접수 단말장치가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상품구입 또는 서비스 제공의 주문을 위한 요구를 접수하고, 이 요구에 대해 서로 동일하지 않은 정리번호를 생성하며, 그것을 이용자 단말에 정시(呈示: 제시)하기 위해 송신한다. 이 제1단계에서의 이용자단말로부터의 최초 요구의 접수와, 정리번호의 생성 및 이용자 단말로의 정시를 위한 송신에 필요한 시간은 매우 짧다. 따라서, 이용자가 접수창구(전화 오퍼레이터나 WWW 서버)를 점유하는 시간은 종래 수법에 비해 현격히 단축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der receipt is divided into two stages. In the first step, the first order receiving terminal apparatus receives a request for a purchase of a product or an order for providing a service from a user terminal, generates a sequential number that is not the same for this request, and sends it to the user terminal on time ( Indicate: to send. The time required for the reception of the initial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in this first step, the generation of the rearranging number and the transmission to the user terminal on time is very short. Therefore, the time for the user to occupy the reception window (telephone operator or WWW server) is significantly shorten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주문 접수 제2단계에서는, 제2주문 접수 단말장치가 이용자 단말로부터 반송된 정리번호를 참조하고,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상품구입 또는 서비스 제공의 실제 주문을 접수 처리하며, 그 처리결과를 이용자 단말로 송신하여 정시한다.In the second step of accepting an order, the second order receiving terminal apparatus refers to the rearranging number returned from the user terminal, receives and processes the actual order of purchasing a product or providing a service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s the processing result to the user terminal. Timely.
이와 같이 1차 접수에서는 시간이 걸리지 않는 정리번호의 발행만이 행해지고, 2차 접수에서는 정리번호에 기초한 주문 접수 처리가 1차 접수와는 시간을 바꾸어 천천히 행해진다. 이에 따라, 이용자가 1차 접수단말에 대해 억세스에 성공할 확률은 높아지고, 평균적인 대기시간이 크게 감소한다. 따라서, 이용자에 대해 긴 대기시간을 강요하지 않고, 효율적인 주문 접수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In this manner, only the issuance of a clearance number is performed at the first reception, and in the second reception, an order reception process based on the clearance number is performed slowly at a time different from the primary reception. Accordingly, the probability that the user succeeds in accessing the primary reception terminal is increased, and the average waiting time is greatly reduced. Therefore, efficient order reception processing is possible without forcing a long waiting time for the user.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바람직하게는 1차 접수에서 정리번호가 생성될 때,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요구의 접수순 번호가 미리 정해진 변환규칙에 따라 정리번호로 변환된다. 2차 접수에 있어서는,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정리번호가 역으로 접수순 번호로 변환되고, 그 번호에 따른 순서로 주문의 접수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주문 접수 처리가 항상 선착순으로 행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re preferably, when the rearranging number is generated at the first reception, the reception order number of the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is converted into the arranging numb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version rule. In the second reception, the order number from the user terminal is converted into the reception order number in reverse, and the order reception process is always performed on a first-come, first-served basis by performing the order processing of the order according to the number.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주문 접수 단말장치가 제공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 주문 접수 단말장치가 컴퓨터인 서버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 그 서버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독출가능한 기록매체 및 당해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Moreover,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order receiving terminal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process mentioned above is provided.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rder receiving terminal apparatus is constituted by a server which is a computer,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a program product on which a program to be executed in the server is record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시스템의 전체구성에 대해)(About whole system configuration)
[제1실시형태][First Embodiment]
(시스템의 구성)(System configuration)
도 1에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주문 접수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다. 이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용자 단말(퍼스널 컴퓨터; 1)이 인터넷(2)을 매개로 1차 접수 서버(3) 및 2차 접수 서버(4)와 통신을 행하고, 1차 접수 서버(3) 및 2차 접수 서버(4)가 데이터 관리서버(5)를 이용하여 서버단말(1)로부터의 주문 접수 처리를 행한다. 1차 접수 서버(3) 및 2차 접수 서버(4)는 도 1에서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하는 내부의 처리를 기능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1차 접수 서버(3)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복수개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2차 접수 서버(4)도 복수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implementing an order receiving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ystem, a user terminal (personal computer) 1 communicates with the primary reception server 3 and the secondary reception server 4 via the Internet 2, and the primary reception servers 3 and 2 are used. The vehicle reception server 4 performs an order reception process from the server terminal 1 using the data management server 5. The primary reception server 3 and the secondary reception server 4 functionally represent internal processing executed by software in FIG. 1. A plurality of primary reception servers 3 may be provided as described later, or a plurality of secondary reception servers 4 may be provided.
1차 접수 서버(3)는 프로그램 메모리(30), 추첨처리부(31), 정리번호 생성부 (32) 및 2차 접수 시간대·어드레스 생성부(33)로 이루어진다. 프로그램 메모리 (30)에는 1차 접수 처리의 일련의 프로그램이 격납(格納)되어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30)에는, 예컨대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CD-ROM, 플렉시블 디스크, 그 외의 분리가능 기록매체 또는 이들 기록매체의 내용이 복사된 리지드 디스크 혹은 RAM이 이용된다.The primary reception server 3 includes a program memory 30, a lottery processing unit 31, a rearranging number generation unit 32, and a secondary reception time slot and address generation unit 33. In the program memory 30, a series of programs of primary reception processing are stored. As the program memory 30, for example, a CD-ROM, a flexible disk, another remov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or a rigid disk or RAM to which the contents of these recording media are copied is used.
추첨처리부(31)에서는 이용자로부터의 주문을 위한 요구(주문요구)에 대해 1차 접수를 솎아내기 위한 추첨처리가 행해진다. 정리번호 생성부(32)에서는 2차 접수에서 이용되는 정리번호가 생성된다. 이 정리번호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추첨처리부(31)에서의 추첨에 당첨한 주문요구의 접수순 번호를 미리 정해진 변환규칙에 따라 변환함으로써 생성된다. 2차 접수·어드레스 생성부(33)에서는 이용자로부터의 2차 접수를 행하는 시간대와 2차 접수 서버(4)의 어드레스가 생성된다.In the lottery processing unit 31, a lottery process for retrieving the first acceptance is performed for a request (order request) from the user. In the rearranging number generation unit 32, a rearranging number used in the second reception is generated. More preferably, this arrangement number is generated by converting the reception order number of the order request for winning the lottery by the lottery processing unit 31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version rule. In the secondary reception / address generation unit 33, a time zone for performing secondary reception from the user and an address of the secondary reception server 4 are generated.
2차 접수 서버(4)는 프로그램 메모리(40), 접수순 생성부(41), 시간대·정리번호·어드레스 생성부(42) 및 주문처리부(43)로 이루어진다. 프로그램 메모리 (40)에는 2차 접수 처리의 일련의 프로그램이 격납된다. 프로그램 메모리(40)로서는 프로그램 메모리(30)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CD-ROM, 플렉시블 디스크, 그 외의 분리가능 기록매체 또는 이들 기록매체의 내용이 복사된 리지드 디스크 혹은 RAM이 이용된다.The secondary reception server 4 is composed of a program memory 40, an reception order generation unit 41, a time zone, a summary number, an address generation unit 42, and an order processing unit 43. In the program memory 40, a series of programs of secondary reception processing are stored. As the program memory 30, for example, a CD-ROM, a flexible disk, other remov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or a rigid disk or RAM to which the contents of these recording media are copied is used.
접수순 생성부(41)에서는 1차 접수의 접수순 번호가 생성된다. 정리번호 생성부(32)에서 생성되고, 이용자 단말로부터 반송되어 온 정리번호가 상술한 바와 같이 변환되어 있으면, 접수순 생성부(41)에서는 그 정리번호가 정리번호 생성부 (32)에서 이용된 변환규칙과 반대의 변환규칙에 따라 접수순 번호로 변환된다. 시간대·정리번호·어드레스판단 처리부(42)에서는 이용자 단말(1)로부터의 주문요구가 있는 시간대, 주문요구에 포함된 정리번호 및 2차 접수 서버(4)의 어드레스가 정당한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주문처리부(43)에서는 접수순 생성부(41) 및 시간대·정리번호·어드레스 생성부(42)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실제 주문 접수처리가 행해진다.The reception order generation unit 41 generates a reception order number of the first reception. If the clearance number generated by the clearance number generation unit 32 and returned from the user terminal is converted as described above, the reception order generation unit 41 uses the clearance number to be used by the clearance number generation unit 32. It is converted into the order of receipt according to the conversion rule opposite to the conversion rule. The time zone, summary number, and address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42 determines whether the time zone in which the order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 the arrangement number included in the order request, and the address of the secondary reception server 4 are valid. In the order processing section 43, the actual order reception processing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information from the reception order generation section 41 and the time zone, rearranging number, and address generation section 42.
데이터 관리서버(5)는 1차 접수 서버(3) 및 2차 접수 서버(4)에서 사용하는 각종 데이터베이스, 즉 정리번호 데이터베이스(51), 2차 접수 시간대·어드레스 데이터베이스(52), 접수화면 데이터베이스(53), 1차 접수 기록 데이터베이스(54) 및 수주 데이터베이스(55) 및 시계·달력(56)을 갖추고 있다. 이 데이터 관리서버(5)의 역할에 대해서는 이후의 설명에서 명백하게 되리라고 생각되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data management server 5 includes various databases used by the primary reception server 3 and the secondary reception server 4, namely, the clearance number database 51, the secondary reception time zone / address database 52, and the reception screen database. 53, the primary reception record database 54, the order database 55, and the clock and calendar 56 are provided. The role of the data management server 5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ere.
도 1에서는 1차 접수 서버(3) 및 2차 접수 서버(4)가 모두 인터넷(2)에 접속되어 있지만, 예컨대 1차 접수 서버(3)만이 인터넷(2)에 접속되고, 2차 접수 서버(4)는 인트라넷(서브넷)을 매개로 1차 접수 서버(3)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In FIG. 1, both the primary reception server 3 and the secondary reception server 4 are connected to the Internet 2, but only the primary reception server 3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2, for example. (4) may be connected to the primary reception server 3 via an intranet (subnet).
1차 접수 서버(3)와 2차 접수 서버(4)는 각각 개별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1개의 서버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1차 접수 서버(3)와 2차 접수 서버(4)가 공통의 서버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프로그램 메모리(30)에 격납되는 1차 접수 처리프로그램과, 프로그램 메모리(40)에 격납되는 2차 접수 처리프로그램을 1개의 접수 처리프로그램으로 통합하고, 그것을 1개의 프로그램 메모리(기록매체)에 격납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primary reception server 3 and the secondary reception server 4 may be configured individually, they may be configured as one server. When the primary reception server 3 and the secondary reception server 4 are configured as a common server, the primary reception processing program stored in the program memory 30 and 2 stored in the program memory 40 are stored. It is also possible to integrate the primary reception processing program into one reception processing program and store it in one program memory (recording medium).
(주문 접수 처리의 개략에 대해)(About outline of order acceptance processing)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용자 단말(1)로부터 주문을 위한 요구(정리번호 신청)가 행해지면, 이것을 받은 1차 접수 서버(3)에서 정리번호가 발행되고, 그리고 이용자 단말(1)로 반송된다. 이 후, 정리번호를 수신한 이용자 단말(1)로부터 그 정리번호에 기초하여 실제 주문(예약신청)이 적절한 시간대에 이루어지면, 이것이 2차 접수 서버(4)에서 수신되어 최종적인 주문 접수 처리가 실행된다.As shown in Fig. 2,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request for ordering (rearition number application) is made from the user terminal 1, a rearranging number is issued from the primary reception server 3 that receives the order, and the user terminal ( Returned to 1). Thereafter, if the actual order (reservation request) is made in the appropriate time zone based on the clearance number from the user terminal 1 that has received the clearance number, it is received by the secondary reception server 4 and the final order acceptance processing is performed. Is executed.
이용자(A, B, C, D)가 차례로 1차 접수 서버(3)에 대해 억세스, 즉 정리번호의 신청을 행하면, 이들 이용자(A, B, C, D)에 대해 1차 접수 서버(3)로부터 정리번호가 송신된다. 이용자(A, B, C, D)가 지정된 시간대에 2차 접수 서버(4)에 대해 억세스, 즉 예약신청을 행하면, 주문이 접수된다. 이렇게 하여, 접수 처리가 처리에 시간이 걸리지 않는 정리번호의 신청을 접수하는 1차 접수, 처리에 시간이 걸리는 예약신청을 접수하는 2차의 2단계로 나누어 행해짐으로써, 이용자를 긴 시간 기다리게 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주문을 접수할 수 있다.When the users A, B, C, and D in turn access the primary reception server 3, that is, apply for a rearranging number, the primary reception server 3 for these users A, B, C, and D is provided. The clearance number is transmitted from). When the users A, B, C, and D access the secondary reception server 4 at the designated time, that is, make a reservation, the order is accepted. In this way, the reception processing is carried out in two stages: the first reception for accepting an application for a clearance number that does not take time for processing, and the second step for receiving a reservation application for processing time, so that the user does not wait for a long time. Order can be received efficiently.
예약신청을 접수하는 2차 접수 시간대를 정리번호의 신청순으로 설정해 두던지, 2차 접수 우선순을 정리번호의 신청순으로 설정해 두면, 예컨대 이용자(B)로부터의 예약신청이 받아들여지고, 이보다 먼저 정리번호의 신청을 행한 이용자(A)로부터의 예약신청이 거절된다는 불공평이 해소되어, 주문 접수가 항상 선착순으로 행해진다.If the second reception time for accepting a reservation application is set in the order of application of the arrangement number or the second reception priority is set in the order of application of the arrangement number, for example, a reservation application from the user B is accepted, and the arrangement number is earlier. The injustice that the reservation application from the user A who has applied for the request for rejection is rejected, and order acceptance is always performed on a first-come, first-served basis.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억세스는 어떤 URL에 대한 정보송신요구와 그것에 대한 반신(返信)이라는 세션에 의해 행해진다. 예컨대, WWW(World Wide Web)에 의한 인터넷 억세스의 경우, 이용자가 자신의 단말로부터 "http://www.opqrstu.nn.jp/resv /jazz/index.htm"이라는 URL을 지시했다고 하자. 그 때, 그 단말로부터 인터넷을 경유해서 www.opqrstu.nn.jp라는 서버로 향하여, "/resv/jazz"라는 디렉토리 (파일의 격납장소)에 있는 "index.htm"이라는 파일을 송신하기 바란다는 요구가 송신된다. www.opqrstu.nn.jp라는 서버는 상기 요구에 따른 파일이 존재하고, 또 요구된 파일을 반신해도 좋은 상대라고 확인한 경우에는, 요구된 파일을 요구원(要求元)의 이용자 단말로 반송한다.Access to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is performed by a session of requesting information transmission to a URL and replying to it. For example, in the case of Internet access by the World Wide Web, it is assumed that the user has instructed the URL "http://www.opqrstu.nn.jp/resv /jazz/index.htm" from his terminal. At that time, from the terminal to the server www.opqrstu.nn.jp via the Internet, the file "index.htm" in the "/ resv / jazz" directory (file storage location) is transmitted. The request is sent. The server www.opqrstu.nn.jp returns the requested file to the user terminal of the requesting sourc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le in accordance with the request exists and that the requested file can be returned.
이용자 단말이 서버에 접속되고 나서, 이 파일의 반송이 완료될 때까지 인터넷을 경유한 세션은 계속하고 있다. 서버가 동시에 응답할 수 있는 세션의 수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1개의 세션이 길어지면, 새로 세션을 요구하는 이용자가 접속할 수 없는 가능성이 증가한다. 마찬가지로, 이용자가 전화접수센터에 전화를 걸어 오퍼레이터와 대화하여 주문을 행하는 경우에도, 전화가 연결되고 나서 끊길 때까지는 회선이 막혀 있고, 오퍼레이터와 한 사람의 이용자의 대화가 길어지면, 새로 전화를 건 이용자가 접속할 수 없는 가능성이 증가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점이 해소된다.After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rver, the session via the Internet continues until the return of this file is completed. Since the number of sessions that the server can respond to at the same time is limited, the longer one session increases the likelihood that a user requesting a new session cannot connect. Similarly, even when a user calls a telephone reception center and talks with an operator to place an order, the line is blocked until the call is disconnected and the operator and the user have a long conversation. The likelihood that a user cannot connect is increase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is problem is solved.
이하의 설명에서는, 정리번호를 발행하여 이용자에게 반송할 때까지의 제1단계의 수속을 "1차 접수"라 칭한다. 또, 이용자가 발행된 정리번호를 이용하여 시간을 바꾸어 구체적인 주문요구를 내고, 이것에 기초하여 최종적인 주문 접수 처리를 행할 때까지의 제2단계의 수속을 "2차 접수"라 칭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rocedure of the first step until issuing a rearranging number and returning it to the user is referred to as "first reception." Moreover, the procedure of the 2nd step until a user makes a specific order request by changing time using the issued clearance number, and performs a final order acceptance process based on this is called "secondary reception."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는, 1차 접수 및 2차 접수를 도 1에 나타낸 구성에 기초해서 인터넷을 경유하여 행하는 경우와,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전화를 이용하여 행하는 경우, 혹은 1차 접수 및 2차 접수중 한쪽을 인터넷을 경유하여 행하고, 다른쪽을 전화로 행하는 경우라는 몇개의 변형이 있다. 이하에서는, 이들 여러 가지 경우의 처리수순을 병행하여 설명한다.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ception and the second reception are carried out via the Internet based o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and the first reception and the second reception are performed using a telephone a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or primary. There are several variations, one of the reception and the second reception, via the Internet and the other by telephone. Hereinafter, the processing procedures of these various cases will be described in parallel.
(1차 접수 서버에 대해)(About primary receptionist server)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서의 1차 접수 서버(3)에서의 1차 접수 처리의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서 나타낸 수순은 도 1의 1차 접수 서버(3)내의 프로그램 메모리(30)에 격납된 1차 접수 프로그램으로서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With reference to FIG. 3, the procedure of the primary acceptance process in the primary acceptance server 3 i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The procedure shown in FIG. 3 is assumed to be described as the primary reception program stored in the program memory 30 in the primary reception server 3 of FIG.
도 3에 있어서는, 1차 접수를 인터넷을 매개로 행하는 경우, 정리번호 발행 페이지인 1차 접수 서버(3)로의 이용자 단말(1)의 접속을 서버(3)가 수신한 순간이 "시작(start)"으로 되어 있다. 전화를 이용한 1차 접수의 경우는, "시작"은 전화가 연결된 순간을 의미한다. 환언하면, "시작"은 이용자가 상품이나 서비스의 주문을 위한 요구를 최초로 낸 시점을 나타낸다.In FIG. 3, when the first reception is performed via the Internet, the moment when the server 3 receives the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1 to the first reception server 3 which is a clearance number issuance page is “start”. ) ". In the case of primary reception using a telephone, "start" means the moment the telephone is connected. In other words, "start" refers to the point in time at which the user first issued a request for ordering a product or service.
이렇게 하여 이용자 단말(1)이 인터넷(2)을 매개로 1차 접수 서버(3)에 접속되면, 1차 접수 서버(3)에서는 먼저 1차 접수가 가능한지 아닌지가 판정된다(단계 S101). 이 판정은, 구체적으로는 접수 개시시간과, 상품 또는 서비스의 한정수량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예컨대, 접수 개시시간이 오전 10시부터라고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단계 S101에서는 오전 10시 이후의 주문요구에 대해서만 1차 접수가 가능하여, 이보다 전에는 정리번호를 발행해서는 안된다는 판단이 이루어진다. 또, 예컨대 한정수량 1,500개의 상품에 대해 이미 1,500개의 정리번호가 발행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101에서는 1차 접수 불가이고, 이 이상의 정리번호 발행은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한다.In this way, when the user terminal 1 is connected to the primary reception server 3 via the Internet 2, the primary reception server 3 first determines whether or not primary reception is possible (step S101). This determination is specifically made based on the reception start time and the limited quantity of goods or services. For example, if the reception start time is set from 10 am, in step S101, only the first request after 10 am can be accepted, and it is determined that no clearance number should be issued before this. For example, if 1,500 clearance numbers have already been issued for a limited quantity of 1,500 products,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acceptance is not possible in step S101, and no further clearance numbers can be issued.
실제로는, 정리번호를 받은 전체 이용자가 1차 접수에 참가하여 예약을 완료한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에, 공칭(公稱) 1,500개 한정의 상품제공이어도 그것을 약간 상회하는 정리번호를 발행해도 좋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리번호의 발행수와 판매상품수의 관계는 특별히 엄밀하게 규정되지 않는다. 발행한 정리번호가 이미 예정한 발행예정수를 넘은 경우에는, 예컨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접수는 마감되었습니다"라는 에러표시정보가 주문요구를 낸 이용자에게 송신됨으로써, 정리번호를 발행할 수 없는 취지가 그 이용자에게 통지된다(단계 S112).In fact, it is not possible for all users who have received the rearranging number to participate in the first reception and complete the reservation. Therefore, even if a nominal 1,500 limited product offer is provided, a rearrangement number slightly exceeding it may be issued. In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issued clearance numbers and the number of products sold is not strictly defined. If the issued clearance number has already exceeded the scheduled issue number, for example, the error indication information " receipt is closed " as shown in Fig. 4 is sent to the user who placed the order request, so that the clearance number cannot be issued. The user is notified of the effect (step S112).
전화에 의한 1차 접수의 경우는, 1차 전화접수센터에 자동음성 응답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으면, 그 응답시스템에 의해 단계 S112의 처리가 행해진다. 전화에 의한 1차 접수에서는, 오퍼레이터는, 예컨대 오퍼레이터가 정리번호 발행상황을 나타내는 컴퓨터 화면을 보면서 음성으로 응답한다. 혹은, 오퍼레이터가 작업하고 있는 방에 "접수마감" 등의 포스터를 붙임으로써, 정리번호가 발행예정수를 넘은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인식시키고, 이것에 기초하여 오퍼레이터가 이용자에 대해 "접수는 마감되었습니다"라는 취지를 구두로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In the case of primary reception by telephone, if the primary telephone reception center is equipped with an automatic voice answering system, the processing of step S112 is performed by the answering system. In the primary reception by telephone, the operator responds with a voice, for example, while the operator looks at a computer screen showing the status of issuance of a house number. Or, by attaching a poster such as "Reception Deadline" to the room in which the operator is working, the operator is informed that the clearance number has exceeded the expected number of publications, and based on this, the operator has "received the application" to the user. You may be notified verbally.
단계 S101에서 1차 접수가능이라고 판정된 경우, 즉 정리번호발행이 가능한 조건이 갖추어져 있는 경우, 반드시 필요한 처리는 아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음으로 1차 접수의 솎아냄을 위한 추첨이 행해진다(단계 S102). 이 추첨은 이용자 단말(1)의 1차 접수 서버(3)에 대한 주문요구의 억세스 타이밍에 의한 정리번호발행의 오차나 불공평감을 줄이기 위해 행해진다. 이 추첨의 수법으로서는, 예컨대 1차 접수 서버(3)가 수신한 주문요구의 15회까지는 거부하고, 16회째에 이하의정리번호발행수속을 행한다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 따르면, 정리번호가 한번 발행되면, 그 후는 당락첨(當落籤)을 결정하기 위해 카운트되고 있는 수가 1로 되돌려진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1 that the first acceptance is possible, that is, if a condition capable of issuing a rearranging number is provided, this is not a necessary process,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a lottery for removing the first acceptance is performed next (step S102). This lottery is conducted in order to reduce the error and unfairness of issuance of the rearranging number by the timing of access of the order request to the primary reception server 3 of the user terminal 1. As a method of this drawing, there is a method of rejecting up to 15 times of the order request received by the primary reception server 3, for example, and performing the following sorting number issuance procedure at the 16th time. According to this method, once the rearranging number is issued, the number being counted back to 1 is determined to determine the winning result.
이 추첨의 결과가 단계 S103에서 조사되고, 추첨에 탈락된 경우에는, 예컨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추첨에 떨어졌습니다 …다시 억세스해 주십시오"라는 취지의 낙선표시정보가 이용자에 대해 송신된다(단계 S113). 전화에 의한 1차 접수의 경우, 이용자로터의 전화의 16번째의 착신(着信)을 오퍼레이터에 접속하는 등의 방법으로 대체할 수 있다.If the result of this lottery is examined in step S103, and the lottery is dropped, for example, the falling-mark display information of "falling into a lottery ... Please access again" as shown in FIG. 5 is transmitted to a user (step S113). In the case of primary reception by telephone, the 16th call of the telephone of the user rotor can be replaced by a method such as connecting to an operator.
다음으로, 도 1의 정리번호 생성부(32)에 의해 이용자로부터의 주문요구의 접수순, 즉 그 주문요구를 낸 이용자가 1차 접수 개시로부터 세어 몇번째 이용자인지가 조사된다(단계 S104). 이 접수순 번호가 상술한 변환규칙으로 정리번호로 변환됨으로써, 그 정리번호가 생성된다(단계 S10). 접수순 번호를 정리번호로 변환하는 이유는, 그 정리번호를 다른 이용자가 이용함으로써, 접수순서에 위반한 2차 접수가 행해지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이 변환규칙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arrangement number generation unit 32 of FIG. 1 checks the order of receipt of the order request from the user, that is, the number of users counting from the first reception start (step S104). This receipt order number is converted into a clearance number by the above-described conversion rule, thereby generating the clearance number (step S10). The reason for converting the reception order number into a rearranging number is to prevent the second reception of a violation of the reception order by being used by another user. A specific example of this conversion rule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다음으로, 접수순에 따라 시간을 바꾸어 행하는 2차 접수의 시간대가 결정된다(단계 S106). 예컨대, 한 사람의 이용자에 대한 2차 접수 처리에 요하는 시간으로서 5분을 설정한 경우, 접수순이 "1"인 이용자에 대해서는 오전 11시 00분부터 05분간, 접수순이 "2"인 이용자에 대해서는 오전 11시 05분부터 10분간과 같이 2차 접수 시간대가 결정된다.Next, the time zone of the second reception which changes time according to the reception order is determined (step S106). For example, if 5 minutes is set as the time required for the second reception process for one user, the user whose reception order is "1" is 05 minutes from 11:00 AM to the user whose reception order is "2". The second reception time is determined as in 11:05 am to 10 minutes.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2차 접수 시간대는 복수의 이용자에 대해 중복하여 할당되어도 좋다. 2차 접수가 한 사람 한 사람의 이용자에 대해 차례로 행해지고, 어떤 이용자에 대한 2차 접수가 종료하자마자 다음의 이용자가 호출되는 방법의 경우에는, 예정접수 시간이라는 명목으로 2차 접수 시간대의 정보가 이용자에게 반신되어도 좋고, 접수 시간대의 정보가 특별히 반신되지 않아도 좋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is secondary reception time zone may be allocated to a plurality of users in duplicate. In the case of the method in which the second reception is performed one by one for each user, and the next user is called as soon as the second reception for a user is finished,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reception time is used in the name of the scheduled reception time. The information in the reception time zone may not be returned in particular.
다음으로, 2차 접수 서버(4)의 어드레스가 검색되고, 체크된다(단계 S107). 인터넷을 이용하여 1차 접수가 행해지는 경우에는, 이용자가 억세스해야 할 2차 접수 서버(4)의 URL이 이 단계 S107에서 검색된다. 이에 따라, 2차 접수의 처리가 복수의 2차 접수 서버(4)로 분산된다. 2차 접수가 전화로 행해지는 경우에는, 2차 접수 서버(4)의 URL 대신에 2차 전화접수센터의 전화번호가 단계 S107에서 어드레스로서 검색된다. 이 어드레스는 1차 접수를 행한 이용자마다 각각 다른 것으로 할 수도 있기 때문에, 할당된 어드레스 자체를 개인인증의 단서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Next, the address of the secondary reception server 4 is retrieved and checked (step S107). In the case where the primary reception is performed using the Internet, the URL of the secondary reception server 4 to be accessed by the user is retrieved in this step S107. As a result, the secondary reception processing is distribu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ary reception servers 4. When the secondary reception is performed by telephone,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ary telephone reception center is retrieved as an address in step S107 instead of the URL of the secondary reception server 4. Since this address may be different for each user who has received the primary reception, the assigned address itself can also be used as a clue for personal authentic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단계 S105에서 생성된 정리번호, 단계 S106에서 결정된 2차 접수 시간대 및 단계 S107에서 검색된 2차 접수 서버(4)의 URL 또는 2차 전화접수센터의 전화번호의 정보가 2차 접수의 안내표시를 위해 이용자 단말(1)에 대해 송신된다(단계 S108). 이에 따라, 이용자 단말(1)의 화면상에서 2차 접수의 안내가 표시된다. 2차 접수가 전화로 행해지는 경우에는, 이 단계 S108에서 2차 전화접수센터의 전화번호의 정보가 송신된다.A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of the clearance number generated in step S105, the secondary reception time zone determined in step S106 and the URL of the secondary reception server 4 or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ary telephone reception center retrieved in step S107 are received second. Is sent to the user terminal 1 for guidance display of the user (step S108). Accordingly, the guidance of the secondary recep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When the secondary reception is made by telephone, the information of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ary telephone reception center is transmitted in this step S108.
도 6에는 이용자 단말(1)상에서 표시되는 2차 접수의 안내화면의 예로서, 예약정리번호가 발행된 취지와, 그 정리번호, 예약내용, 본 예약 접수(2차 접수)를 행하는 2차 접수 서버(4)의 URL 및 본 예약 접수 시간(일시(日時))이 표시되어 있다.6 shows an example of the guidance screen of the second receptio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 in which the reservation clearance number is issued, the arrangement number, the reservation contents, and the second reception that performs this reservation reception (second reception). The URL of the server 4 and this reservation acceptance time (date and time) are displayed.
1차 접수 서버(3)로부터 전자메일에 의해 이용자 단말(1)에 반신이 행해지도록 해도 좋다. 그 경우에는, 1차 접수의 최초의 WWW 페이지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면으로 되고, 이용자가 도 7의 "신청" 버튼을 누른 것에 기인하는 억세스 요구의 발생시점이 도 3의 플로우차트상의 "시작"에 대응한다. 그 결과, 도 6과 마찬가지의 내용이 전자메일로 이용자 단말(1)로 반신된다. 이용자 단말(1)로부터 특정의 정리번호 발행접수 어드레스로 전자메일이 송신됨으로써, 1차 접수 서버(3)내의 1차 접수 프로그램에 의해 접수순으로 정리번호가 생성되고, 전자메일의 발신자인 이용자 단말(1)에 도 6과 마찬가지의 내용이 전자메일로 반신되어도 좋다.The reply may be made to the user terminal 1 by the electronic mail from the primary reception server 3. In that case, the first WWW page of the first reception is a screen as shown in Fig. 7, and the time of occurrence of an access request due to the user pressing the "Apply" button of Fig. 7 is shown on the flowchart of Fig. 3. Corresponds to "start". As a result, the same content as that in Fig. 6 is returned to the user terminal 1 by e-mail. By sending an e-mail from the user terminal 1 to a specific clearance number issuance address, the clearance numbers are generated in the order of receipt by the primary reception program in the primary reception server 3, and the user terminal which is the sender of the e-mail. In (1), the same contents as in FIG. 6 may be returned by e-mail.
전화에 의해 1차 접수가 행해지는 경우에는, 도 6과 마찬가지의 내용이 1차 전화접수센터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소리로 이용자에게 전달되어도 좋고, 전화번호 안내서비스와 같이 자동음성 응답시스템에 의해 합성음성에 의한 회답이 이루어져도 좋다.In the case where the primary reception is performed by telephone, the same contents as in Fig. 6 may be delivered to the user by the voice of the operator of the primary telephone reception center, or the synthesized voice may be transmitted by an automatic voice response system such as a telephone number guide service. Answer may be made.
단계 S108에서 이용자 단말(1)로 반신된 표시내용은, 파일 또는 음성으로서 기록된다(단계 S109). 이 기록은, 예컨대 정리번호 발행수속에 문제가 생긴 경우의 원인구명(原因究明)에 도움이 된다. 이러한 원인구명의 필요가 없으면, 단계 S109의 처리는 생략된다.The display contents returned to the user terminal 1 in step S108 are recorded as a file or voice (step S109). This record is useful for identifying the cause of the problem when, for example, a problem arises in the procedure for issuing a rearranging number. If there is no need for such cause identification, the process of step S109 is omitted.
단계 S108 후, 1차 접수 종료의 조건에 도달했는지 아닌지가 조사된다(단계 S110). 만약 정리번호 발행수가 규정수에 도달하고 있으면, 이후의 주문요구(정리번호 발행신청)는 접수되지 않는다고 판단되고, 그 취지를 나타내는 마감플래그가 세워진다(단계 S111). 이 마감플래그는 컴퓨터 프로그램내의 어떤 변수의 값이어도 좋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독출가능한 파일로서 존재해도 좋다. 전화에 의한 1차 접수에서 오퍼레이터에 의해 응답이 이루어지는 형태의 경우에는, 마감플래그를 세우는 것에 대신하여, 예컨대 "접수 종료"라고 적힌 포스터가 세워져 오퍼레이터에게 알려지게 된다.After step S108,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condition of the first acceptance end has been reached (step S110). If the number of issued clearance numbers has reached the prescribed number, it is determined that a subsequent order request (application for issuing a clearance number) is not accepted, and a closing flag indicating the effect is established (step S111). This closing flag may be the value of any variable in the computer program, or may exist as a file that the computer program can read. In the case where the response is made by the operator at the first reception by telephone, instead of setting the closing flag, for example, a poster stating "reception completion" is erected and known to the operato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1차 접수시에 이용자에게 정리번호가 발행됨으로써, 예컨대 인터넷에서 주문요구를 낸 이용자는 최단의 경우, 1회의 억세스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리번호의 발행확인화면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처음부터 상품명, 좌석 등의 구체적인 주문희망을 내고, 그것에 적합한 대응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서버가 조사하는 등의 처리가 생략되기 때문에, 1차 접수 서버(3)의 응답도 빨라진다.As described above, when a first order is issued, a clearance number is issued to the user, so that, for example, a user who has placed an order request on the Internet can obtain the confirmation page for issue of the clearance number as shown in FIG. have. As a result, since the processing such as giving a specific order request such as a brand name, a seat, etc., and checking whether or not the correspondence is possible from the beginning is omitted, the response of the primary reception server 3 also becomes faster.
한편, 1차 전화접수센터에서 전화에 의해 오퍼레이터가 응답하는 경우에도, 걸려온 전화에 대해 이용자의 주문희망을 청취할 필요가 없고, 전화가 연결되면 즉시 정리번호(및 전화번호 등의 관련정보)를 일방적으로 알리면 좋기 때문에, 통화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된다. 더욱이, 자동음성 응답시스템을 이용하여, 걸려온 전화에 즉시 정리번호 및 전화번호 등의 관련정보를 일방적으로 알리는 시스템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operator answers by telephone at the primary telephone reception center, there is no need to listen to the user's request for the incoming call. Since it is good to inform unilaterally, talk time can be shortened significantly. In addition, by using the automatic voice response system,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establish a system that unilaterally informs the related information such as a summary number and a telephone number to an incoming call.
(접수순 번호로부터 정리번호로의 변환규칙에 대해)(About conversion rule from reception order number to rearranging number)
도 8에 단계 S105에서 접수순 번호를 정리번호로 변환할 때의 변환규칙의 일례가 나타내어져 있다. 예컨대, 단계 S104에서 얻어진 접수순 번호가 "152"이었다고 하면, 1차 접수 서버(3)의 시스템 내부(정리번호 생성부(32))에서 "152"가 이진수 표기 "10011000"으로 변환된다. 이 이진수 표기에서는 제로비트가 5개 있기 때문에, 이 제로의 수 "5"를 나타내는 이진수 표기 "0101"과 완전히 무작위로 발생시킨 2비트 패턴 "01" 및 항상 일정한 고정값인 이진수 표기 "11"로 이루어진 16비트의 수치가 시스템내에서 생성된다. 이 16비트의 수치의 각 비트가 미리 정해진 법칙에 의해 바뀌어 나열된다. 이렇게 하여 바뀌어 나열된 결과는, 예컨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진법 16비트 표기로 "1001101011110000"으로 되고, 이것을 더욱이 10진법 표기로 되돌리면 "39664"로 되어, 이것이 정리번호로서 생성된다.8 shows an example of a conversion rule when converting the reception order number into a rearranging number in step S105. For example, if the reception order number obtained in step S104 is "152", "152" is converted into binary notation "10011000" in the system inside (primary number generation unit 32) of the primary reception server 3. In this binary notation, there are five zero bits, so the binary notation "0101" representing the number "5" of this zero, the two-bit pattern "01" generated at random, and the binary notation "11" which are always constant values. A 16-bit number is generated in the system. Each bit of this 16-bit numerical value is listed alternately by a predetermined rule. The results listed in this way are, for example, "1001101011110000" in binary 16-bit notation as shown in FIG. 8, and returned to decimal notation to "39664", which is generated as a summary number.
여기에서, 예컨대 악의가 있는 이용자(1차 접수의 접수순 번호가 "152"이고, 정리번호 "39664"가 발행된 이용자를 정규 이용자로 한다)가 어떤 방법으로 이 정리번호를 알아서, 이 정규 이용자보다 먼저 2차 접수를 하려고 계획하여 2차 접수시에 "39664"보다 1개값이 작은 "39663"이라는 정리번호를 속인 경우에 대해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Here, for example, a malicious user (the receptionist number of the first receptionist is "152" and the user whose clearance number "39664" is issued as a regular user) knows this clearance number in some way, and this regular user is identified. First, a case where a second reception is planned to be made and a second number is deceived by a clearance number "39663" having a smaller value than "3966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이 "39663"에 대해 도 8에서 설명한 비트패턴 바꿔 나열하기가 역으로 행해지면, 고정 데이터 "11", 무작위 데이터 "01", 제로의 수 "1111"(10진법 표기로 15), 그리고 접수순 번호는 "10010101"(10진법 표기로 149)으로 된다. 즉, 거짓으로 입력된 정리번호 "39663"으로부터 생성된 접수순 번호는 "149"로 되어, 정규의정리번호로부터 변환된 접수순 번호보다 순번이 빠른 값으로 되고 있다. 그러나, "149"를 이진법으로 표기한 제로의 수 "4"는 거짓정리번호로부터 제로의 수로서 복호된 "15"와 모순되기 때문에, 이 정리번호는 본래의 변환규칙으로 생성될 수 없는 것으로, 부정으로 만들어진 것임을 판정할 수 있다.If the bit pattern described in FIG. 8 is reversed for "39663", the fixed data "11", the random data "01", the number of zeros "1111" (15 in decimal notation), and the reception order The number becomes "10010101" (149 in decimal notation). That is, the reception order number generated from the false number "39663" inputted false is "149", and the order number is faster than the reception order number converted from the regular order number. However, since the number "4" of "149" in binary notation contradicts "15" decoded as a number of zeros from a false number, this theorem number cannot be generated by the original conversion rule.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is made negative.
여기에서 나타낸 접수순 번호로부터 정리번호로의 변환규칙은 어디까지 일례이고, 다른 여러 가지 규칙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예에서는 정리번호는 숫자만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알파벳, 그 외의 기호(문자)를 혼재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정리번호를 숫자ㆍ문자의 조합으로 하면, 보다 적은 자리수로 보다 속이기 어려운 정리번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 conversion rule from the reception order number to the clearance number shown here is just one example, and various other rules can be used. In the above example, the rearranging number is composed only of numbers, but alphabets and other symbols (characters) may be mixed. In this way, if the number is a combination of numbers and letters,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number that is less deceptive.
한편, 이용자가 악의로 거짓정리번호를 입력하거나, 혹은 악의는 없지만 잘못 정리번호를 입력한 경우에, 확률로서는 낮더라도 우연히 그것이 정규 정리번호의 요건을 만족하는, 즉 미리 정해진 변환규칙으로 생성될 수 있는 정리번호인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컨대 1차 접수 및 2차 접수시에 이용자에 대해 전자메일 어드레스, 이름, 패스워드 등 개인을 특정하는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고, 이들 개인특정정보와 1차 접수시에 발행한 정리번호를 관련지워 기록해 두어도 좋다.On the other hand, if a user maliciously enters a false summary number or if there is no malicious but wrong clearance number, it may be generated by a predetermined conversion rule that accidentally satisfies the requirements of the regular clearance number even though the probability is low. It may be a clearance number. In order to prevent this, for example, at the first reception and the second reception, the user is required to input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n e-mail address, a name, a password, and issued at the time of the first reception. You may want to keep a record of these numbers.
이와 같이 개인특정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도록 하면, 설령 2차 접수시에 거짓정리번호나 선의로 잘못 정리번호가 입력된 경우에 있어서는, 올바른 개인특정정보가 입력되지 않기 때문에 발행완료의 정리번호와의 대응이 취해지지 않아 관련지움이 행해지지 않는다. 혹은, 올바른 개인특정정보가 입력되어도, 입력된 정리번호가 틀리기 때문에 발행완료의 정리번호와의 대응지움이 행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경우에는 2차 접수가 거부된다.In this way, if the personal specific information is required to be input, even if a false summary number or wrong number is well-intentioned at the time of the second application, the correct personal specific information is not entered. No correspondence is taken and no association is made. Alternatively, even if the correct personal specific information is input, since the input number is incorrect, the correspondence with the issued number is not performed. Therefore, in these cases, secondary reception is rejected.
(2차 접수 서버에 대해)(About the second receptionist server)
도 10에 본 실시형태에서 2차 접수 서버(4)에서의 2차 주문 접수처리의 수순이 나타내어져 있다. 이 도 10에서 나타낸 수순은 도 1의 2차 접수 서버(4)내의 프로그램 메모리(40)에 격납된 1차 접수 프로그램으로서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In FIG. 10, the procedure of the 2nd order acceptance process in the 2nd reception server 4 is shown. This procedure shown in FIG. 10 is assumed to be described as the primary reception program stored in the program memory 40 in the secondary reception server 4 of FIG.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서 나타낸 처리가 시작되기 전에, 먼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예약 접수폼" 이라고 제목을 붙인 이용자에 대해 입력을 촉구하는 정보가 포함된 화면을 이용자 단말(1)상에 표시시키기 위한 송신이 행해진다. 이용자가 도 11에 나타낸 입력화면에 필요사항을 입력하고, "신청" 버튼을 누름으로써 2차 접수 서버(4)에 주문요구가 온 순간이 도 10에 있어서 "시작"에 대응한다. 2차 접수가 2차 전화접수센터에서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는, 센터에 전화가 착신하여 이용자가 도 11에 적혀 있는 내용을 오퍼레이터에게 알린 순간이 도 10에 있어서 "시작"에 대응한다.In this embodiment, before the process shown in FIG. 10 starts, the screen which contains the information which prompts input to the user entitled "this reservation acceptance form" as shown in FIG. 11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 first. Transmission for display on the screen is performed. The moment when the user enters the necessary items on the input screen shown in FIG. 11 and presses the "Apply" button, the moment the order request comes to the secondary reception server 4 corresponds to "Start" in FIG. In the case where the second reception is performed by the operator at the secondary telephone reception center, the moment when the telephone calls the center and the user informs the operator of the contents written in Fig. 11 corresponds to "start" in Fig. 10.
2차 접수 서버(4) 또는 2차 전화접수센터에서의 오퍼레이터는 이용자로부터의 주문요구인 필요사항 송신을 받으면, 정리번호를 복호하여 2차 접수 처리해야 할 접수순 번호를 생성한다(단계 S201). 이 과정에 있어서, 예컨대 도 8에서 설명한 변환규칙을 이용하여 이용자가 나타낸 정리번호가 정규의 것인지 아닌지가 검증된다(단계 S202). 여기서, 만약 그 정리번호가 부정한 번호인 경우에는 그 정보가이용자 단말(1)로 송신되고, 이용자 단말(1)의 화면상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리번호가 올바르지 않다는 에러표시가 행해진다(단계 S211).When the operator at the secondary reception server 4 or the secondary telephone reception center receives the requirement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user, the operator decodes the arrangement number to generate the reception sequence number to be subjected to the secondary reception process (step S201). . In this process, for example, it is verified whether or not the clearance number indicated by the user is normal using the conversion rule described in Fig. 8 (step S202). Here, if the rearranging number is an invalid number,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 and an error display indicating that the rearranging number as shown in Fig. 12 is not correct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is performed ( Step S211).
다음으로, 동일한 정리번호에 관한 중복주문인지 아닌지, 즉 동일한 정리번호에 의한 2차 예약이 이미 완료했는지 어떤지가 검증된다(단계 S203). 이어서, 그 정리번호 또는 접수 처리번호를 접수해야 할 올바른 시간대인지 아닌지가 검증된다(단계 S204). 여기에서, 만약 이미 그 정리번호에 대한 접수 시간을 넘기고 있는 경우에는, 그 정보가 이용자 단말(1)로 송신되고, 이용자 단말(1)의 화면상에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예약 접수 시간을 넘겼다고 하는 에러표시가 행해진다 (단계 S211). 접수 시간을 넘겨 버리는 실수는 휴먼ㆍ에러(human error)로서는 생길수 있다. 따라서, 실제의 2차 접수 시간은 이용자에게 미리 공지한 2차 접수 시간보다 조금 긴 것이 바람직하다. 완전히 접수 시간을 지나쳐 2차 주문을 행하려고 한 이용자를 구제하기 위해, 재접수 가능시간이 설정되어도 좋다.Next, it is verified whether or not it is a duplicate order with respect to the same clearance number, that is, whether or not the secondary reservation by the same clearance number has already been completed (step S203). Subsequently, it is verified whether or not the arrangement number or the acceptance processing number is in the correct time zone to be accepted (step S204). Here, if the reception time for the rearranging number has already been exceeded,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 and this reservation reception time as shown in Fig. 13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An error display of turning over is performed (step S211). Mistakes that result in the passing of the reception time may occur as a human erro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ctual secondary reception time is slightly longer than the secondary reception time previously announced to the user. In order to save the user who tried to place the second order completely after the reception time, a re-acceptable time may be set.
단계 S202에서 정리번호가 올바르다고 판정되고, 또한 단계 S203에서 중복주문이 아니라고 판정되며, 더욱이 단계 S204에서 올바른 접수 시간이라고 판정되면, 단계 S205로 이동한다. 단계 S205에서는, 2차 접수 서버(4)에 의해 수신된 또는 2차 전화접수센터에서 오퍼레이터가 받은 이용자의 주문희망사항이 주문의 성립에 충분한 것인지 아닌지가 검증된다. 만약, 주문희망사항의 내용이 이용자 단말(1)로 송신되고, 예컨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확인화면으로서 이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시키거나, 또는 이 확인화면에 상당하는 안내를 오퍼레이터가 행함으로써 이용자에게 확인을 촉구한다(단계 S205).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02 that the clearance number is correct, and it is determined in step S203 that it is not a duplicate order, and furthermore, in step S204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ct reception time is reached, step S205 is reached. In step S205, it is verified whether or not the order desire of the user received by the secondary reception server 4 or received by the operator at the secondary telephone reception center is sufficient to establish an order. If the contents of the order request are sent to the user terminal 1, the operator displays the confirmation screen as shown in FIG. 14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or the operator corresponds to the confirmation screen. By doing so, the user is prompted for confirmation (step S205).
다음으로, 이용자로부터 단계 S205의 확인화면의 내용에 잘못이 있다는 지시가 나오고, 그 지시가 인터넷(2)을 경유하여 2차 접수 서버(4)에서 수신되었는지 어떤지를 조사하고(단계 S206), 이 수신이 있은 경우, 또는 2차 전화접수센터에서 구두로 전화 오퍼레이터가 받은 경우에는, 희망정보의 재입력을 촉구하는 정보가 이용자에게 송신되고, 표시된다(단계 S212).Next, an instruction is issued from the user to indicate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contents of the confirmation screen of step S205, and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instruction has been received from the secondary reception server 4 via the Internet 2 (step S206). When there is a reception or when the telephone operator has received verbally at the secondary telephone reception center, information for prompting re-entry of the desir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and displayed (step S212).
이용자가 도 14에 나타낸 확인화면을 보거나, 또는 이것에 상당하는 전화에 의한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응답으로 이용자가 확인을 행한 결과, 희망내용에 잘못이 있다고 하는 지시를, 예컨대 도 14에서 "다시 고치기"를 클릭함으로써 행했다고 하자. 이 지시가 2차 접수 서버(4)에서 수신되거나, 혹은 2차 전화접수센터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확인된 경우, 도 10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여기서 다시 2차 접수를 할 수 있는 시간인지 아닌지를 검증해도 좋다. 이 경우, 만약 수신시각이 접수 개시시간보다도 전이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예약은 아직 종료하지 않았다는 취지의 정보를 이용자 단말(1)로 송신하여 화면에 표시시키거나, 전화로 알리거나, 혹은 접수 종료시간보다도 후이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접수 시간이 지났다는 취지의 정보를 이용자에게 송신해도 좋다.When the user sees the confirmation screen shown in FIG. 14 or the user confirms in response to the operator's response to a telephone equivalent to this, an instruction indicating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desired content, for example, " repair " Let's say you did it by clicking. If this instruction is received by the secondary reception server 4 or confirmed by the operator of the secondary telephone reception center, it is not described in FIG. 10, but it is verified whether or not it is time to perform secondary reception again here. You may also In this case, if the reception time is earlier than the reception start time,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reservation has not yet been completed as shown in Fig. 15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 displayed on the screen, or notified by telephone. Alternatively, after the reception end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reception time has passed, as shown in FIG. 13,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다음으로, 2차 접수 서버(4) 또는 2차 전화접수센터의 오퍼레이터는 이용자의 희망에 알맞는 상품, 서비스, 좌석 등이 입수가능한지 어떤지를 조사하여 주문 접수 처리를 행한다(단계 S207). 이 때, 단계 S208에서 이용자의 희망대로의 주문 접수 처리(수주)가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예약이 완료했다는 정보가 이용자 단말(1)로 송신되어 표시되거나, 전화로 그 내용이 통지된다(단계 S209). 그리고, 성립한 수주내용이 수주 데이터베이스(55)상에서 갱신된다(단계 S210). 수주 데이터베이스(55)의 갱신이란, 예컨대 콘서트홀의 좌석예약이라면 어느 좌석이 예약완료인지 등과 같은 정보의 갱신이다. 한편, 단계 S209와 단계 S210의 처리는 순서를 반대로 해도 좋다. 이상에 의해, 주문접수처리의 모든 과정이 완료된다.Next, the operator of the secondary reception server 4 or the secondary telephone reception center checks whether or not goods, services, seats, and the like that are suitable for the user's wishes are available and performs an order reception process (step S207). At this time,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208 that the order acceptance processing (ordering) as desired by the user is possible,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reservation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6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 for display or over the telephone. The contents are notified (step S209). Then, the established order contents are updated on the order database 55 (step S210). The update of the order database 55 is, for example, an update of information such as which seat is reserved if a seat is reserved for the concert hall. In addition, the process of step S209 and step S210 may be reversed. By the above, all the processes of order acceptance processing are completed.
또, 이상의 설명에서는 도 11, 도 14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레디트 카드에 의한 대금지불을 예시했지만, 지불의 방법은 크레디트 카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납품시의 현금교환이나 현금서류 등이라도 좋다. 또, 주문내용의 확인이나 지불방법의 지시나 확인을 각각 다른 화면에서 입력을 촉구하도록 해도 좋다.In the above description, as shown in Figs. 11, 14, and 16, payment by credit card is exemplified, but the method of payment is not limited to the credit card, but may be a cash exchange or a cash document upon delivery. . In addition, the user may be prompted to confirm the contents of the order, to instruct or confirm the payment method on a different screen.
(2차 접수 시간대의 다른 설정방법)(Other setting method of 2nd reception time)
이상의 설명에서는, 이용자 한 사람에 대해서 다른 사람과 중복되지 않는 2차 접수 시간대를 설정하는 것을 예로 했지만, 2차 접수 시간대의 설정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17∼도 19를 이용하여 2차 접수 시간대의 다른 설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tting of the secondary reception time slot which does not overlap with another person is set as an example for one user, but the setting method of the secondary reception time zone is not limited to this. Hereinafter, another setting method of the second reception time slo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to 19.
도 17에서는 신청순으로 이용자(A, B, C)로부터 주문을 처리해야 할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다만, 이용자(B)에 대한 2차 접수 시간대는 다른 이용자(A 및 C)에 대한 2차 접수 시간대와 일부 오버랩하고 있다. 이 예에서 3명의 이용자에게 미리 나타낸 2차 접수 시간대는 대략 이 시간에 접수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정시간대를 나타낸다. 앞의 이용자(A)에 대한 주문처리가 완료하고, 다음의 이용자(B)를 접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 경우에는, 그 취지를 다음의 이용자(B)에게 알린다. 이 고지는 인터넷을 이용한 WWW 페이지를 이용해도 좋고, 전자메일, 혹은 전화를 이용해도 좋은 바, 그 고지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 설정방법에서는 실제의 2차 접수 시각은 예정시간대보다 빨라지거나 느려지거나 하는 일이 있을 수 있다. 또, 2차 접수의 예정시간대를 미리 이용자에게 고지하는 것은 반드시 필수가 아니고 생략해도 좋다.In FIG. 17, the case where it is necessary to process an order from users A, B, and C in order of application is shown. However, the second reception time zone for the user B overlaps with the second reception time zone for the other users A and C. In this example, the secondary reception time zones previously presented to the three users represent approximately the expected time zones that they will be able to receive at this time. When the order processing for the previous user A is completed and the next user B can be accepted, the fact is notified to the next user B. The notice may be a WWW page using the Internet, an e-mail or a telephone, and the notice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is setting method, the actual second reception time may be faster or slower than the predetermined time zone. In addition, notifying the user in advance of the scheduled time period for the second reception is not essential but may be omitted.
도 18에 나타낸 예에서는 한 사람의 이용자에 대해 1개의 2차 접수 시간대가, 각각이 겹치는 일이 없도록 엄밀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용자(A)를 접수해야 할 시간대에는 설령 이용자(A)로부터의 주문처리가 완료된 경우라도, 이용자(B)로부터의 주문은 접수하지 않는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8, one secondary reception time slot is strictly set for each user so that they do not overlap. At the time when the user A should be accepted, even if the order processing from the user A is completed, the order from the user B is not accepted.
도 19에 나타낸 예에서는, 복수의 이용자에게 공통의 하나의 2차 접수 시간대가 설정되어 있다. 도면중에서 1차 접수는 이용자 A, B, C순으로 행해졌다고 하자. 2차 접수시, 이들 3명의 이용자로부터의 주문을 받아야 할 시간대에는 각 이용자로부터의 주문내용이 C, A, B의 순으로 수신되었다고 하자. 2차 접수 서버(4)측 또는 2차 전화접수센터측에서는 주문내용을 받는 작업만이 이 시간대에 행해지고, 실제로는 주문시간대가 완료하고 나서 이용자 A, B, C순으로 접수 처리가 행해지고 있다. 즉, 1차 접수순을 엄밀하게 지킨 주문 접수 처리가 운용되고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9, one secondary reception time slot common to a plurality of users is set. In the drawing,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reception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users A, B, and C. At the time of the second reception, it is assumed that the contents of orders from each user are received in the order of C, A, and B in the time of receiving orders from these three users. On the secondary reception server 4 side or the secondary telephone reception center side, only the operation for receiving the order contents is performed during this time period, and in fact, the reception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users A, B, and C after the order time zone is completed. In other words, an order reception process that strictly observes the first reception order is being operated.
[제2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에서는 1차 접수 서버(3)의 수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지만, 이 제2실시형태에서는 1차 접수 서버(3)는 복수 존재하고, 각각에 미리 발행해야 할 정리번호가 할당되어 있는 것으로 하자. 예컨대, 1차 접수 서버(3)가 3A, 3B, 3C의 3개 존재하는 경우, 서버(3A)에 도착한 주문요구에 대해서는 순서대로 "1", "4", "7", "10" …이라는 2개 걸러의 번호로부터 생성되는 정리번호가 발행된다. 마찬가지로, 서버(3B)로의 주문요구는 "2", "5", "8" …, 서버(3C)로의 주문요구는 "3", "6", "9" …라는 번호로부터 생성되는 정리번호가 발행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lthough the number of the primary reception servers 3 is not mentioned in the first embodiment, in the second embodiment, a plurality of primary reception servers 3 exist, and a rearranging number to be issued in advance is assigned to each of them. Let's do it. For example, when there are three primary reception servers 3, 3A, 3B, and 3C, the order requests arriving at the server 3A are "1", "4", "7" and "10" in order. A rearranging number generated from every other number is issued. Similarly, order requests to the server 3B are "2", "5", "8". , The order request to the server 3C is "3", "6", "9". A rearranging number generated from the number is issued.
이와 같이 하면, 이용자로부터의 주문요구가 3개의 1차 접수 서버 3A, 3B, 3C에 균등하게 행해진다는 가정이 성립될 때, 정리번호의 분산에 의해 공평하고 효율적인 정리번호발행이 가능하게 된다. 각 서버 3A, 3B, 3C로의 주문요구에 편중이 예상될 때에는 예상되는 편중에 따라 할당할 주문번호의 수량을 바꿔도 좋다.In this way, when the assumption that the order request from the user is made evenly among the three primary reception servers 3A, 3B, and 3C is made, it is possible to issue a fair number efficiently by distributing the number numbers. When a bias is expected in order requests to each of the servers 3A, 3B, and 3C, the number of order numbers to be allocate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expected bias.
예컨대, 서버 A가 다른 2개의 서버에 비해 2배의 억세스가 기대되는 경우에는, A:B:C에 2:1:1의 비율로 정리번호가 할당된다. 이에 따라, 일례로서 지역을 나눈 억세스를 촉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홋카이도ㆍ도호쿠 지구의 이용자는 서버 A에, 칸토우ㆍ토가이의 이용자는 서버 B에 … 등으로 지정해 두고, 전국 동시에 접수를 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server A is expected to access twice as much as the other two servers, a clearance number is assigned to A: B: C at a ratio of 2: 1: 1. As a result, as an example, it is possible to prompt access divided into regions. For example, a user in the Hokkaido and Tohoku districts is connected to server A, and a user in Kanto and Togai is connected to server B. We can appoint it in the back and can start acceptance at the same time nationwide.
[제3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으로, 이용자 단말(6)인 전화기와 1차 전화접수센터(8) 및 2차 전화접수센터(9)가 전화망(7)을 매개로 접속되어 있다. 1차 전화접수센터(8) 및 2차 전화접수센터(9)는 제1실시형태에서 1차 접수 서버(3) 및 2차 접수 서버(4)에 상당하는 처리를 오퍼레이터에 의한 전화의 응답,또는 자동음성 응답시스템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다.20 is a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telephone, which is a user terminal 6, a primary telephone reception center 8 and a secondary telephone reception center 9 are connected via a telephone network 7. have. The primary telephone reception center 8 and the secondary telephone reception center 9 perform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reception server 3 and the secondary reception server 4 in the first embodiment to answer the call by the operator, Or by an automatic voice response system.
여기에서, 1차 전화접수센터(8)는 제2실시형태에서 설명한 1차 접수 서버와 마찬가지로 복수 분산하여 설치되어 있고, 각각에 미리 발행해야 할 정리번호가 할당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국내 각 지역의 대표적인 몇몇 도시 또는 쵸(町: 지방 자치단체의 하나. 우리나라의 읍에 해당)에 각각 1차 전화접수센터(8)가 배치된다. 각각의 1차 전화접수센터(8)에서는 접수 개시와 동시에 미리 할당된 정리번호가 순차적으로 발행된다. 1차 전화접수센터(8)가 설치되는 각 지역의 인구비에 따라, 정리번호의 할당수를 바꿔도 좋다.Here, the primary telephone reception center 8 is provided in plural and distribu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rimary reception server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a number to be issued in advance may be assigned to each. Specifically, primary telephone reception centers 8 are arranged in several representative cities or towns in each region of the country (町: one of local governments, corresponding to towns in Korea). At each primary telephone reception center 8, a pre-allocated arrangement number is issued sequentially at the same time as the reception start. The allocation number of the rearranging numbe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pulation ratio of each region where the primary telephone reception center 8 is installed.
이와 같은 방법을 취하면, 전국 각 지역으로부터의 주문요구를 1개소의 전화접수센터에서 접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화회선의 혼잡을 경감할 수 있다. 이용자는 장거리전화를 할 필요가 없고, 이용자의 거주지에 따른 전화비의 불공평성이 경감된다. 1차 전화접수센터(8)와 2차 전화접수센터(9)를 동일한 전화접수센터로 해도 좋은 것은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In this way, congestion of telephone lines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an order request from each region of the country is accepted at one telephone reception center. The user does not need to make a long distance call, and the inequality of the telephone cost according to the user's place of residence is reduced. The first telephone reception center 8 and the second telephone reception center 9 may be the same telephone reception centers as in the first embodiment.
[제4실시형태]Fourth Embodiment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용자 단말(1)은 퍼스널 컴퓨터이고, 인터넷(2)을 매개로 1차 접수 서버(3)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동일한 이용자가 소유하는 이용자 단말(6)은 전화기이고, 전화망(7)을 매개로 2차 전화접수센터(9)에 접속되어 있다.21 shows a configuration of a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1 is a personal computer and is connected to the primary reception server 3 via the Internet 2. On the other hand, the user terminal 6 owned by the same user is a telephone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ary telephone reception center 9 via the telephone network 7.
즉, 본 실시형태는 인터넷(2)을 매개로 1차 접수 서버(3)에서 1차 접수가 행해지고, 또 2차 전화접수센터(9)에서 2차 접수가 행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명백하다.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reception is performed by the primary reception server 3 via the Internet 2, and the second reception is performed by the secondary telephone reception center 9. It is clear that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also by such a configuration.
[제5실시형태][Fifth Embodiment]
도 22는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으로, 제4실시형태와는 반대로 1차 접수는 1차 전화접수센터(8)에서 행해지고, 2차 접수는 인터넷(2)을 매개로 2차 접수 서버(4)에서 행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Fig. 22 is a system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trast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first reception is performed at the primary telephone reception center 8, and the second reception is secondary via the Internet 2; It is done in the reception server 4. Also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same effec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그 외의 실시형태][Other Embodiments]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 이외에도, 하기와 같이 여러 가지로 변형한 실시형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take various modified embodiments as follows.
(1) 1차 접수 또는 2차 접수에 전화를 이용하는 경우, 이용자 단말로서의 전화기는 반드시 가정에 설치된 고정전화기일 필요는 없고, 휴대전화기라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휴대전화기는 인터넷 접속기능을 갖는 것이라도 좋고, 그 경우는 1차 접수 및 2차 접수의 한쪽 또는 양쪽을 인터넷을 매개로 행할 수도 있다.(1) When the telephone is used for the first reception or the second reception, the telephone as the user terminal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a fixed telephone set up at home, and needless to say, a mobile telephone may be used. The cellular phone may have an internet connection function, and in this case, one or both of the first reception and the second reception may be performed via the Internet.
(2) 이용자가 1차 접수에서 정리번호를 발행받았을 때, 이용자 단말에 의해 표시되는, 예컨대 도 6에 나타낸 확인화면을 프린트 아웃해 두고, 그 프린트를 지참하여 근처의 티켓센터나 편의점 등에 가서 2차 접수를 하도록 해도 좋다.(2) When the user receives the clearance number at the first reception, print out the confirmation screen displayed by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shown in FIG. 6, bring the print, and go to a nearby ticket center or convenience store. You can also accept the car.
(3) 이용자 단말이,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기능을 갖는 휴대정보단말인 경우, 이용자가 휴대정보단말을 지참하고 편의점 등에 설치된 정보단말을 매개로 1차 접수나 2차 접수를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3) If the user terminal is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hav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Bluetooth, for example, the user may bring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perform the first or second reception through an information terminal installed in a convenience store or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to do.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을 이용한 주문 접수, 또는 전화에 의한 주문 접수에 있어서, 정리번호를 발행하는 1차 접수와, 정리번호에 기초한 실제주문을 접수하는 2차 접수의 2단계로 접수 처리가 행해진다. 이에 따라, 이용자의 대기시간이 경감되고, 접수 서버나 전화접수센터로의 주문쇄도라는 문제도 해결된다. 1차 접수에 있어서 요구순 번호를 변환하는 것에 의해 정리번호를 생성함으로써, 이러한 효율적인 주문 접수 처리를 항상 선착순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reception using the Internet or order reception by telephone, there are two stages of the first reception for issuing a clearance number and the second reception for receiving an actual order based on the clearance number. An acceptance process is performed. As a result, the waiting time of the user is reduced, and the problem of order flow to the reception server or the telephone reception center is also solved. By generating the rearranging number by converting the required order number in the first reception, this efficient order acceptance process can always be performed on a first-come, first-served basi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 또는 전화에 의한 각종의 상품구입이나 서비스제공의 주문을 접수 처리하는 시스템의 기술분야에 유효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the technical field of a system for accepting and processing various kinds of product purchase or service provision by the Internet or telephone.
Claims (2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0070947A JP2001256326A (en) | 2000-03-14 | 2000-03-14 | Order reception method and terminal by means of automatic issuing of reference number |
JPJP-P-2000-00070947 | 2000-03-14 | ||
PCT/JP2000/006573 WO2001069471A1 (en) | 2000-03-14 | 2000-09-25 | Method for receiving order by automatically issuing reference number and order receiving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00153A true KR20020000153A (en) | 2002-01-04 |
Family
ID=18589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7011719A Ceased KR20020000153A (en) | 2000-03-14 | 2000-09-25 | Method of receiving orders by automatically issuing reference numbers, and terminal for receiving orders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01256326A (en) |
KR (1) | KR20020000153A (en) |
WO (1) | WO2001069471A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9864B1 (en) | 2020-10-05 | 2022-03-04 | 주식회사 케이엠엑스 | Lighting device with zoom for safety helmet |
KR20220045495A (en) | 2020-10-05 | 2022-04-12 | 김성규 | Lighting device with zoo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18385A (en) * | 2004-06-30 | 2006-01-19 | Kojima Co Ltd | Exhibit sales system |
JP5648041B2 (en) * | 2012-12-25 | 2015-01-07 | 楽天株式会社 | Application reception system, application reception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
CN109597806A (en) * | 2018-09-13 | 2019-04-09 |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 A kind of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of sequence numbe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900B2 (en) * | 1985-10-22 | 1995-01-11 |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Telephone reservation acceptance processing method |
JPH06295304A (en) * | 1993-04-08 | 1994-10-21 | Hitachi Ltd | Reservation method |
JPH1063884A (en) * | 1996-08-14 | 1998-03-06 | Nippon Shinpan Kk | Electronic ticket system and method of using electronic ticket using the system |
JP2000076162A (en) * | 1998-09-01 | 2000-03-14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Pre-processing device of reception processing server |
-
2000
- 2000-03-14 JP JP2000070947A patent/JP2001256326A/en active Pending
- 2000-09-25 WO PCT/JP2000/006573 patent/WO2001069471A1/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0-09-25 KR KR1020017011719A patent/KR20020000153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9864B1 (en) | 2020-10-05 | 2022-03-04 | 주식회사 케이엠엑스 | Lighting device with zoom for safety helmet |
KR20220045495A (en) | 2020-10-05 | 2022-04-12 | 김성규 | Lighting device with zoo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1069471A1 (en) | 2001-09-20 |
JP2001256326A (en) | 2001-09-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71358B1 (en) | Method and system for rewarding use of a universal identifier, and/or conducting a financial transaction | |
CN107800896B (en) | Telephone service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 |
RU2332807C2 (en) | Method of quick registration for authentication of user and payment performance using two different communication channels and system therefor | |
US7979316B2 (en) |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mobile commerce | |
RU2191482C1 (en) | Method for making sale offers, filing orders and selling goods and services | |
US9406062B2 (en) |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 |
US7373159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ediating between callers and receivers using mobile phones | |
CN101034984B (en) | Establishing the true identify database of the user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submitted by the user | |
US20150081558A1 (en) |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 |
US20070005969A1 (en) | Anonymou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 |
JP2009516242A (en) | Mobile lottery | |
US6597769B2 (en) | Telephone ordering system and method | |
WO2013112640A2 (en) | Ticket transfer | |
KR20110087356A (en) | Matching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 |
KR20020000153A (en) | Method of receiving orders by automatically issuing reference numbers, and terminal for receiving orders | |
CN101002485A (en) | Automated voice link initiation | |
CN109446840A (en) | Check method, apparatus, electronic equipment and the storage medium of policy information | |
US20160225070A1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a silent auction | |
KR20010092218A (en) | Method and system for reserving a hotel | |
KR20010102742A (en) | A method for purchasing a lottery ticket and identifing a winning number on the on-line | |
KR101195028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hatting service | |
EP1825635B1 (en) | Method of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liability data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 |
WO2024200119A1 (en) | Token managing system and a method of managing tokens | |
WO2000072207A9 (en) |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bidding services | |
EP1739588A1 (en) | Method and system for registration and user identification of web us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109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6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501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6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05041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1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60227 Appeal identifier: 2005101002401 Request date: 20050419 |
|
AMND | Amendment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51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419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10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PB0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419 Effective date: 20060227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60228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50419 Decision date: 20060227 Appeal identifier: 2005101002401 |